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047A -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047A
KR20240020047A KR1020220098022A KR20220098022A KR20240020047A KR 20240020047 A KR20240020047 A KR 20240020047A KR 1020220098022 A KR1020220098022 A KR 1020220098022A KR 20220098022 A KR20220098022 A KR 20220098022A KR 20240020047 A KR20240020047 A KR 20240020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liquid
wall
contaminated air
vortex chamber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미
Original Assignee
황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미 filed Critical 황은미
Priority to KR102022009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047A/ko
Publication of KR2024002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종래 원호형 와류챔버 구조를 평판형 와류챔버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오염공기의 정화속도 및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 인접하여 연속한 적어도 2개의 와류챔버가 각각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처리액 소모에 따른 각 와류챔버에서의 수위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 형성으로 인하여 각 저장공간에 다른 종류의 처리액을 수용함으로써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Air purification apparatus by negative pressure having improved vortex chamber structure}
본 발명은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종래 원호형 와류챔버 구조를 평판형 와류챔버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오염공기의 정화속도 및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 인접하여 연속한 적어도 2개의 와류챔버가 각각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처리액 소모에 따른 각 와류챔버에서의 수위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 형성으로 인하여 각 저장공간에 다른 종류의 처리액을 수용함으로써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등록 제10-1906985호에 개시된 오염공기 탈취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906985호에 개시된 오염공기 탈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와류챔버(221, 231)에서 유입된 오염공기가 탈취액과 함께 와류를 형성하므로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인데, 특히 이 탈취장치는 배기팬(400)이 작동할 때 음압에 의해서 탈취액의 수위가 포물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 2 와류챔버(221, 231)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1, 2 와류챔버(221, 231)내에서 탈취액의 수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오염공기와 탈취액의 와류형성이 원할해지므로 탈취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탈취장치의 제1 와류챔버(221)는 제1 경사부(222a)와 제1 만곡부(223a)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와류챔버(231)는 제2 경사부(232a)와 제2 만곡부(233a)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인데, 이와 같은 와류챔버 구조는 와류형성을 위해 거의 원형을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와류챔버 내에서 탈취액과 오염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지속적으로 맴돌게 됨으로써 탈취효율은 향상되나 처리속도가 늦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탈취장치는 제1, 2 와류챔버(221, 231)에서 각각 최적의 탈취액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취액 탱크(160)로부터 탈취액이 공급되게 되는데, 장치의 작동중 침수조(110)내의 포물면 형태(배기팬의 작동에 따른 흡입압력에 의해 형성)의 탈취액의 수위가 낮아질때(적색선으로 표시) 제1와류챔버(22)와 제2와류챔버(231) 위치에서 수위가 다르게 변화되므로, 제1와류챔버(22)와 제2와류챔버(231)에서의 최적의 수위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하는 수위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특허등록 제10-19069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와류챔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염공기의 탈취효율 및 정화 처리속도가 향상된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하여 연속한 적어도 2개의 와류발생부가 각각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개선하여 처리액 소모에 따른 각 와류발생부에서의 수위조절을 간편하게 하고,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 형성으로 인하여 각 저장공간에 다른 종류의 처리액을 수용함으로써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내부공간의 하측에 처리액이 수용되고, 상기 처리액의 수면부에 제1,2 와류발생부를 구비하며,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제1,2 와류발생부를 경유하여 처리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이 구비된 처리액조와;
상기 처리액조의 내부공간 상부측에 배치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어 상기 처리액조에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오염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1,2 와류발생부를 경유하여 처리된 공기를 상기 배기관으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구비하는 오염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와류발생부는 상기 유입관측 상기 처리액조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오염공기 유입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는 상기 제1 와류발생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배기팬과 상기 처리액 수면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처리액조의 내측 일부 내벽에 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상기 선단부와 마주보는 다른 내벽에 사이에는 상기 제2 와류발생부를 경유한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상승통로를 형성하는 상부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와류발생부는 상기 상부차단벽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 수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액조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오염공기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 수중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과 이격되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격벽과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1경사벽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격벽과 제1경사벽 사이에서 상기 