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960A -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 또는 아로마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 또는 아로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960A
KR20240021960A KR1020247001685A KR20247001685A KR20240021960A KR 20240021960 A KR20240021960 A KR 20240021960A KR 1020247001685 A KR1020247001685 A KR 1020247001685A KR 20247001685 A KR20247001685 A KR 20247001685A KR 20240021960 A KR20240021960 A KR 2024002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t
aroma
fragrance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캐서린 프리게
로라 므니에
세실 페텔
마르코 싱거
키스 맥더못
Original Assignee
시므라이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므라이즈 아게 filed Critical 시므라이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2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1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42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42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 C11B9/004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 C11B9/0049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the condensed rings sharing two common C atoms
    • C11B9/0053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the condensed rings sharing two common C atoms both rings being six-memb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 C11B9/0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the hetero rings containing six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9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N as hetero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수용 또는 선호되는 신규한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 특히 반려동물에게 수용 또는 선호되는 방향 또는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된 제품 또는 착향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향기 조성물 또는 방향된 제품을 적용함으로써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냄새를 풍기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 또는 아로마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신규한 향기(fragrance) 또는 아로마/향미(flavour)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방향된(perfumed) 또는 착향된(flavored) 제품, 특히 반려동물이 수용 또는 선호하는 방향 또는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된 제품 또는 착향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향기 조성물 또는 방향된 제품을 적용함으로써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냄새를 풍기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 수준의 향상과 사회적 도시화의 가속과 함께, 반려동물은 점점 가족의 일원이 되고 있고, 따라서 일상적으로 소비자 향기에 노출된다. 제품의 향의 수용은 전반적인 제품 수용의 주요 동인이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홈케어 제품은 소비자 수용을 염두에 둔다. 제품은 광범위하게 테스트되고 인간에게 가장 선호되는 발견된 향기 및 특성에 대해 최적화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반려동물 자체에 의한 향기 및 제품 수용에 초점이 맞춰지지는 않았다. 인간은 1,500만 개의 후각 뉴런, 고양이는 6,700만 개, 그리고 개는 2억 개를 가진다. 우리 반려동물의 후각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그들이 전형적인 소비자 제품의 향기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 지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고양이 모래(cat litter)에서 고양이가 찾은 불쾌한 향은 부정적인 제거 행동, 예컨대 모래 화장실(litter box)의 거절 또는 완전한 거부로 이어지며, 종종 가정에서 원치 않는 쓰레기를 떨어뜨리는 것에 의해 나타난다. 집안 어지럽히기(house soiling)는 고양이 주인에 의해 보고되는 가장 흔한 행동 문제이고, 종종 반려동물과 주인 간의 유대를 약화시킨다. 이러한 부정적인 행동의 주된 원인은 모래 화장실 혐오감이며, 이는 고양이가 찾은 불쾌한 향이 나는 모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WO 2016/170475 A1는 고양이가 모래 화장실에서 배설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L-펠린(L-Feline)(2-아미노-7-하이드록시-5,5-디메틸-4-티아헵탄산(2-maino-7-hydroxy-5,5-dimethyl-4-thiaheptanoic acid))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의 개시에 따르면, L-펠린을 포함하는 21개의 상업적인 고양이 유인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래에서 소변 및 대변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고양이의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테스트되었다. L-펠린만이 소변 제거에 대해 고양이에게 유의미하게 선호되었다.
WO 2019/145557 A1은 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모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산업에서는 반려동물, 특히 고양이 및 개를 유인하는 새로운 향기 또는 아로마 물질을 개발하는 데 지속적인 관심이 있다. 소비자 제품은 그들의 인간 주인, 그들의 안전 및 웰빙이 이에 매우 의존하므로, 가정에서 같은 환경을 공유하는 반려동물에게 잘 수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고 거부되지 않는 반려동물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능적인(organoleptic), 즉 그들의 후각 또는 미각에 의해,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는 소비자 제품 또는 반려동물 제품의 제공이다.
본 발명은 특정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이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고 거부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구르망(gourmand) 냄새 타입 임프레션(impression)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lead sensory) 성분을 갖거나 바람직하게 머스크(musk)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갖는 향기 디렉션(directions)은 고양이와 개 둘 모두에게 잘 수용되지만, 바람직하게 우디(woody) 냄새 유형 임프레션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갖는 향기 디렉션은 반발성 물질(repulsive material)이고 따라서 고양이와 개 둘 모두에게 덜 수용된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A) - 상기 화합물은
바닐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에틸 바닐린 (3-에톡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에틸 말톨 (2-에틸-3-하이드록시-4H-피란-4-온),
쿠마린 (2H-1-벤조피란-2-온),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Frambinon® (4-(p-메톡시페닐)-2-부탄온),
벤즈알데하이드,
에틸-2-메틸 부티레이트,
2-메톡시-3-에틸 피라진,
델타-데카락톤, 델타-노나락톤, 감마-옥타락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
및/ 또는
-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B) - 상기 화합물은
알드론(aldron) (4-[(6,6-디메틸-5-바이사이클로[2.2.1]헵타닐)메틸]-2-메틸사이클로헥산-1-온),
락토스카톤(lactoscatone) ((2R,4aR,8aS)-2,8,8-트리메틸옥타하이드로-2H-4a,2-(에폭시메타노)나프탈렌-10-온),
암브레톨라이드(ambrettolide) (17-옥사사이클로헵타데크-6-엔-1-온),
에틸렌 브라실레이트(brassylate) (1,4-디옥사사이클로헵타데칸-5,17-디온),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글로바논(globanone) ((8E)-사이클로헥사데크-8-엔-1-온),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
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방향 또는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의 제조를 위한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향된 제품, 예컨대 개인 또는 홈 케어 제품, 표면 케어 제품, 청소 제품, 공기 케어 제품, 섬유 제품, 자동차 케어 제품, 반려동물 케어 제품 등, 또는 착향된 제품, 예컨대 반려동물용 간식, 호흡 및 구강 케어 제품, 또는 식용 반려동물 제품 등에 관한 것이며, 이는 유효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포함한다.
