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555A -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555A
KR20240021555A KR1020220100015A KR20220100015A KR20240021555A KR 20240021555 A KR20240021555 A KR 20240021555A KR 1020220100015 A KR1020220100015 A KR 1020220100015A KR 20220100015 A KR20220100015 A KR 20220100015A KR 20240021555 A KR20240021555 A KR 2024002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apability
color
color gam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555A/ko
Priority to PCT/KR2023/011881 priority patent/WO2024035181A1/ko
Publication of KR2024002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F(application function)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색(color)에 관한 AR 능력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색에 관한 AR 능력 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CCORDING TO DEVICE TYPE OF AR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개시는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R(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인지하는 주변 현실 세계에 부가적으로 표현되는 정보 전달 방법을 의미한다. 부가 정보의 표현을 위해 통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한데, 현실의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디스플레이를 통과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형태를 optical see through (OST), 현실의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카메라에서 취득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형태를 video see through (VST)라고 분류한다.
상기 분류에 따라 VST타입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불투명하고 외부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카메라가 탑재되므로 OST 타입 단말에 비해 무겁고 두꺼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외부 영상을 취득하고 AR 정보를 추가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10ms 이내로 단축되었다. 통상 15ms 이내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입력으로 하는 결과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면 사용자가 어색해 하거나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한편, OST 타입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글래스에 설치된 수많은 도광로를 따라 빛이 전달되고, 특정 위치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투사되는 방식, 또는 글래스의 한쪽에 프로젝터가 내장되어 글래스 표면의 의도된 위치에 뿌리는 프로젝션 방식 등이 연구되고 있다.
OST와 VST 타입 단말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 원리에서 큰 차이를 가지는데, 이는 빛을 다루는 기술의 한계에 따른 것이다. 즉, OST 타입 단말에서는 외부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이 AR 정보가 표현되기 위한 빛과 같은 위치를 지날 때, 두 빛 중 외부 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외부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이 AR 정보가 표현되기 위한 빛과 다른 위치를 지날 때, 사람의 빛에 대한 상대적 인지 감각 때문에 AR 정보가 표현되기 위한 빛의 밝기와 색상이 다르게 인지된다.
첫번째 문제는 외부의 빛을 단말의 빛으로 상쇄하기에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고(예: 검정색 빛을 쏴서 검정색 글자를 표시할 수 없다), 두번째 문제는 사람이 인지하는 밝기의 범위가 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예: 역광에서는 광원을 등진 물체의 색상을 인지할 수 없다.)
상기 이유에 따라 AR 단말 중 OST 단말에서 표현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자가 의도하는 대로 표현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나, VST 단말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자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보여지는 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는 컨텐츠를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컨텐츠 제공자가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 경험을 제공하고자 할 때,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말의 장치 타입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고,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 및 부가 지표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의 후처리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F(application function)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색(color)에 관한 AR 능력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색에 관한 AR 능력 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정보, 조도 정보, 참조 색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AP(application provider)로부터 AP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이 적용되는 상기 MPE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프로비져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AF(application function)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AS(application server)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F(application function) 엔티티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색(color)에 관한 AR 능력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색에 관한 AR 능력 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AF(application function)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AS(application server)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컨텐츠 제공자가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 경험을 제공하고자 할 때,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말의 장치 타입을 효율적으로 식별하고,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5GMS (5G Media Streaming)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Media Capability UE Architecture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Media Capability UE Architecture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R 단말에 대한 정책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AR 단말에 대한 컨텐트 리스트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성능에 기반한 정책 수신, 후처리, 변경된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의 후처리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F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단말' 또는 '기기'는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은 전자 장치 또는 단순히 장치라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UWB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특성을 갖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서비스(또는 컨텐츠)를 제공 받는 AR 단말의 장치 타입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AR 단말의 장치 타입은 OST(optical see through) 타입 또는 VST(video see through) 타입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Application Provider, AP)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는 AR 단말의 장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 받는 AR 단말의 장치 타입 식별에 기반하여, AP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결정 및/또는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단말에 물리적, 논리적, 또는 동적으로 연결된 단말 컴포넌트에 대해 해당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기술 사양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AR 단말 내 디스플레이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대체로 탈착되어 교환되지 않으나, 시력의 저하에 따라 주시하려는 대상의 거리에 따른 차이, 야외/실내에서의 교환, 다중 사용자 지원, 기타 심미적인 이유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동적인 연결도 고려될 수 있다.
