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725A -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725A
KR20240020725A KR1020240013284A KR20240013284A KR20240020725A KR 20240020725 A KR20240020725 A KR 20240020725A KR 1020240013284 A KR1020240013284 A KR 1020240013284A KR 20240013284 A KR20240013284 A KR 20240013284A KR 20240020725 A KR20240020725 A KR 2024002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weight
parts
pulp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지
Original Assignee
박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1444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32532B1/ko
Application filed by 박수지 filed Critical 박수지
Publication of KR2024002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7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2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natural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C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NATURAL FILAMENTARY OR FIBROUS MATERIAL TO OBTAIN FILAMENTS OR FIBRES FOR SPINNING; CARBONISING RAGS TO RECOVER ANIMAL FIBRES
    • D01C1/00Treatment of vegetab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65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08Mechanical or thermomechanical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은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증해하는 증해단계, 상기 증해단계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는 방적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생분해성 원사는 해조류 성분이 적용되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며 유해성분이 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기계적 물성, 항균성 및 소취성 등이 우수한 직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BIODEGRADABLE YARN USING SEAWEE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CONTAINING BIODEGRADABLE YARN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 성분이 적용되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며 유해성분이 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기계적 물성, 항균성 및 소취성 등이 우수한 직물을 제공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 등이 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합성섬유는 자연에서 생분해 되는데 수백년이 걸리며 소각을 통해 폐기처리하게 되면 유해성분이 방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어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생분해성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생분해성 소재로는 셀룰로오스, 셀룰롤오스 유도체, 키틴 및 키토산 등의 다당류, 단백질, 폴리 3-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유산 및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알려져 있다.
상기에 기재된 생분해성 소재 중 셀룰로오스 재료와 폴리유산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대표적인 바이오매스 재료로서, 일반적인 환경조건하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재료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섬유사업의 발전으로 생분해성을 갖는 많은 섬유들이 개발되어 의류, 인테리어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육상 자원의 부족 현상과 함께 새로운 영역인 해양 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해양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소재에 관한 연구개발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해조류는 육상 식물인 목재에 비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재배를 위한 별도의 토양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섬유질의 추출이 용이한 장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해조류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내수성, 기계적 물성 및 항균성이 낮아 적용분야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17137호(2013.10.01.) 한국특허등록 제10-2162664호(2020.09.28.)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 성분이 적용되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며 유해성분이 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기계적 물성, 항균성 및 소취성 등이 우수한 원사와 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사가 함유된 생분해성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95 내지 10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증해하는 증해단계, 상기 증해단계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는 방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해제는 질량농도가 2 내지 4%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95 내지 10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증해하는 증해단계, 상기 증해단계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펄프에 고해제를 혼합하고 고해하는 고해단계, 상기 고해단계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의 표면에 불용성화제를 분무하여 불용성막을 형성하는 불용성막형성단계,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를 통해 불용성막이 형성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는 방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해제는 질량농도가 2 내지 4%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단계는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상기 펄프 100 중량부에 고해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혼합하고 4 내지 6시간 동안 고해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해제는 질량농도가 8 내지 10%인 규산나트륨 수용액 또는 규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는 상기 고해단계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 100 중량부의 표면에 불용성화제 15 내지 25 중량부를 분무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용성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규산나트륨 50 내지 100 중량부, 에탄올 200 내지 300 중량부, 디메틸케톤 15 내지 18 중량부 및 아세트산 6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조류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코토니, 스피노섬, 돌가사리, 김, 해인초, 풀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석묵, 지누아리, 파래, 클로렐라, 장구말, 반달말, 청각, 청태,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감태, 곰피 및 대항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적단계는 상기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T/M 500 내지 700의 꼬임을 나타내며,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얀으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조단계, 상기 직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직물을 정련한 후에 가공하는 정련가공단계 및 상기 정련가공단계를 통해 정련가공된 직물의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유연제도포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연제는 소수성 유연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수성 유연제는 실리콘계 또는 카치온 지방산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직조단계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 100 중량부 대비 폴리유산 원사가 30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직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연제도포단계 이후에는 상기 유연제도포단계를 통해 유연제가 도포된 직물의 표면에 항균탈취제를 도포하는 항균탈취제도포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항균탈취제는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 광물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80 내지 120 중량부, 자수정 80 내지 120 중량부, 모나자이드 20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및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고착제는 황토 100 중량부에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은 해조류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며 유해성분이 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기계적 물성, 항균성 및 소취성 등이 우수한 원사와 직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은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S101),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95 내지 10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증해하는 증해단계(S103), 상기 증해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S105),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S107)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여 얀을 제조하는 방적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1)는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해조류를 정제수에 30 내지 60분 동안 함침한 후에, 흐르는 물로 2 내지 4회 세척하여 해조류의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해조류는 홍조류, 녹조류 및 갈조류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코토니, 스피노섬, 돌가사리, 김, 해인초, 풀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석묵, 지누아리, 파래, 클로렐라, 장구말, 반달말, 청각, 청태,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감태, 곰피 및 대항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에 나열된 해조류는 프락토오스와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고, 열에 의해 용융되지는 않으며, 그 두께는 1 내지 10㎛, 길이는 수십 내지 수천㎛에 이르는데, 비교적 손쉽게 원하는 크기의 섬유질을 얻어낼 수 있다.
