KR20240022245A -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2245A
KR20240022245A KR1020220100697A KR20220100697A KR20240022245A KR 20240022245 A KR20240022245 A KR 20240022245A KR 1020220100697 A KR1020220100697 A KR 1020220100697A KR 20220100697 A KR20220100697 A KR 20220100697A KR 20240022245 A KR20240022245 A KR 2024002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vertical
diaphragm
faul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이대성
장정원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텍
동우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텍, 동우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텍
Priority to KR102022010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245A/ko
Publication of KR2024002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01H33/58Silencers for suppressing noise of switch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 또는 지중 고압(25.8kV) 배전라인에 사용하는 SF6 가스 또는 친환경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 및 가스절연 차단기(이하 '고압기기'라 한다)의 SF6 가스 또는 친환경 가스(건조공기,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G3 가스 등)가 충전된 압력 탱크내에서 단락 또는 지락사고시 고장전류를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 고장전류에 의해 급격한 온도상승과, 이로 인한 탱크 내의 압력 증가로 인한 방압변의 파열이 발생하고, 방압변의 파열에 따라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배출되는데, 고온 고압의 가스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를 줄이고 배출경로를 유도함으로써, 인명사고 및 주변 시설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 가스가 충진된 가스 절연기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방압변을 가지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는, 상기 가스 절연기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방압변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외측 본체와, 상기 외측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수직판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수직판과 상기 외측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일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직판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수직판과 상기 외측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타측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고장에 따른 아크 발생시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분출되는 고온상태의 고압가스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수평판에 형성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양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The arcing fault energy absorber for gas insulated medium voltage switchgear o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 또는 지중 고압(25.8kV) 배전라인에 사용하는 SF6 가스 또는 친환경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 및 가스절연 차단기(이하 '고압기기'라 한다)의 SF6 가스 또는 친환경 가스(건조공기,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G3 가스 등)가 충전된 압력 탱크내에서 단락 또는 지락사고시 고장전류를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 고장전류에 의해 급격한 온도상승과, 이로 인한 탱크 내의 압력 증가로 인한 방압변의 파열이 발생하고, 방압변의 파열에 따라 고온 및 고압 가스가 배출되는데, 고온 고압의 가스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를 줄이고 배출경로를 유도함으로써, 인명사고 및 주변 시설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상 또는 지중 고압(25.8kV) 배전라인에 사용하는 고압기기의 SF6 가스 또는 친환경 가스(건조공기,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G3가스)의 압력 탱크내에서 단락 또는 지락사고시 고압기기내 회로에 고장전류가 흐르고, 차단기가 설정된 시간내에서 고장전류를 차단하지 못할 경우 고압기기 내부의 통전 회로에 고장전류에 의한 급격한 온도상승이 발생한다. 급격한 온도 상승은 내부 화재와 함께 가스 탱크의 내부 압력을 급상승시켜 결과적으로 탱크가 폭발하면서 고열, 고압의 가스가 고압기기 외부로 배출하여 인명사고 및 주변 시설물에 큰 손상을 유발시킨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압기기 내부에서 단락 및 지락사고 발생시 고장전류에 의해 고열, 고압의 가스가 가스압력 탱크의 폭발을 유발한다. 이 탱크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탱크 하부에 설정된 압력에 이르면 가스를 배출하는 방압변(rupture disk)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 방압변은 고열 고압의 가스를 탱크외부로 배출하는 기능만 있지 고열 고압의 가스로부터 작업자, 고압기기 주변을 지나는 보행자, 주변 시설물 및 운행하는 차량을 보호하지 못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고압기기내 단락 또는 지락사고시 발생하는 고장전류에 의한 고압기기외부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로부터 고압기기 주변의 인명 및 시설물의 보호를 위한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기기의 내부고장 가스 방출장치의 개발 및 설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제1992782호에서 다수의 격벽을 통해서 고열 고압의 가스가 통과됨으로써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 특허에서 일방향으로 다수의 격벽을 통해서 가스가 배출됨으로 인해서 가스가 내포하고 있는 열기와 압력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었으나, 한국전력공사의 기존 개폐기 내부고장 아크시험 사양 보다 더 가혹한 조건의 시험사양변경 등에 따라 상기 특허의 일방향 가스방출 구조보다 더 효율적인 방출 가스의 열기와 압력의 제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82551호(2007.02.07.) 등록특허공보 제10-0594610호(2006.06.21.) 등록특허공보 제10-0957071호(2010.06.03.) 등록특허공보 제10-1992782호(2019.06.19.)
