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352A -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352A
KR20240021352A KR1020220099396A KR20220099396A KR20240021352A KR 20240021352 A KR20240021352 A KR 20240021352A KR 1020220099396 A KR1020220099396 A KR 1020220099396A KR 20220099396 A KR20220099396 A KR 20220099396A KR 20240021352 A KR20240021352 A KR 2024002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bundle
fixing
fastening
cable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경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09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1352A/en
Publication of KR2024002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3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립 앵커부와, 스트립 앵커부에 구비되어 체결홀부를 구비하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와, 스트립 앵커부 또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선 및 와이어링과 같은 번들의 외면을 감싸서 고정하도록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와, 번들고정 스트립부에 구비되며, 번들고정 스트립부가 체결홀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트립 삽입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경이 큰 전선과 와이어링 등의 번들을 차체에 고정하였을 때 고정된 번들이 움직이거나 이측으로 치우지는 편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vehicles. The disclosed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strip anchor part fixed to the vehicle body, a strip fastening fixing part provided in the strip anchor part and having a fastening hole part, and extending from the strip anchor part or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to form a wire and A bundle fixing strip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o surround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bundle, such as a wiring, and a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i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and limits the length at which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It is characterized b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eccentricity in which the fixed bundle moves or is shifted to one side when a bundle of wires and wiring with a large outer diameter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Cable tie 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vehicle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경이 큰 전선과 와이어링 등의 번들을 차체에 고정하였을 때 고정된 번들이 움직이거나 일측으로 치우치는 편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번들고정 스트립부의 컷팅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vehicles. When a bundle of wires and wiring with a large outer diameter is fixed to a car body, the fixed bundl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r eccentrically biased to one side, and the bundle can be fixed. This relates to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vehicles that allows the cutting work of the strip section to be omitted.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cently, as carbon energy is gradually depleted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 public attention is focused on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urope, Japan, and Korea.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을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Since these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use higher voltage/higher currents than regular vehicles, an electrical device is needed to stably supply and distribut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parts inside the vehicle. In addition, many parts are being manufactured in module form for electronic control of vehicles, and the use of wires or communication lines with connectors to transmit current or electrical signals has rapidly increased.

한편,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또는 와이어용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게 된다.Meanwhile, there are many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various sensors, in the engine room of a car. Most of the sensors in this engine room are attached to the engine or transmission, so various band cables or wire fixing clips are used to secure the wires until they reach each location.

와이어용 고정클립은, 걸림후크의 상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벌려지는 지지판에 와이어를 대고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지지판에 고정한 후, 걸림후크를 차체패널의 고정홀에 삽입하여 와이어가 고정된 고정클립을 차체패널에 고정하게 된다.The fixing clip for the wire is made by attaching the wire to the support plate that opens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hook, fixing the wire to the support plate using adhesive tape, and then inserting the hook into the fixing hole of the car body panel to secure the wire. The clip is fixed to the car body panel.

