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020A - 기체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020A
KR20240019020A KR1020230076787A KR20230076787A KR20240019020A KR 20240019020 A KR20240019020 A KR 20240019020A KR 1020230076787 A KR1020230076787 A KR 1020230076787A KR 20230076787 A KR20230076787 A KR 20230076787A KR 20240019020 A KR20240019020 A KR 20240019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ain
bay
transformer
b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문복성
임의환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전기
Publication of KR2024001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체절연 개폐장치는,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와; 제 1 모선(A), 제 2 모선(B) 및 제 3 모선(C)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로부터 전력을 수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메인 베이(Main Bay;5,10)와; 부하로의 급전을 위한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Feeder Bay;20,22,24,30)와;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바이패스 베이(Bypass Bay;50)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메인베이(5,10)는 제 1주변압기(1)와 제 1 및 제 2모선(A,B)에 접속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단로시키는 차단기(VCB;7)와; 차단기(7)와 제 1 및 제 2모선(A,B) 사이에 배치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접지시키는 3-Way 스위치(EDS;9)와; 선로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계기용 변류기(CT;11)를 포함하며, 제 1주변압기(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2주변압기(3)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2메인베이(10)와,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되고, 제 2주변압기(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1주변압기(1)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1메인베이(5),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된다.

Description

기체절연 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기체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주변압기중 어느 일측 주변압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주변압기를 우회하여 다른 정상 주변압기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주변압기의 고장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는 절연매질에 따라 가스 절연형과, 고체 절연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기체절연 개폐장치는 공기 중에 설치하였던 기기들을 절연 내력이 좋은 절연 기체(예를 들면, N2, 압축공기, 혼합기체, CO2, SF6 등)로 충전된 금속 탱크 내에 일괄 수납하고 송전선로 및 변전기기 내에서 발생되는 사고나 고장의 확산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전력설비 시스템의 일종이다.
이러한 기체절연 개폐장치에는 피더베이(Feeder bay)가 구비되며, 피더베이는 모선을 통해 전력을 송수전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모선은 2중 모선을 기준으로 하며 3상 일괄형 또는 단상 분리형으로 한다.
이러한 피더베이는 메인 베이(Main bay)로부터 전력이 수전되는 모선에 접속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단로시키는 접지 단로부와. 선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와. 전기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인입출용 전력 케이블과 연결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단로시키는 3단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체절연 개폐장치에 구비된 피더베이 혹은 바이패스 베이는 배치 공간의 활용이 비효율적이며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09-0000084호(명칭:가스절연 개폐장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주변압기중 어느 일측 주변압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주변압기를 우회하여 다른 정상 주변압기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주변압기의 고장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기체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더베이 혹은 바이패스 베이의 일측 방향으로 계기용 주변압기를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체절연 개폐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함의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설치 공간이 줄어들고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체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러한 기체절연 개폐장치는,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와;
제 1 모선(A), 제 2 모선(B) 및 제 3 모선(C)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로부터 전력을 수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메인 베이(Main Bay;5,10)와;
부하로의 급전을 위한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Feeder Bay;20,22,24,30)와;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바이패스 베이(Bypass Bay;50)를 포함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로서,
제 1 및 제 2메인베이(5,10)는 제 1주변압기(1)와 제 1 및 제 2모선(A,B)에 접속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단로시키는 차단기(VCB;7)와; 차단기(7)와 제 1 및 제 2모선(A,B) 사이에 배치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접지시키는 3-Way 스위치(EDS;9)와; 선로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계기용 변류기(CT;11)를 포함하며,
제 1주변압기(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2주변압기(3)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2메인베이(10)와,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되고,
제 2주변압기(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1주변압기(1)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1메인베이(5),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주변압기중 어느 일측 주변압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주변압기를 우회하여 다른 정상 주변압기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주변압기의 고장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더베이 혹은 바이패스 베이의 구성요소인 스위치부, 가동부, 3단 스위치를 수직으로 배열하고, 일측 혹은 타측 방향에 계기용 주변압기를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함의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설치 공간이 줄어들고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절연 개폐장치의 전체 단선도이다.
도 2(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메인베이의 단선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더베이의 일측에 계기용 주변압기가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지 단로부 접점과 3단 스위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바이패스 베이의 단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체절연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주변압기, 메인베이, 피더베이, 바이패스용 베이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선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선(A), 제 2 모선(B) 및 제 3 모선(C)으로 구성되며, 해당 단선도에는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와;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로부터 전력을 수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메인 베이(Main Bay;5,10)와; 부하로의 급전을 위한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Feeder Bay;20,22,24,30)와;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의 안정적인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바이패스 베이(Bypass Bay;50)가 도시된다.