마지막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냄새를 풍기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다음의 단계:
(i)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된 제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ii) 반려동물에게 수용되는 냄새를 얻기 위해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감각 유효량으로 상기 향기 조성물 또는 방향된 제품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이하의 설명,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항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거부된 향기에 대한 조건별 평균 퇴적물 중량(mean deposits weight)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표이다(자스민 어코드(accord)).
도 2는 수용된 향기에 대한 조건별 평균 퇴적물 중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표이다(머스크 어코드).
도 3은 자스민 어코드와 머스크 어코드를 비교하여 고양이 모래에서 중량 결과의 유의성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4는 개 평가에서 바닐린과 자스민 어코드에 대한 거절율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수용 및 비수용되는 향기/어코드를 요약하는 고양이 기호 결과의 개요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수용되는 향기/어코드를 요약하는 개 기호 결과의 개요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향기 조성물은 냄새(odour or smell)를 부여하기 위해 개별 화학적 화합물 또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향미 또는 맛을 부여하기 위해 개별 화학적 화합물 또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향미는 미각 및 후각 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향기는 후각에만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모두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아로마" 또는 "향미"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고 동등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대해 설명에서 참조되는 경우,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유효량(effective amount)"이라는 용어는 반려동물에서 원하는 반응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거나 충분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양, 즉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또는 최종 제품에서 그 안에 통합되는 인지 가능한 냄새 또는 풍미를 부여하기 위한 양을 나타낸다. 향미 또는 향기 물질의 조합에 적용될 때, 상기 용어는 풍미 또는 냄새를 유발하는 향미 또는 향기 물질의 조합의 총량을 나타낸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는 이의 일반적인 사용 지침에 따라 향기 조성물 또는 향미 조성물을 투여할 때 냄새 또는 맛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명명된 성분이 필수적이지만, 다른 성분이 추가될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와 같은 "~로 이루어지는(consisting)"이라는 용어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성분의 총량이 최대 100 중량%인 것을 의미하며, 주제가 폐쇄형이고 명백하게 인용된 제한만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을 포함하는"에 대해 참조되는 경우, 문맥이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의미는 "~을 포함하는" 또는 "~로 이루어지는"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는 양자택일로서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괄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하나의 성분 또는 주 감각 성분, 또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이라는 용어는 특정 감각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성분, 예를 들어 구르망 노트 또는 머스크 노트 또는 우디 노트를 의미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에서 주 성분(leading component)이고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에서 후각 또는 미각 효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주 감각 성분이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화합물인 경우, 생성된 조성물은 구르망 냄새 타입 임프레션이 지배적일 것이다. 주 감각 성분이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유형 노트를 가지는 화합물인 경우, 생성된 조성물은 머스크 냄새 타입 임프레션이 지배적일 것이다.
"임의적으로(optionally)"라는 용어는 후속하여 설명된 화합물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지만 존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설명은 상기 화합물이 포함되는 변형체, 또는 상기 화합물이 부재한 변형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A)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감각 유효량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합물은
· 바닐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 에틸 바닐린 (3-에톡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 에틸 말톨 (2-에틸-3-하이드록시-4H-피란-4-온),
· 쿠마린 (2H-1-벤조피란-2-온),
·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 Frambinon® (4-(p-메톡시페닐)-2-부타논),
· 벤즈알데하이드,
· 에틸-2-메틸 부티레이트,
· 2-메톡시-3-에틸 피라진,
· 델타-데카락톤, 델타-노나락톤, 감마-옥타락톤,
및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전술된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 바닐린 (4- 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및 2개의 전술된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군(A)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바닐린 및 Tonkalacton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은 바닐라, 스위트(sweet), 휘핑 또는 캐러멜화된 설탕, 벌꿀, 초콜릿, 캐러멜, 아몬드, 코코넛, 크리미(creamy), 민트향(minty), 시나몬 및/또는 견과류 냄새(odor/smell) 또는 향미/맛 임프레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식용 냄새 또는 향미/맛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명시된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은 개별 물질로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물질과의 혼합물(이하에서 어코드로 지칭됨)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각 유효(sensory effective), 즉 바람직하게는 구르망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A)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중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르망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바람직한 향기/어코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이하의 표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군(A)의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들) 또는 주 감각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들이다.
