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522A -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 Google Patents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522A
KR20240019522A KR1020220097258A KR20220097258A KR20240019522A KR 20240019522 A KR20240019522 A KR 20240019522A KR 1020220097258 A KR1020220097258 A KR 1020220097258A KR 20220097258 A KR20220097258 A KR 20220097258A KR 20240019522 A KR20240019522 A KR 2024001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vertical plate
heigh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홍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트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트라코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트라코
Priority to KR102022009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522A/en
Publication of KR2024001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52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과다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물의 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 유입우려를 최소화하여 물을 청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악취방지를 위해 물을 자주 비워주면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위치하는 화분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과 내부 전측에 각각 물공급홈 및 상기 물공급홈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홈을 형성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물공급홈에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물공급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물유입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xcessive inflow of water,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growth efficiency of plants planted in pots. In addition,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and the phenomenon of water splashing is prevented. Furthermore, the water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by minimizing the risk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eaf debris and topsoil entering, so there is no need to empty and clean the water frequently to prevent bad odors, which can greatly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It relates to a plant stand for wall recording, comprising: a main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the other side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body toward the top of the body at a certain length to seat an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dy. and; It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seating portion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water over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and the water supply groove flows into the inner rear and inner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 vertical plate forming a water inflow groove; Water supply grooves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vertical plat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ther sid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groove a discharge pipe discharging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guide pipe vertical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being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guiding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Description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본 발명은 물의 과다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물의 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 유입우려를 최소화하여 물을 청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악취방지를 위해 물을 자주 비워주면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excessive inflow of water,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growth efficiency of plants planted in pots. In addition,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and the phenomenon of water splashing is prevented. Furthermore, the water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by minimizing the risk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eaf debris and topsoil entering, so there is no need to empty and clean the water frequently to prevent bad odors, which can greatly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This is about a plant stand for wall greening.

근래 그 어느 때보다 환경과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식물을 식재하는 벽면녹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interior design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wall greening, which involves planting plants on the exterior or interior walls of buildings, is attracting attention.

특히, 벽면녹화는 인테리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독성물질인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벤젠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켜 준다.In particular, wall greening not only enhances the interior design, but also purifies the air by removing toxic substances such as formaldehyde, carbon dioxide, and benzene from the air.

한편, 식물의 증산 작용을 통해 건물의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saving energy by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uilding through the transpiration of plants.

통상적으로 벽면녹화는 벽면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에 화분을 넣을 화분케이스를 거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벽면녹화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벽면녹화 작업시 벽의 방수 작업을 필요하지 않게하고 전문기업이나 전문인이 아니더라도 설치를 쉽고 빠르게 벽돌 쌓듯이 할 수 있도록 한 수직화분 및 벽면녹화용 조립식 식생패널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24493호로 제안된 바 있다.Typically, for wall greening, a bracket is mounted on the wall, and a flower pot case for flower pots is placed on the bracket. In relation to wall greening, recently, waterproofing of the wall is no longer required during wall greening work, and specialized companies or A prefabricated vegetation panel for vertical flower pots and wall greening that can be installed easily and quickly, even if you are not a professional, like laying bricks, has been proposed in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4493.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24493호의 경우, 식생패널의 관수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식생패널의 하부방향의 물받이에 담아 저장하게 된다.In the case of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4493,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rrigation hole of the vegetation panel is stored in a water pan toward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panel.

그러나, 상기 물받이에 저장되는 물에 포함된 낙엽부스러기, 토양 등의 이물질에 의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물받이에 저장된 물이 오염되어 악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자주 비워주면서 상기 물받이를 청소해주어야 하는 등의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time pass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pan is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leaf debris and soil contain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pan, causing a foul odor. Ther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pan is frequently emptied and the water pan is cleaned. There are problems that require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24493호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449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물의 과다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물의 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 유입우려를 최소화하여 물을 청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악취방지를 위해 물을 자주 비워주면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an prevent excessive inflow of water,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growth efficiency of plants planted in pots. In addition, the water level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djust easily, water splashing can be minimized, and furthermore, the water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by minimizing the risk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eaf debris and topsoil entering, so it is necessary to empty and clean the water frequently to prevent bad odo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ower pot holder for wall greening that can greatly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n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위치하는 화분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과 내부 전측에 각각 물공급홈 및 상기 물공급홈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홈을 형성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물공급홈에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물공급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물유입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the other side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body toward the top of the body at a certain length to seat an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dy. and; It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seating portion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water over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and the water supply groove flows into the inner rear and inner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 vertical plate forming a water inflow groove; Water supply grooves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vertical plat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ther sid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groove a discharge pipe discharging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guide pipe vertical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being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guiding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plant holder for wall greening is provided, which includes:

