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991A -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 Google Patents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991A
KR20240018991A KR1020220112317A KR20220112317A KR20240018991A KR 20240018991 A KR20240018991 A KR 20240018991A KR 1020220112317 A KR1020220112317 A KR 1020220112317A KR 20220112317 A KR20220112317 A KR 20220112317A KR 20240018991 A KR20240018991 A KR 2024001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ase
frame
ban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금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869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29743A1/ko
Publication of KR2024001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34Safety buckles with the sliding motion of the buckle providing the opening or clos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락킹 마그넷,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 마그넷을 마주하는 슬라이더 마그넷과, 상기 슬라이더를 커버하는 버튼 커버와, 상기 버튼 커버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버튼 캡과, 상기 버튼 커버 및 버튼 캡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DETACHABLE APPARATUS TO SUPPORT THE BAN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 보조 장치(motion assistance device)는 각종 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재활 치료를 위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 또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 관절의 문제로 정상적인 운동이 어렵거나 운동에 대해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여 운동 보조 장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운동하는데 필요한 근력을 보조(assistance)해 주고,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보행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운동 보조 장치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신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다. 이들에게 운동 보조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 자체가 버거울 수 있다. 신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운동 보조 장치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위에서 설명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락킹 마그넷,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 마그넷을 마주하는 슬라이더 마그넷과, 상기 슬라이더를 커버하는 버튼 커버와, 상기 버튼 커버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버튼 캡과, 상기 버튼 커버 및 버튼 캡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및 버튼 커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및 버튼 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바디, 및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 가능한 슬라이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 홀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 홀은, 상기 프레임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 홀은, 상기 베이스 돌기를 통과시키도록 마련된 언락킹 홀, 및 상기 프레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언락킹 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언락킹 홀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락킹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돌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돌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 바디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베이스 돌기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돌기 바디가 상기 락킹 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돌기 헤드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오버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 캡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버튼 캡에 간섭되는 슬라이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헤드와, 상기 프레임 헤드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는 프레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메인 바디 파트, 및 상기 메인 바디 파트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락킹 마그넷을 수용하는 마그넷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자력을 인가하는 언락킹 마그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 캡은, 상기 버튼 커버를 커버하는 캡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캡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간섭되는 캡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 캡은, 상기 캡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 가이드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는 캡 가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 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 요소와, 공동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동 보조 장치(1)는, 사용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체, 동물 또는 로봇 등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운동 보조 장치(1)는 하체 또는 상체 중 일부 관절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보조 장치(1)는 고관절, 무릎 관절 및 발목 관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하체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보조 장치(1)는 어깨 관절, 팔꿈치 관절 및 손목 관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체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운동 보조 장치(1)는 사용자의 하체 중 일부 관절의 운동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이하, 운동 보조 장치(1)가 사용자의 고관절 운동을 보조함으로써 보행을 보조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운동 보조 장치(1)의 착용 부위 및 타겟 관절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운동 보조 장치(1)는 근위 지지부(91), 원위 지지부(92), 액츄에이터(93), 어퍼 프레임(94), 로어 프레임(95) 및 탈착식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지지부(91) 및 원위 지지부(92)는 각각 밴드(ban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지지부(91) 및 원위 지지부(92)는, 사용자의 일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어, 각각 근위 부분(proximal part) 및 원위 부분(distal part)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지지부(91)는 허리 및/또는 골반 등을 지지할 수 있고, 원위 지지부(92)는 허벅지, 무릎, 종아리 및/또는 발 등을 지지할 수 있다. 