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005A -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 Google Patents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005A
KR20240020005A KR1020220097915A KR20220097915A KR20240020005A KR 20240020005 A KR20240020005 A KR 20240020005A KR 1020220097915 A KR1020220097915 A KR 1020220097915A KR 20220097915 A KR20220097915 A KR 20220097915A KR 20240020005 A KR20240020005 A KR 2024002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exhaust
intak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용
Original Assignee
김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용 filed Critical 김일용
Priority to KR102022009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005A/ko
Publication of KR2024002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를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상부 인방과 하부인방의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의 내기와 접촉하는 내벽체와, 상기 내벽체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각목형상의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되어 실외의 외기와 접촉하고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상기 내벽체와 이격되어 통기를 위한 레인스크린을 형성하는 마감벽체를 포함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인방과 마감벽체의 하단 사이에는 외기가 상기 레인스크린으로 유입될 수 있는 흡기공이 복수개 형성된 흡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인방과 마감벽체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레인스크린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승하여 배기될 수 있는 배기공이 복수개 형성된 배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The ventilaiton structure of the drywall of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한옥 건식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옥주택의 건식벽의 내부에 레인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자연환기를 이용하여 한옥의 내, 외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한옥을 건축할 때 벽체는 일반적으로 습식공법을 사용하여 시공했다.
습식공법에 의한 벽체 시공은 조적이나 엣대 시공후 흙이나 시멘트로 미장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습식벽체는 건축법에 명시된 단열기준에 미달되고, 흙이나 시멘트가 건조된 후 수축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하며, 그 크랙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한옥의 습식벽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양 목조주택의 건식벽체를 시공하는 건식공법을 차용하여 시공하게 되었다.
그런데 건식벽체에 통기구조가 구비되지 않으면 결로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고, 목재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선행문헌과 같은 기술들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0428(2001.2.2.)에는 "사람이 주거하거나 생활하는 통상의 건축물(주로 주택)에 있어서, 건축물 내벽(14), 지붕(12) 및 바닥(40)의 외부측에 소정 간격의 통풍공간(30)을 두고 별도로 시공하는 외벽(20), 외지붕(22) 및 다수개의 기초석(52)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이중바닥(50)과, 상기 외벽(20)의 상부 사방면에 설치하는 통풍창(26) 및 외벽(20) 하부 사방면에 설치하는 배수와 통기를 겸하는 다수개의 배수/통기관(60)과, 외부로 통하는 창문(24)의 창문틀(24) 및 현관문의 현관문틀은 내벽(14), 외벽(20) 및 통풍공간(30)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구조의 건축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단순히 내벽과 외벽 사이에 통풍공간을 두어 통기구조를 마련한 구조에 불과하여 최초 시공시 이중벽으로 건축하므로 기존 단일벽에 레인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외벽을 설치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외기가 유입되는 배수/통기관은 단순히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물질이나 벌레가 유입되어 통풍공간이 막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유입구에 방충망을 설치하기도 했으나 이는 오히려 외기의 유입을 지연시켜 원활한 환기를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9109에는 "건축 구조물에 시공되는 건식 벽체에 있어서, 수직 골조의 양측 대향면에 설치되는 실내 및 실외측 벽체; 상기 실내·외측 벽체의 안쪽면 각각에 설치되는 실내·외측 단열재; 상기 실내·외측 단열재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벽체의 하부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와 실내측 벽체의 상부에 형성된 환기구와 연통하여 공기를 유입 혹은 배출시켜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 단열재는 그 외면이 평활면으로 되고, 상기 실내측 단열재는 그 외면이 파형 면으로 되어 실내측 단열재의 공기 접촉 면적이 실외측 단열재의 공기 접촉 면적에 비해 증가되며, 겨울철 난방시 실내의 뜨거운 공기가 실내측 단열재에 전달되어 상기 실내측 단열재의 파형 면과 접촉된 공기통로의 공기가 가열에 의해 상승한 후 환기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환기가 가능한 건식 벽체"가 개시되었는데, 이것은 외기가 벽체를 통과하여 내기로 유입되는 통기구조라서 실내의 온도가 낮아지는 단열상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0428(2001.2.2.)"