처리액과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1와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는 상기 상부차단벽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 수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 수중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과 이격되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격벽과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2경사벽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2격벽과 제2경사벽 사이에서 상기 처리액과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2와류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경사벽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에어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경사벽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에어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벽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격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벽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격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차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가이드와 대향되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 및 처리액이 통과되는 제1노즐을 형성하는 제1처리액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처리액가이드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액의 유동을 억제하는 제1연장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에어가이드와 대향되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 및 처리액이 통과되는 제2노즐을 형성하는 제2처리액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액가이드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액의 유동을 억제하는 제2연장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경사벽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처리액조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차단벽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차단벽에 의해서 상기 처리액이 분리되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수용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제1압력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조와, 상기 제2수용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와, 상기 제2압력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2처리액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제1처리액이 수용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제2처리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처리액과 제2처리액은 상호 처리액 성분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액은 유입되는 오염공기중 유류성분을 제거하는 유류 제거제 성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처리액은 오염공기중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 성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류 제거제는 생물학적 제거제로서 유류 흡착능이 있도록 건조된 피트모스와, 유류 분해능이 있는 바실러스속 및/또는 슈도모나스속 미생물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제 성분은 중량%로, 혐기성균과 호기성균이 함께 공존된 채 융합 발효시킨 미생물종균 배양액 20 내지 40중량%, 당밀 5 내지 15중량%, 정제수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벽의 상단부에 상기 제2격벽 방향으로 돌출한 제1역류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에 상기 제1경사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충돌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차단벽의 단부에 하향 연장된 하향연장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벽의 상단부에 상기 하향연장판 방향으로 돌출한 제2역류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조에 발생되는 거품이 회수되는 거품포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제1와류챔버(A)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제1격벽(110)과 제1경사벽(120)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제2와류챔버(B)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제2격벽(210)과 제2경사벽(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오염공기의 정화속도 및 정화효율을 향상시킨다.
둘째, 처리액조(100)에 하부차단벽(150)을 형성하여서, 제1와류챔버(A)가 배치되는 제1수용공간(101)과 제2와류챔버(B)가 배치되는 제2수용공간(102)으로 분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와류챔버(A)에서의 오염공기와 처리액의 와류형성의 최적의 수위조절과 상기 제2와류챔버(B)에서의 오염공기와 처리액의 와류형성의 최적의 수위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치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세째, 제1수용공간(101)에 제1처리액(1a)을 수용하고, 제2수용공간(102)에는 제2처리액(1b)을 수용하여서, 하나의 정화장치로써 오염공기중의 다른 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악취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샘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샘플의 거품발생 상태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 실시예의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는 종래 원호형 와류챔버 구조를 평판형 와류챔버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오염공기의 정화속도 및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 인접하여 연속한 적어도 2개의 와류챔버가 각각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처리액 소모에 따른 각 와류챔버에서의 수위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독립된 처리액 저장공간 형성으로 인하여 각 저장공간에 다른 종류의 처리액을 수용함으로써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산업적 또는 경제적 목적으로 정유공장, 화학공장, 하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시설·오수처리시설, 매립장 등과 같은 시설들이 세워지며, 이러한 시설들로부터는 악취, 분진 및 기름 성분 등의 오염공기가 배출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정화장치는 상기와 같은 오염공기를 유입시켜 처리액과 오염공기를 와류형성하여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정화장치는 내부공간의 하측에 처리액(1)이 수용되고, 탈취제가 혼합된 처리액(1)의 수면부에 제1,2 와류발생부(100,200)를 구비하며,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처리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12)이 배치된 처리액조(10)를 구비한다.