근위 지지부(91)는 사용자의 허리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탈부착식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지지부(92)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탈부착식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근위 지지부(91) 및 원위 지지부(92)는, 사용자의 상박(upper arm)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근위 지지부(91)는, 예를 들어 어깨 및/또는 등(back) 등을 지지할 수 있고, 원위 지지부(92)는, 예를 들어, 팔뚝(forearm)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지지부(91)는 사용자의 어깨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탈부착식 벨트를 포함할 수 있고, 원위 지지부(92)는 사용자의 팔뚝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탈부착식 벨트를 포함하거나 팔뚝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지지부(91) 및 원위 지지부(92)는 시상면(sagittal plane) 상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보조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관절 굽힘(flexion) 또는 신장(extension)할 때, 원위 지지부(92)는 시상면 상에서 근위 지지부(9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지지부(91) 및 원위 지지부(92)는 관상면(frontal plane) 상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보조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관절 내전(adduction) 또는 외전(abduction)할 때, 원위 지지부(92)는 관상면 상에서 근위 지지부(9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어 프레임(95) 및 원위 지지부(92)는 횡단면(transverse plane) 상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 보조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벅지를 회전시킬 경우, 원위 지지부(92)는 허벅지에 밀착한 상태로 허벅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원위 지지부(92)는 로어 프레임(9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의 착용감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93)는 근위 지지부(91)에 연결되고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93)는 예를 들어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브러시 모터(brush motor),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 및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유도 모터 및 동기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는 예를 들어 기어 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액츄에이터(93)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원위 지지부(9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사용자의 고관절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94)은 액츄에이터(93)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 프레임(94)은 액츄에이터(93)의 외부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95)은 어퍼 프레임(9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원위 지지부(9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95)은 사용자의 원위 부분의 일부를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 프레임(95)은 사용자의 허벅지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로어 프레임(95)의 길이는 어퍼 프레임(94)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93)의 출력단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액츄에이터(9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동력을 원위 지지부(92)에 전달함으로써 고관절의 굽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93)의 출력단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고관절의 굽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93)의 출력단이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액츄에이터(9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동력을 원위 지지부(92)에 전달함으로써, 고관절의 신장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93)의 출력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고관절의 신장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이 고관절 운동을 보조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의 기능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운동 보조 장치(1)가 상체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데 사용될 경우, 어퍼 프레임(94) 및 로어 프레임(95)은 어깨 또는 팔꿈치 관절을 보조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에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100, 이하 "탈착식 장치"라고 함)는 서로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탈착식 장치(100)는 밴드(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는 도 1에 도시된 원위 지지부(92)일 수 있다. 밴드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는 합성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의 일단은 탈착식 장치(1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밴드의 타단은 탈착식 장치(10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탈착식 장치(100) 및 밴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착식 장치(100) 및 밴드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둘러쌀 수 있다. 탈착식 장치(100) 및 밴드가 착용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탈착식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프레임(130), 버튼 커버(160), 버튼 캡(170) 및 연결 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베이스 프레임(130)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베이스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중공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밴드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버튼 커버(160)는 베이스 프레임(130)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버튼 커버(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베이스 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버튼 커버(160)는 밴드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버튼 캡(170)은 버튼 커버(160)의 연결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캡(17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버튼 커버(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베이스 프레임(130)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버튼 캡(170)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버튼 캡(170)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캡(170)은 버튼 커버(16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버튼 캡(170)을 파지한 상태로, 버튼 캡(170)에 손가락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연결 부재(19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베이스 프레임(1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19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_ 및 베이스 프레임(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캡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탈착식 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돌기(120), 베이스 프레임(130) 및 버튼(B)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돌기(120) 및 베이스 프레임(130)은 조립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돌기(120) 및 베이스 프레임(130)는 서로 별물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돌기(120) 및 베이스 프레임(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은 사용자의 신체를 마주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면은 베이스 프레임(13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메인 파트 및 서브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메인 파트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크고, 후술하는 프레임 바디(131)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서브 파트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고, 후술하는 프레임 헤드(132)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돌기(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돌기(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서브 파트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돌기(120)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방이란 도 3을 기준으로 상방을 의미한다. 상방이란, 사용자에 신체에 탈착식 장치가 착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베이스 돌기(12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베이스 돌기(120)가 2개의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복수 개의 베이스 돌기(120)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돌기(120)는 베이스 프레임(130)을 통과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131)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헤드(132)와, 프레임 헤드(132)에 관통 형성되는 프레임 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홀(133)은 베이스 돌기(120)를 수용 가능하다.