여기서, 상기 안착부의 전측면에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인 화분을 안착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on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front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s it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o that it slopes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s it go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is desirable for an inclined surface to be formed to support the flower pot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그리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높이 조절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tube is preferably provided vertically inside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so that its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본체의 고정구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수직으로 억지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된 상태로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fixture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guide tube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ture of the main body in a vertically press-fitted or screwed stat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desirable.

나아가, 상기 안내관은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tube is exposed to a certain leng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더불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에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storage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store water discharged towards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ipe.

여기서, 상기 물저장부의 저장된 물을 상기 본체의 물공급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라인과; 상기 안내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guide line guid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to the water supply groove of the main body; a pump provided in the guide line and pump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preferably provided.

아울러, 상기 수위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그리고, 상기 본체의 안내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물이 저장되는 보조물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water storage part is provided to store water guid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a guide tub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안내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물을 상기 보조물저장부로 안내하는 보조안내라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uxiliary guide line that guides water guid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guide pipe of the main body to the auxiliary water storage unit is preferably provided.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 전측에 수용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이 수직판을 기준으로 본체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물공급홈에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형성된 물유입홈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물공급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물유입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통해 상기 물공급홈에서 상기 물유입홈 방향으로 물이 과다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물유입홈으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더불어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상기 본체 방향으로 낙하하는 물의 튐 현상을 상기 안내관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quired for the growth of plants planted in pots accommod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overflows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te, thereby facilitating the water inflow groove form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Of course, the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through a discharge pipe that discharges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groov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guide pipe that guides the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Excessive inflow of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inflow groove can be prevented,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growth efficiency of plants planted in pots, and the level of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uide pip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and in addition, the splashing phenomenon of water falling toward the other body located below one of the main bodies can be more easily minimized through the guide pipe. There is an effect.

나아가, 상기 물유입홈으로 공급된 물에 포함된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이 상기 물유입홈의 물과 함께 상기 안내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어 상기 물공급홈 방향으로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물유입홈으로 유입된 물에 비해 상기 물공급홈으로 공급된 물이 청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foreign matter such as fallen leaves and topsoil contained i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let groove can be guid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guide pipe along with the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so that i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groove. Not only can the risk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eaf debris and topsoil being introduced can be minimized, but this also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in a clean water state compared to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아울러,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의 물저장부로 청수 상태인 물이 저장될 수 있어 종래처럼 상기 물저장부의 악취방지를 위해 상기 물저장부의 물을 자주 비워주면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상기 물저장부의 유지관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fresh water can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towar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o there is no need to frequently empty and clean the water storage unit to prevent bad odors as in the past, thereby increasing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water storage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로부터 안내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가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복수행 및 복수열로 적층된 본체의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체의 적층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체의 내부에 화분이 수용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배출관을 통해 물공급홈의 청수 상태인 물이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 및 안내관을 통해 물유입홈의 물이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일예의 물저장부가 본체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4는 일예의 보조물저장부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ower pot holder for wall green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tub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body in an overturned state;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1;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cking state of the main body stacked in multiple rows and multiple columns;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cked state of the main body viewed from the sid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wer pot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when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side showing that fres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water from the water inlet groove is guid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guide pipe;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side of an example of a water storage uni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storage unit viewed from the fro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로부터 안내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가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t stand for wall green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tub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turned over. It is a perspective view that repres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안착부(20), 수직판(30), 배출관(40) 및 안내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lant stand for wall green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nsists of a main body (10), a seating part (20), a vertical plate (30), a discharge pipe (40), and a guide pipe (50). It is made including.

먼저, 상기 본체(10)는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일정간격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하부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끼움축(12)이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0 is intended to accommodate po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serting axes 12 at each lower corner of the main body 10 are fix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lengthwise.

상기 본체(1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각각 끼움구(13)가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Fitting holes 13 may be formed at each upper corner of the main body 10 at a certain depth.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수용될 화분의 하부를 안착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 중간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Next, the seating portion 20 is for sea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to be accommod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middl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t protrudes at a certain length and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ther side.