상기와 같은 가스의 열기와 압력제어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장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가진 에너지를 흡수하고 배출가스 경로를 양방향 또는 다수의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외부의 인명과 시설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잔여가스의 열과 압력을 효율적으로 양방향 또는 다수의 방향으로 분산 배출시킬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압 가스가 충진된 가스절연 고압기기와, 상기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저면에 설치되는 방압변을 가지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는, 상기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하부에 상기 방압변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흡수장치 본체와, 상기 흡수장치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대칭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수직판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수직판과 상기 흡수장치 본체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일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직판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수직판과 상기 흡수장치 본체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타측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고장에 따른 아크 발생시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분출되는 고온상태의 고압가스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수평판과 상기 흡수장치 본체에 형성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양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수직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수직격판과 제2수직격판의 2겹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타측 수직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수직격판과 제2수직격판의 2겹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수직판은, 상하 지그재그로 상기 고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수직격판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멍과 제2수직격판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멍으로 서로 엇갈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수직판의 제1수직격판과 제2수직격판 중앙에는, 상기 제1수직격판과 상기 제2수직격판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일측 수직분할격판이 더 형성되고, 타측 수직판의 제1수직격판과 제2수직격판 중앙에는, 상기 제1수직격판과 상기 제2수직격판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타측 수직분할격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평판은, 1겹 이상의 수평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판은, 좌측 또는 우측이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이 구비되고,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2겹이상 설치되는 상기 수평격판은, 지그재그로 상기 고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측 수평격판과 하부측 수평격판은 서로 반대방향에 치우치게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평격판에는, 수평격판의 상부 및 하부를 양측으로 분할하는 수직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수직판과 타측 수직판 사이에는,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1차로 통과되면서 감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중앙 수평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중앙 수평판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고압가스의 압력을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압변이 폭발하면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가진 에너지를 흡수하여, 외부의 인명과 시설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잔여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면서 에너지를 빨리 흡수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가스의 방향을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외함에 미리 배출구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압변이 일부 파열되어 가스가 특정방향으로 집중 배출되는 경우에도 고압가스가 중앙 수평판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가스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방압변에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양측으로 배출되되, 양측으로 다수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가스배출경로의 증가에 따른 온도 및 압력제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에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가스 배출 경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서 수평판에 형성되는 홀의 배치를 다르게 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일부 분할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서 수직판을 통한 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서 수평판을 통한 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종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에서 일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 배출경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종래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IEC 62271-200 개폐기의 시험사양에 대한 도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유동해석모델의 모식도.
도 15 내지 도 21는 유동해석모델에 따라 방압변 파열 및 가스방출 후 1초가 된 시점에서의 배출가스의 온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데이터.