조성물 원료
1 바닐린
바닐린
2 메톡시 에틸 피라진
메톡시 에틸 피라진
3 바닐라 어코드
에틸 말톨
헬리오트로핀
바닐린
4 Tonkalactone 어코드
퓨라민톤(Furaminton)/Tonkalactone® (10 % DPG)
바닐린 (10 % DPG)
5 코코넛 어코드
바닐린 (10 % DPG)
데카락톤 델타
노나락톤 델타
옥타락톤 감마
6 베리 어코드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에틸 말톨
Frambinon®
에틸 메틸 부티레이트-2
7 레드 프룻 어코드
알데하이드 C16
에틸 말톨 (10 % DPG)
에틸 이소부티레이트
Frambinon® (10 % DPG)
에틸 메틸 부틸레이트-2
표 1의 예시적인 조성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단일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거나,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어코드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목적은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B)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감각 유효량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반려동물 향기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화합물은
알드론 (4-[(6,6-디메틸-5-바이사이클로[2.2.1]헵타닐)메틸]-2-메틸사이클로헥산-1-온),
· 락토스카톤 ((2R,4aR,8aS)-2,8,8-트리메틸옥타하이드로-2H-4a,2-(에폭시메타노)나프탈렌-10-온),
· 암브레톨라이드 (17-옥사사이클로헵타데크-6-엔-1-온),
·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1,4-디옥사사이클로헵타데칸-5,17-디온),
·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 글로바논 ((8E)-사이클로헥사데크-8-엔-1-온),
및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전술된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 암브레톨라이드 (17-옥사사이클로헵타데크-6-엔-1-온),
·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 글로바논 ((8E)-사이클로헥사데크-8-엔-1-온),
및 2개 또는 3개의 전술된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군(B)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 암브레톨라이드 및 Globalide®, 또는
- 암브레톨라이드 및 글로바논, 또는
- Globalide® 및 글로바논, 또는
- 암브레톨라이드 및 Globalide® 및 글로바논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혼합물/조합이다.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은 가장 전형적으로 동물성(animalic)으로 설명되는 사향 냄새를 특징으로 하지만, 또한 스위트, 크리미 또는 파우더리(powdery)부터 풍부하고 레더리(leathery), 스파이시(spicy) 냄새 또는 향미/맛 임프레션까지 다양하다.
상기 명시된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은 개별 물질로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물질과의 혼합물(이하에서 어코드로 지칭됨)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각 유효(sensory effective), 즉 바람직하게는 머스크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B)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중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머스크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바람직한 향기/어코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이하의 표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군(B)의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들) 또는 주 감각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들이다.
조성물 원료
1 알드론
알드론
2 락토스카톤
락토스카톤
3 암브레톨라이드
암브레톨라이드
4 머스크 어코드
Globalide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5 글로바논
글로바논
표 2의 예시적인 조성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단일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거나,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어코드이다.
추가의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A)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감각 유효량, 및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B)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감각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A)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중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 및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타입 노트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B)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중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 바닐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1,4-디옥사사이클로헵타데칸-5,17-디온),
및 전술된 화합물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 Tonkalactone® 및 바닐린; 또는 -
- Tonkalactone® 및 Globalide®; 또는
- Tonkalactone® 및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또는
- 바닐린 및 Globalide®; 또는
- 바닐린 및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또는
- Globalide® 및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또는
- Tonkalactone® 및 바닐린 및 Globalide®; 또는
- Tonkalactone® 및 바닐린 및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또는
- 바닐린, Globalide®,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혼합물이다.
놀랍게도, 상기 명시된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디렉션은 고양이와 개 모두에게 매력적이면서 동시에 인간에게도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행동 파라미터의 측정에 의한 이하의 실시예의 실험 데이터에 의해 설명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이 반려동물, 바람직하게 고양이 또는 개를 유리하게 유인할 수 있는 것도 예상치 못하게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우디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특정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디렉션은, 행동 파라미터의 측정에 의한 이하의 실시예의 실험 데이터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고양이와 개 모두에게 거부되는 반발성 향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은 따라서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는 바람직하게 우디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C)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반발성 물질은 시더(cedar) 잎 오일, 블론드 우드(blonde woods), 블리치(bleach) 어코드, 재스민 어코드, 오렌지 꽃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군(C)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우디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향기/어코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이하의 표 3에 명시된 바와 같다.