프레임 바디(131)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메인 바디 파트(1311)와, 메인 바디 파트(13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그넷 하우징(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하우징(1312)는 후술하는 락킹 마그넷(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탈착식 장치는, 마그넷 하우징(1312)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메인 바디 파트(1311)의 중공 영역의 크기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버튼(B)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돌기(120) 및 베이스 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버튼(B)은 지지 프레임(140), 슬라이더(150), 버튼 커버(160), 버튼 캡(170) 및 스프링(18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B)은 일체로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착식 장치(100)는 2개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돌기(120) 및 베이스 프레임(130)는 하나의 유닛으로 기능하고, 버튼(B)은 다른 하나의 유닛으로 기능할 수 있다. 유닛들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지지 프레임(140)은 베이스 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프레임 헤드(132)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프레임 헤드(13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프레임 헤드(132)에 면 접촉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프레임 헤드(132)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41)와, 수평 플레이트(141)에 연결되고 프레임 바디(131)를 마주하는 수직 플레이트(142)와, 베이스 돌기(120)를 수용하기 위한 플레이트 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50)는 지지 프레임(14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더(150)는 버튼 캡(170)에 간섭될 수 있다. 슬라이더(150)는 버튼 캡(170)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150) 및 버튼 캡(170) 사이에는 유격이 마련되어, 슬라이더(150)는 일정 수준으로는 버튼 캡(17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 캡(17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슬라이더(150)는 지지 프레임(14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버튼 커버(160)는 슬라이더(150)를 커버할 수 있다. 버튼 커버(160)는 밴드(미도시)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버튼 커버(160)는 슬라이더(150)를 수용하는 커버 바디(161)와, 커버 바디(16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커버 암(16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캡(170)는 버튼 커버(16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버튼 캡(170)은 슬라이더(15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스프링(180)은 버튼 커버(160) 및 버튼 캡(1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80)은 버튼 캡(170)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캡(170)이 베이스 프레임(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경우, 스프링(180)은 버튼 커버(160) 및 버튼 캡(17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캡(170)이 프레임 바디(1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동안, 슬라이더(150)는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압축된 스프링(180)의 복원력은, 슬라이더(150)를 다시 프레임 바디(131)로 향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150)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경우, 언락킹 마그넷(미도시)는 슬라이더(150)에 인력을 작용하여, 슬라이더(150)가 다시 프레임 바디(131)로 근접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버튼 캡(170)은, 캡 메인 플레이트(171), 캡 사이드 플레이트(172), 캡 가이드 돌기(173), 캡 가압 돌기(174) 및 캡 리브(175)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메인 플레이트(171)는 슬라이더(150)의 상방을 커버할 수 있다. 캡 사이드 플레이트(172)는 캡 메인 플레이트(171)의 양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캡 사이드 플레이트(172)는 슬라이더(150)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캡 가이드 돌기(173)는 캡 메인 플레이트(171)로부터 지지 프레임(140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캡 가이드 돌기(173)는 슬라이더(150)에 간섭될 수 있다. 캡 가이드 돌기(173)는, 슬라이더(150)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5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튼 캡(17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50)는 스프링(18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슬라이더(150)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더(150)는 캡 가이드 돌기(173)를 가압할 수 있고, 해당 힘에 의해, 버튼 캡(170)은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캡 가압 돌기(174)는 캡 메인 플레이트(17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캡 가이드 돌기(173)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캡 가압 돌기(174)는 스프링(180)을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80)의 일단은 캡 가압 돌기(174)에 의해 가압되고, 스프링(180)의 타단은 버튼 커버(160)의 내측 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버튼 커버(160)의 내측 면은 캡 가압 돌기(174)를 마주하는 표면일 수 있다. 캡 리브(175)는 캡 사이드 플레이트(172)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캡 리브(175)는 캡 사이드 플레이트(172) 중 캡 가이드 돌기(173)를 마주하는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캡 리브(175)는, 버튼 캡(170)이 버튼 커버(160) 및 지지 프레임(14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리브(175)는, 버튼 캡(170)이 버튼 커버(16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버튼이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버튼이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해제될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버튼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원 터치 착탈 구조는, 베이스 프레임(130), 베이스 플레이트(140), 슬라이더(150), 락킹 마그넷(M1), 슬라이더 마그넷(M2) 및 언락킹 마그넷(M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프레임 바디(131) 및 프레임 헤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131)는, 중공을 갖는 메인 바디 파트(1311)와, 락킹 마그넷(M1)을 수용하는 마그넷 하우징(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지지 하우징(14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하우징(144)은 언락킹 마그넷(M3)을 지지할 수 있다. 언락킹 마그넷(M3)은 슬라이더 마그넷(M2)에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언락킹 마그넷(M3)은 슬라이더(150)가 베이스 프레임(1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언락킹 마그넷(M3)에 의해, 락킹 마그넷(M1) 및 슬라이더 마그넷(M2)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은 일정 수준 상쇄될 수 있다.
