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873A -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873A
KR20240018873A KR1020220096719A KR20220096719A KR20240018873A KR 20240018873 A KR20240018873 A KR 20240018873A KR 1020220096719 A KR1020220096719 A KR 1020220096719A KR 20220096719 A KR20220096719 A KR 20220096719A KR 20240018873 A KR20240018873 A KR 2024001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sertion groove
connection terminal
control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송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니트
Priority to KR102022009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873A/ko
Publication of KR2024001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75Bus assemblie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PLC modu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7PLC mounted in a cabinet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해당 외부기기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처리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들 내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들이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처리모듈들을 연결하는 결합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은 정보처리모듈이 내장된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하되, 해당 정보처리모듈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결합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세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Detachable Distribute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의 설비를 실시간으로 계측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산 제어 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 DCS)은 각종의 제어연산을 담당하는 제어 스테이션과, 이 제어 스테이션과는 분리·분산배치되어 있어서 센서나 액츄에이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주고 받기를 하기 위한 복수의 리모트 입출력장치로 구성되고, 제어 스테이션과 리모트 입출력장치와의 사이를 잇는 데이타버스(리모트 입출력버스)의 전송제어에 의한 것이다.
분산형 제어장치는, 제어대상인 프로세스로부터 다수의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다수의 제어단에 조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대상 전체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담당하는 일의 성질에 따라서, 복수의 리모트 입출력장치가 제어 스테이션에 결합하고 있다.
그러자, 종래의 분산 제어 시스템은 제어 스테이션 및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해당 제어 스테이션 및 리모트 입출력장치를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통신연결수단이 각각 요구되므로 장치의 설치가 번거럽고, 비교적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27362호: 지능형 유무선 분산 자동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정보처리모듈이 내장된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하되, 해당 정보처리모듈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마련된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해당 외부기기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처리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들 내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들이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처리모듈들을 연결하는 결합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접속단자와, 양단부가 상호 인접된 상기 케이스들의 접속단자에 각각 인입되어 해당 케이스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접속단자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소켓과,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해당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에 전달하거나 해당 정보처리모듈에서 수신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접속단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외측면이,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결합된 케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상에 상기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당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복수개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해당 전원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접속단자에 제공하거나 상기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된 전력을 상기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모듈과, 상기 전원단자 또는 접속단자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정보처리모듈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을 더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삽입홈이 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들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들 중 상호 인접되되,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면들에 연장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접속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이물질 방지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설치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케이스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방지유닛은 상기 삽입홈의 일단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홈을 덮을 수 있도록 해당 삽입홈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커버부재와, 상기 삽입홈의 타단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홈을 덮을 수 있도록 해당 삽입홈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2커버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삽입홈의 일단 사이 또는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삽입홈의 타단 사이의 상기 케이스에, 상기 접속단자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다수의 밀착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제1커버부재 또는 제2커버부재가 고정되는 신축로드와,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해당 신축로드가 신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은 정보처리모듈이 내장된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하되, 해당 정보처리모듈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결합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세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의 케이스들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의 이물질 방지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이물질 방지유닛의 밀착부재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100)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해당 외부기기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처리모듈(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111)이 형성되는 다수의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110)들 내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10)들이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처리모듈(10)들을 연결하는 결합유닛(1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지능형 배전반, 센서, 공조기, 에어컨, 전원, ESS, 조명기기 등이 포함되고, 정보처리모듈(10)은 배전반, 공조기, 에어컨 설비 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테이션 또는 센서나 기타 설비를 해당 제어 스테이션에 연결하기 위한 리모트 입출력장치가 적용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상기 설치공간(111)이 마련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케이스(110)의 후면에는 배전반과 같은 외부기기 내부에 마련된 설치공간(1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1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 내부에서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설치레일(15)이 마련되며, 고정브라켓(112)은 해당 설치레일(15)에 고정되어 외부기기 내부에 케이스(110)를 고정시킨다.
케이스(110)는 전면에, 공조기, 센서 등과 같은 설비가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연결단자(113)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연결단자(113)에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장비가 연결되는 통신단자, 아날로그 설비가 연결되는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 또는 디지털 설비가 연결되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 등이 적용된다. 또한, 정보처리모듈(10)이 제어 스테이션이 적용된 경우, 해당 정보처리모듈(10)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전원단자(1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건축물에 마련된 전력공급수단이 적용된다.
