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518A -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518A
KR20240019518A KR1020220097250A KR20220097250A KR20240019518A KR 20240019518 A KR20240019518 A KR 20240019518A KR 1020220097250 A KR1020220097250 A KR 1020220097250A KR 20220097250 A KR20220097250 A KR 20220097250A KR 20240019518 A KR20240019518 A KR 20240019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strip
fixing block
egg
guid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은 식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식 신 filed Critical 은 식 신
Priority to KR102022009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518A/ko
Publication of KR2024001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5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2Applying preformed bands of continuous-ring form, e.g. 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장치에 의해 육각 형태로 벌어진 180g 무게의 얇은 두께로 된 띠지의 내부에 난좌가 삽입될 때 띠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한 찢김현상없이 난좌를 안정적으로 띠지의 내부에 삽입 및 포장될 수 있도록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난좌의 삽입력에 의해 확장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상부 좌.우측 모서리부분과 상부 중간 및 띠지의 중간 좌.우 양측, 띠지의 내측 하부 좌.우측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상부가이드수단과; 상기 상부가이드수단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하부 중간을 지지하는 하부가이드수단과; 상기 상부가이드수단 및 상기 하부가이드수단의 각각을 전.후진시키는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Egg packing container guide apparatus for strip packing}
본 발명은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장치에 의해 육각 형태로 벌어진 180g 무게의 얇은 두께로 된 띠지의 내부에 난좌가 삽입될 때 띠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한 찢김현상없이 난좌를 안정적으로 띠지의 내부에 삽입 및 포장될 수 있도록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은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를 갖는 난좌가 사용되고, 난좌의 외부는 종이 재질의 띠지로 포장된다. 띠지는 통상 전.후가 개방된 사각 또는 육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인은 특허출원 10-2020-0008573호(2020.01.22.) "계란 포장재를 위한 띠지 포장기"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 포장재를 위한 띠지 포장기(100)는 띠지 적재함(110), 띠지 이동모듈(120), 계란 포장재 이동모듈(130), 선반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띠지 적재함(110)는 계란 포장재(1)를 감싸는 다수의 띠지(2)가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되고, 띠지(2)는 띠지 푸쉬 지그(11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띠지 이동모듈(120)은 띠지 인출 이젝터(121), 띠지 고정 실린더 및 이젝터(122), 진공 이젝터(123), 띠지 성형 브라켓(124), 이젝터 헤드 전/후진 실린더(125)를 포함한다.
상기 띠지 인출 이젝터(121)는 띠지(2)가 푸쉬 지그(11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띠지(2)를 진공 흡착하여 띠지 성형 브라켓(124)에 의해 상부가 막혀 있는 이동 롤러상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띠지 인출 이젝터(121)는 상부 또는 측부에 전.후진이 가능한 실린더가 설치되며, 실린더는 제어부(1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 실린더 및 이젝터(122)는 이동롤러 상에 놓여진 접혀진 띠지(2)의 상면을 진공 흡입하여 띠지(2)를 육각 형태로 벌어지게 하고, 그리퍼 열림/닫힘 실린더(135)는 그리퍼(134a)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전진/후진 실런더(134)를 포함하고, 그리퍼(134a)의 전방 하단에 L형 브라켓이 연결되어 띠지(2)에 대한 계란 포장재(1)의 삽입을 안내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계란 포장재를 위한 띠지 포장기는 두께가 두꺼운 띠지의 사용은 가능하나, 두께가 얇은 띠지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 사용되는 비교적 두꺼운 두께의 띠지의 무게는 250g 정도이고, 180g 정도의 무게를 갖는 띠지의 경우는 두께가 얇아 띠지가 실린더의 흡착에 의해 육각 형태로 벌어진 상태에서 계란포장재, 즉 난좌를 띠지의 내부에 삽입할 때 각 모서리 부분에서 찢김현상이 발생한다. 250g의 무게를 띠지와 180g의 무께를 갖는 띠지는 대략 8원에서 10원 정도의 원가 차이를 나타나는데, 1년에 100만장의 소비량을 기준으로 최소 1억원 이상의 원가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띠지의 찢김현상없이 180g의 무께를 갖는 두께가 얇은 띠지의 사용이 가능한 난좌의 삽입 및 가이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0-0008573호(2020.01.22.) "계란 포장재를 위한 띠지 포장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흡착장치에 의해 육각 형태로 벌어진 180g 무게의 얇은 두께로 된 띠지의 내부에 난좌가 삽입될 때 띠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한 찢김현상없이 난좌를 안정적으로 띠지의 내부에 삽입 및 포장될 수 있도록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의 한 형태는, 난좌의 삽입력에 의해 확장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상부 좌.우측 모서리부분과 상부 중간 및 띠지의 중간 좌.우 양측, 띠지의 내측 하부 좌.우측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상부가이드수단과; 상기 상부가이드수단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하부 중간을 지지하는 하부가이드수단과; 상기 상부가이드수단 및 상기 하부가이드수단의 각각을 전.