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228A -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228A
KR20230159228A KR1020220147903A KR20220147903A KR20230159228A KR 20230159228 A KR20230159228 A KR 20230159228A KR 1020220147903 A KR1020220147903 A KR 1020220147903A KR 20220147903 A KR20220147903 A KR 20220147903A KR 20230159228 A KR20230159228 A KR 2023015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dy
main housing
magnet
sliding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금종
설남기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217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59222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231A/ko
Priority to PCT/KR2023/003966 priority patent/WO2023219260A2/ko
Priority to US18/326,341 priority patent/US20230363972A1/en
Publication of KR2023015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더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패드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패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더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패드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패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될 수 있는 보조 암과, 상기 보조 암과 연결되고와 상기 보조 암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와, 사용자의 요부를 감쌀 수 있는 메인 벨트, 및 상기 메인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SLIDING DEVICE AND AN ASSIS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서 관절에 문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고통과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절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행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착용형 보조 장치 혹은 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착용감 및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보조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부품(예컨대, 후술할 슬라이더 패드)이 기 설정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부품(예컨대, 후술할 슬라이더 패드)이 정렬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부품(예컨대, 후술할 슬라이더 패드)의 정렬을 유도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더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패드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패드는, 고정 마그넷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 바디, 및 상기 고정 마그넷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는 페어링 마그넷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 바디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메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코어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바디는 상기 메인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코어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바디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맞닿아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코어 바디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코어 바디의 타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제1 돌기와 맞닿는 제1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2 돌기와 맞닿는 제2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은 2개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은 4개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페어링 마그넷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기 고정 마그넷 및 한 쌍의 상기 페어링 마그넷의 각각의 쌍내의 마그넷은 상기 슬라이더 패드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페어링 마그넷에 상기 페어링 마그넷을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가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은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코어 바디에 대해 기 설정된 정렬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마그넷이 상기 페어링 마그넷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는 상기 정렬 위치에서 최대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코어 바디의 일 부분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바디의 일 부분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장착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페어링 마그넷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더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패드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패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될 수 있는 보조 암, 상기 보조 암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 암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사용자의 요부를 감쌀 수 있는 메인 벨트, 및 상기 메인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 장치로 인하여 사용자의 대퇴부의 중앙 부분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부품(예컨대, 후술할 슬라이더 패드)이 기 설정된 위치로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부품(예컨대, 후술할 슬라이더 패드)이 정렬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이 저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퇴부에 맞닿는 부품(예컨대, 후술할 슬라이더 패드)의 정렬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1)는, 사용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체, 동물 또는 로봇 등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운동 보조 장치(1)는 하체 또는 상체 중 일부 관절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 보조 장치(1)는 고관절, 무릎 관절 및 발목 관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하체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보조 장치(1)는 어깨 관절, 팔꿈치 관절 및 손목 관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상체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운동 보조 장치(1)는 사용자의 하체 중 일부 관절의 운동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장치(100)를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1)는, 보조 암(10), 액츄에이터(20), 메인 벨트(30) 및 메인 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암(10)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될 수 있다. 