상기 처리액조(10)는 4개의 측벽과 상면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처리액조(100)의 내부공간 상부측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어 상기 처리액조(10)에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유입관(11)으로부터 오염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를 경유하여 처리된 공기를 상기 배기관(12)으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와류발생부(100)는 상기 유입관(11)측 상기 처리액조(10)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오염공기 유입공간(C)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는 상기 제1 와류발생부(110)와 연통되어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배기팬(13)과 상기 처리액(1) 수면 사이에는 상부차단벽(300)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차단벽(300)은 사각 판형상으로 세부분의 가장자리는 상기 처리액조(10)의 내측 3개의 측벽에 고정되고, 나머지 가장자리는 다른 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0)를 경유한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상승통로(D)를 형성하도록 측벽과 이격된다.
상기 제1 와류발생부(100)는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액조(10)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오염공기 유입공간(C)을 형성하는 제1격벽(110)과, 상기 제1격벽(1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중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과 이격되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격벽(110)과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1경사벽(12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 와류발생부(100)는 상기 제1격벽(110)과 제1경사벽(120) 사이에서 상기 처리액(1)과 상기 유입관(410)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1와류챔버(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0)는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벽(12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격벽(210)과, 상기 제2격벽(2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중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과 이격되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격벽(210)과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2경사벽(220)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0)는 상기 제2격벽(210)과 제2경사벽(220) 사이에서 상기 처리액과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2와류챔버(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기팬(13)의 가동으로 처리액조(10) 내부가 음압을 형성하게 되어 처리액(1)의 수면이 포물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에서 와류가 형성되면서 오염공기가 정화되어 배기관(12)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처리액(1)의 수분이 배출되어 처리액(1)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의 제1,2격벽(110,210)의 하단부가 처리액(1)의 포물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나게 되면 처리액과 오염공기의 혼합 와류가 원할하게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상기 오염공기 유입공간(C)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16)와, 상기 제1압력센서(16)의 압력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처리액조(10)에 처리액(1)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 공급조(1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실시예의 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배기팬(13)의 작동전에는 처리액조(10)에 수용된 처리액(1)의 수면은 수평상태이다.
상기 배기팬(13)이 작동되면 상기 처리액조(10) 내에 음압이 형성되면서 처리액(1)의 수면은 포물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격벽(110)과 제2격벽(210)의 하단부는 포물수면부에 배치되도록 상호 높낮이가 다르게 배치된다.
상기 처리액조(10) 내의 음압에 의해서 상기 유입관(11)을 통하여 오염공기가 유입공간(C)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격벽(110)의 하단부를 통하여 오염공기가 처리액(1)의 일부와 함께 제1와류챔버(A) 측으로 뿜어져 나오면서 상기 제1경사벽(120)에 충돌된 후 하방향으로 맴돌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와류형성으로 제1와류챔버(A) 내에서 오염공기는 1차적으로 정화된다.
이어서 제1와류챔버(A)내 분무형태의 오염공기와 처리액(1)은 배기팬(13)의 흡입압(음압)에 의해서 상승되어 상기 제1경사벽(120)과 제2격벽(2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격벽(110)과 제1경사벽(120) 사이의 간격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므로 분무형태의 오염공기와 처리액(1)의 일부는 상부에서는 빠른 속도로 상기 제1경사벽(120)과 제2격벽(2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중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승되는 오염공기와 접촉하면서 정화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1경사벽(120)과 제2격벽(2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된 1차 정화된 오염공기는 상기 제2격벽(210)의 하단부를 통하여 처리액(1)의 일부와 함께 제2와류챔버(B) 측으로 뿜어져 나오면서 상기 제2경사벽(220)에 충돌된 후 하방향으로 맴돌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와류를 형성하면서 제2와류챔버(B) 내에서 오염공기가 2차적으로 정화된다.