상기 증해단계(S103)는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증해하는 단계다. 일반적으로 증해란 펄프의 원료가 되는 물질에 증해제를 투입하고 삶아서 펄프를 제조하는 공정을 일컷는 것으로, 삶는 과정에서 식물 원료 속에 들어 있는 비섬유소 물질이 녹아 나오고, 섬유가 비교적 순수한 상태로 분리되며, 증해제의 종류와 처리 조건에 따라 삶는 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해단계(S103)는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蒸解)용 가마(Digester)에 투입하고 증해제를 혼합한 후에 9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가열하여 증해된 섬유질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해단계(S103)에서 가열온도가 95℃ 미만이거나 가열시간이 20분 미만으로 진행되면 해조류의 증해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며, 상기 증해단계(S103)에서 가열온도가 100℃를 초과하거나 가열시간이 40분을 초과하게 되면 해조류 증해과정의 효율성은 크게 향상되지 않고, 증해가 충분히 진행된 후에도 계속적으로 가열을 진행하게 되는 것으로 제조공정의 효율성이나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증해제는 질량농도가 2 내지 4%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선단계(S105)는 상기 증해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단계로, 상기 증해단계(S103)를 통해 분리된 섬유질을 정선기에 투입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정선단계(S105)를 거치게 되면 상기 증해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질감의 펄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펄프도포단계는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단계로, 면섬유 100 중량부에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 20 내지 30 중량부를 도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 20 내지 30 중량부가 도포되면, 면섬유의 표면에 해조류에서 추출된 펄프 성분이 도포되어 피부에 대한 밀착성과 생분해성이 우수하면서도 유해성분이 방출되지 않는 원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펄프의 도포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펄프의 도포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면섬유로부터 펄프성분이 이탈되어 섬유먼지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방적단계(S109)는 상기 펄프도포단계(S107)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여 얀(Yarn)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펄프도포단계(S107)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T/M 500 내지 700의 꼬임을 나타내며,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얀으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펄프도포단계(S107)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T/M(Twist per meter)을 이용하여 500 내지 700의 꼬임을 부여하여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얀으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꼬임수에 따라 제조되는 얀의 성질이 확연하게 달라지는데, 얀에 꼬임을 주면 얀의 모든 점은 중심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인접하는 섬유간에는 서로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 압력에 의한 섬유간의 마찰은 섬유의 활탈(滑脫)을 방지하고 얀에 강력이 부여된다. 꼬임이 증가하여 최대의 강력을 가질 때의 꼬임을 포화꼬임이라고 하는데 그 이상으로 꼬임을 증가시키면 비틀림(strain)이 증가하여 강력이 감소하고 꼬임수가 증가하면 점점 얀의 굵기는 가늘어지나 단단해지며 변형이 어려워져서 경/위사 공간률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꼬임수와 섬도를 나타내는 얀으로 직물을 제조하게 되면 흡수성능이 우수하며, 보온효과, 쿠션감, 질감 및 촉감 등이 향상된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은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S101),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1)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95 내지 10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증해하는 증해단계(S103), 상기 증해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S105),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에 고해제를 혼합하고 고해하는 고해단계(S106), 상기 고해단계(S106)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의 표면에 불용성화제를 분무하여 불용성막을 형성하는 불용성막형성단계(S106-1) 및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S106-1)를 통해 불용성막이 형성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S107)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S107)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여 얀을 제조하는 방적단계(S109)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101), 증해단계(S103), 정선단계(S105), 펄프도포단계(S107) 및 방적단계(S109)는 상기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해단계(S106)는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에 고해제를 혼합하고 고해하는 단계로,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 100 중량부에 고해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혼합하고 4 내지 6시간 동안 고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고해(叩解)단계를 거치면, 상기 정선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펄프의 세포조직에 잔존하는 헤미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이 제거되어 펄프의 유연성이 향상되며, 하이드록실(-OH Group)을 활성화하여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S106-1)에서 분무되는 불용성화제 성분이 상기 펄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해제는 질량농도가 8 내지 10%인 규산나트륨 수용액 또는 규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해단계(S106)의 시간이 