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926A -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 Google Patents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926A
KR20240019926A KR1020220097744A KR20220097744A KR20240019926A KR 20240019926 A KR20240019926 A KR 20240019926A KR 1020220097744 A KR1020220097744 A KR 1020220097744A KR 20220097744 A KR20220097744 A KR 20220097744A KR 20240019926 A KR20240019926 A KR 2024001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le forming
guard
cut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원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원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원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9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926A/ko
Publication of KR2024001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의 가드본체, 가드본체의 연부 일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되어 있는 판면상태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하는 손잡이형성부 및 손잡이형성부의 손잡이상태를 유지시키는 손잡이형성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Medical Droplet Blocking Guard}
본 발명은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중에 튀는 피 등의 액체방울을 막을 수 있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에 관한 것이다.
외과적인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그 종류 및 난이도 등에 따라 수술부위에서 혈액, 뼛조각, 조직 및 세척액 등이 튀어 오른다. 이렇게 튀어 오른 혈액, 뼛조각, 조직 및 세척액 등이 의사의 수술고글 등에 묻게 되면 수술을 집도하기 어려우므로 보조하는 수술간호사는 평평한 판으로 튀어 오르는 혈액, 뼛조각, 조직 및 세척액 등을 막는다.
그러나 이렇게 평평한 판은 수술실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멸균작업을 반드시 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또한, 이렇게 평평한 판은 손잡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므로 보조간호사가 잡고 있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판이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므로 시야를 가릴 수 있으므로 수술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편안하게 비산물을 막을 수 있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의 가드본체; 상기 가드본체의 연부 일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되어 있는 판면상태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하는 손잡이형성부;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손잡이형성부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하는 절곡기립부; 및 상기 손잡이형성부의 상기 손잡이상태를 유지시키는 손잡이형성유지부를 포함한다. 평판 형상이었다가 간단하게 손잡이를 만들 수 있고 기립하여 있으므로 이에 따라 수술 중에 발생하는 비산물을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의 수술 고글 등에 묻어 시야를 방해하거나 비멸균 영역에 붙었다가 다시 수술부위로 떨어져 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형성유지부는, 상기 손잡이형성부의 일측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걸림턱; 및 상기 손잡이형성부의 타측에 절개되어 상기 절개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된 절개걸림부를 포함하면 손잡이형성부를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를 간단한 조작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기립부는, 상기 가드본체의 영역에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판면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하는 마는 동작에 따라 상기 가드본체가 판면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면 가드본체가 흔들리지 않고 기립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곡기립부는 상기 손잡이형성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가까워지는 형상을 갖고, 적어도 2개로 형성되면 손잡이형성부가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흔들리지 않고 더욱 안정적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상기 절곡기립부는 상기 손잡이형성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폭 이내의 영역에서 형성되면 손잡이형성부를 말아서 손잡이상태를 형성시키면서 절곡기립부에 의해 가드본체가 절곡된 형상이 되면서 안정된 기립상태가 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 형상이었다가 간단하게 손잡이를 만들 수 있고 기립하여 있으므로 이에 따라 수술 중에 발생하는 비산물을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의 수술 고글 등에 묻어 시야를 방해하거나 비멸균 영역에 붙었다가 다시 수술부위로 떨어져 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형성부를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를 간단한 조작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가드본체가 흔들리지 않고 기립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형성부가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흔들리지 않고 더욱 안정적일 수 있고, 손잡이형성부를 말아서 손잡이상태를 형성시키면서 절곡기립부에 의해 가드본체가 절곡된 형상이 되면서 안정된 기립상태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2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의 형성 동작도이다.
도 3은 절곡기립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손잡이형성부와 손잡이형성유지부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5는 손잡이형성부의 변형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의 실시 예시도이고, 도 2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의 형성 동작도이며, 도 3은 절곡기립부(40)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손잡이형성부(20)와 손잡이형성유지부(30)의 변형 예시도이며, 도 5는 손잡이형성부(20)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의 구성을 설명한다.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는 가드본체(10), 손잡이형성부(20), 손잡이형성유지부(30), 절곡기립부(40), 손잡이정렬부(50) 및 삼각대(60)를 포함한다.
가드본체(10)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가드본체(10)는 비산물을 막기 위해서 넓은 판상을 가질 수 있다. 가드본체(10)는 비산물이 발생하는 수술부위를 알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형성부(20)는 가드본체(10)의 연부 일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되어 있는 판면상태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한다. 손잡이형성부(20)는 판면상태일 경우는 가드본체(10)와 동일한 판면의 상태이다가 사용자가 말아서 후술할 절개걸림턱(31)에 절개걸림부(32)를 걸리도록 하여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형성부(20)는 손잡이형성본체(21), 손잡이형성절개부(22) 및 손잡이형성돌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형성본체(21)는 판면상태일 경우는 가드본체(10)와 동일한 판면의 상태이다. 손잡이형성본체(21)는 사용자가 말아서 절개걸림턱(31)에 절개걸림부(32)를 걸리도록 하여 손잡이상태가 된다.