AR 단말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정보 값, 교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부품이 가지고 있는 속성 값, 별도 센서를 통한 디스플레이 성능 계측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단말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성능이 중요하며,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사용자 눈 위치에 따른 교정을 위한 좌표적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및 사용자에 의해 인지된 색상이나 밝기가 현실의 gray card와 같은 reference 색상에 대비해 어떻게 인지되고 있는지 사용자 인지 정도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은 단말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정보, 사용자와의 문답을 통해 획득한 캘리브레이션 정보, 센서를 이용한 측정 결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유효 색역 (Valid color space)값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효 색역은 AR 글래스 장치 중 OST 타입 단말에 중요한 정보로서, 유효 색역은 사용자가 착용한 AR 단말 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원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한 주변 환경의 조도, 사용자 주변의 물체의 색깔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에서 단말이 획득하고 제공할 수 있는 단말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가능 여부/범위, 조도 정보, 참조 색역, Color process 포함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AR 단말 타입: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MR(Mixed Reality) 등 지원하는 컨텐츠 형식이 복수 개로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에서 보고한 단말 타입 정보 중AR이 포함되면 AR 컨텐츠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에서 보고한 단말 타입 정보 중VR이 포함되면 VR 컨텐츠를, 단말 타입 정보에 MR이 포함되면 MR 컨텐츠에 대한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 AR 디스플레이 타입: OST, VST 등 단말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대해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에서 보고한 AR 디스플레이 타입에 OST가 포함되면 OST 단말을 고려한 컨텐츠 및 제반 후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에서 보고한 AR 디스플레이 타입에 VST이 포함되면 VST 단말을 고려한 컨텐츠에 대한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 유효 색역: 단말이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표시한 참조 색역의 색 공간 중 단말이 표현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색역을 의미한다. 표준 색 공간(Color space) 공간에서 Primary color (예: R,G,B,W)가 표현되었을 때 색 좌표 (예:Lab )의 위치에 따라 의도한 색상이 정확한 표현으로 이어지는지 표시한다. 유효 색역은 Primary color들의 참조 색역 내 좌표들의 목록으로 나타낸다. Primary color가 참조 색역 내의 어떤 좌표로 매핑되는지, 또는 참조 색 공간 영역의 크기 대비 표현 가능한 색 공간 영역의 크기 비율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컨텐츠를 준비하고 제공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의 유효 색역 범위를 수신하면, 제공하려는 컨텐츠에 유효 색역 밖의 색이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할 수 있다. 컨텐츠의 매 프레임 별로 해당 정보가 조사될 수도 있고, 컨텐츠 전체에 대해 해당 정보가 미리 조사되어 기재될 수 있다. 기재된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컨텐츠를 해당 단말에 제공할 때 전체 또는 일부 색역 만이 표현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를 해당 단말에 제공할 때 일부 색역 만이 표현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컨텐츠에 대한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여부는 단말의 컨텐츠 요청 시점 또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서비스를 위임하는 단계에서 컨텐츠 별로 기재될 수 있다.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에 대한 제한된 색역에서의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컨텐츠 제공을 거부할 수 있다.
- 불투명도: 단말이 외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 단말이 표현할 수 있는 색역 뿐만 아니라 표현하는 색역이 외부의 빛과 섞일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의 색상이 색역 내에서의 색좌표 뿐만 아니라 불투명도 (transparency)를 지시하고 있을 때 단말의 지원 가능한 불투명도 범위에 컨텐츠에서 지시한 불투명도 가 합해지거나 곱해져 알파블렌딩(alpha-blending) 된다.