제 1모선(A)과 제 2모선(B)은 각각 AF선과 TF선으로 구성되는 M상, T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메인 베이(5,10)에 있어서, 제 1메인베이(5)는 제 1주변압기(1)에 연결되고, 제 2메인베이(10)는 제 2주변압기(3)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메인 베이(5,10)는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수전하여 상기 제 1 모선(A) 또는 제 2 모선(B)으로 공급하고 이것을 통해 부하측 또는 다른 베이, 예컨데 피더 베이(5,10)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제 1 및 제 2메인베이(5,10)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제 1메인베이(5)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메인베이(5)는 제 1주변압기(1)와 제 1 및 제 2모선(A,B)에 접속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단로시키는 차단기(VCB;7)와; 차단기(7)와 제 1 및 제 2모선(A,B) 사이에 배치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접지시키는 3-Way 스위치(EDS;9)와; 선로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계기용 변류기(CT;11)를 포함한다.
제 1모선(A)은 제 1탱크(T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 2모선(B)은 제 2탱크(T2)의 내부에 배치되며, 단로기(9)는 제 3탱크(T3), 차단기(7)는 제 4탱크(T4)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 3탱크(T3) 내의 3-Way 스위치(9)는 상기 제 1탱크(T1) 내의 제 1모선(A)과 제 2탱크(T2) 내의 제 2모선(B)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였다가 끊어주게 된다.
그리고, 제 4탱크(T4) 내부의 차단기(7)는 일측은 제 1주변압기(1)의 출측 선로에 연결되고, 타측은 3-Way 스위치(9)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주변압기(1)로부터 수전되는 전력을 단로기에 공급하거나 끊어주게 된다. 제 2메인베이(10)도 제 1메인베이(5)와 동일한 구조를 갖음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는 제 1 및 제 2모선(A,B)으로부터 수전된 전력을 부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기로서, 메인 베이와 유사하나, 피더 베이는 단선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선(A) 및 제 2 모선(A) 뿐만 아니라, 바이패스용의 제 3 모선(C)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해당 피더 베이는 상기 제 3 모선(C)과의 연결을 통해 동작 중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 내 차단기(7) 등의 수납 구성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단선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피더베이에 있어서, 제 1주변압기(1)로 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및 제 2피더베이(20,22)와, 제 2주변압기(3)(3)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제 3 및 제 4피더베이(2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피더베이(20,22)는 제 1주변압기(1)에서 제 1 및 제 2모선(A,B)을 통하여 수전되는 전력을 상선 및 하선에 공급하고, 제 3 및 제 4피더베이(24,30)는 제 2주변압기(3)에서 제 1 및 제 2모선(A,B)을 통하여 수전되는 전력을 상선 및 하선에 공급한다.
또한, 바이패스 베이(50)는 제 2피더베이(22)와 제 3피더베이의 중간에 배치되며,
제 1피더베이(20)가 전력을 이웃한 제 2피더베이(22)로 공급하는 중에 피더베이의 내부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예를 들어 차단기(7)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3단 스위치(150)를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베이(50)에 의하여 동일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제 1 및 제 2피더베이(20,22)를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피더베이(20,22)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서 나란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및 제 2피더베이(20,2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피더 베이(20,22)는 10 개의 격리된 탱크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탱크 내부는 절연기체가 충전되고, 각 탱크의 사이에는 절연 스페이셔가 각각 형성되어 각 탱크들 사이에 충전된 절연기체를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제 1피더베이(20)는 AF측부와 TF측부로 구성되고, AF측부와 TF측부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이하 제 1피더베이(20)의 AF측부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 1피더 베이(20)에 있어서, 탱크 배치 구조를 설명하면,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되는 모선부 탱크(101)와; 모선부 탱크(101)의 하부에 연결되며 단로기와 접지 단로기를 일체로 형성한 스위치부(110)가 수납되는 3상 스위치부 탱크(102)와; 3단 스위치부 탱크(102)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고 가동부(120)가 수납되는 차단부 탱크(103)와; 차단부 탱크(103)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며 3상 스위치(150)가 수납되고,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 베이(50)에 연결되는 하부 단로부 탱크(104)와; 하부 단로부 탱크(104)의 측부에 연결되는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와;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계기용 주변압기(160;Potential Transformer;PT)가 수납되는 계기용 주변압기 부탱크(106)가 결합된다.