조성물 원료
1 시더 잎 오일
시더 잎 오일
2 블론드 우드
Amberwood® F
시더우드 오일
이소 이 수퍼(Iso E super)
Sandranol®
3 재스민 어코드
벤질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 자스몬(dihydro jasmone)
헤디온(Hedione)
헥실 시나믹 알데하이드 알파
인돌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에서, 사용된 군(A)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 및/또는 군(B)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1 내지 100 중량%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 5 내지 90 중량%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 10 내지 80 중량%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20 내지 70 중량%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 30 내지 60 중량%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 40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이 상기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의 블렌드(blend)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량 설명은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더욱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플로랄(floral)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향기 물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플로랄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이러한 추가적인 향기 물질은 메틸 옥틴 카보네이트(메틸-논-2-이노에이트(methyl-non-2-ynoate)), 페닐 에틸 알코올(2-페닐에탄-1-올), 시트로넬롤(3,7-디메틸옥트-6-엔-1-올),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및 전술된 화합물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수증기 증류를 통해 생산된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정확한 조성(composition)은 종마다 다르지만, 주로 모노터페네오이드(monoterpeneoids) 및 세스퀴터페네오이드(sesquiterpeneoids)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성분 또는 주 감각 성분 중, 리날로올(linalool) 및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가 우세하며, 적당한 수준의 라반둘릴 아세테이트(lavandulyl acetate), 터피넨-4-올(terpinene-4-ol) 및 라반둘롤(lavandulol)이 있다. 1,3-시네올(1,3-cineole) 및 캠퍼(camphor)도 또한 낮거나 적당한 품질로 존재한다. 페퍼민트 오일은 주로 주 감각 성분으로서 멘톨 및 멘톤 뿐만 아니라, 멘토퓨란(menthofuran), 1,8-시네올(1,8-cineole), 및 리모넨(limonene)을 포함하는 수 개의 다른 미량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시트러스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향기 물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시트러스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이러한 추가적인 향기 물질은 오렌지 오일, 리씨아 큐베바(litsea cubeba) 오일, 만다린 알데하이드(트랜스-2-도데세날), 아그루니트릴(agrunitril)(3,7-디메틸옥트-6-에네니트릴(3,7-dimethyloct-6-enenitrile)), 시트랄(citral)(3,7-디메틸-2,6-옥타디에날), 및 전술된 화합물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반려동물은 포유류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개 및 고양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반려동물, 바람직하게 고양이 및/또는 개에 의한 높은 수용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방향(perfuming) 또는 착향(flavouring)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그대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체 형태, 즉 용매로 희석되거나 희석되지 않은 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용매는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 프탈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트리아세틴, 식물성 오일,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옥틸 아디페이트 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실리콘,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또는 메틸 수소화 로지네이트(rosinate) 등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제품 내에서 아로마/향미 또는 향기 물질의 미세한 분포 및 사용시 제어된 방출을 모두 보장하는 캐리어(carrier)에 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는 황산나트륨, 실리카, 제올라이트, 석고, 점토, 점토 과립, 기포 콘크리트 등과 같은 다공성 무기 물질, 또는 목재, 셀룰로오스계 물질, 당, 덱스트린(예를 들어, 말토덱스트린), 또는 플라스틱 예컨대 PV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합성 섬유와 같은 유기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또한 분무-건조될 수 있고, 포접 복합체(inclusion complexes) 또는 압출 생성물로서, 또는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분무-건조된 향기 조성물 또는 향미 조성물은 예를 들어 향미 또는 향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에멀젼 또는 분산액을 분무-건조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변성 전분, 단백질, 덱스트린 및 식물성 검이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포접 복합체는 예를 들어 향미 또는 향기 물질 조성물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요소 유도체의 분산액을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물에 도입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압출 생성물은 향기 조성물 또는 향미 조성물을 적합한 왁시(waxy) 물질로 용융시키고 임의적으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에서 후속 응고와 함께 압출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변형된 조성물의 특성은 적합한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보다 표적화된 향미 또는 향기 방출과 관련하여 더욱 최적화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왁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미 또는 향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타입 물질 또는 연질 젤라틴으로부터 만들어진 캡슐 물질의 도움을 받아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방법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