도 22 내지 도 28은 유동해석모델에 따라 방압변 파열 및 가스방출 후 1초가 된 시점에서의 배출가스의 속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데이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에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가스 배출 경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서 수평판에 형성되는 홀의 배치를 다르게 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일부 분할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서 수직판을 통한 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서 수평판을 통한 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종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에서 일방향으로 배출되는 가스 배출경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종래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3은 IEC 62271-200 개폐기의 시험사양에 대한 도표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유동해석모델의 모식도이고, 도 15 내지 도 21는 유동해석모델에 따라 방압변 파열 및 가스방출 후 1초가 된 시점에서의 배출가스의 온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데이터이고, 도 22 내지 도 28은 유동해석모델에 따라 방압변 파열 및 가스방출 후 1초가 된 시점에서의 배출가스의 속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데이터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2)는 외함(1)의 내측에 장착되고, 고압기기(2)의 하부측에는 케이블홈(5)이 구비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고압기기(2)의 하부에는 방압변(3)이 마련되고, 고압기기(2)의 내부에 충전된 가스가 단락 또는 지락사고시 고장전류를 차단하지 못하고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가스는 케이블홈(5) 측으로 배출되고, 또한 외함(1) 공간으로 빠르게 배출된다. 그에 따라 외함(1)의 도어(4)가 열리면서 고온 고압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고, 고온 고압으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2)에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은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가기(2)에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 1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외함(1)과 외함(1)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절연 고압기기(2)와 외함(1)에 형성되는 도어(4)와, 가스절연 고압기기(2)의 하부에 설치되는 에너지 흡수장치(10, 1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의 가스 배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는, 가스절연 고압기기(2)의 하부에 방압변(3)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흡수장치 본체(11)와, 흡수장치 본체(11) 내부에 형성되고 방압변(3)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대칭 형성되는 일측 수직판(12a)과 타측 수직판(12b)과, 일측 수직판(12a)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일측 수직판(12a)과 흡수장치 본체(1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일측 수평판(13a)과, 타측 수직판(12b)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타측 수직판(12b)과 흡수장치 본체(1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타측 수평판(13b)으로 이루어진다. 일측 수직판(12a)와 타측 수직판(12b)은 방압변(3)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가스가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대칭으로 형성되고, 일측 수평판(13a)와 타측 수평판(13b)도 서로 대칭으로 설치 형성된다. 양측의 경로가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어느 한쪽만으로의 흐름에 따른 경로 이동시간을 줄여주는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정량적으로 절반씩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의 폭발에 의한 진동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가스 배출 경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가스를 빠른 시간 내에 저온 저압의 가스로 바꾸어 줌으로써 폭발에 의한 시설물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에너지 흡수장치(10)는 방압변(3)을 커버하는 흡수장치 본체(11)와, 흡수장치 본체(11)의 내부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일측 수직판(12a)와 타측 수직판(12b) 및 대칭으로 설치되는 일측 수평판(13a)와 타측 수평판(13b)으로 이루어진다. 흡수장치 본체(11)는, 상부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판(111)과, 하부판(111)에 형성되는 일측 가스 배출홀(112a) 및 타측 가스 배출홀(112b)과, 하부판(1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113)과, 측면판(113)의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114)와, 플랜지(114)에 형성되는 볼트홀(115)로 이루어진다. 볼트홀(115)에는 볼트(116)가 체결되면서 고압가스 절연기기(2)와 연결된다.
일측 수직판(12a)은, 제1수직격판(121a)과 제2수직격판(122a)의 두 겹으로 형성되고 배출가스의 경로를 가능한 길게 하도록 하기 위해 배출구멍이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즉, 제1수직격판(121a)에는 방압변(3)을 통해서 배출된 가스가 가능한 하부측에서 배출되도록 하부측에 배출구멍(123a)이 형성되고, 제2수직격판(122a)에는 제1수직격판(121a)의 하부측을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의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해 상부측에 배출구멍(124a)이 형성된다.
타측 수직판(12b)도 일측 수직판(12a)과 마찬가지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제1수직격판(121b)과 제2수직격판(122b)의 두 겹으로 형성되고 배출가스의 경로를 가능한 길게 하도록 하기 위해 배출구멍이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즉, 제1수직격판(121b)에는 방압변(3)을 통해서 배출된 가스가 가능한 하부측에서 배출되도록 하부측에 배출구멍(123b)이 형성되고, 제2수직격판(122b)에는 제1수직격판(121b)의 하부측을 통해 유입된 배출가스의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해 상부측에 배출구멍(124b)이 형성된다.
도 4는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수직판(12a)와 타측 수직판(12b)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챔버(14)와, 2겹의 일측 수직격판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수직챔버(15a)와, 2겹의 타측 수직격판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수직챔버(15b)와, 일측 수평판(13a)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상부챔버(16a)와 일측 하부챔버(17a)와, 타측 수평판(13b)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상부챔버(16b)와 타측 하부챔버(17b)로 이루어진다. 챔버수는 수평판 도는 수직판의 설치 개수와 관련된다.
도 5는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수평판(13a)에는 배출구멍(132a)이 형성되고, 일측 수평판(13a)의 하부측 흡수장치 본체의 하부판(111)에는 수평판의 배출구멍(132a)에서 배출된 가스의 경로를 길게 하도록 반대측에 배출구멍(112a)이 형성됨을 도시하고 있다. 타측 수평판(13b)에 형성되는 배출구멍(132b)와 하부판의 배출구멍(112b)는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배출가스의 배출경로가 길어지도록 한다.