이러한 피더베이의 제 1피더베이(20)에 있어서,
하부 단로부 탱크(104) 내의 3단 스위치(150)는 차단부(130)를 통해 차단부 탱크(103) 내의 차단부 가동자측(120)과 연결된다.
차단부 가동자측(120)은 제 3단 스위치부 탱크(102) 내의 접지 단로부 접점(110)과 연결된다. 그리고, 차단부 가동자측(120)은 하부 단로부 탱크(104) 내의 3단 스위치(150)와 연결되고, 이 3단 스위치(150)는 인입출용 전력 케이블(17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제 1피더베이(20)에 있어서, 모선의 전원은 3단 스위치부 탱크(102) 내의 접지 단로부 접점(110)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차단부 탱크(103)의 차단부 가동자측(120)은 접지단로부 접점(110)과 연결된다.
접지 단로부 접점(110)은 모선부 탱크(101) 내의 모선과 차단부 가동자측(120)을 연결하였다가 끊어주는 작용을 한다.
이때, 차단부 가동자측(120)은 이상 전류 및 이상 전압 발생시 인위적으로 부하 전류를 차단한다.
이러한 3단 스위치부 탱크(102)내의 접지 단로부 접점(110)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로부 가동자(111)가 단로기 고정자(112)에 연결된다.
반면에, 접지 단로부 가동자(111)가 접지부 고정자(113)에 연결되는 경우에 접지 단로부 접점(110)은 접지 스위치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접지 스위치일 때에는 보수 및 점검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접지 단로부 가동자(111)가 단로기 고정자(112)와 접지부 고정자(113)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단로기의 역할을 한다.
또한, 3단 스위치(150)의 하부 접지 단로기 가동자(151)가 단로기 고정자(152)에 연결되는 경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접지단로기 가동자(151)가 접지부 고정자(153)에 연결되는 경우에 해당 3단 스위치(150)는 접지 단로기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접지 단로기는 보수 및 점검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 1피더베이(20)의 각 탱크들은 상부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격 공간이 없이 조밀한 공간 배치가 가능하다.
한편, 제 1피터베이(100)의 하부 단로부 탱크(104)의 일측 방향에는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계기용 주변압기 탱크(106)가 배치된다.
그리고, 계기용 주변압기 탱크(106)의 내부에는 계기용 주변압기(PT)가 배치된다. 이러한 계기용 주변압기는 각종 계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적절하게 감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 및 계기용 주변압기 탱크(106)는 제 1피더베이(100)의 일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측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더 베이(100)의 AF측부의 각 탱크들은 상부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계기용 주변압기 (160)가 측부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이격 공간이 없이 조밀한 공간 배치가 가능하고, 기체절연 개폐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함의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설치 공간이 줄어들고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제 2피더베이(22)도 AF측부와 TF측부로 구성되고, AF측부와 TF측부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이하 제 2피더베이(22)의 TF측부에 의하여 설명한다.
즉, 제 2피더 베이(20,22)의 TF측부(200)는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되는 모선부 탱크(201)와; 모선부 탱크(201)의 하부에 연결되며 단로기와 접지 단로기를 일체로 형성한 스위치부(210)가 수납되는 상부접지 3단 스위치부(202)와; 상부접지 3단 스위치부(202)의 수직하부에 위치되고 가동부(220)가 수납되는 차단부 탱크(203)와; 차단부 탱크(203)의 수직하부에 위치하며 3단 스위치(250)가 수납되는 하부 단로부 탱크(204)와; 하부 단로부 탱크(204)의 측부에 연결되는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205)와;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205)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계기용 주변압기(260;Potential Transformer;PT)가 수납되는 계기용 주변압기 부탱크(206)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피더 베이(20,22)의 TF측부(200)는 AF측부(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및 제 4피더베이(24,30)도 제 1 및 제 2피더베이(20,22)와 동일한 구조를 갖음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2상의 단모선을 가진 피더 베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상 복모선, 4상 복모선, 3상 단모선, 4상 단모선 등 n개의 상을 갖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피더 베이(20,22,24,30)와 마찬가지로, 3개의 모선을 갖는 바이패스 베이(50)도 격리된 탱크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탱크 내부는 절연가스가 충진되고, 각 탱크의 사이에는 절연물이 각각 형성되어 각 탱크들 사이에 충진된 가스를 구획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모선을 갖는 바이패스 베이(50)의 탱크 배치 구조 역시 상술한 피더 베이(200)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부터 제 1모선(A)이 수납되는 제 1탱크(301), 상기 제 1탱크(301)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3-Way 스위치(310)가 수납되는 제 2탱크(302), 상기 제 2탱크(302)의 우측에서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며 단로기(320)가 수납되는 제 4탱크(304), 상기 제 4탱크(304)의 상부에 위치해 연결되며 제 2모선(B)이 수납되는 제 3탱크(303), 상기 제 2탱크(302)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며 차단기(330)가 수납되고 변류기가 설치되는 제 5탱크(305), 상기 제 5탱크(305)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제 6탱크(306), 상기 제 6탱크(306)의 우측에서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는 제 8탱크(308), 상기 제 8탱크(308)의 상부에 위치해 연결되어 상기 제 4탱크(304)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제 3모선(C)이 수납되는 제 7탱크(307)가 결합되어, 3 개의 모선을 갖는 1 상의 바이패스 베이(5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6탱크(306)의 하부에는 부하로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이 구비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베이(50)는 그 탱크 배치에 있어 피더 베이(200)와 비교하여, 제 6 탱크(306)에 3-Way 스위치(9)가 제외된다는 점과 제 8 탱크(308)에 단로기가 제외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피더 베이(200)와 탱크 배치가 동일하다.