이어서 제2와류챔버(B)내 분무형태의 오염공기와 처리액(1)은 배기팬(13)의 흡입압(음압)에 의해서 상승되어 상기 제2경사벽(120)과 하향연장판(3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격벽(210)과 제2경사벽(220) 사이의 간격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므로 분무형태의 오염공기와 처리액(1)의 일부는 상부에서는 빠른 속도로 상기 제2경사벽(220)과 하향연장판(3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중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2와류챔버(B)로부터 상승되는 오염공기와 접촉하면서 정화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 와류챔버(A,B)를 경유하면서 정화된 오염공기 및 일부 분무 형태의 처리액(1)은 공기상승통로(D)를 통하여 상기 배기관(12)으로 배출된다.
한편, 정화장치의 가동중 처리액(1)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보다 낮아지게 되면서 처리액조(10)내의 음압 압력에 변동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압력센서(16)의 압력 감지신호에 따라 제1처리액 공급조(14)로부터 상기 처리액조(10)에 처리액(1)을 공급하여 보충하게 된다.
이에따라서 제1,2격벽(110,210)의 하단부가 처리액(1)의 포물면에 유지하게 되어 처리액과 오염공기의 혼합 와류가 원할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경사벽(120)의 상단부에 상기 제2격벽(210) 방향으로 돌출한 제1역류방지턱(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210)에 상기 제1경사벽(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충돌턱(210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단부에 하향 연장된 하향연장판(31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벽(220)의 상단부에 상기 하향연장판(310) 방향으로 돌출한 제2역류방지턱(2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역류방지턱(120a)과 충돌턱(210a)은 상기 제1와류챔버(A)로부터 이동되어 오는 오염공기와 처리액의 회전유동(도 2의 화살표)을 안내하여 오염공기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역류방지턱(220a)과 하향연장판(310)은 상기 제2와류챔버(B)로부터 이동되어 오는 오염공기와 처리액의 회전유동(도 2의 화살표)을 안내하여 오염공기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킨다.
[제 2 실시예]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이 배치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이 추가되며,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 및 동일 작동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제2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상기 제1격벽(1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경사벽(120)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에어가이드(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2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경사벽(220)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에어가이드(211)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팬(13) 구동에 의한 처리액조(10) 내부의 음압형성에 의해서 유입관(11)을 통한 오염공기가 상기 제1와류챔버(A)로 유입될때, 상기 제1에어가이드(111)는 유입되는 오염공기 및 처리액의 일부가 상기 제1경사벽(120)에 충돌되어 와류를 원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제2에어가이드(211)는 제1와류발생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공기 및 처리액의 일부가 상기 제2경사벽(220)에 충돌되어 제2와류챔버(B)에서의 와류를 원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제2실시예의 정화장치는 상기 제1경사벽(12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격벽(1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차단벽(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벽(22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격벽(2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차단벽(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벽(121) 및 제2차단벽(221)은 각각 처리액(1)중에 혼입된 이물질 또는 처리과정중 발생되는 거품이 상기 제1와류챔버(A) 및 제2와류챔버(B)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실시예]
제3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 구성이 배치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이 추가되며, 제2실시예와 동일 구성 및 동일 작동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3실시예의 실험 정화장치의 샘플사진이다. 도 7은 정화장치의 가동시 처리액중에 첨가된 탈취제로 인한 거품(가)이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111)와 대향되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 및 처리액(1)이 통과되는 제1노즐(115)을 형성하는 제1처리액가이드(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처리액가이드(112)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액(1)의 유동을 억제하는 제1연장벽(113)이 형성된다.
또한,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상기 제2에어가이드(211)와 대향되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 및 처리액(1)이 통과되는 제2노즐(215)을 형성하는 제2처리액가이드(2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액가이드(212)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액(1)의 유동을 억제하는 제2연장벽(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2노즐(115,215)은 오염공기 및 처리액(1)의 유속을 상승시켜서 와류형성을 원할하게 하여 정화효율을 높인다. 이때 제1,2노즐(115,215)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관(1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3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장치의 가동중에 발생되는 거품(가)을 회수하는 거품포켓(15)이 처리액조(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거품(가)을 거품포켓(15)으로 회수되게 함으로써 정화된 공기의 배출을 원할하게 한다.
