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847A -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847A
KR20240020847A KR1020220099066A KR20220099066A KR20240020847A KR 20240020847 A KR20240020847 A KR 20240020847A KR 1020220099066 A KR1020220099066 A KR 1020220099066A KR 20220099066 A KR20220099066 A KR 20220099066A KR 20240020847 A KR20240020847 A KR 2024002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ody
protrusion
safety device
fasten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유
박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847A/ko
Publication of KR2024002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일정 길이로 연장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회동 가능한 아암; 상기 아암의 일부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아암의 제1 체결부와 대응하는 제2 체결부를 갖추고서, 상기 제1, 2 체결부를 체결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를 매개로 상기 회동아암을 개방하여 전주(P)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거치하고 작업자가 안전하게 배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PREVENTION OF FALLING}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주하여 배전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 작업은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정전사고를 최소화하고, 특히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 배전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 작업은 고소작업차(절연 버켓)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작업 공간이 협소하거나 고소작업차의 진입이 곤란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전주에 올라가는(“승주”) 작업이 필요하다.
안전로프를 이용한 승주 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벨트식 안전대, 로프, 카라비너, 슬링 등의 다수의 장비들을 휴대하고 전주를 올라가서 배전작업을 하게 되어 소요 장비의 준비 및 휴대에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소작업차를 이용하는 배전작업이 대부분이라서, 절연버켓에 안전고리를 걸어 작업을 하게 되므로 안전상 별다른 문제점은 없다.
그런데 작업자가 승주 작업을 직접하는 경우가 적다 보니, 작업자가 승주작업에 익숙하지 않아 숙련도가 낮고, 승주 작업 자세가 불안정하며, 특히 장시간 배전작업을 하는 경우, 체력 및 집중력 저하로 작업이 불안정 해지고, 무엇보다도 안전에 대한 무관심 또는 순간적인 방심으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항상 존재한다.
이에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고 승주 작업을 한 후, 전주의 소정의 작업위치 높이에서 전주에 거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배전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0059호(2019.03.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1562호(2019.1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휴대하고 승주 작업을 한 후 전주에 거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배전작업을 할 수 있는 추략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전주 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연장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회동 가능한 아암; 상기 아암의 일부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아암의 제1 체결부와 대응하는 제2 체결부를 갖추고서, 상기 제1, 2 체결부를 체결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부의 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2 체결부를 갖춘 상부 잠금몸체;와 상기 몸체부의 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하부 잠금몸체;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잠금몸체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부 및 하부 잠금몸체 사이에 설치된 U 자 형상의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인접하여 하부에 돌출된 제1 돌출부; 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상부 잠금몸체의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 보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여 오목홈이 추가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오목홈 및 상기 돌기부는 “V”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전주 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연장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회동 가능한 회동 아암과 고정 아암; 상기 회동 아암의 일부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제1 체결부; 상기 몸체부의 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아암의 제1 체결부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제2 체결부를 갖춘 상부 잠금몸체와 상기 상부 잠금몸체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하부 잠금몸체를 갖춘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인접하여 하부에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상부 잠금몸체의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 보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여 오목홈이 추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스프링의 상기 돌기부에 대하여 상기 하부 잠금몸체의 오목홈이 걸려지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하부 잠금몸체에 연결되어 직선이동시키는 안전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상부몸체의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회동 아암의 상기 제1 체결부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상부 잠금몸체의 누름부를 눌러주는 회전 가능한 체결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에, 완충 스프링을 갖추고서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결합하는 카라비너가 구비된 안전로프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휴대하고 승주하여 전주의 소정의 작업위치에서 작업자의 벨트식 안전대를 통해 전주에 연결하여 거치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배전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동버튼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전주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취급하기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 쉽고, 작업자가 쉽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아암을 개방하기 전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 부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a)에서 아암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아암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 부위의 개략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기존)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는, 전주(P) 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연장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안전 장구, 예컨대 벨트식 안전대(도시 안 됨)에 연결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P)를 감싸도록 회동 가능한 아암(20) 및, 상기 아암(20)을 상기 몸체부(10)와 체결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아암(20)은 전주(P)를 감싸도록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호(arc) 형상으로서 회동점(21)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10)에 고정된 고정 아암(22)과 회동 가능한 회동 아암(24)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아암(24)이 회동점(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어 전주(P)를 감싸거나, 또는 주변 구조물에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아암(20)은 전주(P)를 감싸도록 내부공간(S)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호(arc) 