- 불능 색역: 참조 색역 내에서 단말이 표현할 수 없는 색의 좌표 목록이다. 단말은 유효 색역에 부가로, 또는 유효 색역 대신 불능 색역을 보고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의 기술적인 구현 방식에 따라, 전체 색역(예: DCI-P3)과 밝기 중 일부 색 (예: 검정색)이 표현되지 못할 수 있다. 단말은 불능 색역의 색 좌표와 색 오차범위(Delta E)를 명시할 수 있다. 단말의 색 재현 성능은 전체 색역 중 불능 색역을 제외한 범위에 대한 재현율로서 측정 및 고시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에서 보고한 불능 색역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하려던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지, 그대로 제공할지, 변경해서 제공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의 불능 색역이 포함된 컨텐츠를 그대로 제공함에 있어 불능 색역에 대한 우회 표현 방법은 단말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말의 불능 색역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면, 불능 색역에 대해 컨텐츠 제공자가 선호하는 매핑 테이블이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불능 색역에 대한 매핑 테이블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Edge 서버에서 실시되거나, 단말에서 실시될 수 있다. 서비스 준비 과정에서 AF는 단말의 불능 색역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에 불능 색역이 있음을 기준으로 컨텐츠의 부가 정보, 매니페스트 정보등을 확인하거나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하여 매핑 테이블을 수신한다. 매핑 테이블에 의거하여 불능 색역의 색상을 가능 색역의 색상으로 변환하면 상기 그대로 제공되는 컨텐츠와는 다른 컨텐츠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불능 색역을 포함하는 단말에 새로운 MPE(Media Player Entry)가 제공된다. 단말은 새로운 MPE로부터 컨텐츠 재생을 개시한다.
- 조도 측정 가능 여부/범위: 단말에서 주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낸다. 0이면 주변이 암흑이거나 조도를 측정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외의 양수 값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최대 범위 값을 나타낸다.
- 조도 정보: 주변 환경의 밝기 정보. 단말에서 주변 조도를 측정한 후 측정 값을 나타낸다.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에서 보고한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결정하거나 밝기 보정 등을 위한 후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어두운 환경을 위한 AR컨텐츠와 매우 밝은 환경을 위한 AR컨텐츠는 제작 과정부터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한 보정 내역을 포함하는 새로운 MPE(Media Player Entry)가 제공된다. 단말은 새로운 MPE로부터 컨텐츠 재생을 개시한다.
- 참조 색역 (reference color space): 단말 디스플레이에서 색 표현을 위해 사용하는 색공간의 종류를 나타낸다.
- Color process 포함 여부: 단말이 미지원 색역에 대해 단말 내 색처리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경우 이를 AF에 보고하는 성능 정보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Color process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이에 따라 서버로부터 색처리 정책을 수신하면, 단말은 수신한 컨텐츠에 대해 색처리 정책에 따라 color remapping 과정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요청하는 단말 정보 중 상기 정보들에 대한 값을 준비하고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의 기능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단말 기능 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5GMS (5G Media Streaming)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3GPP 5GMS 서비스(3GPP TS 26.501)를 기반으로 설명되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적용은 해당 규격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5GMS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단말의 아키텍처는 3GPP TS 26.50의 Fig. 4.2.2-1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UE)(100)은 5GMSd(5G Media Streaming downlink) Client(101) 및 5GMSd-Aware Application(103)을 포함할 수 있다. 5GMSd Client(101)는 Media Player(또는 MP) 및 Media Session Handler(또는 MSH)를 포함할 수 있다. Media Player는 Media Presentation and Rendering, Media Decoders, Media Decryption, Consumption Measurement & Logging Client, Metrics Measurement & Logging Client(MMLC), DRM Client, Media Decapsulation, Media Access Clien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N(data network)(110)은 5GMSd AF(5GMSd Application Function, 111), 5GMSd AS(5GMSd Application Server, 113), 및 5GMSd AP(5GMSd Application Provider, 115)를 포함할 수 있다. 5GMSd AF(111)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120) 및 PCF(Policy Control Function, 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GMS와 같은 아키텍처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AR단말(5GMSd Client)의 기능 정보를 기반으로 AR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5GMSd AP(115)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컨트롤 서버인 5GMSd AF(111)와 데이터 서버인5GMSd AS(113) 각각으로 AR 서비스와 컨텐츠 데이터를 위임할 수 있다.