[제 4 실시예]
제4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구성리 배치되고, 이하 설명되는 구성이 추가되며, 제3실시예와 동일 구성 및 동일 작동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제4실시예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일단이 상기 제1경사벽(12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처리액조(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차단벽(15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하부차단벽(150)에 의해서 처리액조(10)는 상기 처리액(1)이 분리되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01)과 제2수용공간(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는 제1처리액(1a)이 수용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102)에는 제2처리액(1b)이 수용된다.
상기 제1처리액(1a)과 제2처리액(1b)은 상호 처리액 성분이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처리액(1a)은 유입되는 오염공기중 유류성분을 제거하는 유류 제거제 성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처리액(1b)은 오염공기중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 성분이 포함된다.
상기 유류 제거제는 생물학적 제거제로서 유류 흡착능이 있도록 건조된 피트모스와, 유류 분해능이 있는 바실러스속 및/또는 슈도모나스속 미생물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제 성분은 중량%로, 혐기성균과 호기성균이 함께 공존된 채 융합 발효시킨 미생물종균 배양액 20 내지 40중량%, 당밀 5 내지 15중량%, 정제수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정화장치로써 오염공기중의 유류성분을 제거와, 오염공기중의 악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배기팬(13)의 가동으로 처리액조(10) 내부가 음압을 형성하게 되어 처리액(1)의 수면이 포물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에서 와류가 형성되면서 오염공기가 정화되어 배기관(12)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처리액(1)의 수분이 배출되어 처리액(1)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에서 처리액과 오염공기의 혼합 와류가 원할하게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정화장치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01)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16)와, 상기 제1압력센서(16)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제1처리액(1a)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 공급조(14)와, 상기 제2수용공간(102)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17)와, 상기 제2압력센서(17)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102)에 제2처리액(1b)을 공급하는 제2처리액 공급조(24)를 구비한다.
A...제1와류챔버 B...제2와류챔버
C...유입공간 D...공기상승통로
가...거품
1...처리액 10...처리액조
11...유입관 12...배기관
13...배기팬 14...제1처리액 공급조
15...거품포켓 16...제1압력센서
17...제2압력센서 24...제2처리액 공급조
100...제1와류발생부 200...제2와류발생부
101...제1수용공간 102...제2수용공간

Claims (12)

  1. 내부공간의 하측에 처리액(1)이 수용되고, 상기 처리액(1)의 수면부에 제1,2 와류발생부(100,200)를 구비하며,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를 경유하여 처리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관(12)이 구비된 처리액조(10)와;
    상기 처리액조(10)의 내부공간 상부측에 배치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어 상기 처리액조(10)에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유입관(11)으로부터 오염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1,2 와류발생부(100,200)를 경유하여 처리된 공기를 상기 배기관(12)으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3);을 구비하는 오염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와류발생부(100)는 상기 유입관(11)측 상기 처리액조(10)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오염공기 유입공간(C)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는 상기 제1 와류발생부(110)와 연통되어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배기팬(13)과 상기 처리액(1) 수면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처리액조(10)의 내측 일부 내벽에 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상기 선단부와 마주보는 다른 내벽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0)를 경유한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상승통로(D)를 형성하는 상부차단벽(3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와류발생부(100)는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처리액조(10)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오염공기 유입공간(C)을 형성하는 제1격벽(110)과, 상기 제1격벽(1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중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과 이격되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격벽(110)과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1경사벽(120)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격벽(110)과 제1경사벽(120) 사이에서 상기 처리액(1)과 상기 유입관(410)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1와류챔버(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와류발생부(200)는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벽(12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격벽(210)과, 상기 제2격벽(2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단부가 상기 처리액(1) 수중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차단벽(300)과 이격되며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2격벽(210)과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제2경사벽(220)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2격벽(210)과 제2경사벽(220) 사이에서 상기 처리액과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함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2와류챔버(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1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경사벽(120)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에어가이드(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21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경사벽(220)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에어가이드(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벽(12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격벽(1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차단벽(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벽(22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격벽(2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차단벽(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가이드(111)와 