4시간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고해단계(S106)의 시간이 6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시간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S106-1)는 상기 고해단계(S106)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의 표면에 불용성화제를 분무하여 불용성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고해단계(S106)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 100 중량부의 표면에 불용성화제 15 내지 25 중량부를 분무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불용성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규산나트륨 50 내지 100 중량부, 에탄올 200 내지 300 중량부, 디메틸케톤 15 내지 18 중량부 및 아세트산 6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불용성화제는 펄프의 표면에 도포되고 난 후에, 규산 나트륨이 고화되어 겔(gel)상태의 수지상으로 변화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은 점차 높아지며 경도는 낮아져 유연성이 증진되는데, 이는 수산기(-OH)가 많을 수로 친수성과 반응성은 커지지만, 알킬기(-R)가 증가할수록 반응성은 떨어지고 친유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산은 상기 규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수소이온(H+)의 방출속도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실란테트라올(Si(OH)4)을 생성하는 촉진제 역할을 하는데, 상기 실란테트라올(Si(OH)4)이 상호 축합반응을 통해 고분자 상태의 겔(gel)을 형성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불용성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S106-1)에서 불용성화제의 분무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불용성화제의 분무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조단계(S201), 상기 직조단계(S201)를 통해 제조된 직물을 정련한 후에 가공하는 정련가공단계(S203) 및 상기 정련가공단계(S203)를 통해 정련가공된 직물의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유연제도포단계(S2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조단계(S201)는 상기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를 직조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 100 중량부 대비 폴리유산 원사가 30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직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직조단계(S201)를 거치면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직물이 제공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폴리유산 섬유가 함유되면, 폴리유산 섬유가 나타내는 소수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소취효과 등으로 인해 생분해성은 저하되지 않으면서 인장강도, 내수성능 및 소취성능이 더욱 향상된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련가공단계(S203)는 상기 직조단계(S201)를 통해 제조된 직물을 정련한 후에 가공하는 단계로, 상기 직조단계(S201)를 통해 제조된 직물을 정련한 후에 수세 및 탈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연제도포단계(S205)는 상기 정련가공단계(S203)를 통해 정련가공된 직물의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정련가공단계(S203)를 통해 정련가공된 직물의 표면에 소수성 유연제를 도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수성 유연제의 도포는 상기 정련가공단계(S203)를 통해 가공된 직물을 소수성 유연제가 저장된 수조를 20 내지 4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160 내지 180℃의 온도로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과정을 통해 소수성 유연제가 도포된 직물은 땀이나 수분의 과도한 흡수를 제어하고 부드럽게 하여 촉감이 향상된다.
상기 유연제도포단계(S205)에서 소수성 유연제가 저장된 수조를 통과하는 속도가 20yd/min 미만이면 직물의 이동 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ㅅ소소수성 유연제가 저장된 수조를 통과하는 송도가 40yd/min를 초과하게 되면 소수성 유연제가 직물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소수성 유연제 도포 후에 건조온도가 160℃ 미만이면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며, 건조온도가 180℃를 초과하게 되면 원단이 열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소수성 유연제는 실리콘계 또는 카치온 지방산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연제도포단계(S204) 이후에는 상기 유연제도포단계(S205)를 통해 유연제가 도포된 직물의 표면에 항균탈취제를 도포하는 항균탈취제도포단계(S207)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항균탈취제가 코팅된 직물은 항균 및 탈취효과가 더욱 향상되는데, 상기 항균탈취제는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 광물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백정유 수용액은 상기 항균탈취제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정제수 100 중량부에 편백정유 3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성분으로 제조되는 편백정유 수용액은 직물의 항균 및 탈취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편백정유는 편백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성분을 등록특허 제 10-0828927호에 기재된 정유 추출 압력기로 추출하여 제조되는데, 추출시간은 3 내지 9시간이 적정하다. 그 이유는 추출 시간이 3시간 미만이면 효용가치가 있는 충분한 편백정유가 최대한 추출되지 못하여 그 기능성이 떨어지게 되며, 9시간 초과면 더 이상의 편백정유가 추출되지 않아서 그 추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며, 효율성 및 기능성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7 시간이 적정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편백정유는 테르펜 계통의 유기화합물로 화학성물질이 아닌 천연물질로 인간의 신체에 무리없이 빠르게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임업연구원과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 공동 실험결과 편백정유를 희석하거나 휘산시켜 흡입할 경우라면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전혀 하지 않아도 되는 물질임을 입증해주고 있다.