후진시키는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착장치에 의해 육각 형태로 벌어진 180g 무게의 얇은 두께로 된 띠지의 내부에 난좌가 삽입될 때 띠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한 찢김현상없이 난좌를 안정적으로 띠지의 내부에 삽입 및 포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250g 무게의 두꺼운 띠지의 원가 대비 절감 효과가 탁월해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성과 함께 불량이 거의 없어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계란 포장재를 위한 띠지 포장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포장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가이드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수단의 실물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가이드수단의 실물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수단에 난좌가 통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물 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가이드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수단의 실물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가이드수단의 실물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상부가이드수단에 난좌가 통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가이드수단(1)과 하부가이드수단(2) 및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3)(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가이드수단(1)은 난좌(E)의 삽입력에 의해 확장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상부 좌.우측 모서리부분과 상부 중간 및 띠지의 중간 좌.우 양측, 띠지의 내측 하부 좌.우측 모서리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가이드수단(2)은 상부가이드수단(1)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하부 중간을 지지하며, 상기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3)(4)은 상기 상부가이드수단(1) 및 상기 하부가이드수단(2)의 각각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가이드수단(1)은 판스프링 고정블록(11)과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 및 상부 중간 판스프링(14),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은 상부가이드 구동수단(3)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은 판스프링 고정블록(11)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전방측이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서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은 경사면A,B(111)(112)가 양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A,B(111)(112)의 사이에는 상부 개방형의 판스프링 조립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양측 경사면A,B(111)(112)에는 좌.우측 브라켓트(113)(114)가 각각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중간브라켓트(115)가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브라켓트(113)(114)와 상부 중간브라켓트(115)에 의해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 및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이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 브라켓트(113)(114)는 상부가 경사면A,B(111)(112)에 고정되고 하부는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지지판(113a)(114a)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지지판(113a)(114a)의 배면 상.하부에 각각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부경사편A,B(113b)(114b) 및 하부경사편A,B(113c)(114c)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 및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의 후단부가 상부경사편A,B(113b)(114b) 및 하부경사편A,B(113c)(114c)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은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 사이의 판스프링 고정블록(11) 밑면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전방측이 중심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은 판스프링 고정블록(11)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전방측이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 중간브라켓트(115)는 판스프링 고정블록(11) 밑면에 고정되는 상부 중간지지판(115a)과, 상기 상부 중간지지판(115a)은 후방측에 일체로 상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 중간경사편(115b)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중간경사편(115b)에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의 후방측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의 전방측이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한 것이다.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은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선단부가 좌.우로 나뉘어진 원호형의 화살표 모양의 삽입돌편(14a)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은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금속판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선단에 서로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상부수평면(12a)(13a)과 좌.우측 상부경사면(12b)(13b)을 가지며, 상측 탄지부(15c)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 역시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금속판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선단에 서로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하부수평면(15a)(16a)과 좌.우측 하부절곡면(15b)(16b)을 가지며, 하측 탄지부(16c)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가이드수단(2)은 하부 중간브라켓트(21)와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 중간브라켓트(21)는 하부가이드 구동수단(4)에 연결되는 수직의 하부 중간지지판(21a)과, 상기 하부 중간지지판(21a)의 상단부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된 하부 중간경사편(2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은 하부 중간경사편(21b)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두께가 얇고 길이 긴 금속판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흡착장치에 의해 육각 형태로 띠지가 벌어지면, 먼저 상.