상기 안착부(20)의 전측면에 경사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2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20.

상기 안착부(20)의 경사면(21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210 of the seating portion 20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s it go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o the lower part.

다음으로, 상기 수직판(3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측으로 공급된 물이 화분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으로 오버플로우되면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착부(20) 사이의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Next, the vertical plate 30 is designed to allow water supplied to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overflow and be easily supplied to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where the flower pot is located. It may be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seating portions 20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상기 수직판(30)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측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홈(11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 water supply groove 110 through which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 is supplied may be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vertical plate 30.

그리고, 상기 수직판(30)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물유입홈(12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inlet groove 120 may be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vertical plate 30.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상기 물공급홈(110)으로 공급된 물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물공급홈(110)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은 화분이 수용된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형성된 상기 물유입홈(120)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As the water level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gradually rises, the water over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110 flows to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where the flower pot is accommodated. It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formed in .

다음으로, 상기 배출관(4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상기 물공급홈(110)에 공급된 물을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판(3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상기 물공급홈(110)에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discharge pipe 40 is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vertical plate 30 ) may be formed in the water supply groove 110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하적층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물공급홈(110)에 공급된 물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물공급홈(110)에 공급된 물의 일부가 상기 배출관(40)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bodies and stacked vertically, the level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of any one of the main bodies 10 gradually rises, and a por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may overflow into the discharge pipe 40 and be discharg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one of the main bodies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40.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물은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상기 본체(10)의 물공급홈(110)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toward the lower part of one of the main bodies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40 enters the water supply groove 110 of the other main body 1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ne main body 10. Can fall in any direction.

이때, 다른 상기 본체(10)의 물공급홈(110)으로 낙하한 물의 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40)의 하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splash phenomenon of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of the other main body 10,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40 is ang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3. It can be exposed in a vertically extended state at a certain length.

다음으로, 상기 안내관(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형성된 상기 물유입홈(120)의 물을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판(30)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Next, the guide pipe 50 is for guiding the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120 form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vertical plate 30 It may be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main body 10 in the front direction.

상기 본체(1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하적층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물유입홈(120)으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물유입홈(120)에 공급된 물의 일부가 상기 안내관(50)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안내관(5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 is made of a plurality and stacked vertically, the level of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of any one of the main body 10 gradually rises, and a por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may overflow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50 and be guided downward to one of the main bodies 10 through the guide tube 50.

상기 안내관(5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물은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상기 본체(10)의 물유입홈(120)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toward the lower part of one of the main bodies 10 through the guide pipe 50 enters the water inlet groove 120 of the other main body 1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ne main body 10. ) direction.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1,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이때, 다른 상기 본체(10)의 물유입홈(120)으로 낙하한 물의 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안내관(50)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splash phenomenon of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of the other main body 10, the guide pipe 50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4 and 5. It can be exposed in a vertically extended state for a certain length in any direction.

도 6 및 도 7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1.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40)의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30)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서 상기 배출관(40)의 상단부까지의 상하길이(L1)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서 상기 수직판(30)의 상단부까지 상하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6 and 7, in order to ensure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40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30, the discharge pipe ( The upper length (L 1 )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40) may be greater than the upper length (L 2 )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30.

그리고, 상기 안내관(50)의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30)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서 상기 안내관(50)의 상단부까지의 상하길이(L3)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서 상기 수직판(30)의 상단부까지 상하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n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tube 50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30,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tube 50 The upper length (L 3 )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upper length (L 2 )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30.

상기 물공급홈(110)의 물(2)을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상기 배출관(40) 및 상기 물유입홈(120)의 물(2)을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상기 안내관(50)을 통해 상기 물공급홈(110)에서 상기 물유입홈(120) 방향으로 물(2)이 과다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e discharge pipe 40 discharges the water 2 of the water supply groove 110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water 2 of the water inlet groove 120 flows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inflow of water (2)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110) toward the water inflow groove (120) through the guide pipe (50) that guides in this direction,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s planted in pots.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으로, 상기 안내관(5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30)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하높이 조절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guide tube 50 will be vertical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30 so that its height can be manually adjusted up and down by the user. You can.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수직판(30)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구(11)가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fixture 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30.