또한, 편백정유는 강력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데, 임업연구원의 실험결과 편백정유의 항균성은 농약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황산동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의 실험결과 편백 정유는 각종 균에 대한 산균 효과도 매우 뛰어난 것으로 밝히고, 더욱 중요한 점은 이처럼 편백정유가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면서도 기존의 항생제와는 달리 내성이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편백정유에는 피톤치드가 다량함유되어 있는데, 피톤치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침엽수중 편백 피톤치드는 코르티솔 농도를 절반 이하로 감소시키는 가장 뛰어나 효과를 보였다.
상기 편백정유 수용액에 함유된 편백정유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편백정유 수용액에 함유된 편백정유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항균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지나치게 많은 편백정유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제조비용 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광물분말은 30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며, 일라이트, 옥, 자수정, 모나자이트,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및 규조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80 내지 120 중량부, 자수정 80 내지 120 중량부, 모나자이드 20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및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10 내지 200 나노미터의 입자크기로 분쇄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광물분말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항균 및 탈취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속 깊이 전달하며 배끄럽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과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의 상호작용으로 피부 노폐물 배출 및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물분말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광물분말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편백정유 수용액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어 항균 및 탈취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고착제는 40 내지 60 중량부가 함유되며, 황토 100 중량부 및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천연고착제는 편백정유 성분과 광물분말을 직물의 표면에 강력하게 고착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방출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황토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부여하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물과 혼합되면 고착효과를 나타내는데, 황토만을 사용하게 되면 고착효과가 낮기 때문에 황토 100 중량부 대비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고착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진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천연고착제의 고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송진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황토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천연고착제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직물에 대한 편백정유나 광물분말의 견뢰도가 저하되며, 상기 천연고착제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견뢰도 향상효과는 미미하면서 상대적으로 편백정유나 광물분말의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어 직물의 항균성능 및 탈취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항균탈취제를 직물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은 직물을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20 내지 4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항균탈취제가 도포된 직물은 항균 및 탈취효과가 더욱 향상되는데, 상기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통과하는 속도가 20yd/min 미만이면 직물의 이동 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통과하는 속도가 40yd/min를 초과하게 되면, 항균탈취제가 직물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사의 물성과 그 원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직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불용성화제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 규산나트륨 75 중량부, 에탄올 250 중량부, 디메틸케톤 16.5 중량부 및 아세트산 65 중량부를 혼합하여 불용성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편백정유 수용액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에 편백정유 4 중량부를 혼합하여 편백정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광물분말의 제조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100 중량부, 자수정 100 중량부, 모나자이드 25 중량부, 제올라이트 70 중량부, 맥반석 45 중량부, 벤토나이트 23 중량부 및 규조토 23 중량부를 혼합하고 50 나노미터의 평균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광물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항균탈취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광물분말 4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황토 100 중량부 및 송진 65 중량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항균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해조류(파래)를 정제수에 45분 동안 함침한 후에, 흐르는 물로 3회 세척하여 해조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질량농도가 3%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고 98℃의 온도로 30분 동안 증해하고, 상기 증해를 통해 분리된 섬유질을 정선기에 투입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선과정을 진행하여 펄프를 제조하고, 면섬유 100 중량부에 상기 펄프 25 중량부를 도포하고,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T/M(Twist per meter) 600의 꼬임을 부여하여 섬도가 260 데니어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해조류(파래)를 정제수에 45분 동안 함침한 후에, 흐르는 물로 3회 세척하여 해조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질량농도가 3%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고 98℃의 온도로 30분 동안 증해하고, 상기 증해를 통해 분리된 섬유질을 정선기에 투입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선과정을 진행하여 펄프를 제조하고, 제조된 펄프 100 중량부에 고해제(질량농도가 9%인 규산나트륨 수용액) 100 중량부를 혼합하고 5시간 동안 고해한 후에, 고해된 펄프 100 중량부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불용성화제 20 중량부를 분무하고, 면섬유 100 중량부에 