202 단계에서, 5GMSd AF(111)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5GMSd Client(101)로 AR 단말 정보가 포함된 기능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203 단계에서, 5GMSd Client(101)는 5GMSd AF(111)가 요구하는 AR 단말 정보가 포함된 AR 단말에 관한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204 단계에서, 5GMSd Client(101)는 5GMSd AF(111)로 기능 정보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Media Capability UE Architecture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단말 아키텍처는 기본적인 5GMS 컴포넌트 외에도 AR 처리를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3GPP MeCAR (TS 26.119)를 기반으로 하는 MeCAR의 단말 아키텍처(3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아키텍쳐(300)는 AR Runtime(310), 렌더링을 포함하는 AR Scene Manager(320), AR/MR Application(330), media access functions(340), 및 5G System(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Media Capability UE Architecture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일 실시예인 MeCAR 아키텍처(400)는 Display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Eye Buffer Display 컴포넌트 이외에 AR Runtime(310)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Display컴포넌트(4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eCAR 아키텍처(400)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후처리를 위한 Color Process(4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아키텍쳐(400)는 Display컴포넌트(401), AR Runtime(410), 렌더링을 포함하는 AR Scene Manager(420), AR/MR Application(430), Color Process(441)를 포함하는 media access functions(440), 및 5G System(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요청 받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의 컴포넌트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을 받은 시점으로부터 유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컴포넌트들에는 5GMS와 직접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가진 컴포넌트와 그 외 컴포넌트가 있다.
Media Player(예를 들어, 도 1의 Media Player) 컴포넌트 내 MMLC(예를 들어, 도 1의 Metrics Measurement & Logging Client)는 3GPP TS 26.501에 정의된 컴포넌트로서 Media Player 내부 컴포넌트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고 5GMS M7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외부 컴포넌트 (프로세싱 모듈, HW 센서,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별도의 단말 성능 측정(UE Performance Measurement, UPM) 컴포넌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단말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인지 색역 정보를 파악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UPM에 해당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U7 인터페이스가 개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5GMSd AF(111)는 5GMSd Client(101) 내 MSH(Media Session Handler, 540)로 단말의 기능 정보(capability inforamtion)를 요청할 수 있다.
502 단계에서, 5GMSd Client(101) 내 MSH(540)는 요청된 기능 정보에 관련된 값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5GMSd Client(101) 내 MP(Media Player, 530), MMLC(Metrics Measurement & Logging Client, 520)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503 단계에서, 5GMSd Client(101) 내 MMLC(520)는 Media Player 정보를 MP(530)로 리포트하고, MP(530)는 Media Player 정보를 MSH(540)로 리포트할 수 있다. 504 단계에서, 5GMSd-Aware Application(103)은 update calibration을 5GMSd Client(101) 내 UPM(UE Performance Measurement, 5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MSH(540)는 요청된 기능 정보에 관련된 값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UPM(5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506 단계에서 UPM(510)은 단말 및 컴포넌트 정보를 확인하고, 507 단계에서 UPM(510)은 단말 및 컴포넌트 정보를 MSH(540)로 리포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AF가 단말과의 성능 정보 확인 과정에서 OST 타입인 것 또는 불능 색역을 가진 것을 알게 되면, 컨텐츠에 해당 정보에 대한 정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정책 정보를 서비스 위임 과정에서 Provision 정보, 또는 미디어와 함께 전달하거나, AF가 단말 정보와 함께 서비스 제공자에 문의하면 전달해줄 수 있다.