도 6은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일측 수평판(13a)의 배출구멍(132a')은 일측 수직판(12a)의 제2수직격판(122a)에 형성된 배출구멍(124a)에서 가능한 먼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일측 수평판(13a)의 배출구멍(132a')은 좌측에 위치하고, 타측 수평판(13b)의 배출구멍(132b')은 우측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판(111)의 배출구멍(112a', 112b')은 수평판(13)의 배출구멍(132')과 멀리 떨어지도록 수직판(12)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다른 실시예(10')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는, 기본적으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일측 수직판(12a)와 타측 수직판(12b) 사이에 중앙 수평판(116)이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중앙 수평판(116)은, 방압변(3)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1차적으로 중앙 수평판(116)과 접촉하게 되고 중앙 수평판(116)에 형성된 배출구멍(117)을 통해서 배출되기 때문에, 열기와 압력이 다소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방압변(3)이 일부 파열되어 특정방향으로 고압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에도 중앙 수평판(116)을 거쳐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앙 수평판(116)을 거치면서 고압가스는 다수의 홀을 통해 분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일측 수직판(12a)의 제1 수직격판(121a)과 제2 수직격판(122a) 사이에도 양측으로 분할하는 일측 수직분할격판(125a)이 더 형성된다. 중앙 수평판(116)을 통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다방향으로 배출되되 효율적으로 열기와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일한 형태로 타측 수직판(12b)의 제1 수직격판(121b)와 제2 수직격판(122b) 사이에도 양측으로 분할하는 타측 수직분할격판(125b)이 더 형성되며, 일측 수직분할격판(125a)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일측 수평판(13a)과 타측 수평판(13b)은, 1겹 이상의 수평격판(131 : 131a, 131b)으로 형성되는데, 수평격판(131)의 상하를 양측으로 분할하여 양측 다수의 방향으로 고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수직판(133 : 133a, 133b)이 더 형성된다. 수직판(133)은 일측 수평판(13a)와 타측 수평판(13b)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분할하고 하부에서 양측으로 분할한다. 그에 따라 고압가스도 양측으로 분할되어 배출될 수 있다. 고압가스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가스의 유동량이 줄어들고, 줄어든 유동량에 의해 가스의 온도와 압력의 제어에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9는 2겹으로 형성된 수직판(12'(12a', 12b'))이 2단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제1수직격판(121)과 제2수직격판(122)이 2단으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배출가스는 상하로 움직이는 경로가 1단으로 형성된 수직판에 비해 두 배의 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긴 경로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흡수장치(10,10')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넓어져 배기가스의 열과 압력이 더 빨리 줄어들 수 있다.
도 10은 수평판(13')이 두겹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수평판(13')이 두겹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배출가스가 흡수장치(10, 10')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넓어져 도 9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유동해석모델에 대한 결과값을 검토하기로 한다.
도 13은 IEC 62271-200 개폐기의 폭발에 따른 시험사양에 대한 기준이다. 유동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은 한전일반규격 GS-5925-0158, 7.2.23 내부고장 아크시험 및 국제규격 IEC 62271-200, Annex AA Internal arc fault - Method to verify the internal arc에 규정한 경계조건에 따라 유동해석의 경계조건을 정의했다.
1) 시험정격 : 시험전압 25.8kV, 시험전류: 12.5kA, 아크지속시간: 0.5초
2) 접근성(Accessibility): 접근성 B(Type B, 접근성 A보다 가혹한 조건)
3) 내부아크 분류(Internal arc classification, IAC): BFLR, 전면 측면 후면에 불특정다수가 접근하는 경계조건(외함기준 F-전면, L(L)-좌측, L(R)-우측, R-후면 접근, 도 14 참조)
외함을 포함한 개폐기를 기준 외함 전면문을 제거한 상태에서 기존 한국전기연구원(KERI) 시험예와 IEC 62271-200시험사양(도 11)을 조합하여, 외함의 전면(Front side), 좌측면(Left side), 우측면(Right side), 후면(Rear side) 기준 100mm 간격을 두고 수직 인디케이터(Indicator) 및 지표면에서 2000mm 상에 수평 인디케이터를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구현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1)과 외함(1)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절연 고압기기(2)의 외부에 유동해석을 위한 인디케이터를 형성한다. 인디케이터는, 수직 인디케이터와 수평(Horizontal : H) 인디케이터로 이루어진다. 수직 인디케이터는, 전면(Front side) 인디케이터(F)와, 좌측면(Left side) 인디케이터(L(L))와, 우측면(Right side) 인디케이터(L(R))와, 후면(Rear side) 인디케이터(R)로 이루어진다. 수평 인디케이터(H)는, 천장(Ceiling : C)의 하단 수평면(Horizontal side)에 형성된다. 주위온도는 300K, 주위압력 100, kPa, 탱크내부 온도 1000K, 탱크압력 500 kPa로 설정하고 비교예 1, 비교예2 및 실시예에 대해 방압변 파열되고 가스방출 후 1초간 유동해석을 실시하고 수직 및 수평 인디케이터상의 유동속도 및 온도를 계산하였다. 유동해석에 사용된 비교예 1은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것이고, 비교예 2는 도 9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0)는 일방향으로 형성된 경로를 따라 고압가스가 배출되는 형태의 것이고,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로 실험하였다. 도 9에서 고압가스는 방압변(3)으로 배출된 후 수직격판(101)과 수평격판(102)와 수직격판(103) 및 흡수장치 본체(104)를 통해서 배출된다.