이중벽 구조의 건축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9109(2014.7.7.)"자연환기가 가능한 건식벽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 외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원활하게 배기할 수 있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는, 상부 인방과 하부인방의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의 내기와 접촉하는 내벽체와, 상기 내벽체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각목형상의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되어 실외의 외기와 접촉하고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상기 내벽체와 이격되어 통기를 위한 레인스크린을 형성하는 마감벽체를 포함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인방과 마감벽체의 하단 사이에는 외기가 상기 레인스크린으로 유입될 수 있는 흡기공이 복수개 형성된 흡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인방과 마감벽체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레인스크린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승하여 배기될 수 있는 배기공이 복수개 형성된 배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하부인방에 밀착되는 흡기하판과, 상기 마감벽체에 밀착되는 흡기상판과, 상기 흡기상판과 흡기하판을 연결하고 복수개의 흡기공이 형성되는 흡기판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상부인방에 밀착되는 배기상판과, 상기 마감벽체에 밀착되는 배기하판과, 상기 배기상판과 배기하판을 연결하고 복수개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판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상판과 마감벽체 사이에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벽체의 하단을 탄성지지하는 흡기탄지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배기하판과 마감벽체 사이에는 단면이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부재의 상단을 탄성지지하는 배기탄지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흡기탄지판에는 상기 마감벽체의 하단과 결합시킬 수 있는 흡기결합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배기탄지판에는 상기 마감벽체의 상단과 결합시킬 수 있는 배기결합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벽체는 벽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목과, 상기 구조목 사이 사이에 맞춤삽입 및 배열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외면과 내면에 부착되는 합판과,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부착된 합판에 부착되는 방수투습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흡기부재로 외기가 유입되고 레인스크린을 따라 상승하여 배기부재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통기가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실내에서 데워진 습한 공기가 투습방수지를 투과하여 배출되고, 레인스크린 공간을 통해 외기와 함께 상승하여 배기될 수 있으므로 결로현상이 방지된다.
셋째, 흡기부재의 흡기공과 배기부재의 배기공을 통해 외기의 유입, 배출은 원활하지만, 벌레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기부재와 배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아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크게, 내벽체(100), 이격부재(200), 마감벽체(300) 및 흡기부재(400)와 배기부재(500)를 포함해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내벽체(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내벽체(100)는 한옥 주택의 실내와 직접 접촉하는 주(main) 벽체로서, 상부인방(U)과 하부인방(D) 사이에 입설된다. 참고로, 인방은 전통건축에서 벽면을 상하 구분 짓는 자재이며, 기둥과 기둥 사이 또는 출입문과 창의 상하에 가로 놓여 벽체와 골조를 지지해주는 나무나 돌을 말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체(100)는 구조목(110), 단열재(120), 합판(130), 방수투습지(140)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목(110)은 상기 내벽체(100)의 프레임, 다시 말해서, 뼈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조목(110)을 상부인방(U)과 하부인방(D)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열하여 설치한다.이때, 상기 구조목(110)은 16인치 간격으로 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조목(110)은 보통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목(110) 사이 사이에는 실내외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1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120)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생산되므로 상기 구조목(110) 사이 사이에 하나 이상씩 맞춤삽입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조목(110)과 단열재(120)의 양면, 즉 실내 측 내면과 실외 측 외면에는 각각 합판(13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합판(130)은 상기 내벽체(100)의 내외부 기본면을 형성한다.
상기 합판(130)은 일반 합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OSB 합판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은 잘게 파쇄된 나무조각들을 압착 및 접착하여 제조되는 목재패널이다.
또한, 상기 합판(130)에는 방수투습지(140)가 부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단열재(120)의 외면에 부착된 합판(130)에 부착된다.