형상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아암(20)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회동 아암(24)의 일단부에는 상기 아암(20)을 개방 또는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의 톱니형상의 제1 체결부(24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잠금부(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회동 아암(24)의 상기 제1 체결부(24a)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톱니 형상의 제2 체결부(32a)를 포함하는 상부 잠금몸체(32);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하부 잠금몸체(34);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잠금몸체(32, 34)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6)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잠금몸체 (32, 34)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U” 자 형상의 판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6)가 발생하는 위쪽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잠금몸체(32)는, 도 3(a)에서 위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제2 체결부(32a)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잠금몸체(32)는, 상기 제2 체결부(32a)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누름부(32b)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32b)에 인접한 하부에는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출부(32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체결버튼(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부(32b)가 눌려지면, 상기 상부 잠금몸체(32)가 외팔보 형태에서 일단부가 아래로 눌려지면서 상기 제2 체결부(32a)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회동아암(24)을 개방할 수 있게 되거나, 상기 누름부(32b)의 누름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가 결합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는,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상기 제1 돌출부(32c)와 마주 보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32c)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돌출부(34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는 상기 제2 돌출부(34a)에 인접하여 오목홈(34b)이 추가 형성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부재(36)에 대응 형성된 돌기부(36a)를 수용하여 결합 고정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홈(34b) 및 상기 돌기부(36a)는 “V”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와,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하부 잠금몸체(34)를 갖춘 상기 잠금부(30)를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40)은,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상기 제2 체결부(32a)가 상기 회동아암(24)의 상기 제1 체결부(24a)로부터 이격되어 해제되도록, 외팔보(cantilever)형태인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누름부(32b)를 눌러주는 회전 가능한 체결버튼(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버튼(42)은 스프링(도시 안 됨)을 내장한 볼트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체결버튼(4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도 3(a)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체결버튼(42)의 하단부가 상기 누름부(32b)를 아래로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부(32b)가 눌려지면 상기 외팔보 형태의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단부가 아래로 힘을 받게 되어 변위되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로부터 이격되어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24)을 잡아 당겨서 회동점(21)을 중심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체결버튼(42)을 파지하던 상태를 해제하면, 내장된 스프링의복원력에 의해 체결버튼(4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도 5(a)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32b)의 누름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가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아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와 결합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버튼(40)은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와 결합상태를 잠가(locking) 주거나 이를 해제하는 안전버튼(4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버튼(44)은 상기 하부 잠금몸체(34)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를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안전버튼(44)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하부 잠금몸체(34)가 왼쪽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하면서 제2 돌출부(34a)가 상부 잠금몸체(32)의 제1돌출부(32c)와 접촉이 해제되므로, 체결버튼(42)의 회전에 의해 누름부(32b)가 눌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팔보 형태의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가 아래로 눌려지고,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로부터 이격되면서 아래 쪽으로 일정거리로 이격되므로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회동아암(24)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잠금몸체(34)의 오목홈(34b)으로부터 탄성부재(36)의 돌기부(36a)가 이탈되므로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는 직선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전버튼(44)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밀어 주면, 상기 하부 잠금몸체(34)가 오른 쪽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하면서 제2 돌출부(34a)가 상부 잠금몸체(32)의 제1돌출부(32c)와 접촉되므로 누름부(32b)가 눌려지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 잠금몸체(34)의 오목홈(34b)에 탄성부재(36)의 돌기부(36a)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는 직선이동할 수 없는 상태, 즉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와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회동아암(24)이 폐쇄상태로 유지되는(locking) 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완충 스프링(50)을 갖춘 안전로프(52)가 연결되고, 상기 안전로프(52)의 단부에 카라비너(54)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라비너(54)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 예컨대 벨트식 안전대(도시 안됨)등에 걸어줌으로써, 만일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전주(P)의 작업위치로부터 이탈하여 낙하하더라도 안전장치(100)의 안전로프(52)에 의해 작업자가 매달린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 스프링(50)은 작업자의 추락 시에 충격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하며 안전율을 충분히 고려하여 인장하중은 1ton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를 휴대하고 승주하여, 전주(P)의 소정 높이의 작업위치에 도달하면, 안전로프(52)의 단부에 결합된 카라비너(54)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착용하는 벨트식 안전대(도시 안됨)등에 걸어준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측면에 돌출된 안전버튼(44)을 왼쪽으로 잡아 당겨(도 3(a)상태),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제2 돌출부(34a)와 상부 잠금몸체(32)의 제1돌출부(32c)와 접촉을 해제한다.
다음, 체결버튼(4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누름부(32b)를 눌러 주면, 상기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가 상기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로부터 이격되면서 결합상태가 해제되므로, 회동점(2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아암(24)을 개방하여 전주(P)을 감싸거자 주변 구조물에 상기 아암(20)을 결합하여 거치한다.