모든 전술된 결과 생성물 변형체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이다.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는, 이의 내재하는 유익한 미각 및/또는 후각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향미 조성물은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방향 또는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따라서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방향 또는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의 바람직한 변형체에 관하여, 전술된 설명이 물론 상응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은 착향 또는 방향되거나, 착향 또는 방향되도록 의도된 제품, 바람직하게 개인 또는 홈 케어 제품, 표면 케어 제품, 청소 제품, 공기 케어 제품, 섬유 제품, 자동차 케어 제품, 반려동물 케어 미용 또는 구강 케어 제품, 또는 식용 반려동물 제품에 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개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함유하는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은, 개인 또는 홈 케어 제품, 표면 케어 제품, 청소 제품, 공기 케어 제품, 섬유 제품, 자동차 케어 제품, 애완동물 케어 미용 또는 구강 케어 제품 또는 식용 애완동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본 제제(base preparation)를 형성하기 위해 용액으로서 또는 고체 또는 액체 캐리어 및 임의적으로 다른 보조제 및/또는 안정화제와의 혼합물의 형태로, 용매 없이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혼입함으로써 생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향된 제품은 개인 화장품, 세면용품(toiletry) 및 헬스케어 제품 예컨대 건식 및 습식 물티슈, 세척제(washes), 목욕제(baths), 샴푸, 젤, 비누, 무스, 클렌징 조성물, 목욕 오일, 욕조에 첨가될 수 있는 다른 목욕 조성물, 피부에 직접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세척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리브온(leave-on) 개인 케어 제품은 개인 화장품, 세면용품, 및 헬스케어 제품 예컨대 스틱, 밤, 무스, 스프레이, 로션, 크림, 젤, 파우더, 오일, 왁스, 향수, 피부에 적용될 수 있고 헹구지 않을 수 있는 다른 개인 케어 조성물, 또는 홈 또는 세탁물 케어 제품 예컨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린넨 스프레이, 공기 케어 제품, 양초, 디퓨저, 표면, 섬유를 청소하거나 공기 방향의 목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또는 다른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 케어 제품 예컨대 자동차 공기 방향제(car air fresheners), 물티슈, 세정제, 냄새 제거제, 연무제, 벤트 클립(vent clips), 에어로졸, 섬유 탈취 스프레이(fabric refreshner sprays) 및 반려동물 제품 예컨대 고양이 모래, 고양이 모래 화장실, 고양이 장난감, 고양이 나무, 개 장난감, 개 패드, 개 침구, 및 반려동물 케어 미용 제품 예컨대 반려동물 샴푸, 물티슈, 클렌저 또는 컨디셔닝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방향된 제품은 예를 들어 향 추출물, 오 드 퍼퓸, 오 드 뚜왈렛, 쉐이빙 로션, 오 드 코롱, 프리-쉐이브 제품, 스플래시 코롱(splash colognes) 및 방향된 티슈 와이프를 포함하며, 방향을 위한 산성, 알칼리성 및 중성 세정제 예를 들어 바닥 세정제, 창문 세정제, 식기세척 세제, 목욕 및 위생 세정제, 스쿠링 크림(scouring cream), 고체 및 액체 모래 화장실 세정제, 분말 및 거품 카펫 세정제, 직물 방향제(textile fresheners), 다림질 보조제, 액체 세제, 분말 세제, 세탁 전처리제 예컨대 표백제, 침지제(soaking agents) 및 얼룩 제거제, 세탁 린스 컨디셔너, 세탁 비누, 세탁 정제, 살균제(disinfectants), 표면 살균제 뿐만 아니라 액체 또는 젤 형태 또는 고체 캐리어에 적용되는 공기 방향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왁스 및 광택제 예컨대 가구 광택제, 바닥 왁스 및 신발 광택제 뿐만 아니라 바디 케어 제품 예컨대 고체 및 액체 비누, 샤워 젤, 샴푸, 쉐이빙 비누, 쉐이빙 폼, 목욕 오일, 수중유, 유중수 및 수중유중수 타입의 화장품 에멀젼 예컨대 스킨 크림 및 로션, 페이스 크림 및 로션, 선스크린 크림 및 로션, 애프터-선 크림 및 로션, 핸드 크림 및 로션, 풋 크림 및 로션, 제모 크림 및 로션, 애프터-쉐이브 크림 및 로션, 태닝 크림 및 로션, 헤어 케어 제품 예컨대 헤어 스프레이, 헤어 젤, 강화 헤어 로션(strengthening hair lotions), 헤어 린스, 영구적 및 반영구적 헤어 염색약, 헤어 스타일링제 예컨대 콜드 웨이빙(cold waving) 및 헤어 스트레이트닝제(hair straightening agents), 헤어 토닉, 헤어 크림 및 로션, 데오도란트 및 발한억제제(antiperspirants) 예컨대 겨드랑이 스프레이, 롤-온(roll-ons), 데오도란트 스틱, 데오도란트 크림, 미용 화장 제품 예컨대 아이쉐도우, 네일 바니시, 메이크업 제품, 립스틱, 마스카라, 뿐만 아니라 양초, 램프 오일, 인센스 스틱, 살충제, 방충제 및 연료 또는 구강 및/또는 치아 관리 제품 예컨대 치약, 치아 젤(tooth gels), 치아 파우더, 구강청결제, 껌(chewing gum) 및 다른 구강 케어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포함하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은 식용 반려동물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은 간식, 호흡 및 구강 케어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바람직하게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최종 생성물에 인지 가능한 냄새 또는 향미를 부여하기 위해 충분한 양으로 함유된다. 바람직하게,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70 중량% 범위의 총량, 바람직하게 0.01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의 총량, 더 바람직하게 0.1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의 총량으로 함유된다.
마지막 양태에서, 본 발명은
(i)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된 제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ii) 반려동물에게 수용되는 냄새를 얻기 위해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감각 유효량으로 향기 조성물 또는 방향된 제품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냄새를 풍기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또는 이하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그로 인해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 향기 화합물의 수용 또는 거부
1. 방법:
고양이 기호 테스트:
테스트는 향기 조성물이 고양이 배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개의 방에 사는 20마리의 고양이(방당 4마리의 고양이)가 연구에 참여되었다. 2개의 상이한 제품을 함유하는 2개의 모래 화장실(즉 무향 고양이 모래 대조군, 논-클럼핑 클레이(non-clumping clay) 대 실험군 고양이 모래, 0.01 - 0.5 %의 향기 조성물이 투여된 논-클럼핑 클레이)이 고양이에게 제공되었다.
식단은 음식 섭취량을 측정하고 각 테스트 동안 음식을 일관되게 유지함으로써 각 테스트 날짜에 대해 통제되었다. 모래 화장실은 각 날(24 시간)의 마지막에 교체되었고, 중량 퇴적물을 결정하기 위해 칭량되었고, 2 일차 테스트를 위해 새 모래로 보충되었다. 두 모래 화장실의 위치는 테스트 설계에서 위치 편향을 설명하기 위해 각 날의 마지막에 동일한 두 위치 사이 간에 균형 있게 교대되었다. 제품 전반에 걸친 중량 퇴적물의 평균은 향기의 수용 또는 거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개 기호 테스트
테스트는 향기 조성물이 개(canines)에게 수용 또는 거부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혼합된 품종 및 성별의 적어도 32 마리의 훈련된 개는 무취 지지대에 투여된 향기 오일과의 상호 작용에 대해 모니터링되었다. 테스트된 향기/어코드 조성물이 있는 무취 지지대는 모나딕 연구 설계(monadic research design)로 개에게 제공된다. 자극에 대한 개의 자발적인 반응은 비디오 녹화로 캡처되었고 다음의 행동이 기록되었다: 스니핑 대기 시간(sniffing latency time)(개가 샘플과 상호 작용하는 데 걸리는 시간), 동물이 샘플을 직접 냄새 맡는 시간의 길이(스니핑 시간), 개가 샘플을 핥는 경우(부정적인 행동 결과) 및/또는 개가 샘플을 완전히 거부하는 경우(냄새에 접근하지 않음). 상기 행동은 숙련된 동물 행동학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분석되었다. 2개의 향수/어코드 조성물 및 중성 대조군(일반적으로 물)은 각 테스트에서 균형 있게 교대되는 설계에서 테스트된다.
상기 향기는 인간 코에 따라 비슷한 강도로 고양이와 개에게 제공되었다.
도면의 해석
고양이에 대해
중량 퇴적물의 관점에서 고양이 모래의 매우 큰 차이는 도 1의 그래프와 같다. 비교를 위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는 도 2의 그래프와 같다.