슬라이더(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40)를 따라 스랄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더(150)는 슬라이더 바디(151), 슬라이더 홀(152), 슬라이더 하우징(153) 및 슬라이더 가이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홀(152)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 홀(152)의 길이 방향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느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 홀(152)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홀(152)은 언락킹 홀(1521) 및 락킹 홀(1522)을 포함할 수 있다. 언락킹 홀(1521) 및 락킹 홀(1522)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언락킹 홀(1521)은 베이스 돌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언락킹 홀(1521)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언락킹 홀(1521)은 베이스 돌기의 베이스 돌기 헤드 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돌기가 언락킹 홀과 나란하게 위치될 때, 버튼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락킹 홀(1522)은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언락킹 홀(1521)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락킹 홀(1522)은 베이스 돌기의 베이스 돌기 헤드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돌기가 락킹 홀(1522)과 나란하게 위치될 때, 버튼이 상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지지 프레임(140)은 베이스 돌기에 걸릴 수 있다.
버튼 캡(170)이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버튼 캡(170)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더 가이드(154)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더 가이드(154)를 가압할 수 있다. 버튼 캡(170)에 의해 가압된 슬라이더(150)는 프레임 바디(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버튼이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스프링(180)의 복원력으로 인해, 버튼 캡(170)은 버튼 커버(16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락킹 마그넷;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 마그넷을 마주하는 슬라이더 마그넷과, 상기 슬라이더를 커버하는 버튼 커버와, 상기 버튼 커버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버튼 캡과, 상기 버튼 커버 및 버튼 캡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
    을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및 버튼 커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및 버튼 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바디; 및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 가능한 슬라이더 홀을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홀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갖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홀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홀은,
    상기 베이스 돌기를 통과시키도록 마련된 언락킹 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언락킹 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언락킹 홀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락킹 홀을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돌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돌기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돌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 바디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베이스 돌기 헤드를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돌기 바디가 상기 락킹 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돌기 헤드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에 오버랩되도록 마련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 캡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버튼 캡에 간섭되는 슬라이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헤드와, 상기 프레임 헤드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돌기를 수용하는 프레임 홀을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메인 바디 파트; 및
    상기 메인 바디 파트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락킹 마그넷을 수용하는 마그넷 하우징을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자력을 인가하는 언락킹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은,
    상기 버튼 커버를 커버하는 캡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캡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간섭되는 캡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은,
    상기 캡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 가이드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는 캡 가압 돌기를 더 포함하는,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KR1020220112317A 2022-08-03 2022-09-05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KR20240018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693 WO2024029743A1 (ko) 2022-08-03 2023-06-22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906 2022-08-03
KR20220096906 2022-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991A true KR20240018991A (ko) 2024-02-14

Family

ID=8989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317A KR20240018991A (ko) 2022-08-03 2022-09-05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9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4136A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5961331B2 (ja) ユーザー結合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KR102449705B1 (ko) 운동 보조 장치
CN108309694B (zh) 一种足部驱动式下肢康复训练装置
EP3414061B1 (en) A device for enhancing a user's grasping capability
KR101146112B1 (ko) 전동보행보조기
US201401424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injured limb
KR101874689B1 (ko)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KR20240018991A (ko)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KR20190108861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JP2006087705A (ja) 五指関節リハビリ介護訓練装置
KR20230052803A (ko) 마그넷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4029743A1 (ko)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KR102598303B1 (ko) 체결 알림 기능을 갖는 링크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030008189A (ko) 자동 손가락 운동기
KR20190101225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20220163251A (ko) 클러치를 포함한 운동 보조 장치
KR20240063838A (ko) 체결 알림 기능을 갖는 링크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643944B1 (ko) 마찰 저감 부재가 수용된 마운트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28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339918B1 (ko)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31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22A (ko) 위치 보증 시스템 및 위치 보증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190101226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20240031994A (ko) 마찰 저감 부재가 수용된 마운트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