이어서 안전버튼(44)을 오른쪽으로 밀어 주면(도 5(a) 상태), 하부 잠금몸체(34)가 오른 쪽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하면서 제2 돌출부(34a)가 상부 잠금몸체(32)의 제1돌출부(32c)와 접촉하여 누름부(32b)가 눌려지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 잠금몸체(34)의 오목홈(34b)에 탄성부재(36)의 돌기부(36a)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잠금몸체(34)는 직선이동할 수 없는 상태, 즉 상부 잠금몸체(32)의 제2 체결부(32a)와 회동아암(24)의 제1 체결부(24a)의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회동아암(24)이 폐쇄상태로 잠금 유지되는(locking)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가 전주(P)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거치가 완료되고, 작업자는 안전하게 배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전작업이 완료되어 전주(P)로부터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를 분리하여 철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역순으로 안전버튼(44)을 조작하여 회동아암(24)의 잠금(locking)상태를 해제하고 개방하여 전주(P)로부터 아암(20)을 분리하고, 작업자의 벨트식 안전대로부터 카라비너(54)를 해제한 다음,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를 회수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0: 몸체부 20: 아암
22; 고정 아암 24: 회동 아암
24a: 제1 체결부 30: 잠금부
32: 상부 잠금몸체 32a: 제2 체결부
32b: 누름부 32c: 제1 돌출부
34: 하부 잠금몸체 34a: 제2 돌출부
34b: 오목홈 36: 탄성부재
40: 작동버튼 42: 체결버튼
44: 안전버튼 P: 전주, S; 공간

Claims (13)

  1. 전주 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연장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회동 가능한 아암;
    상기 아암의 일부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아암의 제1 체결부와 대응하는 제2 체결부를 갖추고서, 상기 제1, 2 체결부를 체결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잠금부;를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2 체결부를 갖춘 상부 잠금몸체;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하부 잠금몸체;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잠금몸체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3.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부 및 하부 잠금몸체 사이에 설치된 U 자 형상의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구명줄 설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인접하여 하부에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상부 잠금몸체의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 보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여 오목홈이 추가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및 상기 돌기부는 “V” 자형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8. 전주 상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연장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연결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를 감싸도록 회동 가능한 회동 아암과 고정 아암;
    상기 회동 아암의 일부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제1 체결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면서, 상기 아암의 제1 체결부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제2 체결부를 갖춘 상부 잠금몸체와 상기 상부 잠금몸체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된 하부 잠금몸체를 갖춘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인접하여 하부에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상부 잠금몸체의 상기 제1 돌출부와 마주 보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몸체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인접하여 오목홈이 추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스프링의 상기 돌기부에 대하여 상기 하부 잠금몸체의 오목홈이 걸려지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하부 잠금몸체에 연결되어 직선이동시키는 안전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상부몸체의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회동 아암의 상기 제1 체결부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상부 잠금몸체의 누름부를 눌러주는 회전 가능한 체결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완충 스프링을 갖추고서 작업자의 안전장구에 결합하는 카라비너가 구비된 안전로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20099066A 2022-08-09 2022-08-09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40020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66A KR20240020847A (ko) 2022-08-09 2022-08-09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066A KR20240020847A (ko) 2022-08-09 2022-08-09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847A true KR20240020847A (ko) 2024-02-16

Family

ID=9005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066A KR20240020847A (ko) 2022-08-09 2022-08-09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8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31562B1 (ko) 2019-05-01 2019-10-14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31562B1 (ko) 2019-05-01 2019-10-14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059B1 (ko)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US9010487B2 (en) Safety line anchoring system
US6530614B1 (en) Collapsible grappling hook
US20110084158A1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Disconnectable Lifeline
EP3307399B1 (en) D-ring keeper assembly
US7571944B2 (en) Safety and rescue carabiner holder
EP2826947B1 (en) Vertical lifeline for elevated work
EP2731680B1 (en) Personal fall limiter arrangement and user connection arrangement therefor
JP2018508316A (ja) 安全固定システム、安全固定システムに使用可能なカラビナ、および安全固定システムを含む固定組立品
KR20240020847A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US10286232B2 (en) Remote overhead anchor system
US20220193461A1 (en) Portable power-driven system
US3949451A (en) Safety snap hook assembly
JP4700097B2 (ja) 墜落防止用安全装置
JP4974750B2 (ja) 安全帯取付治具及び安全帯取付方法
KR20220056721A (ko) 추락방지용 로프 클램핑장치
JP2020019638A (ja) ロープ牽引装置
KR102672742B1 (ko) 드래그 다운먼트
RU2261741C1 (ru) С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66641B1 (ko) 산업용 안전후크
KR102621384B1 (ko) 전주의 승주 작업용 발판볼트 카라비너
KR102428248B1 (ko)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KR102630216B1 (ko) 추락 방지용 와이어로프 그립머신
KR200441463Y1 (ko)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
KR200200195Y1 (ko) 크레인용 걸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