보조 암(10)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암(10)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하체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보조 암(10)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예컨대 걷기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보조 암(10)은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는 대퇴부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암(10)과 대퇴부 벨트의 연결 부분에는 슬라이딩 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장치(100)는 대퇴부 벨트를 보조 암(10)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비되어, 대퇴부 벨트가 사용자의 대퇴부를 적절한 형태로 감싸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암(10)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장치(100)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2 내지 도 5c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액츄에이터(20)는 보조 암(10)에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는 보조 암(10)이 구동될 수 있도록 보조 암(1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는 보조 암(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는 사용자가 운동 보조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골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는 한 쌍의 보조 암(10)에 각각 대응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벨트(30)는 사용자의 요부를 감쌀 수 있다. 메인 벨트(30)는 사용자가 운동 보조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부를 지지할 수 있다. 메인 벨트(30)는 사용자가 운동 보조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 보조 장치(1)가 중력으로 인하여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벨트(30)는 보조 암(10) 및 액츄에이터(2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벨트(30)는 메인 프레임(4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메인 벨트(30)와 연결되고, 내측에 사용자의 요부를 수용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강체(rigid body)로서 운동 보조 장치의 구조적 골격을 이룰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액츄에이터(20)가 장착될 수 있는 액츄에이터 장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보조 암(1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한 쌍의 보조 암(10)과 연결되고, 보조 암(1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는 메인 프레임(40)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100)는 운동 보조 장치의 보조 암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장치(100)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되는 대퇴부 벨트(미도시)와 보조 암을 연결할 수 있다. 슬라이딩 장치(100)는 대퇴부 벨트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최적화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도록 대퇴부 벨트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슬라이더 패드(120) 및 장착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운동 보조 장치의 보조 암(미도시)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보조 암과 하나의 강체를 이룰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보조 암의 일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보조 암과 고정된 상태로 장착 부재(130) 및 슬라이더 패드(120)를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대퇴부 벨트와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대퇴부 벨트가 연결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형성된 벨트 연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 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장착 부재(130)의 중심을 관통하는 기준축(a)을 중심으로 운동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 패드(120)는 예컨대 기준축(a)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사용자의 보행 등 여타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슬라이더 패드(120)의 중심 부분은 기준축(a)과 정렬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1자유도로 운동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슬라이딩 운동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슬라이더 패드(120)를 연결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고정된 장착 부재(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장착 부재(130)의 일 단부의 일 부분은 슬라이더 패드(1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슬라이더 패드(120) 내부의 일 부분(예컨대, 후술할 코어 바디)와 연결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슬라이더 패드(120) 내부의 일 부분(예컨대, 후술할 코어 바디)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장착 부재(130)가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는 경우, 원통형 장착 부재(130)의 중심축을 기준축(a)으로 슬라이더 패드(120)가 1자유도 운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슬라이더 패드(120)의 중심 부분이 기준축(a)에 정렬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슬라이더 패드(120) 및 장착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운동 보조 장치의 보조 암(미도시)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보조 암과 하나의 강체를 이룰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보조 암의 일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보조 암과 고정된 상태로 장착 부재(130) 및 슬라이더 패드(120)를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메인 하우징(121) 및 코어 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 및 코어 바디(122)는 상호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 패드(120)를 이룬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슬라이더 패드(1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3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1자유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0) 및 장착 부재(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장착 부재(130)의 중심을 관통하는 기준축(a)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메인 하우징(121)의 중심 부분이 기준축(a)에 정렬되는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메인 하우징 제1 파트(1211), 메인 하우징 제2 파트(1212) 및 페어링 마그넷(121m)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1 파트(1211)는 메인 하우징 제2 파트(1212)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1 파트(1211)는 장착 부재(130), 코어 바디(122) 또는 이들 모두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1211h)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122) 및 장착 부재(130)는 관통 홀(1211h)을 통하여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1 파트(1211)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2 파트(1212)는 메인 하우징 제1 파트(1211)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2 파트(1212)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121m)은 메인 하우징(121)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121m)은 후술할 고정 마그넷(122m)과 자기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할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121m)은 메인 하우징 제2 파트(121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121m)은 예컨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121m)은 메인 하우징(121)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 하우징(121)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코어 바디(122)는 메인 하우징(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코어 바디(122)는 장착 부재(130)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코어 바디(122)의 일 부분은 메인 하우징의 관통 홀(1211h)을 관통하는 상태일 수 있다.