도 15는 가스방출 후 1초가 된 시점에서의 가스에 의한 3차원 온도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3차원 온도분포도에서 탱크내부의 외함(1)의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거리에 따른 온도의 분포를 도표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온도분포로부터 비교예 2 및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시 비교예 1은 육안상으로 탱크내부의 고온의 가스가 탱크외부로 배출되어 수직 인디케이터 면을 타고 상부로 가스가 이동중임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 2와 비교해서 탱크내부 온도가 낮은 것으로 부터 판단해보면, 비교예 2 대비 실시예의 탱크 내부의 고온가스 배출진행이 더 빨리 진행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6으로부터 비교예 2와 실시예의 수직선상의 온도분포를 분석하면 실시예의 탱크내부 온도가 비교예 2 보다 다소 낮아서 비교예 2 대비 실시예의 탱크내의 고온가스가 더 빨리 배출되어 냉각되었으나 외함의 바닥(기준면) 부분의 온도를 비교하면 실시예의 배출가스 온도가 낮으므로 실시예의 가스배출은 비교예 2보다 더 빨리 진행되어 흡수장치내에서의 배출가스 에너지 냉각 및 배출 방식의 효율이 더 향상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 추가적인 해석분석을 통해 입증한다.
도 17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전면(Front side) 인디케이터(F) 수직선상의 온도분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로부터 전면 인디케이터에 가해지는 배출가스의 온도영향은 온도분포도상으로 확연히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비해 1초 시점에서 인디케이터가 견딜수 없는 고온상태임을 볼 수 있고, 실시예의 전면 인디케이터상의 가스온도 영향이 비교예 2보다 다소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면 인디케이터의 좌측 수직선, 중간 수직선 및 우측 수직선상의 온도분포에서도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보다 온도차이가 확연히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고, 또한, 실시예가 비교예 2보다 전면 인디케이터에 가하는 온도영향이 5.6 ~ 13.6%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도 18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좌측면(Left side) 인디케이터(L(L)) 수직선상의 온도분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로부터 좌측 인디케이터에 가해지는 배출가스의 온도영향은 온도분포도상으로 확연히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비해 1초 시점에서 인디케이터가 견딜수 없는 고온상태임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의 좌측 인디케이터상의 가스 온도에 따른 영향이 있지만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손상을 줄 정도는 아님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의 경우 전혀 온도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9는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후면(Rear side) 인디케이터(R) 수직선상의 온도분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를 분석해보면, 후면 인디케이터(R)에 가해지는 배출가스의 온도영향은 온도분포도상으로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비해 1초 시점에서 인디케이터가 견딜수 없는 고온상태임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의 후면 인디케이터상의 가스온도에 의한 영향이 있지만 비교예 1 대비 손상을 줄 정도는 아님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의 경우는 온도영향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20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우측면(Right side) 인디케이터(L(R)) 수직선상의 온도분포에 대한 도면이다. 도 20으로부터 우측 인디케이터(L(R))에 가해지는 배출가스의 온도영향은 온도분포도상으로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비해 1초 시점에서 인디케이터가 견딜수 없는 고온상태임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 및 실시예모두 온도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우측 인디케이터의 좌측 수직선, 중간 수직선, 우측 수직선 상의 온도분포도에서도 비교예 1은 비교예 2 및 실시예와 온도차이가 확연히 나타나고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실시예는 좌측 수직선 상의 온도가 비교예 2보다 2.5% 높으나 인디케이터에 영향을 주는 온도차는 아님을 알 수 있다.