최근에는 차체 고정클립과 밴드 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링 밴드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링 밴드 케이블은 차체 패널이 고정되는 케이블 앵커와, 이 케이블 앵커에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링 스트립으로 구성된다.Recently, wiring band cables in which a car body fixing clip and a band cable are formed as one piece are being used. These wiring band cables consist of a cable anchor to which the car body panel is fixed, and a wiring strip formed integrally with this cable anchor.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와이어링 밴드 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 등을 차체에 고정하였을 때 와이어링을 고정하는 스트립의 특성상 케이블 앵커의 중심에 위치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쳐서 편심이 발생하므로, 와이어 하네스 등과 같은 부품이 다른 부품에 접촉하는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wiring band cabl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no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able anchor due to the nature of the strip that secures the wiring when the wire harness, etc.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biased to one side, causing eccentricity, so that the wire harness, etc. Interference occurs when a part touches another part.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3065호(등록일:2003.01.21)에는 "케이블타이"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cable tie” is disclosed in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3065 (registration date: January 21, 20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경이 큰 전선과 와이어링 등과 같은 번들을 차체에 고정하였을 때 고정된 번들의 중심이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움직이거나 일측으로 치우쳐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번들고정 스트립부의 절단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 and when a bundle such as a wire or wiring with a large outer diameter is fixed to the car body, the center of the fixed bundle moves from the strip fastening fixture or is shifted to one side to prevent eccentric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and omit the cutting process of the bundle fixing stri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립 앵커부와, 상기 스트립 앵커부에 구비되어 체결홀부를 구비하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와, 상기 스트립 앵커부 또는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선 및 와이어링과 같은 번들의 외면을 감싸서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와,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에 구비되며,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가 상기 체결홀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트립 삽입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p anchor part fixed to the vehicle body, a strip fastening fixing part provided in the strip anchor part and having a fastening hole part, and A bundle fixing strip part is provided that extends from the strip anchor part or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to surround and fix an outer surface of a bundle, such as an electric wire or wiring, and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wherein the bundle The fixing strip portion includes a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that limits the length at which the fixing str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는,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provided in at least two strip fastening fixing parts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hole part from different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는,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번들을 고정하는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가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편심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is provided on each of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s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ortion to support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for fixing the bundle from moving eccentrically i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는,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에 의해 끝단부가 상기 체결홀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는 제1케이블 타이와,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블 타이와 반대 방향에서 상기 번들을 감싸서 고정하고,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에 의해 끝단부가 상기 체결홀부에서 노출되는 출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는 제2케이블 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formed so that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rotrudes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so that the end portion is not exposed in the fastening hole part by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A first cable tie to be fastened,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rip fastening fixing portion to surround and secure the bund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able tie, and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cable ti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end portion is not exposed in the fastening ho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는, 상기 제1케이블 타이의 끝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번들이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결락부와, 상기 제2케이블 타이의 끝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번들이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결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first cable tie,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to prevent the bundle from moving i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astening lock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lock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second cable tie and prevents the bundle from moving in the strip fastening fixture as i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supported. Do it a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는, 상기 체결홀부의 일측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를 고정하는 제1걸림리브와, 상기 체결홀부의 타측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타이 삽입 제한 지지부를 고정하는 제2걸림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engaging rib protruding from on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part to secure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and a first engaging rib protruding from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part to form the tie insertion limiting support par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locking rib for fixing.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는, 상기 번들과의 밀착력을 높여 상기 번들의 회전과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번들의 외면에 접촉하는 밀착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n adhesion pa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ndle to increase adhesion to the bundle and prevent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bund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외경이 큰 전선과 와이어링 등과 같은 번들을 차체에 고정하였을 때 고정된 번들의 중심이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움직이면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when a bundle such as a wire or wiring with a large outer diameter is fixed to the car body, the center of the fixed bundle is fastened to the strip.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ccentricity from occurring while moving from the fixed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의 끝단부가 체결홀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번들을 고정한 후 번들고정 스트립부를 컷팅하는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end of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hole part, so that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can be cut after fixing the bundl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ork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번들고정 스트립부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ed state of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번들고정 스트립부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ed state of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for,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차량의 엔진룸에 배선되는 전선과 고전압 와이어링 등과 간은 번들(10)을 차체의 패널 등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차체에 고정되는 번들(10)이 차체의 브래킷과 다른 부품에 충돌하거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bundle 10 between the wires and high-voltage wiring wired in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body. It is firmly and stably fixed to the panel,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fixed state is maintained stably. Through this,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for a vehicle can prevent the bundle 10 fixed to the vehicle body from colliding with or interfering with brackets and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dy.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크게 스트립 앵커부(110)와, 스트립 앵커부(110)에 형성되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와, 번들(10)을 고정하기 위한 번들고정 스트립부(130)와,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argely includes a strip anchor part 110, a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formed on the strip anchor part 110, and a bundle 10. ) includes a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for fixing the strip and a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140.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의 양측으로 움직이지 않고, 번들(10)이 고정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즉, 번들(10)의 중심이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which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is supported by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140, thereby fastening the strip. The bundle 10 stably maintains its fixed position without moving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120.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er of the bundle 10 from being shif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strip fastening fixture 120.

스트립 앵커부(110)는, 차체 패널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바디부재(111)와, 바디부재(111)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패널의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훅(113)을 구비한다. 이때, 바디부재(111)에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strip anchor portion 110 includes a body member 111 that is supported by contacting the vehicle body panel, and a hook 113 that extends from the body member 111 to have elasticity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panel and locked. Equipped with At this time,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member 111.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는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부(121)를 구비한다. 또한,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는 체결홀부(121)로 삽입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체결홀부(121)의 내부에 탄성 걸림편(123)이 구비된다. 더하여,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는 복수의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를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홀부(121)가 구획되게 두 개 형성되며, 복수의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part 121 so that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fastened. In additio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locking piece 123 inside the fastening hole part 121 to prevent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121 from coming off. In additio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is formed into two partitioned fastening hole parts 121 so as to respectively fix the plurality of bundle fixing strip parts 130, and the plurality of bundle fixing strip parts 130 are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It is inserted and fixed.