한편, 케이스(110)는 좌우측면에 각각 삽입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홈(116)은 상기 결합유닛(120)에 의해 결합된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다. 삽입홈(116) 상에는 후술되는 결합유닛(120)의 접속단자(121)가 설치된다. 한편, 삽입홈(116)은 설치공간(111)에 연통되게 케이스(110)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유닛(120)은 상기 케이스(110)에 마련되는 접속단자(121)와, 양단부가 상호 인접된 상기 케이스(110)들의 접속단자(121)에 각각 인입되어 해당 케이스(110)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접속단자(121)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소켓(122)과, 상기 접속단자(121)에 연결되어 해당 접속단자(12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10)에 전달하거나 해당 정보처리모듈(1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접속단자(121)에 전송하는 통신모듈(123)과, 제2전원단자(115)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접속단자(121)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모듈(124)과, 제1전원단자(114) 또는 접속단자(121)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을 정보처리모듈(10)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125)을 구비한다.
접속단자(121)는 케이스(110)의 좌우측면에 마련된 삽입홈(116)들 상에 각각 설치되되, 해당 삽입홈(116)을 통해 케이스(110)의 설치공간(11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단자(121)는 삽입홈(116)에 의해 노출된 측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접속부(126)와, 전력 전달을 위한 전력접속부(127)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소켓(122)은 상호 인접된 케이스(110)들에 설치된 접속단자(121)의 통신접속부(126)에 양단이 각각 인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통신접속핀(128)과, 상호 인접된 케이스(110)들에 설치된 접속단자(121)의 전원접속부에 양단이 각각 인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전원전달핀(129)과, 통신접속핀(128) 및 전원전달핀(129)은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통신접속핀(128)은 접속단자(121)들에 연결되며, 통신모듈(123)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통신접속핀(128)은 접속단자(121)의 통신접속부(126)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원전달핀(129)은 접속단자(121)들에 연결되며, 접속단자(121)들을 통해 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전원전달핀(129)은 전력접속부(127)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첨예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통신접속핀(128)들과 전원전달핀(129)들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해당 통신접속핀(128)들과 전원전달핀(129)들은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로 해당 지지부재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부재는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모듈(123)은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되며, 정보처리모듈(10) 및 접속단자(121)의 통신접속부(126)에 연결되며, 접속단자(12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정보처리모듈(10)에 전달하고, 정보처리모듈(1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접속단자(121)에 전송한다.
정보처리모듈(10)은 연결단자(113)에 연결된 설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른 케이스(110)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10)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통신모듈(123)은 정보처리모듈(1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접속단자(121)의 통신접속부(126)에 전송한다. 다른 케이스(110)에 설치된 통신모듈(123)은 접속단자(121)의 통신접속부(126)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케이스(110)에 마련된 정보처리모듈(1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모듈(10)은 전달받은 데이터에 따라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정보처리모듈(10)이 설치된 케이스(110)의 연결단자(113)에 연결된 설비에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대상 설비가, 다른 케이스(110)의 연결단자(113)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10)은 통신모듈(123)을 통해 다른 케이스(110)의 정보처리모듈(1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케이스(110)에 마련된 통신모듈(123)은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 케이스(110)의 정보처리모듈(10)은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대상 설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23)은 RS484 타입의 통신수단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소켓(122)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전력전달모듈(124)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접속단자(121)에 전달하기 위해 케이스(110) 내부에 마련된다. 제1전원단자(114)가 마련된 케이스(110)에 설치된 전력전달모듈(124)은 제1전원단자(114)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접속단자(121)의 전력접속부(127)에 전달한다. 이때, 전력전달모듈(124)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전원단자(114)를 통해 공급된 전력의 전압 또는 전류를 정보처리모듈(10)에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로 변경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수단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전원단자(114)가 마련되지 않은 케이스(110)에 설치된 전력전달모듈(124)은 접속단자(121)들 중 어느 하나의 전력접속부(127)를 통해 제공된 전력을 접속단자(121)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한다.
전력공급모듈(125)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케이스(110)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10)에 공급한다. 제2전원단자(115)가 마련된 케이스(110)에 설치된 전력전달모듈(124)은 전원공급부에서 제2전원단자(115)를 통해 제공된 전력을 해당 정보처리모듈(10)에 공급한다. 여기서, 전력공급모듈(125)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전원단자(115)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해당 정보처리모듈(10)에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로 변경할 수 있도록 전력변환수단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전원단자(115)가 마련되지 않은 케이스(110)에 설치된 전력공급모듈(125)은 접속단자(121)의 전력접속부(127) 및 연결소켓(122)을 통해 전달된 전력을 해당 케이스(110)에 마련된 정보처리모듈(10)에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100)은 정보처리모듈(10)이 내장된 케이스(110)들을 상호 결합하되, 해당 정보처리모듈(10)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결합유닛(12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및 통신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케이스(110)들을 상호 밀착되게 배열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111)이 협소하더라도 세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10)는 삽입홈(211)이 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211)은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면들 중 상호 인접되되,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면들에 연장형성된다. 즉, 삽입홈(211)은 케이스(210)의 좌측면에서 상면 또는 케이스(210)의 우측면에서 하면까지 절곡되게 연장형성된다.