불용성화제가 분무된 펄프 25 중량부를 도포하고,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T/M(Twist per meter) 600의 꼬임을 부여하여 섬도가 260 데니어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5을 통해 제조된 원사를 직조하여 직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직물을 정련, 수세 및 탈수하여 가공하고, 가공된 직물을 소수성 유연제(실리콘 유연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 속도로 통과시킨 후에 170℃ 온도로 건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5를 통해 제조된 원사 100 중량부 대비 폴리유산 섬유 40 중량부가 함유되도록 직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6을 통해 제조된 원사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6을 통해 제조된 원사 100 중량부 대비 폴리유산 섬유 40 중량부가 함유되도록 직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이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65℃의 온도로 15분 동안 건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직물이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65℃의 온도로 15분 동안 건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직물이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65℃의 온도로 15분 동안 건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4를 통해 제조된 직물이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항균탈취제가 저장된 수조를 30yd/min의 속도로 통과하도록 한 후에 65℃의 온도로 15분 동안 건조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해조류(파래)를 정제수에 45분 동안 함침한 후에, 흐르는 물로 3회 세척하여 해조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질량농도가 3%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고 98℃의 온도로 30분 동안 증해하고, 상기 증해를 통해 분리된 섬유질을 정선기에 투입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선과정을 진행하여 펄프를 제조하고, 면섬유 100 중량부에 펄프 25 중량부를 도포하여 생분해성 원사를 제조하고,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를 직조하여 직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직물을 정련, 수세 및 탈수하여 가공하여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기계적 물성은 ISO 13934-1에 의해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인장강도의 측정은 인장강도 측정 장치(Sun Scientific co.,LTD.사의 CR-500DX)를 이용하였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에 비해 우수한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 4, 6 및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폴리유산 원사가 함께 직조되어 인장강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의 내수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내수성은 ASTM D 57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증류수에 제조된 직물을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에, 흡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에 비해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와 8은 불용성화제가 분무되며 폴리유산 원사가 함유되어 내수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5 내지 8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의 항균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능은 KS K 0693-1990에 의겨하여 측정하였으며, 항균성능의 측정에 사용된 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lococcus aureus)과 폐렴간균(Klebsiella)이다.}
<표 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5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5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항균소취제 성분이 도포되어 항균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5 내지 8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의 소취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단, 소취성능은 KS K ISO 17299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4>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5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직물에 비해 우수한 소취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5 내지 8을 통해 제조된 직물은 항균소취제 성분이 도포되어 소취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은 해조류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어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며 유해성분이 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수성, 기계적 물성, 항균성 및 소취성 등이 우수한 원사와 직물을 제공한다.
S101 ; 불순물제거단계
S103 ; 증해단계
S105 ; 정선단계
S106 ; 고해단계
S106-1 ; 불용성막형성단계
S107 ; 펄프도포단계
S109 ; 방적단계
S201 ; 직조단계
S203 ; 정련가공단계
S205 ; 유연제도포단계
S207 ; 항균탈취제도포단계

Claims (10)

  1.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95 내지 10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증해하는 증해단계;
    상기 증해단계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는 방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해제는 질량농도가 2 내지 4%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2. 해조류를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해조류를 증해제에 투입하고 95 내지 100℃의 온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증해하는 증해단계;
    상기 증해단계를 통해 제조된 섬유질을 분리하고 정선하는 정선단계;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펄프에 고해제를 혼합하고 고해하는 고해단계;
    상기 고해단계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의 표면에 불용성화제를 분무하여 불용성막을 형성하는 불용성막형성단계;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를 통해 불용성막이 형성된 펄프를 면섬유에 도포하는 펄프도포단계; 및