상기 바이패스 베이(50)에 있어서, 제 1탱크(301)에는 제 1모선(A)이 수납되며 해당 제 1모선(A)의 전원은 제 2탱크(302) 내의 3-Way 스위치(31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 3탱크(303)에는 제 2 모선(B)이 수납되며 해당 제 2모선(B)의 전원은 제 4탱크(304) 내의 단로기(320)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탱크(302) 내의 3-Way 스위치(310)와 제 4탱크(304) 내의 단로기(320)는 도체(371)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탱크(302)의 하부에 위치한 제 5탱크(305)의 차단기(330)는 도체를 통해 상기 제 2탱크(302)의 3-Way 스위치(310)와 연결된다.
이때, 제 2탱크(302) 내의 상기 3-Way 스위치(310)는 상기 제 1탱크(301) 내의 제 1모선(A)과 제 5탱크(305) 내의 차단기(330)를 연결하였다가 끊어주는 작용을 한다.
즉, 제 2탱크(302) 내의 3-Way 스위치(310)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동전극(311)이 고정측 접점(312)에 연결된다. 해당 가동전극(311)이 접지측 접점(313)에 연결되는 경우에 해당 3-Way 스위치(310)는 접지 스위치 역할을 하며 이러한 접지 스위치일 때에는 보수 및 점검이 필요할때 사용한다.
또한 상기 3-Way 스위치(310)의 가동전극(313)이 고정측 접점(312)과 접지측 접점(313)의 사이에 있을 때에는 단로기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2탱크(302) 내의 3-Way 스위치(310)에 대하여 해당 3-Way 스위치(310)의 접점을 전환할 수 있는 3-Way 스위치(9) 조작수단이 콘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4탱크(304) 내의 상기 단로기(320)는 상기 제 3탱크(303) 내의 제 2모선(B)과 제 5탱크(305) 내의 차단기(330)를 연결하였다가 끊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단로기(320)는 내부 가동전극(321)이 고정측 접점(322)에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 2모선(B)의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4탱크(304) 내의 단로기(320)에 대하여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스위치 조작수단이 콘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 2탱크(302) 내의 상기 3-Way 스위치(310)와 제 4탱크(304) 내의 상기 단로기(320)는 사용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5 탱크(305) 내의 차단기(330)는 제 6 탱크(306) 내의 도체(376)와, 제 6 탱크(306) 및 제 8탱크(308)을 연결하는 도체(372)와, 제 8 탱크(308) 내의 도체(378)을 통해 전원을 직접 제 7 탱크(307) 내의 제 3 모선(C)에 공급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베이(50)는 제 1 모선(A) 또는 제 2 모선(B)의 전원을 제 7 탱크(307) 내의 제 3 모선(C)에 공급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피더 베이(20,22,24,30)가 전력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운전 중에 내부에 수납된 차단 수단, 예컨데 차단기(330)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바이패스 베이(50)의 제 3 모선(C)을 통해 전력이 피더 베이(20,22,24,30)의 제 3 모선(C)에 제공되므로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받게 된다.
한편, 주변압기는 제 1주변압기(1)와 제 2주변압기(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로 구성됨으로써 일측 주변압기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타측 주변압기로 전력을 공급한다.