AF는 수신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프로세스에 대한 지시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서비스를 5GMSd AF(111)로 제공할 수 있다. 602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컨텐츠를 5GMSd AS(113)로 제공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5GMSd Client(101) 및 5GMSd AF(111)는 단말의 AR 능력(UE AR capability)을 확인할 수 있다. 604 단계에서, 5GMSd AF(111) 및 5GMSd AS(113)는 컨텐트 매니페스트(content manifest)로부터 AP policy를 확인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5GMSd AF(111)는 5GMSd AP(115)로부터 policy를 확인할 수 있다. 606 단계에서, 5GMSd AF(111)는 지시된 프로세스(instructed process)를 준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하려는 컨텐츠에 대해 AR단말,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OST나 VST 타입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단말, 또는 표현할 수 있는 색역에 제약이 있는 단말, 또는 표현할 수 없는 색역에 대한 정보를 가진 단말에 대해, 컨텐츠를 제공할 지 판단하고 해당 제공 여부에 대한 표시를 컨텐츠의 미디어 파일 내, 또는 컨텐츠의 구성을 서술하는 매니페스트 파일에 기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제공하려는 컨텐츠에 대한 최적의 색역 정보를 구비하고 서비스 제공 시점에 해당 색역을 만족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컨텐츠의 제공 여부 정보를 컨텐츠에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정책으로 저장했다가 서비스를 위임 받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 요청했을 때 지원 또는 에러 코드로서 알려줄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R 단말에 대한 정책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단말에 대한 content policy를 준비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단말에 대한 content policy를 포함하는 AR 서비스를 5GMSd AF(111)로 제공할 수 있다. 704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단말에 대한 content policy를 포함하는 AR 컨텐츠를 5GMSd AS(113)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ervice discovery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704 단계에서, 5GMSd Client(101) 및 5GMSd AF(111)는 단말의 AR 능력(UE AR capability)을 확인할 수 있다. 705 단계에서, 5GMSd AF(111) 및 5GMSd AS(113)는 컨텐트 매니페스트(content manifest)로부터 AP policy를 확인할 수 있다. 706 단계에서, 5GMSd AF(111)는 5GMSd AP(115)로부터 policy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AR단말에서 컨텐츠를 discovery하는 단계에서, 색역에 대한 정책 정보가 게재되고 단말이 이를 파악할 수 있다. AR단말은 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 정책 정보가 단말 자신의 성능 정보에 합당한지, 또는 합당하지 않은지를 근거로 컨텐츠 discovery를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AR 단말에 대한 컨텐트 리스트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서비스를 5GMSd AF(111)로 제공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5GMSd AP(115)는 AR 컨텐츠를 5GMSd AS(113)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ervice discovery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804 단계에서, 5GMSd Client(101)는 content policy 및 단말 능력(device capability)를 비교할 수 있다. 805 단계에서, 5GMSd Client(101)는 허용되는 컨텐트 리스트만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성능에 기반한 정책 수신, 후처리, 변경된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AF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에MPE(Media Player Entry)를 제공할 수 있다. MPE는 컨텐츠 수신을 위한 매니페스트 문서이거나, 매니페스트 문서를 수신하기 위한 URL일수 있다. 매니페스트 문서는 단말의 다양한 환경 (네트워크 속도, 단말의 해상도 등)에서 적합한 컨텐츠를 미리 만들어두고 적절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매니페스트 문서에 기반하여 AR 단말, VR 단말, MR 단말, OST 타입 디스플레이, VST 타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매니페스트 문서 내에 단말 타입, 디스플레이 타입에 따른 컨텐츠 수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매니페스트 문서를 단말 타입, 디스플레이 타입 별로 여러 종류 구비하고 이를 수신하기 위한 MPE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OST 타입 디스플레이를 가진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예: 네비게이션) 기본 정보의 표현이 VST 타입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구성되어있다면 OST 타입 디스플레이의 색역에 기반한 색변환/매칭 프로세스를 거친 별도의 MPE 를 제공할 수 있다.