한편, 접속단자(121)는 상호결합된 케이스(210)들의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212)에 의해 삽입홈(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212)은 삽입홈(2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며, 삽입홈(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레일(212)은 이격브라켓에 의해 케이스(210)의 내벽면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때, 접속단자(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결 케이블에 의해 통신모듈(123), 전력전달모듈(124) 및 전력공급모듈(125)에 연결된다. 해당 연결 케이블은 접속단자(121)의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삽입홈(211)이 소정길이 연장되며, 접속단자(121)가 삽입홈(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케이스(210)들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간(111)이 비교적 협소하더라도 케이스(210)들의 결합형태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300)은 삽입홈(211)의 상기 접속단자(1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0)에 마련되는 이물질 방지유닛(3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물질 방지유닛(310)은 상기 삽입홈(211)의 일단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21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121)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홈(211)을 덮을 수 있도록 해당 삽입홈(21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커버부재(311)와, 상기 삽입홈(211)의 타단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21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121)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홈(211)을 덮을 수 있도록 해당 삽입홈(21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2커버부재(312)와, 상기 접속단자(121)와 상기 삽입홈(211)의 일단 사이 또는 상기 접속단자(121)와 상기 삽입홈(211)의 타단 사이의 상기 케이스(210)에, 상기 접속단자(121)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커버부재(311,312)를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다수의 밀착부재(320)를 구비한다.
제1커버부재(311)는 일단이 삽입홈(211)의 일단에 인접된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1커버부재(311)의 타단은 삽입홈(2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121)의 측면보다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1커버부재(311)는 접속단자(121)의 이동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비닐 또는 섬유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커버부재(312)는 일단이 삽입홈(211)의 타단에 인접된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2커버부재(312)의 타단은 삽입홈(2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121)의 측면보다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2커버부재(312)는 접속단자(121)의 이동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비닐 또는 섬유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부재(320)는 상기 삽입홈(211)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121)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럭(321)과, 상기 이동블럭(321)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321)에서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면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제1커버부재(311) 또는 제2커버부재(312)가 고정되는 신축로드(322)와, 상기 신축로드(322)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해당 신축로드(322)가 신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23)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블럭(321)은 이동레일(212)에, 접속단자(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밀착부대들의 이동블럭(321)은 이동레일(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신축로드(322)는 이동블럭(321)에 고정되는 베이스봉(324)과, 상기 베이스봉(324)의 단부에,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봉(325)을 구비한다.
베이스봉(324)은 이동블럭(321)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삽입홈(211)에 대향되는 측면에 해당 신축봉(325)이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신축봉(325)은 일단이 베이스봉(324)의 인입구에 인입되어 해당 베이스봉(32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신축봉(325)은 타단 외주면에, 탄성부재(323)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326)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기(326)는 신축봉(325)에 대해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봉(325)의 타단부에는 제1커버부재(311) 또는 제2커버부재(312)가 고정되는 지지봉(3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27)은 제1커버부재(311) 또는 제2커버부재(312)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삽입홈(211)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323)는 양단이 각각 이동블럭(321) 및 신축봉(325)의 지지돌기(326)에 각각 지지되며, 신축봉(325)이 케이스(210)의 내측면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23)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축로드(32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 제공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술된 밀착부재(320)는 접속단자(121)와 삽입홈(211) 일단 사이의 이동레일(212) 또는 삽입홈(211) 타단과 접속단자(121) 사이의 이동레일(212)에 각각 다수개가 설치되어 제1커버부재(311) 및 제2커버부재(312)를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물질 방지유닛(310)은 삽입홈(211)에 인접된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제1자석부재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제1커버부재(311) 또는 제2커버부재(31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자석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자석부재는 삽입홈(211)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되되, 해당 삽입홈(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된다. 해당 제1자석부재는 소정의 자성을 갖는 자석이 적용된다. 제2자석부재는 제1자석부재에 대향되는 제1커버부재(311) 또는 제2커버부재(312)의 외측면에, 다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상기 제2자석부재는 제1자석부재에 자력결합되어 제1커버부재(311) 또는 제2커버부재(312)를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물질 방지유닛(310)은 제1커버부재(311) 및 제2커버부재(312)가 접속단자(121)를 제외한 삽입홈(211)의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므로 삽입홈(211)을 통해 케이스(2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110: 케이스