그리고, 상기 안내관(50)은 상기 본체(10)의 고정구(11)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수직으로 억지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된 상태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tube 50 can be inserted and fixed vertically into the fixture 11 of the main body 10 in a press fit or screwed stat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상기 안내관(5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안내관(50)의 상하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물유입홈(120)으로 유입된 물(2)의 수위를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By raising or lowering the guide pipe 50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of the guide pipe 50, the level of the water 2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It can be easily adjusted.

도 8은 복수행 및 복수열로 적층된 본체의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체의 적층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cked state of the main body stacked in multiple rows and multiple columns, and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cked state of the main body viewed from the side.

상기 본체(1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본체(10)의 끼움축(12)이 다른 상기 본체(10)의 끼움구(13)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된 상태로 복수개의 상기 본체(1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행 및 복수열로 상하적층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dies, with the fitting shaft 12 of one of the main bodies 10 being detachably fitted to the fitting hole 13 of the other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can be stacked vertically in multiple rows and multiple columns as shown in FIGS. 8 and 9.

도 10은 본체의 내부에 화분이 수용된 상태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배출관을 통해 물공급홈의 청수 상태인 물이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 및 안내관을 통해 물유입홈의 물이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wer pot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ure 11 shows that fres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is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rough a discharge pipe and through a guide pipe.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side showing the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being guid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분(3)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flower pot 3 is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 downward sloping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o the lower rear of the main body 10. It can be accepted.

그리고, 상기 안착부(20)의 경사면(21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전측에 경사진 상태로 수용된 화분(3)의 하부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210 of the seating part 20 can seat an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3 accommodated in an inclined state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물유입홈(120)에 유입된 물에 포함된 토양 등의 이물질(5)은 상기 물유입홈(120)의 바닥면에 침전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5 such as soil contained 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may sett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inlet groove 120.

상기 물유입홈(120)에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5) 중 상기 물유입홈(120)에 유입된 물에 부유하는 상기 화분(3)의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5)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유입홈(120)의 물(2)과 함께 상기 안내관(50)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도 11의 실선 화살표 참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물유입홈(120)에서 상기 물공급홈(110) 방향으로 낙엽부스러기, 상토 등의 이물질(5)이 유입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물유입홈(120)으로 유입된 물에 비해 상기 물공급홈(110)으로 공급된 물이 청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mong the foreign substances 5 contained 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foreign substances 5 such as fallen leaves and topsoil of the flower pot 3 floating 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are As shown in FIG. 11, the water 2 in the water inlet groove 120 can be guided towar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guide pipe 50 (see solid arrow in FIG. 11).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foreign substances 5 such as fallen leaves and topsoil flowing from the water inlet groove 120 toward the water supply groove 110, as well as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 120. Compar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roove 110 can maintain a clean water state.

도 12는 일예의 물저장부가 본체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of an example of a water storage uni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행 및 복수열로 상하적층된 상태인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방향에 물저장부(6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a water storage unit 6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mos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that are stacked vertically in multiple rows and multiple columns.

상기 물저장부(60)는 상기 배출관(40)을 통해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청수 상태인 물(2)을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물저장부(6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unit 60 is for storing fresh water 2 discharged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40 at a certain height. The upper part of section 60 may be open.

상기 물저장부(60)로 청수 상태인 물(2)이 저장될 수 있어 종래처럼 상기 물저장부(60)의 악취방지를 위해 상기 물저장부(60)의 물(2)을 자주 비워주면서 청소할 필요가 없어 상기 물저장부(60)의 유지관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Fresh water (2) can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60), so as in the past, the water (2) in the water storage unit (60) is frequently emptied to prevent bad odor from the water storage unit (60). Since there is no need for cleaning,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water storage unit 60 can be greatly improved.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물공급홈(110)으로 순환공급하기 위해, 안내라인(70), 펌프(80), 수위감지부(90) 및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circulate and supply fresh water (2) stored at a certain height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to the water supply grooves (110)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 guide line is used. (70), a pump 80,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and a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안내라인(70)의 하부가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라인(70)의 하부는 일예로, 상기 물저장부(6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part of the guide line 70 is watertight in the rear lower part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6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line 7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60. The connection can be fixed.

상기 안내라인(70)의 상부는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물공급홈(1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guide line 70 may be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groove 110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상기 안내라인(70)은 상기 물저장부(60)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상부의 물공급홈(110)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guide line 70 can guide fresh water 2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60 to the water supply grooves 110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상기 안내라인(7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line 70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pipes and hoses.