손잡이형성절개부(22)는 손잡이형성부(20)의 일측에 절개되어 형성된다. 손잡이형성절개부(22)는 손잡이의 단면의 직경이 크고 작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221, 222)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형성절개부(22)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마는 횟수가 많으면 손잡이의 직경이 작아지고 적게 말면 손잡이의 직경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형성돌출부(23)는 손잡이형성부(20)의 타측에 절개되어 손잡이형성절개부(22)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절개걸림턱(31)에 절개걸림부(32)를 걸린 후 손잡이형성돌출부(23)는 원형 단면의 손잡이 형태에서 튀어나온 형태로 있을 수 있는데 손잡이형성절개부(22)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여 튀어나오지 않는 원형 손잡이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형성유지부(30)는 손잡이형성부(20)의 손잡이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손잡이형성유지부(30)는 손잡이형성부(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걸림턱(31)과 절개걸림부(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개걸림턱(31)은 손잡이형성부(20)의 일측에 절개되어 형성된다.
절개걸림부(32)는 손잡이형성부(20)의 타측에 절개되어 절개걸림턱(31)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절개걸림부(32)는 손잡이의 단면의 직경이 크고 작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절개걸림부(32)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마는 횟수가 많으면 손잡이의 직경이 작아지고 적게 말면 손잡이의 직경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절곡기립부(40)는 가드본체(10)의 영역에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절개되어 형성되며, 판면상태에서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하는 마는 동작에 따라 가드본체(10)가 판면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가드본체(10)는 얇은 판상이며 투명한 비닐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스로 직립할 수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형성부(20)가 말려서 손잡이형태가 되면 조금 판상이 휘어져 직립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손잡이형성부(20)가 말리는 형태 및 위치 등에 의해 휘어지는 형태가 변경될 수 있고 풀리는 방향으로 어그러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나 절곡기립부(40)가 가드본체(10)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가드본체(10)가 판면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기립부(40)는 손잡이형성부(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가까워지는 형상을 갖고, 적어도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절곡기립부(40)는 손잡이형성부(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폭 이내의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절곡기립부(40)의 간격이 손잡이형성부(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폭보다 큰 경우 손잡이형성부(20)가 말리는 형태 및 위치 등에 의해 가드본체(10)의 형상이 휘어지는 형태가 변경될 수 있고 풀리는 방향으로 어그러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절곡기립부(40)가 1개만 형성되는 경우 가드본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정렬부(50)는 손잡이형성부(20)가 말리는 둘레방향으로 돌출 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형성부(20)를 마는 동작을 할 때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며 정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항상 정확하게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삼각대(60)는 수술 중에 간호사가 손잡이형성부(20)를 잡고 계속 있어야 하므로 수술을 도와야 하는 경우 이를 만족스럽게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삼각대(60)는 손잡이형성부(20)를 잡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의 형성 동작도이다.
도 2 (a) 손잡이형성부(20)가 가드본체(10)와 동일한 판면상태이다.
도 2 (b) 사용자는 손잡이형성부(20)를 말아서 절개걸림턱(31)에 절개걸림부(32)가 걸리도록 한 후 손잡이형성절개부(22)에 손잡이형성돌출부(23)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여 손잡이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에 의해 간호사가 손잡이 부분을 잡고 비산물을 막을 수 있다.
도 3은 절곡기립부(40)의 예시도이다.
도 3 (a) 절곡기립부(40)가 가드본체(10) 상에 평행하게 함몰 또는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3 (b) 절곡기립부(40)가 가드본체(10) 상에 간격이 점점 줄어들면서 함몰 또는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절곡기립부(40)가 평행한 상태인 경우 가드본체(10)의 휘어지는 정도가 상하 전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절곡기립부(40)가 간격이 점점 줄어들면서 형성되면 가드본체(10)의 휘어지는 정도가 상측은 적게 하측은 많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립도는 절곡기립부(40)가 평행한 상태인 경우가 절곡기립부(40)가 간격이 점점 줄어들면서 형성된 것 보다 높을 수 있다.
도 4는 손잡이형성부(20)와 손잡이형성유지부(30)의 변형 예시도이다.