대향되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 및 처리액이 통과되는 제1노즐(115)을 형성하는 제1처리액가이드(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처리액가이드(112)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액(1)의 유동을 억제하는 제1연장벽(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에어가이드(211)와 대향되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공기 및 처리액이 통과되는 제2노즐(215)을 형성하는 제2처리액가이드(2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액가이드(212)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액(1)의 유동을 억제하는 제2연장벽(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경사벽(12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처리액조(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차단벽(150)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차단벽(150)에 의해서 상기 처리액(1)이 분리되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101)과 제2수용공간(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제1수용공간(101)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16)와,
    상기 제1압력센서(16)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 공급조(14)와,
    상기 제2수용공간(102)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17)와,
    상기 제2압력센서(17)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수용공간(102)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2처리액 공급조(24)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는 제1처리액(1a)이 수용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102)에는 제2처리액(1b)이 수용되며,
    상기 제1처리액(1a)과 제2처리액(1b)은 상호 처리액 성분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액(1a)은 유입되는 오염공기중 유류성분을 제거하는 유류 제거제 성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처리액(1b)은 오염공기중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 성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류 제거제는 생물학적 제거제로서 유류 흡착능이 있도록 건조된 피트모스와, 유류 분해능이 있는 바실러스속 및/또는 슈도모나스속 미생물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제 성분은 중량%로, 혐기성균과 호기성균이 함께 공존된 채 융합 발효시킨 미생물종균 배양액 20 내지 40중량%, 당밀 5 내지 15중량%, 정제수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벽(120)의 상단부에 상기 제2격벽(210) 방향으로 돌출한 제1역류방지턱(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210)에 상기 제1경사벽(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충돌턱(210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차단벽(300)의 단부에 하향 연장된 하향연장판(31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벽(220)의 상단부에 상기 하향연장판(310) 방향으로 돌출한 제2역류방지턱(2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유입공간(C)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16)와, 상기 제1압력센서(16)의 압력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처리액조(10)에 처리액(1)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 공급조(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조(10)에 발생되는 거품(가)이 회수되는 거품포켓(15)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을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KR1020220098022A 2022-08-05 2022-08-05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KR20240020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22A KR20240020047A (ko) 2022-08-05 2022-08-05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022A KR20240020047A (ko) 2022-08-05 2022-08-05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47A true KR20240020047A (ko) 2024-02-14

Family

ID=8989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022A KR20240020047A (ko) 2022-08-05 2022-08-05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0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985B1 (ko) 2018-03-16 2018-10-11 주식회사 이엠제이 오염공기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985B1 (ko) 2018-03-16 2018-10-11 주식회사 이엠제이 오염공기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836B1 (ko) 아토마이징 장치
RU2455239C1 (ru) Способ эффектив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ффектив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0962711B1 (ko) 음향 공진형 탈취장치
CN108067093A (zh) 空气接触式药液除臭装置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CN102083509A (zh) 流体处理设备
CN1986034A (zh) 一种增强型喷射鼓泡气体生物吸收净化装置
WO2013042197A1 (ja) 排煙脱硫設備における廃水処理設備
JP6278796B2 (ja) 脱臭装置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KR20240020047A (ko) 와류챔버 구조가 개선된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RU106615U1 (ru) Комп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окислительным каналом для эффектив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687646B1 (ko) 습식 집진장치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CN216236508U (zh) 一种油脂分解型餐饮废水处理装置
JPH06315696A (ja) 活性汚泥槽のための消泡装置
CN213112982U (zh) 一种工业废水快速处理系统
KR100301521B1 (ko)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JP3667823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230111718A (ko) 음압에 의한 오염공기 정화장치
RU2007109365A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й аэрации и дегазаци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0512545A (ja) 汚濁廃水の浄化用反応槽
KR100469317B1 (ko) 오존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시스템
KR200209804Y1 (ko)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