코어 바디(122)는,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 코어 바디 제2 파트(1222) 및 고정 마그넷(122m)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는 장착 부재(13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는 장착 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착 부재 연결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는 메인 하우징(121)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롤러(1221r)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221r)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1221r)는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하우징(121)을 코어 바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3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2 파트(1222)는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와 결합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2 파트(1222)는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의 롤러(1221r)가 관통될 수 있는 롤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2 파트(1222)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은 코어 바디(122)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은 페어링 마그넷(121m)과 상호작용하며 자기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코어 바디(122)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장착 부재(130)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 마그넷(122m) 또한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은 코어 바디 제2 파트(1222)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마그넷(122m)의 중앙 부분은 상술한 기준축(a)과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그넷(122m)은 기준축(a)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 및 페어링 마그넷(121m)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 및 페어링 마그넷(121m)은 동일한 크기의 자력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마그넷(122m) 및 페어링 마그넷(121m)은 서로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상호 인가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슬라이더 패드(120)를 연결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130)의 일 단부의 일 부분은 관통 홀(1211h)을 통하여 슬라이더 패드(1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와 연결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코어 바디 제1 파트(1221)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장착 부재(130)가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는 경우, 원통형 장착 부재(130)의 중심축을 기준축(a)으로 메인 하우징(121)이 1자유도 운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슬라이더 패드(120) 및 장착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메인 하우징(121) 및 코어 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122)의 고정 마그넷(122m)과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은 서로 당기는 인력을 상호 가할 수 있다. 코어 바디(122)의 롤러(1221r)는 메인 하우징(121)의 내주면과 맞닿음으로써,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4의 x축 방향)으로 1자유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 장착 부재(130) 및 코어 바디(122)는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장착 부재(130), 메인 하우징(121) 및 코어 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은 코어 바디(122)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코어 바디(122)는 장착 부재(130)에 고정된 상태로, 코어 바디(122)에 장착되는 고정 마그넷(122m)은 이동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 마그넷(122m)의 중심은 상술한 기준축(a)과 정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코어 바디의 고정 마그넷(122m)과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은 서로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가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은 슬라이딩 이동되는 메인 하우징(121)에 종속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기준축(a)과 정렬되는 위치에서 코어 바디(122)의 고정 마그넷(122m)과의 인력이 최대로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 바디의 고정 마그넷(122m) 및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이 기준축(a)을 중심으로 모두 정렬되는 경우, 고정 마그넷(122m)과 페어링 마그넷(121m)사이에서 작용되는 자기력이 가장 큰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이 기준축(a)과의 정렬에서 일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 페어링 마그넷(121m)과 코어 바디(122)의 고정 마그넷(122m)과의 인력으로 인하여 페어링 마그넷(121m)은 고정 마그넷(122m)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메인 하우징(121)은 기준축(a)에 정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하우징(121)이 베이스 프레임(110) 및 장착 부재(130)와의 정렬에서 일 방향으로 벗어나는 경우, 페어링 마그넷(121m)과 고정 마그넷(122m)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메인 하우징(121)은 다시 정렬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위치는 메인 하우징(121)의 중심 부분이 장착 부재(130)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기준축(a)과 정렬되는 센터링(centering) 정렬 상태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121)의 중심 부분이 기준축(a)과 정렬된 상태인 경우,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과 코어 바디(122)의 고정 마그넷(122m)이 정렬된 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 마그넷(122m)과 페어링 마그넷(121m)의 상호 끌어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는 최대일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외력(예컨대, 사용자의 보행 또는 외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장착 부재(130), 코어 바디(122) 및 메인 하우징(121)은 기준축(a)을 중심으로 센터링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121)의 페어링 마그넷(121m)이 기준축(a)과의 정렬에서 타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 페어링 마그넷(121m)과 코어 바디(122)의 고정 마그넷(122m)과의 인력으로 인하여 페어링 마그넷(121m)은 고정 마그넷(122m)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메인 하우징(121)은 기준축(a)에 정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예컨대, 도 5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하우징(121)이 베이스 프레임(110) 및 장착 부재(130)와의 정렬에서 타 방향으로 벗어나는 경우, 페어링 마그넷(121m)과 고정 마그넷(122m)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메인 하우징(121)은 다시 정렬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위치는 메인 하우징(121)의 중심 부분이 장착 부재(130)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기준축(a)과 정렬되는 센터링(centering) 정렬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넷(magnet) 및 이에 수반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품(예컨대, 상술한 슬라이더 패드)을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예컨대, 상술한 센터링)시키는 경우, 부품이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또는 마찰에 의한 분진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210), 슬라이더 패드(220) 및 장착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은 운동 보조 장치의 보조 암(미도시)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은 보조 암과 하나의 강체를 이룰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은 보조 암의 일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은 보조 암과 고정된 상태로 장착 부재(230) 및 슬라이더 패드(220)를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120)는, 메인 하우징(221) 및 코어 바디(2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 및 코어 바디(222)는 상호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 패드(120)를 이룬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슬라이더 패드(2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6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1자유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10) 및 장착 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장착 부재(230)의 중심을 관통하는 기준축(a)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메인 하우징(221)의 중심 부분이 기준축(a)에 정렬되는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 및 페어링 마그넷(221m)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는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는 장착 부재(230), 코어 바디(222) 또는 이들 모두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222) 및 장착 부재(230)는 관통 홀을 통하여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는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221m)은 메인 하우징(221)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221m)은 후술할 고정 마그넷(222m)과 자기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할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221m)은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221m)은 예컨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어링 마그넷(221m)은 메인 하우징(221)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 하우징(221)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코어 바디(222)는 메인 하우징(2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코어 바디(222)는 장착 부재(230)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코어 바디(222)의 일 부분은 메인 하우징의 관통 홀을 관통하는 상태일 수 있다.