상기 펌프(80)는 상기 물저장부(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안내라인(7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60)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상기 안내라인(70) 내부로 강제펌핑할 수 있다.The pump 8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line 70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ter storage unit 60, and supplies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60. Forceful pumping can be performed inside the guide line (70).

상기 수위감지부(90)는 상기 물저장부(60)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level of fresh water 2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60.

상기 수위감지부(90)는 일예로, 하부수위감지부(910)와 상부수위감지부(920)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may be composed of a low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and an upp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20.

상기 하부수위감지부(910)는 상기 안내라인(70)의 하부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물저장부(60)의 일측 내주면 하부 또는 타측 내주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water level sensing unit 910 may be provided below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r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60 so as to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line 70.

상기 상부수위감지부(910)는 상기 물저장부(60)의 일측 내주면 상부 또는 타측 내주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r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6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감지부(9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8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ump 8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상기 하부수위감지부(910)가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80)는 상기 안내라인(70)의 내부로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강제펌핑할 수 있다.When the low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detects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the pump 8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guide line 70. It is possible to forcibly pump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into the .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하부수위감지부(910)가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8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As the water level of the fresh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2) decreases, the low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detects the fresh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2). If not detected, the pump 80 may be stopped from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도 13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부(9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 출력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3, a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100 may be provided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는 부저소리, 사이렌 소리 등 다양한 종류의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100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speaker that outputs various types of notification sounds, such as a buzzer sound or a siren sound.

상기 수위감지부(90)의 하부수위감지부(910)가 상기 물저장부(60)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201)에서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low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detects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the power supply unit ( In 201), the power supply to 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100 may be cut off, causing 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100 to stop operating.

상기 수위감지부(90)의 하부수위감지부(910)가 상기 물저장부(60)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가 전원공급부(2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저소리 등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로 일반 상하수도 등을 이용하여 청수상태인 물을 일정높이로 충진시킬 수 있다.If the low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fails to detect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the notifica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sound output unit 100 can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1 and output a notification sound such as a buzzer sound, which allows the user to use general water and sewerage into the water storage unit 60 to provide fresh water. It can be filled with fresh water to a certain height.

상기 수위감지부(90)의 상부수위감지부(920)가 상기 물저장부(60)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가 전원공급부(2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알림음을 출력하되, 이때의 알림음은 상기 하부수위감지부(910)가 상기 물저장부(60)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하지 못했을 때 출력되는 알림음과는 다른 알림음 일예로, 사이렌 소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upp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20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detects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the notification sound is soun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output unit 1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01 and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sound is generated by the low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10 using fresh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As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sound that is different from 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when (2) is not detected, a notification sound that may be a siren sound may be output.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청수상태인 물(2)을 일정량 배출시킬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user can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fresh water 2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60 to the outside.

상기 수위감지부(90)의 상부수위감지부(920)가 상기 물저장부(60)의 내부에 저장된 청수 상태인 물(2)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201)에서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음 출력부(10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If the upper water level detection unit 920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90 fails to detect water 2 in a fresh water state stored inside the water storage unit 60,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The power supply from the supply unit 201 to 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100 may be cut off, causing 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100 to stop operating.

도 14는 일예의 보조물저장부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storage unit viewed from the front.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물유입홈(120)에 유입된 이물질(5)이 포함된 물(2)은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 외부방향으로 그대로 배출될 수 있다.Next, the water 2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5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grooves 120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may be discharged as is towar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

또는, 상기 물저장부(60)와 인접한 지면에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물저장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an auxiliary water storage unit 300 may be provided on the ground adjacent to the water storage unit 60,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ter storage unit 60, as shown in FIG. 14.

상기 보조물저장부(300)는 상기 안내관(50)을 통해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 외부방향으로 안내되는 이물질(5)이 포함된 물(2)을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물저장부(30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The auxiliary water storage unit 300 is used to store water 2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5, which is guided towar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through the guide pipe 50, at a certain height. As such,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may be open.

그리고, 상기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안내관(50)을 통해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 외부방향으로 안내되는 이물질(5)이 포함된 물을 상기 보조물저장부(300)로 안내하는 보조안내라인(40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5, which is guided towar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through the guide tubes 50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is guided to the auxiliary water storage unit 300. An auxiliary guide line 400 may be provided.