상기 방수투습지(140)는 실외로부터 물이 흡수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이 있으며 실내의 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투습지(140)는 하우스 랩이라고 하는데, 주로 타이벡(Tyvec)가 사용될 수 있고, 유로벤트(Eurovent)나 한스펙(Hanspek)도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격부재(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격부재(200)는 상기 내벽체(100)와 마감벽체(300) 사이에 통기를 위한 공간인 레인스크린(R)을 형성시키기 위한 각목형상의 부재이다. (도 1 참조)
상기 이격부재(200)는 단면이 15㎜ × 30㎜인 각목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방수투습지(140)의 외면에 고정하는데, 상기 구조목(110)의 간격과 같이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재(200)의 사이 사이에 레인스크린(R)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벽체(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마감벽체(300)는 상기 레인스크린(R)을 덮어 마감하기 위한 벽체로서, 상기 이격부재(200)에 결합되어 실외의 외기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레인스크린(R)은 상기 마감벽체(300)와 내벽체(100) 및 두 이격부재(200)에 의해 터널과 같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벽체(300)는 시멘트보드(310)와 마감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보드(310)는 상기 레인스크린(R)을 덮도록 상기 이격부재(200)에 고정된다.
상기 시멘트보드(310)의 표면에는 시멘트 미장을 하거나, 스타코 등의 다양한 마감재(320)로 마무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감벽체(3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자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사항인 흡기부재와 배기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기부재와 배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점선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상기 흡기부재(400)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에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흡기하판(410), 흡기상판(420), 흡기판(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흡기탄지판(440) 및 흡기결합판(4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부재(400)는 흡기하판(410)과 흡기상판(420) 및 흡기판(430)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대략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긴 부재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평판을 두번 직각으로 절곡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하판(410)은 상기 하부인방(D)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고, 상기 흡기상판(420)은 상기 마감벽체(300)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며, 상기 흡기판(430)은 상기 흡기하판(410)과 흡기상판(420)의 일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흡기판(430)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흡기공(431)이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431)을 통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상판(420)과 마감벽체(300) 하단 사이에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하단을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흡기탄지판(4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탄지판(440)은 단면이 'ㄱ'형상일 수 있고 상기 흡기상판(420)으로부터 연장형성되거나 절곡시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탄지판(440)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흡기결합판(4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결합판(450)은 상기 마감벽체(300)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흡기부재(400)를 상기 마감벽체(300)에 단단히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 상기 마감벽체(300)의 하단이 개방된 구조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물질이나 벌레가 함께 유입되어 레인스크린(R)이 막히는 문제가 있었고, 방충망을 설치한 경우 오히려 외기의 유입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흡기공(431)이 형성된 흡기부재(400)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이나 벌레의 유입은 차단하면서, 외기의 원활한 유입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상기 배기부재(500)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인스크린(R)을 통과한 외기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배기상판(510), 배기하판(520), 배기판(53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기탄지판(540) 및 배기결합판(5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배기부재(500)는 배기상판(510)과 흡기하판(410) 및 배기판(530)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대략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긴 부재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평판을 두번 직각으로 절곡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상판(510)은 상기 상부인방(U)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고, 상기 배기하판(520)은 상기 마감벽체(300)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며, 상기 배기판(530)은 상기 배기상판(510)과 배기하판(520)의 일단을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기판(530)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배기공(531)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공(531)을 통해 외기가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하판(520)과 마감벽체(300)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마감벽체(300)의 상단을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배기탄지판(5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탄지판(540)은 단면이 'ㄴ'형상일 수 있고 상기 배기하판(520)으로부터 연장형성되거나 절곡시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탄지판(540)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배기결합판(5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결합판(550)은 상기 마감벽체(300)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부재(500)를 상기 마감벽체(300)에 단단히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의 더운 외기는 상기 흡기공(431)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레인스크린(R)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배기공(531)을 통해 배출되는 대류과정이 반복된다. 따라서, 자연적인 통기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므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의 데워진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는 상기 방수투습지(140)를 통해 상기 레인스크린(R)으로 배출되고, 상기 레인스크린(R)을 따라 외기와 함께 상승하여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므로 자연적으로 습기가 제거되어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내벽체