개다래(silvervine)는 고양이 유인제로 알려져 있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테스트되었다. 이는 모래에서 0.1 % 및 1 %로 투여되었다. 중량 퇴적물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행동의 관점에서, 고양이는 개다래가 있는 모래를 더 많이 탐색했다. 이는 그들이 이를 인식할 수 있지만(새로운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들은 와서 이를 발견함) 그것이 그들의 행동 배설을 전반적으로 바꾸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개다래 냄새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무향 모래만큼 향이 입혀진 모래를 사용한다.
상이한 향기를 비교하기 위해, p-값의 로그가 그래프에서 보고되었다. 가로축 위의 막대는 향이 입혀진 모래의 선호에 있어서 유의미 내지 매우 유의미하며, 가로축 아래의 막대는 무향 모래의 선호에 있어서 유의미 내지 매우 유의미하다. 흰색/밝은 섹션의 샘플은 유의미한 결과가 아니고, 따라서 고양이에게 무향 모래로서 수용되는 것과 같다.
도 3은 재스민 어코드(무향 모래의 선호에 있어서 매우 유의미함) 및 머스크 어코드(유의미하지 않음)에 대해 고양이 모래의 중량 결과의 유의성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3의 그래프에서, 두 향수/어코드 조성물은 모두 0.01 %에서 테스트되었다.
개에 대해
거절은 개에 의한 향기 물질의 수용/거부를 결정하기 위한 핵심 지표로서 사용되었다. 중성 냄새는 각 테스트에서 개의 동기부여를 위한 보정제(calibrant)로서 사용되었다. 중성 샘플은 일반적으로 물이다.
거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15초의 평가 동안, 개는 샘플에 접근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또는
(2) 개는 샘플에 접근하고 1초 이내에 즉시 돌아선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표적인 예인 바닐린은 잘 수용되었고 낮은 거절을 보이며, 반면에 대표적인 예인 재스민은 높은 거절을 보인다.
2. 고양이 기호 결과의 개요(수용되는 어코드 대 수용되지 않는 어코드):
도 5는 수용 및 수용되지 않은 테스트된 향수/어코드 조성물에 대해 고양이 모래의 중량 결과의 유의성을 요약한 히스토그램이다.
향이 입혀진 고양이 모래에서 더 많은 중량 결과를 초래하는 이러한 그래프에서의 모든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어코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다:
- 구르망 냄새 또는 구르망 노트(바닐린, Tonkalactone® 어코드, 메톡시 에틸 피라진), 또는
- 머스크 냄새 또는 머스크 노트(알드론, Globalide®,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락토스카톤).
수용되지 않았고 무향 모래에서 더 많은 중량 결과를 초래한 이러한 그래프에서의 향기/어코드는 시더 잎 오일 또는 오렌지 꽃을 함유한다. 또한, 블론드 우드(blond wood) 및 블리치 어코드는 덜 수용되었고 무향 모래에서 더 많은 중량 결과를 초래하였다.
구르망 냄새 타입 또는 구르망 노트 타입에 속하는 단일 향기/어코드에 대한 조건별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다음의 표 4에 나타난다.
구르망 어코드/
테스트된 물질
향이 입혀진 모래에서 평균 중량(g) (2일 테스트) 무향 모래에서
평균 중량(g)
(2일 테스트)
P 값
메톡시 에틸 피라진 205.00 173.00 0.0774
레드 프룻 어코드 164.50 193.00 0.0973
바닐라 어코드 119.00 153.50 0.1213
바닐린 142.00 169.50 0.2583
베리 어코드 170.50 233.50 0.1718
코코넛 어코드 138.00 163.00 0.3404
Tonkalactone® 어코드 185.50 182.50 0.8911
N = 10 (5화장실 * 2일)
메톡시 에틸 피라진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레드 프룻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바닐라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바닐린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베리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코코넛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Tonkalactone®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머스크 냄새 타입 또는 머스크 노트 타입에 속하는 단일 향기/어코드 조성물에 대한 조건별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다음의 표 5에 나타난다.
머스크 어코드/
테스트된 물질
향이 입혀진 모래에서 평균 중량(g)
(2일 테스트)
무향 모래에서
평균 중량(g)
(2일 테스트)
P 값
알드론 125.50 101.00 0.3385
암브레톨라이드 182.00 209.00 0.1716
락토스카톤 97.00 110.50 0.4815
글로바논 136.00 144.00 0.4752
머스크 어코드0.01% 테스트 1 191.50 161.50 0.1892
머스크 어코드 0.02% 139.83 142.83 0.8747
머스크 어코드 0.01% 테스트 2 127.50 162.00 0.0935
머스크 어코드
소듐 벤토나이트 베이스에서 0.01%
171.50 207.50 0.4181
N = 10 (5화장실 * 2일)
알드론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암브레톨라이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락토스카톤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글로바논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머스크 어코드(0.01%)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머스크 어코드(0.02%)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이는 머스크의 강도가 효과가 없다는 것을 설명한다.
머스크 어코드(0.01%)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 이는 테스트가 반복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머스크 어코드(0.01%)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다(상이한 모래 베이스(분필 대신 소듐 벤토나이트)에서 머스크 어코드(0.1 %)에 대한 조건별 퇴적물 중량의 평균). 이는 다른 모래 베이스가 결과(재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설명한다.