예를 들어 체결홀부(121)는 어느 하나의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체결홀(121a)과, 다른 하나의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체결홀(121b)을 구비한다. 이때, 각각의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에 각각 삽입될 때 서로 반대 방향에서 삽입되어 체결고정된다.For example, the fastening hole portion 121 includes a first fastening hole 121a into which on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21a into which the other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is inserted and fixed. I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21b). At this time, when each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it is inserted from opposite directions and fastened and fixed.

또한, 제1체결홀(121a)의 내면에는 제1걸림리브(125)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로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가 제1걸림리브(125)에 걸려서 지지된다. 더하여, 제2체결홀(121b)의 내면에도 제2걸림리브(127)가 돌출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가 걸림 고정된다.In addition, a first locking rib 125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140 inserted into the inside is hook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rib 125. In addition, a second engaging rib 12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to lock and secure the strip insertion support 140 inserted therein.

여기서, 제1걸림리브(125)는 제1체결홀(121a)의 내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2걸림리브(127)는 제2체결홀(121b)의 내면 타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를 통해 번들고정 스트립부(130)에 고정되는 번들(10)이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에 의해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를 중심으로 하단부 양측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된다.Here, the first engaging rib 125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engaging rib 127 protrudes from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Through this, the bundle 10 fixed to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is firm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centering o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by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140, so it is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vehicles. It is prevented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of (100).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에서 연장 형성되어 번들(10)의 외면을 감싸서 고정하도록 그 끝단부가 체결홀부(121)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에 각각 삽입되어 번들(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extends from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and its e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121 and fixed to surround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bundle 10. At least two bundle fixing strip parts 13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to secure the bundle 10,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I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in opposite directions.

이를 통해 2개의 번들고정 스트립부(130)가 번들(10)을 서로 방향에서 감싸서 고정하므로, 번들(10)을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고정된 번들(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wo bundle fixing strip parts 130 wrap and secure the bundle 10 in each other direction, thereby not only fixing the bundle 10 more stably and firmly, but also preventing the fixed bundle 10 from moving. You can.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체결홀(12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체결홀(121b)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케이블 타이(133)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able tie 131 tha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It includes a second cable tie 133 that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rip fastening fixture 12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이때,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의 끝단부에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특정 길이 이상으로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제1체결홀(12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체결홀(121b)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케이블 타이(133)의 끝단부가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의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At this time,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has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s 140 protruding from the ends of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extends over a certain length. ) and insertion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is prevented. Through this, the ends of the first cable tie 131,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are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Protrusion to the opposite side of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is prevented.

또한,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에는 체결홀부(121)의 탄성 걸림편(123)에 걸림 고정되는 래치홈부(135)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are each formed with a latch groove portion 135 that is fastened to the elastic locking piece 123 of the fastening hole portion 121.

본 실시 예에 따른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고정을 위한 번들(10)의 외경 크기에 따라 제1케이블 타이(131) 및 제2케이블 타이(133)의 길이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are fixed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size of the bundle 10 for fixation. The lengths of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더하여,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고정을 위한 번들(1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고정된 번들(10)의 유동과 슬립을 완전하게 방지하도록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에 밀착패드(137)가 각각 결합된다. 밀착패드(137)는 고무 또는 스펀지 등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improves the adhesive force with the bundle 10 for fixation and connects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o completely prevent movement and slip of the fixed bundle 10. The contact pads 137 are each coupled to the tie 133. The contact pad 137 may be made to have elasticity using rubber or sponge.

이와 같은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제1체결홀(121a) 및 제2체결홀(121b)에 각각 삽입되어 번들(10)을 고정한다. 이때,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는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가 제1걸림리브(125) 및 제2걸림리브(127)에 삽입되어 걸릴 때까지 제1체결홀(121a) 및 제2체결홀(121b)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된다.In this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respectively, in opposite directions. Secure the bundle (10). At this time,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are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until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rib 125 and the second engaging rib 127. It is inserted into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and fastened.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에 각각 구비되어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로 삽입되는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의 삽입을 제한하며, 특히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의 끝단부를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를 통해 번들고정 스트립부(130)에 의해 고정되는 번들(10)이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1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respectively,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It limits the insertion of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and in particular, firmly supports the ends of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in the strip fastening fixture (120). do.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ndle 10 fixed by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from moving eccentrically to one side i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즉,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는 번들(10)이 최초 고정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번들(10)이 다른 브래킷 및 부품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strip insertion support 140 can prevent the bundle 10 from moving from its initial fixed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bundle 10 from interfering with other brackets and components.