AF는 서비스를 수신하려는 단말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MPE(Media Player Entry)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엔티티들(101, 103, 111, 113, 115)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service discovery 및/또는 service provis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901 단계에서, 5GMSd Client(101) 및 5GMSd AF(111)는 단말의 AR 능력(UE AR capability)을 확인할 수 있다. 902 단계에서, 5GMSd AF(111), 5GMSd AS(113), 및 5GMSd AP(115)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P policy를 확인할 수 있다.
903 단계에서, 5GMSd AF(111)는 color에 관한 단말 능력(UE capability on color)를 5GMSd AS(113)로 제공할 수 있다. 904 단계에서, 5GMSd AS(113)는 color에 관한 단말 능력(UE capability on color)에 기반하여 color re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905 단계에서, 5GMSd AS(113)는 처리된 color에 대한 대체 MPE(alternative MPE)를 5GMSd AF(111) 및 5GMSd Client(101)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 차이 및 부가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OST타입일 때 AF는 단말로부터 표현할 수 있는 범위(주변 조도, 불투명도, 조도에 따른 색역, 표시 불가 색역)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표현 가능 범위를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Edge 서버(예를 들어, AS)에 전달할 수 있다. Edge 서버(예를 들어, AS)는 단말의 주변 조도에 맞춰 컨텐츠의 전체 밝기를 조정하거나, 주어진 불투명도 내에서 컨텐츠 색상을 조정하거나, 조도에 따라서 인지 가능한 색역 위주로 표현 범위와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Edge 서버(예를 들어, AS)는 표시가 불가능한 색역은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AP)가 제공하는 색역 교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지가 가능한 색역으로 교체하는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MPE를 AF를 거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식별된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의 후처리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단말이 미지원 색역에 대해 단말 내 색처리 프로세서(도 4내 color process(441))를 구비하는 경우 이를 AF에 보고하는 성능 정보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AF는 단말이 색역을 교체할 때 임의로 실시하지 않도록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해 허가하는 색역 변환 테이블(color remapping look up table)을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과 색역 변환 테이블을 단말에 전달하고 단말에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하나 이상의 색역 변환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고, 단말은 단말 사양과 가장 유사한 하나를 골라 변환을 실시한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엔티티들(101, 103, 111, 113, 115)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service discovery 및/또는 service provisioning을 수행할 수 있다.
1001 단계에서, 5GMSd Client(101) 및 5GMSd AF(111)는 단말의 AR 능력(UE AR capability)을 확인할 수 있다. 1002 단계에서, 5GMSd AF(111), 5GMSd AS(113), 및 5GMSd AP(115)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P policy를 확인할 수 있다.
1003 단계에서, 5GMSd AF(111)는 color에 관한 AP policy를 5GMSd Client(101)로 제공할 수 있다. 1004 단계에서, 5GMSd AS(113)는 MPE로부터 컨텐츠를 5GMSd Client(101)로 제공할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5GMSd Client(101)는 color에 관한 AP policy에 기반하여 color re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1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수의 네트워크 엔티티들(111, 113, 115)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AF(application function), AS(application server), AP(application provider)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엔티티는 송수신부(1110), 메모리(1120), 및 제어부(113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통신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수신부(1110), 제어부(1130) 및 메모리(11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110), 제어부(1130) 및 메모리(11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1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수신부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서, 다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30)로 출력하고, 제어부(11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0)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0)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제어부(113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1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의 단말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또는 UE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1210), 메모리(1220), 및 제어부(123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부(1210), 제어부(1230) 및 메모리(12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210), 제어부(1230) 및 메모리(12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단말의 수신부와 단말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서, 다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210)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2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1210)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30)로 출력하고, 제어부(1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22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2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20)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제어부(123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2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F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1310 단계에서, AF(application function)는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1320 단계에서, 상기 AF는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색(color)에 관한 AR 능력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색에 관한 AR 능력 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로 전송할 수 있다.