향기가 없는(unfragranced) 고양이 모래에 대해 중량 퇴적물에서 선호를 나타내지 않는, 구르망 냄새 타입 물질에 관한 표 1의 결과 및 머스크 냄새 타입 물질에 관한 표 2의 결과는 이러한 향기/어코드 물질이 고양이에게 잘 수용되는 것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우디 냄새 타입 또는 우디 노트 타입에 속하는 단일 향기/어코드 조성물에 대한 조건별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다음의 표 6에 나타난다.
우디 어코드/
테스트된 물질
향이 입혀진 모래에서 평균 중량(g)
(2 일 테스트)
무향 모래에서
평균 중량(g)
(2 일 테스트)
P 값
시더 잎 오일 109.00 262.00 0.0001
블리치 어코드 132.00 185.00 0.0134
블론드 우드 195.00 277.83 0.0068
재스민 어코드 109.00 222.50 0.0001
N = 10 (5화장실 * 2일)
시더 잎 오일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다.
블리치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다.
블론드 우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다.
재스민 어코드 모래에서 퇴적물 중량의 평균은 무향 모래에서와 유의미하게 다르다.
표 3의 결과는 우디 냄새 타입 어코드가 고양이에게 덜 수용되고, 따라서 거부되는 반발성 물질인 것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개 기호 결과의 개요(수용되는 어코드):
도 6은 개와 함께한 테스트로부터의 향수/어코드 예를 보여준다.
나타낸 모든 향수/어코드 예는 중성 냄새(물)와 비교하여 낮은 거절율을 설명하고 따라서 개에게 잘 수용된다. 중성 냄새(물)의 값 위의 테스트된 향기 예의 막대는 개에게 매우 잘 수용/선호되는 것으로 간주된다(예를 들어 에틸 말톨, Globalide, 바닐린, 에틸 바닐린).
실시예 2 - 수용되는 향기/어코드 조성물
실시예 2.1 - 구르망 냄새 타입의 향기/어코드 조성물
조성물 원료 원료의 농도(%)
1 바닐린
바닐린 45.00
아우게오 클린 멀티(Augeo clean multi) 55.00
2 메톡시 에틸 피라진
메톡시 에틸 피라진 100.00
3 바닐라 어코드
에틸 말톨 3.00
헬리오트로핀 1.50
바닐린 10.00
아우게오 클린 멀티 85.50
4 Tonkalactone 어코드
퓨라민톤/Tonkalactone® (10 % DPG) 10.00
바닐린 (10 % DPG) 90.00
5 코코넛 어코드
디프로필렌 글리콜 32.50
바닐린 (10 % DPG) 1.50
데카락톤 델타 14.00
노나락톤 델타 26.00
옥타락톤 감마 26.00
6 베리 어코드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11.00
에틸 말톨 5.00
Frambinon® 10.00
디프로필렌 글리콜 54.00
에틸 메틸 부티레이트-2 20.00
7 레드 프룻 어코드
알데하이드 C16 22.50
에틸 말톨 (10 % DPG) 3.75
에틸 이소부티레이트 0.25
Frambinon® (10 % DPG) 3.75
디프로필렌 글리콜 67.75
에틸 메틸 부틸레이트-2 1.75
실시예 2.2 - 머스크 냄새 타입의 향기/어코드 조성물
조성물 원료 원료의 농도 (%)
1 알드론
알드론 1.00
디프로필렌 글리콜 99.00
2 락토스카톤
락토스카톤 100.00
3 암브레톨라이드
암브레톨라이드 100.00
4 머스크 어코드
Globalide 10.00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90.00
5 글로바논
글로바논 100.00
실시예 3 - 수용되지 않은 향기/어코드 조성물
조성물 원료 원료의 농도 (%)
1 시더 잎 오일
시더 잎 오일 100.00
2 블론드 우드
Amberwood® F 14.29
시더우드 오일 2.86
이소 이 수퍼 71.43
Sandranol® 11.43
3 재스민 어코드
벤질 아세테이트 14.29
디하이드로 자스몬 0.71
헤디온 53.57
헥실 시나믹 알데하이드 알파 28.57
인돌 1 % TEA 2.86

Claims (15)

  1.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로서,
    - 바람직하게 구르망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A) - 상기 화합물은
    · 바닐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 에틸 바닐린 (3-에톡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 에틸 말톨 (2-에틸-3-하이드록시-4H-피란-4-온),
    · 쿠마린 (2H-1-벤조피란-2-온),
    ·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 Frambinon® (4-(p-메톡시페닐)-2-부타논),
    · 벤즈알데하이드,
    · 에틸-2-메틸 부티레이트,
    · 2-메톡시-3-에틸 피라진,
    · 델타-데카락톤, 델타-노나락톤, 감마-옥타락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
    및/또는
    - 바람직하게 머스크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B) - 상기 화합물은
    · 알드론 (4-[(6,6-디메틸-5-바이사이클로[2.2.1]헵타닐)메틸]-2-메틸사이클로헥산-1-온),
    · 락토스카톤 ((2R,4aR,8aS)-2,8,8-트리메틸옥타하이드로-2H-4a,2-(에폭시메타노)나프탈렌-10-온),
    · 암브레톨라이드 (17-옥사사이클로헵타데크-6-엔-1-온),
    ·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1,4-디옥사사이클로헵타데칸-5,17-디온),
    ·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 글로바논 ((8E)-사이클로헥사데크-8-엔-1-온),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 바닐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또는
    ·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 암브레톨라이드 (17-옥사사이클로헵타데크-6-엔-1-온), 또는
    ·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또는
    · 글로바논 ((8E)-사이클로헥사데크-8-엔-1-온),
    또는 전술된 화합물 중 2개 또는 3개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 바닐린 (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또는
    · Tonkalactone® (3,6-디메틸-3H-l-벤조퓨란-2-온), 또는
    · Globalide® ((3E)-옥사사이클로헥사데크-3-엔-2-온), 또는
    ·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1,4-디옥사사이클로헵타데칸-5,17-디온)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또는 주 감각 성분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 40 내지 50 중량% 범위의 총량으로 존재하는,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메틸 옥틴 카보네이트 (메틸-논-2-이노에이트),
    · 페닐 에틸 알코올 (2-페닐에탄-1-올),
    · 시트로넬롤 (3,7-디메틸옥트-6-엔-1-올),
    · 라벤더 오일,
    · 페퍼민트 오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람직하게 플로랄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향기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오렌지 오일,
    · 리씨아 큐베바 오일,
    · 만다린 알데하이드 (트랜스-2-도데세날),
    · 아그루니트릴 (3,7-디메틸옥트-6-에네니트릴),