도 21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지상 2m에 위치하는 수평 인디케이터(H) 의 온도분포에 대한 도면이다. 도 21로부터 수평 인디케이터에 가해지는 배출가스의 온도영향은 온도분포도상으로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비해 1초 시점에서 수평 인디케이터에 도달한 가스에 의한 온도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평선에서 계산한 결과 비교예 1에서 후면 수평선에서 고온가스가 도달한 상태를 보여주고 비교예 2 및 실시예의 인디케이터는 고온가스가 아직 도달하지 않은 온도분포를 보여준다.
도 22 내지 도 28은 방압변이 파열되고 가스방출 후 1초가 되는 시점에서의 배출가스의 속도에 대한 분석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가스 방출 후 1초 시점에서 가스의 3차원 속도분포를 도시하고 있고, 도 23은 절연가스 고압기기의 탱크를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가스유동에 따른 속도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의 온도분포로부터 비교예 2 및실시예와 비교시 비교예 1은 육안상으로 탱크내부의 가스가 탱크외부로 배출되어 수직 인디케이터면을 타고 상부로 가스가 이동중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의 배출가스가 하부측 외함의 하부측에 머무르고 있는데 반해, 비교예 2의 배출가스는 탱크 전면부까지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도 23으로부터 기준점인 0을 기준으로 하여 유동하는 가스속도를 분석하면 비교에 1, 비교예 2, 실시예의 순서로 실시예의 배출가스 유동속도가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24는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전면 인디케이터(F) 수직선상의 가스 속도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로부터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모두 전면 인디케이터에 가해지는 가스의 유동속도가 고속임을 알 수 있고, 전면 인디케이터의 수직선상에서 실시예의 속도변화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것에 비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속도변화가 일정하지 않고 요동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의 구조가 양방향으로 가스배출을 하기 때문에, 실시예가 비교예 2 보다 배출가스의 속도변화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5는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좌측 인디케이터(L(L)) 수직선상의 속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가스배출에 의한 속도의 영향이 있다고 보여지는 데에 반해 실시예의 경우는 가스흐름에 그이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26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후면 인디케이터(R) 수직선상의 속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는 배출가스에 따른 속도에 영향이 없는데 반해 비교예 1의 경우는 인디케이터 상부에 배출가스의 영향이 있고, 비교예 2의 경우는 후면 오른쪽 인디케이터에 배출가스의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7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우측 인디케이터((LR)) 수직선상의 속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우측 인디케이터 대부분에 가스흐름의 영향을 받고, 비교예 2와 실시예도 국부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실시예의 경우 가스속도의 영향이 극히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도 28은 가스방출 후 1초 시점에서 지상 2m 상의 수평 인디케이터상의 속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인디케이터에 가해지는 배출가스의 온도영향은 온도분포도상으로 비교예 1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비해 1초 시점에서 수평 인디케이터의 가스흐름에 의한 영향이 보인다. 또한, 비교예 1에서 후면 수평선에서 고온가스가 도달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비교예 2 및 실시예의 인디케이터는 고온가스의 흐름이 아직 도달하지 않은 분포를 보여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10)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더 나은 효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가스방출이 있더라도 가스의 온도와 속도에 의한 영향이 제한적임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스의 방출이 있어도 인명피해나 시설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외함 2 : 가스절연 고압기기
3 : 방압변 4 : 도어
5 : 케이블홈
10, 10' :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11 : 흡수장치 본체 12(12a, 12b) : 수직판
13(13a, 13b) :수평판 14 : 중앙챔버
15(15a, 15b) : 수직챔버 16(16a, 16b) : 수평 상부챔버
17(17a, 17b) : 수평 하부챔버

Claims (7)

  1. 고압 가스가 충진된 가스절연 고압기기와, 상기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저면에 설치되는 방압변을 가지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는, 상기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하부에 상기 방압변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흡수장치 본체와, 상기 흡수장치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고압가스가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대칭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수직판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수직판과 상기 흡수장치 본체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일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직판을 통과한 고압가스가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수직판과 상기 흡수장치 본체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타측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고장에 따른 아크 발생시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분출되는 고온상태의 고압가스가 상기 일측 및 타측 수직판과 상기 일측 및 타측 수평판과 상기 흡수장치 본체에 형성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양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수직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수직격판과 