하부가이드수단(1)(2)을 구성하는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3)(4)의 상.하부 공압실린더(3a)(4a)가 작동하고, 상.하부 실린더로드(3b)(4b)가 각각 판스프링 고정블록(11) 및 하부 중간브라켓트(21)를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좌.우측 브라켓트(113)(114)에 각각 후단부가 고정된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상부 중간 판스프링(14) 및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 중간브라켓트(21)에 설치된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이 띠지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상부 중간 판스프링(14) 및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 하부 중간 판스프링(22) 모두 중심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어 띠지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난좌(E)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C)를 타고 상.하부가이드수단(1)(2)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난좌(E)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상부 중간 판스프링(14) 및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이 상.하측 탄지부(15c)(16c)의 탄지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외측 방향으로 밀려 벌어지고, 난좌(E)를 탄성력으로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은 좌.우측 상부수평면(12a)(13a) 및 좌.우측 상부경사면(12b)(13b)으로 띠지의 내측 상부 좌.우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고, 좌.우측 하부경사면(12c)(13c)으로 띠지의 내측 중간 좌.우측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은 띠지의 내측 상부 중간을 지지하며,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은 좌.우측 하부수평면(15a)(16a)과 좌.우측 하부절곡면(15b)(16b)으로 띠지의 내측 하부 좌.우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고,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은 띠지의 내측 하부 중간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띠지의 찢김현상없이 난좌(E)를 안정적으로 띠지의 내부에 삽입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과 하부 중간브라켓트(21)가 상.하부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난좌(E)의 삽입력에 의해 벌어졌던 상부 중간 판스프링(14)과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다시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 역시 인장되었던 상.하측 탄지부(15c)(16c)의 탄지스프링(16)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 후, 다시 상.하부 공압실린더(3a)(4a)의 작동 및 난좌(E)의 삽입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흡착장치에 의해 육각 형태로 벌어진 180g 무게의 얇은 두께로 된 띠지의 내부에 난좌가 삽입될 때 띠지의 각 모서리 부분에 대한 찢김현상없이 난좌를 안정적으로 띠지의 내부에 삽입 및 포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250g 무게의 두꺼운 띠지의 원가 대비 절감 효과가 탁월해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성과 함께 불량이 거의 없어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상부가이드수단
11: 판스프링 고정블록
111,112: 경사면A,B 110: 판스프링 조립홈
113,114: 좌.우측 브라켓트 113a,114a: 좌.우측 지지판
113b,114b: 상부경사편A,B 113c,114c: 하부경사편A,B
115: 상부 중간브라켓트 115a: 상부 중간지지판
115b: 상부 중간경사편
12,13: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
12a,13a: 좌.우측 상부수평면 12b,13b: 좌.우측 상부경사면
12c,13c: 좌.우측 하부경사면
14: 상부 중간 판스프링 14a: 삽입돌편
15,16: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 15a,16a: 좌.우측 하부수평면
15b,16b: 좌.우측 하부절곡면 15c,16c: 상.하측 탄지부
15d,16d: 상.하측 탄지돌편 16: 탄지스프링
2: 하부가이드수단
21: 하부 중간브라켓트 21a: 하부 중간지지판
21b: 하부 중간경사편 22: 하부 중간 스프링
3,4: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
3a,4a: 상.하부 공압실린더 3b,4b: 상.하부 실린더로드
E: 난좌 C: 컨베이어

Claims (8)

  1. 난좌(E)의 삽입력에 의해 확장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상부 좌.우측 모서리부분과 상부 중간 및 띠지의 중간 좌.우 양측, 띠지의 내측 하부 좌.우측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상부가이드수단(1)과;
    상기 상부가이드수단(1)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육각 형태로 벌어진 띠지의 내측 하부 중간을 지지하는 하부가이드수단(2)과;
    상기 상부가이드수단(1) 및 상기 하부가이드수단(2)의 각각을 전.후진시키는 상.하부가이드 구동수단(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수단(1)은 상부가이드 구동수단(3)에 연결된 판스프링 고정블록(11)과;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전방측이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 사이의 판스프링 고정블록(11) 밑면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전방측이 중심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상부 중간 판스프링(14)과;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전방측이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은 양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A,B(111)(112)와 상기 경사면A,B(111)(112)의 사이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판스프링 조립홈(110)과;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양측 경사면A,B(111)(112)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 좌.우측 브라켓트(113)(114)와;