예를 들어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는, 제1케이블 타이(131)의 끝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제1체결홀(121a)에 삽입됨에 따라 제1걸림리브(125)에 걸려서 고정되면서 번들(10)을 지지하는 제1체결락부(141)와, 제2케이블 타이(133)의 끝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제2체결홀(121b)에 삽입됨에 따라 제1걸림리브(125)에 걸려서 고정되면서 번들(10)을 지지하는 제2체결락부(143)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140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first cable tie 131, and as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it is caught and fixed on the first engaging rib 125 and forms a bundle ( 10), which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4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and is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engaging rib 125 as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143 that supports the bundle 10.

이러한, 스트립 삽입 지지부(140)는 제1체결락부(141)와 제2체결락부(143)가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를 중심으로 번들(10)의 양측 하부를 대응되게 지지하므로, 번들(10)의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그 위치가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In this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140, the first fastening part 14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43 support the lower parts of both sides of the bundle 10 with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as the center, so that the bundle ( 10), it effectively prevents the position from moving as it is biased to one side.

이때, 제1체결락부(141)와 제2체결락부(143)는 작업자가 눌러서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제2걸림리브(127)와 제2걸림리브(121b)에 가이드 경사면(129)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로 삽입되는 제1체결락부(141)와 제2체결락부(143)는 탄성 걸림편(123)의 접촉되어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part 14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43 have a second locking rib 127 and a Guide inclined surfaces 129 are formed on each of the two engaging ribs 121b.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43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are contacted by the elastic locking piece 123 and cannot be inserted any further. is prevented.

더하여, 제1체결홀(121a)과 제2체결홀(121b)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도록 그 내부 공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제1체결락부(141)와 제2체결락부(143)이 더욱 긴밀하게 고정되어 번들(10)을 지지하는 제1체결락부(141)와 제2체결락부(143)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1b) are formed so that their internal spaces are small so that they can be 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43 are closer together. The support forc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43 that are fixed and support the bundle 10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외경이 큰 전선과 와이어링 등과 같은 번들(10)을 차체에 고정할 때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가 서로 반대방향에서 번들(10)을 감싸면서 고정함과 동시에 제1체결락부(141)와 제2체결락부(143)가 제1케이블 타이(131)와 제2케이블 타이(133)의 움직임을 제한하므로, 고정된 번들(10)이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번들(10)의 편심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체에 고정된 번들(10)과 다른 부품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hicl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when fixing the bundle 10, such as wires and wiring with a large outer diameter, to the vehicle body. The tie 133 wraps and secures the bundle 10 in opposite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43 are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tie 131 and the second cable tie 133.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ed bundle 10 from moving in the strip fastening fixture 120. That is, since eccentricity of the bundle 10 can be prevented, interference between the bundle 10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other part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120)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130)의 끝단부가 체결홀부(12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번들(10)을 고정한 후 번들고정 스트립부(130)를 컷팅하는 등과 같은 후속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nd portion of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130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1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hole part 121. Since this is prevented, subsequent work processes such as cutting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after fixing the bundle 10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100)는, 번들고정 스트립부(130)의 내면에 밀착패드(137)가 결합되므로, 번들(10)과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고정된 번들(10)이 번들고정 스트립부(130)의 내부에서 움직이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번들(10)을 보다 견고하고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ad 137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so the adhesive force with the bundle 10 is improved and the fixed bundle is maintained. (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r rotating inside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130. Through this, the bundle 10 can be fixed more firmly and tight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00 :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10 : 번들
110 : 스트립 앵커부 111 : 바디부재
113 : 걸림훅 120 : 스트립 체결 고정부
121 : 체결홀부 121a : 제1체결홀
121b : 제2체결홀 123 : 탄성 결림편
125 : 제1걸림리브 127 : 제2걸림리브
130 : 번들고정 스트립부 131 : 제1케이블 타이
133 : 제2케이블 타이 135 : 래치홈
137 : 밀착패드 140 : 스트립 삽입 지지부
141 : 제1체결락부 143 : 제2체결락부
100: Vehicle cable tie type bundle fixing device 10: Bundle
110: strip anchor part 111: body member
113: Hook 120: Strip fastening fixture
121: fastening hole part 121a: first fastening hole
121b: Second fastening hole 123: Elastic stiffening piece
125: first engaging rib 127: second engaging rib
130: Bundle fixing strip section 131: First cable tie
133: second cable tie 135: latch groove
137: Adhesion pad 140: Strip insertion support
141: 1st fastening part 143: 2nd fastening part