    상기 펄프도포단계를 통해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방적하는 방적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해제는 질량농도가 2 내지 4%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단계는 상기 정선단계를 통해 제조된 상기 펄프 100 중량부에 고해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혼합하고 4 내지 6시간 동안 고해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해제는 질량농도가 8 내지 10%인 규산나트륨 수용액 또는 규산칼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막형성단계는 상기 고해단계를 통해 고해처리된 펄프 100 중량부의 표면에 불용성화제 15 내지 25 중량부를 분무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불용성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규산나트륨 50 내지 100 중량부, 에탄올 200 내지 300 중량부, 디메틸케톤 15 내지 18 중량부 및 아세트산 6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코토니, 스피노섬, 돌가사리, 김, 해인초, 풀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석묵, 지누아리, 파래, 클로렐라, 장구말, 반달말, 청각, 청태,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감태, 곰피 및 대항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방적단계는 펄프가 도포된 면섬유를 T/M 500 내지 700의 꼬임을 나타내며, 섬도가 180 내지 350 데니어인 얀으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직조단계;
    상기 직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직물을 정련한 후에 가공하는 정련가공단계; 및
    상기 정련가공단계를 통해 정련가공된 직물의 표면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유연제도포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연제는 소수성 유연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수성 유연제는 실리콘계 또는 카치온 지방산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직조단계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 100 중량부 대비 폴리유산 원사가 30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도포단계 이후에는 상기 유연제도포단계를 통해 유연제가 도포된 직물의 표면에 항균탈취제를 도포하는 항균탈취제도포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항균탈취제는 편백정유 수용액 100 중량부, 광물분말 30 내지 50 중량부 및 천연고착제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옥 80 내지 120 중량부, 자수정 80 내지 120 중량부, 모나자이드 20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및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착제는 황토 100 중량부에 송진 5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240013284A 2023-03-13 2024-01-29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KR20240020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41 2023-03-13
KR20230032441 2023-03-13
KR1020230032439 2023-03-13
KR20230032439 2023-03-13
KR20230033053 2023-03-14
KR1020230033053 2023-03-14
KR1020230144436A KR102632532B1 (ko) 2023-03-13 2023-10-26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4436A Division KR102632532B1 (ko) 2023-03-13 2023-10-26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725A true KR20240020725A (ko) 2024-02-15

Family

ID=898991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285A KR20240021201A (ko) 2023-03-13 2024-01-29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240013284A KR20240020725A (ko) 2023-03-13 2024-01-29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285A KR20240021201A (ko) 2023-03-13 2024-01-29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400212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137B1 (ko) 2011-09-23 2013-10-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해조류 섬유를 이용한 궐련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
KR102162664B1 (ko) 2012-07-30 2020-10-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소비자 제품 적용예들을 위한 금속 탑재 해조류 바이오매스 섬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137B1 (ko) 2011-09-23 2013-10-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해조류 섬유를 이용한 궐련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
KR102162664B1 (ko) 2012-07-30 2020-10-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소비자 제품 적용예들을 위한 금속 탑재 해조류 바이오매스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201A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bagyo et al. Banana pseudo-stem fiber: Prepar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Ahmed et al. Hemp as a potential raw material toward a sustainable world: A review
Rana et al. Natural plant fibers: production, processing, properties and their sustainability parameters
Karthik et al.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ligno-cellulosic seed fiber from Pergularia daemia plant for textile applications
KR100426637B1 (ko) 섬유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기 적합한 닥나무 섬유 및 이의제조방법
CN101033564A (zh) 普通及功能性海藻酸钙纤维的制备方法与用途
Mishra et al. Coconut fibre: its structur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Prakash Bamboo fibre
KR101230057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Mudoi et al. Polymer composite material with nettle fiber reinforcement: A review
Kozłowski et al. New emerging natural fibres and relevant sources of information
JP4943908B2 (ja) 葛根繊維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葛根繊維
Rana et al. The bright side of cellulosic hibiscus sabdariffa fibres: towards sustainable materials from the macro-to nano-scale
KR102632532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KR20240020725A (ko) 해조류를 이용한 생분해성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가 함유된 직물의 제조방법
CN112501697A (zh) 一种大麻保健纤维的制备方法
Mohammad Sustainable natural fibres from animals, plants and agroindustrial wastes—An overview
CN106087182B (zh) 一种汉麻纤维三阶复合加工工艺
CN101871128B (zh) 一种萝藦纤维的纺织用棉及加工方法
Unal et al. Production of sustainable banana fibers from agricultural wastes and their properties
Azam et al. Sustainable Raw Materials
Babu et al. Bamboo Fibres: Processing, 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102584499B1 (ko) 방습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994B1 (ko) 생분해성과 항균성을 나타내는 친환경 직물의 제조방법
Doshi Banana fiber to fabric: Process optimization for improving its spinnability and h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