111: 설치공간
112: 고정브라켓
113: 연결단자
114: 제1전원단자
115: 제2전원단자
116: 삽입홈
120: 결합유닛
121: 접속단자
122: 연결소켓
128: 통신접속핀
129: 전원전달핀
123: 통신모듈
124: 전력전달모듈
125: 전력공급모듈
126: 통신접속부
127: 전력접속부

Claims (9)

  1.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해당 외부기기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처리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다수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들 내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들이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처리모듈들을 연결하는 결합유닛;을 구비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접속단자;
    양단부가 상호 인접된 상기 케이스들의 접속단자에 각각 인입되어 해당 케이스들을 결합시키되, 상기 접속단자들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소켓; 및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어 해당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정보처리모듈에 전달하거나 해당 정보처리모듈에서 수신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접속단자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면이, 상기 결합유닛에 의해 결합된 케이스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상에 상기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당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복수개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해당 전원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접속단자에 제공하거나 상기 접속단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된 전력을 상기 접속단자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모듈; 및
    상기 전원단자 또는 접속단자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정보처리모듈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모듈;을 더 구비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삽입홈이 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호 결합된 상기 케이스들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들 중 상호 인접되되,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면들에 연장형성된,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접속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이물질 방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설치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케이스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방지유닛은
    상기 삽입홈의 일단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홈을 덮을 수 있도록 해당 삽입홈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커버부재;
    상기 삽입홈의 타단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에 고정되되, 상기 삽입홈을 덮을 수 있도록 해당 삽입홈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2커버부재; 및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삽입홈의 일단 사이 또는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삽입홈의 타단 사이의 상기 케이스에, 상기 접속단자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다수의 밀착부재;를 구비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인접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제1커버부재 또는 제2커버부재가 고정되는 신축로드; 및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해당 신축로드가 신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KR1020220096719A 2022-08-03 2022-08-03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KR20240018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719A KR20240018873A (ko) 2022-08-03 2022-08-03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719A KR20240018873A (ko) 2022-08-03 2022-08-03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873A true KR20240018873A (ko) 2024-02-14

Family

ID=8989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719A KR20240018873A (ko) 2022-08-03 2022-08-03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8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62B1 (ko) 2020-05-14 2021-11-17 동양비엠에스(주) 지능형 유무선 분산 자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62B1 (ko) 2020-05-14 2021-11-17 동양비엠에스(주) 지능형 유무선 분산 자동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124B1 (ko) 전기 하이브리드 스위치, 전원 아웃렛 및 이들의 조합을 위한 지능형 서포트 박스
DE102013017204B4 (de) Nachrüstset zur Heizungssteuerung
KR20160079113A (ko) 스마트 홈 전력 연결 시스템
WO2005010641A3 (en) Management of large scale cabling systems
US999289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ttribute information display part
US20140370731A1 (en) Electric coupling element
US7922508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ith a jumper assembly having a telescopic slider
CN101176242A (zh) 用于低压开关的连接装置
US5321203A (en) Wiring structure for interior units
CN103867941A (zh) 灯具及其背板装置
KR20240018873A (ko) 분리형 분산 제어 시스템
CN101099220B (zh) 用于耦合两个模块的操作元件的手柄连接件和具有手柄连接件的开关设备
US7629893B2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patch fields at distribution points in data networks using reader coils to detect and communicate with transponders
US20200060039A1 (en) Modular electrical fieldbus system with stacked interconnected functional components
CN104716502A (zh) 杠杆致动的电气中心组合件
KR20240069144A (ko) 탈부착형 분산 제어 장치
EP4271142A2 (de) Zusatzvorrichtung für eine leuchte
KR100732726B1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CN103867975A (zh) 电连接装置以及应用该电连接装置的灯具
US10148026B2 (en) Sliding element for cont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20140061394A1 (en) Device for providing an electrical or fluid junction
US7463809B2 (en) Coupler for cable trough
CN109121471B (zh) 数据总线的电子接线板
CN103210611B (zh) 建筑系统工程中具有通用型数据耦合的安装设备以及具有如此构造的安装设备的装置
US20220023932A1 (en) Cable Ben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