110 : 구조목 120 : 단열재
130 : 합판 140 : 방수투습지
200 : 이격부재
300 : 마감벽체
310 : 시멘트보드 320 : 마감재
400 : 흡기부재
410 : 흡기하판 420 : 흡기상판
430 : 흡기판 431 : 흡기공
440 : 흡기탄지판 450 : 흡기결합판
500 : 배기부재
510 : 배기상판 520 : 배기하판
530 : 배기판 531 : 배기공
540 : 배기탄지판 550 : 배기결합판
R : 레인스크린
U : 상부인방 D : 하부인방

Claims (5)

  1. 상부 인방과 하부인방의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의 내기와 접촉하는 내벽체와, 상기 내벽체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각목형상의 이격부재와,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되어 실외의 외기와 접촉하고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상기 내벽체와 이격되어 통기를 위한 레인스크린을 형성하는 마감벽체를 포함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인방과 마감벽체의 하단 사이에는 외기가 상기 레인스크린으로 유입될 수 있는 흡기공이 복수개 형성된 흡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인방과 마감벽체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레인스크린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승하여 배기될 수 있는 배기공이 복수개 형성된 배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하부인방에 밀착되는 흡기하판과, 상기 마감벽체에 밀착되는 흡기상판과, 상기 흡기상판과 흡기하판을 연결하고 복수개의 흡기공이 형성되는 흡기판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상부인방에 밀착되는 배기상판과, 상기 마감벽체에 밀착되는 배기하판과, 상기 배기상판과 배기하판을 연결하고 복수개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판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상판과 마감벽체 사이에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벽체의 하단을 탄성지지하는 흡기탄지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배기하판과 마감벽체 사이에는 단면이 '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부재의 상단을 탄성지지하는 배기탄지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탄지판에는 상기 마감벽체의 하단과 결합시킬 수 있는 흡기결합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배기탄지판에는 상기 마감벽체의 상단과 결합시킬 수 있는 배기결합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는 벽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목과, 상기 구조목 사이 사이에 맞춤삽입 및 배열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외면과 내면에 부착되는 합판과,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부착된 합판에 부착되는 방수투습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건식벽체 통기구조.
KR1020220097915A 2022-08-05 2022-08-05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KR20240020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15A KR20240020005A (ko) 2022-08-05 2022-08-05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15A KR20240020005A (ko) 2022-08-05 2022-08-05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05A true KR20240020005A (ko) 2024-02-14

Family

ID=8989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915A KR20240020005A (ko) 2022-08-05 2022-08-05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0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28Y1 (ko) 2000-10-24 2001-04-16 전창옥 이중벽 구조의 건축물
KR101419109B1 (ko) 2012-03-29 2014-07-11 (주)엘지하우시스 자연 환기가 가능한 건식 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28Y1 (ko) 2000-10-24 2001-04-16 전창옥 이중벽 구조의 건축물
KR101419109B1 (ko) 2012-03-29 2014-07-11 (주)엘지하우시스 자연 환기가 가능한 건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888B1 (en) Interconnected double hull construction for basements
KR101518239B1 (ko) 건축용 단열 복합 판넬의 조립 및 설치구조
US8567139B2 (en) “Log” buildings with strengthening and insulating saddles
US8122657B2 (en) Metal “log” buildings with rigid insulation
CN211948952U (zh) 一种新型地下室防潮防凝露结构
KR20240020005A (ko) 한옥 건식벽체의 통기구조
EP2358948A1 (en) Peripheral load-bearing wall for low-energy buildings
US1443986A (en) Building construction
JP2007284973A (ja) 煉瓦積み建築物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EP3090105B1 (en) Device for extracting moisture from a wall
JP7479686B2 (ja) 壁パネル
US20060096222A1 (en) Multi-use walls comprising tongue-and-groove tiles and a metal structure which is intended for, for example, floors, walls fences and steps
KR100870128B1 (ko)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JP7264990B2 (ja) 建築壁
JPS628248Y2 (ko)
JP3368486B2 (ja) 建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20190037549A (ko) 이중벽체 구조의 건축물
US1440384A (en) Ventilating system
JPH0216428B2 (ko)
JP2003328460A (ja) 住宅の通気工法
AT507427B1 (de) Dämmelement
JP3080581U (ja) 自然通気層を有する建築物
JPH1183102A (ja) 換気口ユニット
CZ305962B6 (cs) Vnitřní provětrávaný segmentový sok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