손잡이형성부(20)의 손잡이형성절개부(22)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 손잡이형성절개부(221)와 제2 손잡이형성절개부(2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형성유지부(30)의 절개걸림턱(31)이 제1절개걸림턱(311)과 제1절개걸림턱(312)의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손잡이형성부(20)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5 (a), 도 5 (b) 및 도 5 (c) 에는 손잡이정렬부(50)가 손잡이형성부(20)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 가로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되며 손잡이형성부(20)를 말아서 손잡이 형태를 만드는 경우 돌출부분이 함몰부분에 대응되도록 하면서 말아서 만들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가드본체(10)의 연부 형상에 따라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절곡기립부(40)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테면 가드본체(10)의 연부 형상이 평행한 형상이면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절곡기립부(40)의 형상도 평행한 형상일 수 있다. 가드본체(10)의 연부 형상이 부채 형상으로 외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면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절곡기립부(40)의 형상도 외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가드본체(10)와 손잡이형성부(20)의 연결부위는 둥그런 형상으로 연결되어 손잡이형성부(20)가 손잡이 형태로 말아지는 경우에도 찢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가드본체(10)의 하측 연부 즉, 손잡이형성부(20)에 대면하는 하측 연부 영역에는 절개걸림턱과 절개걸림부가 형성되어 말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가드본체(10) 하측이 말려 있으므로 말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날카로운 가드본체(10)의 하측 연부에 베이거나 수술용 장갑이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드본체(10)의 연부 전체 영역에서 절개걸림턱과 절개걸림부가 형성되어 말려 고정되도록 하여 가드본체(10)의 연부 전체 영역에 의해 베이거나 수술용 장갑이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드본체(10)의 측방 연부에는 다른 가드본체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절개걸림턱과 절개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넓은 영역을 비산물 차단하려는 경우 복수의 가드본체(10)를 연결하여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1)로 인하여, 평판 형상이었다가 간단하게 손잡이를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술 중에 발생하는 비산물을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의 수술 고글 등에 묻어 시야를 방해하거나 비멸균 영역에 붙었다가 다시 수술부위로 떨어져 오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형성부(20)를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를 간단한 조작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가드본체(10)가 흔들리지 않고 기립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형성부(20)가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흔들리지 않고 더욱 안정적일 수 있고, 손잡이형성부(20)를 말아서 손잡이상태를 형성시키면서 절곡기립부(40)에 의해 가드본체(10)가 절곡된 형상이 되면서 안정된 기립상태가 될 수 있다.
1: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10: 가드본체
20: 손잡이형성부 21: 손잡이형성본체
22: 손잡이형성절개부 221: 제1 손잡이형성절개부
222: 제2손잡이형성절개부 23: 손잡이형성돌출부
30: 손잡이형성유지부 31: 절개걸림턱
311: 제1절개걸림턱 312: 제2절개걸림턱
32: 절개걸림부 40: 절곡기립부
50: 손잡이정렬부 60: 삼각대

Claims (5)

  1.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에 있어서,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의 가드본체;
    상기 가드본체의 연부 일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되어 있는 판면상태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말아서 형성된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하는 손잡이형성부;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손잡이형성부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하는 절곡기립부; 및
    상기 손잡이형성부의 상기 손잡이상태를 유지시키는 손잡이형성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형성유지부는,
    상기 손잡이형성부의 일측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걸림턱; 및
    상기 손잡이형성부의 타측에 절개되어 상기 절개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된 절개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립부는,
    상기 가드본체의 영역에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판면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상태가 되도록 맘에 따라 상기 가드본체가 판면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기립부는 상기 손잡이형성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가까워지는 형상을 갖고,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5. 제4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상기 절곡기립부는 상기 손잡이형성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폭 이내의 영역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KR1020220097744A 2022-08-05 2022-08-05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KR20240019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744A KR20240019926A (ko) 2022-08-05 2022-08-05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744A KR20240019926A (ko) 2022-08-05 2022-08-05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926A true KR20240019926A (ko) 2024-02-14

Family

ID=8989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744A KR20240019926A (ko) 2022-08-05 2022-08-05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9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222B2 (en) Multi-purpose phacoemulsification needle
US9364329B2 (en) Cutting/bending tool for polymer implant
US11317983B2 (en) Surgical probe with an integrated motion sensor
US10499942B2 (en) Carpal tunnel release systems and methods
DE202004021969U1 (de) Abdecktuch-Anordnung für ein chirurgisches Mikroskop
KR20240019926A (ko) 의료용 비산물 차단가드
US20130138036A1 (en) Surgical implements with suction and irrigation passages
US6210324B1 (en) Lever retractor for surgical flaps with handle
WO2012147934A1 (ja) 医療用ナイフ
DE102020208679A1 (de) UV-Laser basiertes System zur Fehlsichtigkeitskorrektur und Kontaktinterface
US10363113B1 (en) Adjustable containment shield
US10806481B2 (en) Surgical device for use in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endoscopic cubital tunnel release (ECuTR), and endoscopic plantar fasciitis release (EPFR)
JP6955003B2 (ja) 表面テクスチャを有する手術器具
US7264626B2 (en) Blood vessel knife
US20160128780A1 (en) Scissor mounted blood spray shield
JP2005334054A (ja) 医療用刃物
US20210030513A1 (en) Surgical Instrument
CN218009876U (zh) 一种髋关节股骨头圆韧带切割器
JP2017506135A (ja) 医療機器
RU2612585C1 (ru) Лезвиедержатель
JP6885623B2 (ja) 鏡体
RU48153U1 (ru) Склерокомпрессор для витреоретинальных вмешательств
RU111431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доль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глазодвигательных мышц
CN117597095A (zh) 套管针插管组件帽件
AU2015207866B2 (en) Multi-purpose phacoemulsification nee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