    · 시트랄 (3,7-디메틸-2,6-옥타디에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람직하게 시트러스 냄새 타입 임프레션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향기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은 포유류, 바람직하게 고양이 또는 개인,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조성물은 고양이 및/또는 개에 의해 만족 및/또는 수용되기에 적합한,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
  9.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방향 또는 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향기 조성물 또는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상기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의 용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향기 조성물, 특히 상기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된 제품, 특히 방향된 반려동물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개인 또는 홈 케어 제품, 표면 케어 제품, 청소 제품, 공기 케어 제품, 섬유 제품, 자동차 케어 제품, 반려동물 제품, 예컨대 고양이 모래, 고양이 모래 화장실, 고양이 장난감, 고양이 나무, 개 장난감, 개 패드, 개 침구, 및 반려동물 케어 미용 제품 또는 구강 케어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향된 제품, 특히 방향된 반려동물 제품.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아로마/향미 조성물, 특히 상기 반려동물 아로마/향미 조성물을 포함하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식용 반려동물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간식, 호흡 및 구강 케어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착향된 제품, 바람직하게 식용 반려동물 제품.
  14. 제10항에 따른 방향된 제품 또는 제11항에 따른 착향된 제품으로서,
    상기 향기 조성물 또는 상기 향미 조성물, 특히 상기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상기 아로마/향미 조성물은 상기 방향 또는 착향된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70 중량% 범위의 총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50 중량% 범위의 총량으로 함유되는, 방향된 제품 또는 착향된 제품.
  15.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냄새를 풍기는 방법으로서:
    i)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기 조성물, 특히 반려동물 향기 조성물, 또는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방향된 제품, 특히 방향된 반려동물 제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ii) 반려동물에게 수용되는 냄새를 얻기 위해 상기 향기 조성물 또는 상기 방향된 제품을 유효량으로 상기 반려동물, 상기 제품 또는 상기 방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제품 또는 방에 냄새를 풍기는 방법.
KR1020247001685A 2021-08-06 2021-12-21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 또는 아로마 KR20240021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30565P 2021-08-06 2021-08-06
US63/230,565 2021-08-06
PCT/EP2021/087007 WO2023011745A1 (en) 2021-08-06 2021-12-21 Fragrance or aroma compositions accepted or preferred by p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960A true KR20240021960A (ko) 2024-02-19

Family

ID=7973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685A KR20240021960A (ko) 2021-08-06 2021-12-21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 또는 아로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21960A (ko)
CN (1) CN117794383A (ko)
WO (1) WO20230117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9676A1 (en) 2015-04-24 2016-10-27 Nestec Sa Use of l-felinine to attract cats t eliminate in a litter box
US10774289B2 (en) * 2016-06-08 2020-09-15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Fragrance material
EP3745848A1 (en) 2018-01-29 2020-12-09 Spécialités Pet Food Litter for promoting pet's in-litter elimination
WO2019173776A1 (en) * 2018-03-08 2019-09-12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Usa) Fragrance and flavor materials derived from 1-(4-methylcyclohex-1-en-1-yl)ethan-1-one
JP7319967B2 (ja) * 2018-04-02 2023-08-02 花王株式会社 ムスク様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94383A (zh) 2024-03-29
WO2023011745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510012B1 (pt) A perfume composition, a consumption product, a method for reducing or avoiding bad weather, and, use of a composition or product
JP7103956B2 (ja) フレグランス組成物及びその使用の方法
ES2687171T3 (es) Compuestos organolépticos
US9738854B2 (en) 3-(cyclohex-1-en-1-yl)propionates and their use in perfume compositions
KR20240021960A (ko) 반려동물에 의해 수용되거나 선호되는 향기 또는 아로마
KR101781657B1 (ko) 식물 유래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
EP4380373A1 (en) Fragrance or aroma compositions accepted or preferred by pets
CN108203382B (zh) 新型感官化合物
CN106397376A (zh) 新型感官化合物
CN108203622A (zh) 新型感官化合物
US10125338B2 (en) Flavor and fragrance compositions containing thiopyran-carbaldehyde
CN109485555A (zh) 新型感官化合物
ES2713460T3 (es) Nuevos compuestos organolépticos
US20130149269A1 (en) Novel malodor counteractant
CN108203395A (zh) 新型感官化合物
CN109251135A (zh) 新型感官化合物
US20200331834A1 (en) Novel organoleptic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