1330 단계에서, 상기 AF는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정보, 조도 정보, 참조 색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AP(application provider)로부터 AP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이 적용되는 상기 MPE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AF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프로비져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F(application functio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색(color)에 관한 AR 능력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색에 관한 AR 능력 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정보, 조도 정보, 참조 색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AP(application provider)로부터 AP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이 적용되는 상기 MPE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프로비져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AF(application function)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AS(application server)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정보, 조도 정보, 참조 색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프로비져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F(application function) 엔티티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색(color)에 관한 AR 능력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색에 관한 AR 능력 정보를 AS(application server)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티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정보, 조도 정보, 참조 색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티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AP(application provider)로부터 AP 정책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티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S 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이 적용되는 상기 MPE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티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프로비져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티티.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AR 능력(augmented reality capability)에 관한 정보를 AF(application function)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AS(application server)에 의해 처리된 색 리매핑(color remapping)이 적용되는 MPE(media player entry)를 상기 AS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R 능력에 관한 정보는,
    AR 단말 타입, AR 디스플레이 타입, 유효 색역, 불투명도, 불능 색역, 조도 측정 정보, 조도 정보, 참조 색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프로비져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20100015A 2022-08-10 2022-08-10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21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15A KR20240021555A (ko) 2022-08-10 2022-08-10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23/011881 WO2024035181A1 (ko) 2022-08-10 2023-08-10 증강 현실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15A KR20240021555A (ko) 2022-08-10 2022-08-10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555A true KR20240021555A (ko) 2024-02-19

Family

ID=8985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015A KR20240021555A (ko) 2022-08-10 2022-08-10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1555A (ko)
WO (1) WO20240351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9725B (zh) * 2016-03-29 2020-10-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及系统
KR20200073784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US11290514B2 (en) * 2020-05-18 2022-03-29 Tencent America LLC Method for content preparation templates for 5G common media application format based media streaming
KR102350195B1 (ko) * 2020-05-28 2022-01-12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엣지 컴퓨팅을 활용하는 모바일 증강현실 서비스의 모바일 단말 에너지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7372A (ko) * 2020-08-27 2023-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미디어 오브젝트들에 대한 앵커 기반 렌더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5181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ccess virtualization
CN102835169B (zh) 用于由无线设备执行部分系统选择的方法和装置
CN108370522B (zh) 传送增强型定向多千兆比特(edmg)支持指示的装置、系统和方法
US1194382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a multiple 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 element
WO202101301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spatial relation,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KR20200053484A (ko) 스펙트럼 공유 제어기 및 스펙트럼 공유 기술
JP6981874B2 (ja) 複数周波数の指向性アクセス・ポイント通信
CN105188102A (zh) 一种无线信道自动选择方法及系统
US1199092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xposure control with wireless links
JP2023509673A (ja) フル電力アップリンク伝送の強化
CN107040498B (zh) 同屏方法及终端
KR20240021555A (ko) Ar 단말의 장치 타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431883A (zh) 多无线电接入技术应用管理
CN117322001A (zh) 用于提供媒体服务的方法和装置
US2021020409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ver an indoor-only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N114585088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210053345A (ko) 하나 이상의 물리적으로 원격에 있는 엔티티에서 메모리 자원에 액세스하는 장치 및 방법
US1180041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WiFi with out-of-band signaling
US20230224227A1 (en) Supporting slices on a cell level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953853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hannel switching
US2023002517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millimeterwave (mmwave) physical layer (phy) protocol data unit (ppdu) over an mmwav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US20230097206A1 (en) Channel encoding method and control device
US2023029231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upplemental uplink
US2023002809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a millimeterwave (mmwave) channel assisted by communication over a sub 10 gigahertz (ghz) (sub-10ghz) channel
KR2023015574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미디어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