상기 보조안내라인(400)은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의 안내관(50)과 상기 물저장부(60) 사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guide line 400 may be horizontally provided between the lowermost guide tubes 50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60.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의 안내관(50)과 상기 보조안내라인(400)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최하부의 안내관(50)의 하부는 각각 상기 보조안내라인(400)의 상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s of the lowermost guide tubes 50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re each connected to the auxiliary guide lines 400 so that the lowermost guide tubes 50 of the main body 10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guide lines ( It can be watertight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top of 400).

상기 보조안내라인(400)과 상기 보조물저장부(300)가 연통되도록 상기 보조안내라인(40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보조물저장부(300)의 상부 일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The other side, which is opposite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guide line 400, may be watertightly connected and fixed to on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so that the auxiliary guide line 400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communicate. .

10; 본체, 20; 안착부,
30; 수직판, 40; 배출관,
50; 안내관.
10; body, 20; Seating part,
30; vertical board, 40; discharge pipe,
50; Guide.

Claims (10)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위치하는 화분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과 내부 전측에 각각 물공급홈 및 상기 물공급홈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홈을 형성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형성된 물공급홈에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물공급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구비되고,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물유입홈의 물을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With the main bod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the other side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body toward the top of the body at a certain length to seat an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locat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ody. and;
It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seating portion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water over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groove and the water supply groove flows into the inner rear and inner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 vertical plate forming a water inflow groove;
Water supply grooves form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vertical plat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ther sid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groove a discharge pipe discharging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guide pipe vertical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being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guiding water in the water inlet groov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전측면에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인 화분을 안착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fron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front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s it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rea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s it go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plant stand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support the flower pot in the photo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높이 조절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guide tube is a plant stand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is vertical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전측방향의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본체의 고정구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수직으로 억지끼움고정 또는 나사결합된 상태로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3,
A fixture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plate,
The guide tube is a plant holder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is inserted and fixed vertically in a press fit or screwed stat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in the fixture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본체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 stand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is exposed in a state of extending a certain length out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에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 holder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storage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store water discharged towards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ip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의 저장된 물을 상기 본체의 물공급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라인과;
상기 안내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6,
a guide line that guid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to the water supply groove of the main body;
a pump provided in the guide line and pump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a water level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A plant stand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ump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7,
A plant stand for wall recor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내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물이 저장되는 보조물저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1,
A plant stand for greening a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storage unit that stores water guid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a guide tube of the main body.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내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물을 상기 보조물저장부로 안내하는 보조안내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걸이대.
According to clause 9,
A plant holder for wall gre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guide line that guides water guid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guide pipe of the main body to the auxiliary water storage unit.
KR1020220097258A 2022-08-04 2022-08-04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KR202400195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258A KR20240019522A (en) 2022-08-04 2022-08-04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258A KR20240019522A (en) 2022-08-04 2022-08-04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522A true KR20240019522A (en) 2024-02-14

Family

ID=8989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258A KR20240019522A (en) 2022-08-04 2022-08-04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52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493A (en) 2014-08-26 2016-03-07 김홍석 Modular vertical pla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493A (en) 2014-08-26 2016-03-07 김홍석 Modular vertical pla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4462A (en) Filtration, aeration, and water level control means for aquariums
US7575181B2 (en) Artificial waterfall echo chamber
US2006018053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EP1743520B1 (en) Basin capable of containing aquatic animals, especially experimental animals, and relating housing system
US8006646B2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GB2430856A (en) Vertically arranged plant containers
US20110179708A1 (en) Multiple Self-Watering Container System
US20060277825A1 (en) Plant pot drainage tray
US6234113B1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KR101805742B1 (en) Automatic water supply equipment of insect mass bred facility
KR101033272B1 (en) Cleaner
KR20240019522A (en) Flower pot hanger for wall greening
JP2004073003A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plant cultivation unit, and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unit
KR20150021184A (en) Drainage for aquaculture tank
KR100610570B1 (en) Balcony utility of building
KR20190014200A (en) Wall garden combined with aquarium
JP2554820Y2 (en) Automatic bottom watering system for ornamental potted plants
JP2003145187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JPH05292852A (en) Shellfish culture tank
KR200145999Y1 (en) The feed bucket for bees
JP4773237B2 (en) Aquarium overflow device
KR102666050B1 (en) Vertical pots that can water plants vertically
WO2011077833A1 (en) Liquid circulation device and hydroponic device for home use using same
TWM573565U (en) Watering-free planting equipment
JP4241193B2 (en) Siphon 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