코어 바디(222)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 및 고정 마그넷(222m)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는 장착 부재(23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는 장착 부재(2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착 부재 연결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222)는 메인 하우징(221)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는, 코어 바디(222)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2221r)와, 코어 바디의 타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2222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2221r)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2222s)는,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2221r)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의 일 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돌기(2222s)는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의 일 면 상에 길이 방향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2222s)는, 4개의 제2 돌기(2222s)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 레일(2231, 2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은 제1 슬라이딩 레일(2231)과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은 제1 돌기(2221r)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제2 돌기(2222s)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은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와 이격되고 제1 돌기(2221r)와 맞닿을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은 코어 바디(222)와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은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의 두 개의 레일의 각각은 두 개의 제1 돌기(2221r)와 맞닿을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코어 바디(222)와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와 이격되고, 제2 돌기(2222s)와 맞닿을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자기력에 의하여 코어 바디(222)와 메인 하우징(221)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메인 하우징(221)과 코어 바디(22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메인 하우징(221)과 코어 바디(22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메인 하우징(221)이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동안 발생되는 분진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4개의 제2 돌기(2222s)와 각각 맞닿는 4개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의 4개의 레일은 두 쌍의 레일로 구분되고, 각각의 쌍내의 레일은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과 페어링 마그넷(221m) 사이의 인력으로 인하여, 고정 마그넷(222m)이 수용되는 코어 바디(222)와 페어링 마그넷(221m)이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221) 사이에서는 양 마그넷 사이의 인력으로 인한 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코어 바디(222)와 메인 하우징(2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코어 바디(222)와 메인 하우징(221)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을 4개의 레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하우징(221)이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동안 발생되는 메인 하우징(221)과 코어 바디(222)사이에 각각의 레일에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각각의 레일에서 코어 바디(222)와 메인 하우징(221)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분진 및 소음은 크게 저감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은 제1 돌기(2221r)에 대하여 슬라이딩되고, 동시에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제2 돌기(2222s)에 대하여 슬라이딩됨으로써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3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메인 하우징(221)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메인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은 메인 하우징 제1 파트(2211)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레일(2232)는 메인 하우징 제2 파트(2212)에 고정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와 결합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의 롤러(2221r)가 관통될 수 있는 롤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는 바람직하게는 원호(圓弧)형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은 코어 바디(222)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은 페어링 마그넷(221m)과 상호작용하며 자기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코어 바디(222)는 베이스 프레임(210) 및 장착 부재(230)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 마그넷(222m) 또한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은 코어 바디 제2 파트(2222)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마그넷(222m)의 중앙 부분은 상술한 기준축(a)과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그넷(222m)은 기준축(a)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 및 페어링 마그넷(221m)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 및 페어링 마그넷(221m)은 동일한 크기의 자력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마그넷(222m) 및 페어링 마그넷(221m)은 서로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상호 인가할 수 있다.