    상기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밑면에 설치되는 상부 중간브라켓트(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브라켓트(113)(114)와 상부 중간브라켓트(115)에 의해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과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 및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은 각각의 전방측이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브라켓트(113)(114)는 상부가 경사면A,B(111)(112)에 고정되고 하부는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지지판(113a)(114a)과;
    상기 좌.우측 지지판(113a)(114a)의 배면 상.하부에 각각 판스프링 고정블록(11)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부경사편A,B(113b)(114b) 및 하부경사편A,B(113c)(114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경사편A,B(113b)(114b) 및 하부경사편A,B(113c)(114c)에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 및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의 후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간브라켓트(115)는 판스프링 고정블록(11) 밑면에 고정되는 상부 중간지지판(115a)과;
    상기 상부 중간지지판(115a)은 후방측에 일체로 상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부 중간경사편(115b);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중간경사편(115b)에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의 후방측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의 전방측이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간 판스프링(14)은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선단부가 좌.우로 나뉘어진 원호형의 화살표 모양의 삽입돌편(14a)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좌.우측 판스프링(12)(13)은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금속판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선단에 서로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상부수평면(12a)(13a)과 좌.우측 상부경사면(12b)(13b)을 가지며, 상측 탄지부(15c)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하부 좌.우측 판스프링(15)(16)은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금속판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선단에 서로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하부수평면(15a)(16a)과 좌.우측 하부절곡면(15b)(16b)을 가지며, 하측 탄지부(16c)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수단(2)은 하부가이드 구동수단(4)에 연결되는 수직의 하부 중간지지판(21a)과, 상기 하부 중간지지판(21a)의 상단부를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된 하부 중간경사편(21b)으로 이루어진 하부 중간브라켓트(21)와;
    상기 하부 중간경사편(21b)에 후방측이 고정되고, 두께가 얇고 길이 긴 금속판체로 형성된 하부 중간 판스프링(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KR1020220097250A 2022-08-04 2022-08-04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KR20240019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250A KR20240019518A (ko) 2022-08-04 2022-08-04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250A KR20240019518A (ko) 2022-08-04 2022-08-04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518A true KR20240019518A (ko) 2024-02-14

Family

ID=8989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250A KR20240019518A (ko) 2022-08-04 2022-08-04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5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573A (ko) 2017-05-22 2020-01-28 위겐 바이오메더슨 테크널러지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자가포식 조절인자(autophagy regulator)로서 사용된 화합물,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573A (ko) 2017-05-22 2020-01-28 위겐 바이오메더슨 테크널러지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자가포식 조절인자(autophagy regulator)로서 사용된 화합물,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760A (en) Shipping package
JP2010168083A (ja) 包装容器
US2744369A (en) Stacking mechanism for wrapped articles
KR20240019518A (ko) 띠지 포장용 난좌 가이드장치
US3559865A (en) Bacon container
US3101843A (en) Spectacle shipping carton insert
KR200479788Y1 (ko) 내부 완충 포장상자
JP6734521B2 (ja) ラベルの折り曲げ機構及びラベル投入装置
US3021944A (en) Cigarette and match container
JP2016078877A (ja) 箱詰め装置
US853383A (en) Egg-carrier.
EP0279567A1 (en) Grid finger Assemblies
JP2008001387A (ja) 収納容器及び緩衝材
US3552636A (en) Box for typewriter carbon paper
JP2007020773A (ja) 収容箱
GB2125373A (en) Plastics container for transparency frames
BE1009580A3 (nl) Flessenkrat.
US2111723A (en) Package of pliable articles
US2876972A (en) Securing device for mirrors and the like
JPH04352660A (ja) 包装用支持部材
KR20090028906A (ko) 계란판 구조물
WO1983000131A1 (en) Packaging article for a stack of gaskets, in particular those made of plastic deformable material
KR20070014651A (ko) 뚜껑식 김치냉장고용 상부포장재
US1456703A (en) Carrying and shipping case
KR0133753Y1 (ko) 캐비넷 포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