제2수직격판의 2겹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수직격판과 제2수직격판의 2겹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수직판은, 상하 지그재그로 상기 고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수직격판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멍과 제2수직격판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멍으로 서로 엇갈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수직판의 상기 제1수직격판과 상기 제2수직격판 중앙에는, 상기 제1수직격판과 상기 제2수직격판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일측 수직분할격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타측 수직판의 상기 제1수직격판과 상기 제2수직격판 중앙에는, 상기 제1수직격판과 상기 제2수직격판을 양측으로 분할하는 타측 수직분할격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수평판과 상기 타측 수평판은, 1겹 이상의 수평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판은, 좌측 또는 우측이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이 구비되고,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2겹이상 설치되는 상기 수평격판은, 지그재그로 상기 고압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측 수평격판과 하부측 수평격판은 서로 반대방향에 치우치게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격판에는, 상기 수평격판의 상부 및 하부를 양측으로 분할하는 수직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수직판과 상기 타측 수직판 사이에는,
    상기 방압변이 파열되면서 배출되는 상기 고압가스가 1차로 통과되면서 감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중앙 수평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수평판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고압가스의 압력을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KR1020220100697A 2022-08-11 2022-08-11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KR20240022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697A KR20240022245A (ko) 2022-08-11 2022-08-11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697A KR20240022245A (ko) 2022-08-11 2022-08-11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245A true KR20240022245A (ko) 2024-02-20

Family

ID=9005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697A KR20240022245A (ko) 2022-08-11 2022-08-11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224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610B1 (ko) 2006-05-09 2006-06-30 (주)대경기술단 공동주택용 부하개폐기의 고압가스 방출장치
KR100682551B1 (ko) 2005-06-09 2007-02-15 한국전력공사 지상형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고압팽창가스 방출장치설치방법 및 그 체결구조
KR100957071B1 (ko) 2009-07-28 2010-05-13 (주)대영기계 초고압차단기용 방압장치
KR101992782B1 (ko) 2018-11-08 2019-06-2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텍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기기의 내부고장 가스 방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51B1 (ko) 2005-06-09 2007-02-15 한국전력공사 지상형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고압팽창가스 방출장치설치방법 및 그 체결구조
KR100594610B1 (ko) 2006-05-09 2006-06-30 (주)대경기술단 공동주택용 부하개폐기의 고압가스 방출장치
KR100957071B1 (ko) 2009-07-28 2010-05-13 (주)대영기계 초고압차단기용 방압장치
KR101992782B1 (ko) 2018-11-08 2019-06-2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텍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기기의 내부고장 가스 방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7607B2 (en) Muffler for enhanced arc protection
US3448231A (en) Electric circuit breaker arc chute with arc discharge filter
CN102280823B (zh) 开关装置
EP2784886B1 (en) Gas-insulated device for electrical use
KR20240022245A (ko)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고압기기의 고장전류 에너지 흡수장치
KR101992782B1 (ko) 지중 배전선로용 가스절연 기기의 내부고장 가스 방출장치
JP5546362B2 (ja) スイッチギヤ
US10763064B2 (en) Electric fuse box or junction box assembly with a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KR102337431B1 (ko) 가스 방출 장치
US8299880B2 (en) Transformer assembly
CN211579380U (zh) 一种充气柜
KR20060109072A (ko) 압축 실린더를 가진 아크접점을 채용한 복합소호가스차단부 구조체
JP6462972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EP3570393B1 (en) Switchgear
RU2450942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мыка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05335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230132047A (ko) 기중 차단기의 아크 가스 배출장치
EP2515399A1 (en) Protection filter assembly for a switchgear panel and switchgear panel comprising the same
CN212230206U (zh) 油浸式变压器
CN218826930U (zh) 内置消游离装置的断路器
CN214673911U (zh) 一种用于舰船的防爆型开关柜
CN216215051U (zh) 一种开关柜顶部压力释放装置
CN220041763U (zh) 双灭弧室结构及断路器
CN107990012A (zh) 配电箱的压力平衡保护结构
CN116190175A (zh) 一种灭弧断路保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