Claims (7)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립 앵커부; 및
상기 스트립 앵커부에 구비되어 체결홀부를 구비하는 스트립 체결 고정부;
상기 스트립 앵커부 또는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선 및 와이어링과 같은 번들의 외면을 감싸서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번들고정 스트립부; 및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에 구비되며,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가 상기 체결홀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스트립 삽입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A strip anchor portion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strip fastening fixing part provided in the strip anchor part and having a fastening hole part;
a bundle fixing strip part extending from the strip anchor part or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to surround and fix an outer surface of a bundle, such as an electric wire or wiring; and
a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provided at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and limiting a length at which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art;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는,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서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provided in at least two strip fastening fixing parts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hole part from different dir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는,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번들을 고정하는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가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편심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ortion is provided on each of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s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ortion to prevent the bundle fixing strip portion for fixing the bundle from moving eccentrically i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ortion. Cable tie 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vehicle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는,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에 의해 끝단부가 상기 체결홀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는 제1케이블 타이; 및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블 타이와 반대 방향에서 상기 번들을 감싸서 고정하고,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에 의해 끝단부가 상기 체결홀부에서 노출되는 출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는 제2케이블 타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is a first cable in which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rotrudes,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so that an end portion is not exposed in the fastening hole by the strip insertion support. tie; and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to surround and secure the bund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able tie, and an end portion is exposed in the fastening hole part by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a second cable ti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so as not to be shipped;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는, 상기 제1케이블 타이의 끝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번들이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체결락부; 및
상기 제2케이블 타이의 끝단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번들이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체결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first cable tie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o prevent the bundle from moving i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lock portion that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second cable tie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portion to prevent the bundle from moving in the strip fastening fixing portion;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체결 고정부는, 상기 체결홀부의 일측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삽입 지지부를 고정하는 제1걸림리브; 및
상기 체결홀부의 타측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타이 삽입 제한 지지부를 고정하는 제2걸림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trip fastening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engaging rib protruding from on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part and fixing the strip insertion support part; and
a second engaging rib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portion to secure the tie insertion limiting support portion;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고정 스트립부는, 상기 번들과의 밀착력을 높여 상기 번들의 회전과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번들의 외면에 접촉하는 밀착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타이형 번들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able tie-type bundle fix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bundle fixing strip part has a contact pa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ndle to increase adhesion to the bundle and prevent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bundle.
KR1020220099396A 2022-08-09 2022-08-09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KR202400213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96A KR20240021352A (en) 2022-08-09 2022-08-09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96A KR20240021352A (en) 2022-08-09 2022-08-09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352A true KR20240021352A (en) 2024-02-19

Family

ID=9005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396A KR20240021352A (en) 2022-08-09 2022-08-09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13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4795B2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US8624114B2 (en) Wiring harness
WO2012056747A1 (en) Band clip
CN104349942A (en) Structure for mounting retrofit part to cladding member
JP5945883B2 (en) Wire harness with clip and wire harness provided with the wire harness with clip
WO2014021347A1 (en) Cladding member for wire harness and wire harness
WO2012176872A1 (en) Wire harness with clip
KR20240021352A (en)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JP3331975B2 (en) Grommet holder
KR200443657Y1 (en) Protector of wire harness
WO2023204153A1 (en) Additional wiring-securing member and wiring-securing structure
KR102529728B1 (en) Bidirectional sprial cable device
JP2003032859A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of joint connector
KR20240040830A (en)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KR102496098B1 (en) Wiring protector
JP3644353B2 (en) Twisted wire conduit
CN214929493U (en) Wire harness support and vehicle with same
KR20240038382A (en) Wiring harness Fixing Clip For Vehicle
JP2002199557A (en) Wire bundle holder
JP4444171B2 (en) Harness clip
WO2015072325A1 (en) Wire harness and cable-retaining component
KR20100002382A (en) The fixing band cable of preventing slip for automobile
WO2019159658A1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equipped with protector
KR20230044887A (en) Band cable for wiring fixing
KR0138921Y1 (en) Cable fixing clip for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