장착 부재(230)는 베이스 프레임(210)과 슬라이더 패드(120)를 연결할 수 있다. 장착 부재(230)는 베이스 프레임(2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230)의 일 단부의 일 부분은 관통 홀을 통하여 슬라이더 패드(1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230)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와 연결될 수 있다. 장착 부재(230)는 코어 바디 제1 파트(2221)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장착 부재(23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장착 부재(230)가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는 경우, 원통형 장착 부재(230)의 중심축을 기준축(a)으로 메인 하우징(221)이 1자유도 운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200)는 베이스 프레임(210), 슬라이더 패드(220) 및 장착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패드(220)는 메인 하우징(221) 및 코어 바디(22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바디(222)의 고정 마그넷(222m)과 메인 하우징(221)의 페어링 마그넷(221m)은 서로 당기는 인력을 상호 가할 수 있다. 코어 바디(222)는 메인 하우징(221)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2221r, 2221s)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는, 코어 바디(222)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2221r)와, 코어 바디의 타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2222s)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과 코어 바디(222)사이에는, 메인 하우징(221)이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2231, 223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은, 제1 돌기(2221r)와 맞닿아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1 슬라이딩 레일(2231)과 제2 돌기(2221s)에 맞닿아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과 제2 슬라이딩 레일(2232)는 각각 2개의 레일과 4개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21)은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예컨대, 도 7의 x축 방향)으로 1자유도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 장착 부재(230) 및 코어 바디(222)는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는 각각 제1 돌기(2221r)와 제2 돌기(2221s)에 대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윤활 처리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메인 하우징(221)이 코어 바디(222)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동안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분진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레일(2231) 및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코어 바디(221)와 메인 하우징(222) 사이에서 작용되는 압력을 각각의 레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슬라이딩 레일(2232)은 고정 마그넷(222m)과 페어링 마그넷(221m) 사이에서 작용되는 인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코어 바디(221)와 메인 하우징(222) 사이의 압력을 4개의 레일로 분산시킴으로써, 메인 하우징(222)이 코어 바디(22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동안 각각의 레일에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메인 하우징(222)이 코어 바디(22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동안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분진 및 소음은 크게 저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운동 보조 장치
100: 슬라이딩 장치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슬라이더 패드
130: 장착 부재

Claims (13)

  1.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더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패드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패드는,
    고정 마그넷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코어 바디; 및
    상기 고정 마그넷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는 페어링 마그넷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 바디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메인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코어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디는 상기 메인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코어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바디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맞닿아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코어 바디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코어 바디의 타 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제1 돌기와 맞닿는 제1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2 돌기와 맞닿는 제2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은 2개의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은 4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페어링 마그넷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기 고정 마그넷 및 한 쌍의 상기 페어링 마그넷의 각각의 쌍내의 마그넷은 상기 슬라이더 패드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페어링 마그넷에 상기 페어링 마그넷을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가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은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코어 바디에 대해 기 설정된 정렬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이 상기 페어링 마그넷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는 상기 정렬 위치에서 최대로 증가되는,
    슬라이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코어 바디의 일 부분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바디의 일 부분은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장착 부재와 연결되는,
    슬라이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페어링 마그넷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한,
    슬라이딩 장치.
  12. 베이스 프레임,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더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패드를 연결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패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될 수 있는 보조 암;
    상기 보조 암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 암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사용자의 요부를 감쌀 수 있는 메인 벨트; 및
    상기 메인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
    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 장치로 인하여 사용자의 대퇴부의 중앙 부분으로 복귀될 수 있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0220147903A 2022-05-12 2022-11-08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993A KR20230159231A (ko) 2022-05-12 2022-12-16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PCT/KR2023/003966 WO2023219260A2 (ko) 2022-05-12 2023-03-24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18/326,341 US20230363972A1 (en) 2022-05-12 2023-05-31 Sliding device and motion assi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546 2022-05-12
KR20220058546 2022-05-12
KR1020220121761 2022-09-26
KR1020220121761A KR20230159222A (ko) 2022-05-12 2022-09-26 위치 보증 시스템 및 위치 보증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228A true KR20230159228A (ko) 2023-11-21

Family

ID=889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903A KR20230159228A (ko) 2022-05-12 2022-11-08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2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260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20124136A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449705B1 (ko) 운동 보조 장치
KR20150077439A (ko) 하지들의 보조 및 재활을 위한 로봇 디바이스
KR20140134477A (ko) 무게중심 이동을 위한 수동 메커니즘을 갖는 보행 재활 로봇
KR20190033963A (ko) 운동 보조 장치
JP7353762B2 (ja) 運動補助装置
KR20160031603A (ko) 근력 보조장치
CN112839779A (zh) 张力产生装置以及具有张力产生装置的屈伸动作辅助装置
KR102352338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28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31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30159222A (ko) 위치 보증 시스템 및 위치 보증 시스템을 구비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230363972A1 (en) Sliding device and motion assi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52803A (ko) 마그넷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663308B1 (ko) 체결 알림 기능을 갖는 링크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40018991A (ko)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WO2023219260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230149243A1 (en) Supporter having bistable spring, and exercise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same
CN218356657U (zh) 一种可穿戴柔顺膝关节外骨骼装置
KR20240063838A (ko) 체결 알림 기능을 갖는 링크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20128265A (ko) 착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190101274A (ko) 효율적인 다리 지지가 가능한 다리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102339918B1 (ko)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40031994A (ko) 마찰 저감 부재가 수용된 마운트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