즉, 제 1주변압기(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2주변압기(3)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2메인베이(10)와,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된다.
반대로 제 2주변압기(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1주변압기(1)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1메인베이(5),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된다.

Claims (4)

  1.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와;
    제 1 모선(A), 제 2 모선(B) 및 제 3 모선(C)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주변압기(1,3)로부터 전력을 수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메인 베이(Main Bay;5,10)와;
    부하로의 급전을 위한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Feeder Bay;20,22,24,30)와;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바이패스 베이(Bypass Bay;50)를 포함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로서,
    제 1 및 제 2메인베이(5,10)는 제 1주변압기(1)와 제 1 및 제 2모선(A,B)에 접속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단로시키는 차단기(VCB;7)와; 차단기(7)와 제 1 및 제 2모선(A,B) 사이에 배치되어 선로를 통전 또는 접지시키는 3-Way 스위치(EDS;9)와; 선로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계기용 변류기(CT;11)를 포함하며,
    제 1주변압기(1)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2주변압기(3)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2메인베이(10)와,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되고,
    제 2주변압기(3)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 1주변압기(1)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제 1메인베이(5), 제 1 내지 제 4메인베이(20,22,24,30)와, 바이패스 베이(50)로 공급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피더 베이(20,22,24,30)는, AF측부와, TF측부을 포함하며,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되는 모선부 탱크(101)와;
    모선부 탱크(101)의 하부에 연결되며 단로기와 접지 단로기를 일체로 형성한 스위치부(110)가 수납되는 3단 스위치부 탱크(102)와;
    3단 스위치부 탱크(102)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고 가동부(120)가 수납되는 차단부 탱크(103)와;
    차단부 탱크(103)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며 3상 스위치(150)가 수납되고,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 베이(50)에 연결되는 하부 단로부 탱크(104)와;
    하부 단로부 탱크(104)의 측부에 연결되는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와; 그리고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의 상부에 위치하는 계기용 주변압기 부탱크(106)를 포함하며,
    계기용 주변압기 부탱크(106)의 내부에는 계기용 주변압기(160;Potential Transformer;PT)가 수납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계기용 주변압기 하부 탱크(105)는 하부 단로부 탱크(104)의 일측 방향 혹은 타측 방향에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계기용 주변압기(160;Potential Transformer;PT)도 일측 방향 혹은 타측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베이(50)는, 상측으로부터 제 1모선(A)이 수납되는 제 1탱크(301); 제 1탱크(301)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3-Way 스위치(310)가 수납되는 제 2탱크(302); 제 2탱크(302)의 우측에서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며 단로기(320)가 수납되는 제 4탱크(304); 상기 제 4탱크(304)의 상부에 위치해 연결되며 제 2모선(B)이 수납되는 제 3탱크(303); 상기 제 2탱크(302)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며 차단기(330)가 수납되고 변류기가 설치되는 제 5탱크(305); 상기 제 5탱크(305)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제 6탱크(306); 상기 제 6탱크(306)의 우측에서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는 제 8탱크(308); 상기 제 8탱크(308)의 상부에 위치해 연결되어 상기 제 4탱크(304)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제 3모선(C)이 수납되는 제 7탱크(307)를 포함하는 기체절연 개폐장치.
KR1020230076787A 2022-08-03 2023-06-15 기체절연 개폐장치 KR20240019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96908 2022-08-03
KR1020220096908 2022-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020A true KR20240019020A (ko) 2024-02-14

Family

ID=8989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787A KR20240019020A (ko) 2022-08-03 2023-06-15 기체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0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84A (ko) 2006-12-28 2009-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생산현황 조회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84A (ko) 2006-12-28 2009-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생산현황 조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5348B1 (en) Switchgear
KR012621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112864817A (zh) 配电装置、配电拖车、电驱系统和电驱系统的操作方法
US4032820A (en) Horizontal double plane high voltage switching assembly
JP496965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7903394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US6646861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RU2345460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кры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271146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KR100893534B1 (ko)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US20130201607A1 (en)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KR10088658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240019020A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KR20010006594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546791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CN214899349U (zh) 配电装置、配电拖车和电驱系统
KR20030076180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4934506B2 (ja) 電力系統用開閉器付調相設備
JPH0830804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67266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240032992A (ko) 단상 또는 3상 작동을 위한 고전압 가스 절연형 스위치기어, hv gis
JP200013473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226680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349053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SU1070638A1 (ru) Комплектна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 подстанци высокого напр жен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