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772A -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772A
KR20240018772A KR1020220096500A KR20220096500A KR20240018772A KR 20240018772 A KR20240018772 A KR 20240018772A KR 1020220096500 A KR1020220096500 A KR 1020220096500A KR 20220096500 A KR20220096500 A KR 20220096500A KR 20240018772 A KR20240018772 A KR 2024001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unit
predetermined
guarantee
guarante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재병
유숙인
Original Assignee
채재병
유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재병, 유숙인 filed Critical 채재병
Priority to KR102022009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772A/ko
Publication of KR2024001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소정의 보증값을 발급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보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정의 보증값 발행을 요청하는 디맨드 유닛; 디맨드 유닛이 보유하는 디지털 콘텐츠와 소정의 보증값의 정보를 매칭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검증 또는 보증하는 배리피케이션 유닛; 및 디맨드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보증값 발행 요청을 수신하며,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자의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하고 보관하는 오센티케이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System for transaction guarantee with through verifying owner identification for digital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를 보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의뢰자의 의뢰에 따라 보증값을 발급하고, 검증기관의 보증값 발행요청에 따라, 보증값 발행기관의 요건 부합 검토 등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NFT(Non-Fungible Token)란 대체 불가능한 정보를 덧붙인 블록체인 토큰으로,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활용하여 그림, 영상, 음악과 같은 디지털 파일에 별도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것으로 디지털 파일의 원본성, 진본성, 유일성을 증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NFT의 경우, 거래소를 통하여 디지털 아트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이 거래되며, 플랫폼을 통하여 고유성을 부여하는 토큰(NFT)이 발행되는 민팅(mint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NFT의 경우, NFT가 민팅된 시점에 대한 특정한 값과 메타 데이터에 대해서만 고유성, 유일성을 보증하게 된다.
이러한 NFT의 특징은 기존 디지털 파일을 NFT로 민팅하는 과정에서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저작권이 불분명한 NFT를 구매하는 경우 피해자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NFT를 이용한 판매수익에 집중한 나머지 저작권자에게 복제, 이용을 허락받지 않고 NFT를 발행, 저작권을 침해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NFT관련 시장이 급성장하는 시기에 작품 원본의 저작권과 소유권 문제에 대하여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해결을 위한 방법이나 기술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소유권 문제 해결에 대한 직접적인 기술에 해당하지 않으나,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시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전자서명을 통하여 거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선행기술 문헌으로는,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공개번호 제10-2022-0027408호,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전자책, 음원, 사진 등) 거래 방법이 제공된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소유권 양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가상화폐에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및 유통에 적합한 유통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유권 문제 해결에 대한 간접적인 기술로서, 저작권의 심의를 요청하여 요청 확인된 콘텐츠에 대하여 중개 가능하도록 하는 선행문헌으로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등록번호 제10-2239448호,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를 창출한 권리자의 권리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딩하고, 외부의 서버를 통하여 저작권 심의를 전산적으로 요청하는 프라이빗 로딩 유닛(private loading unit);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의 트랜잭션 정보(transaction information)를 복수 개의 노드로 공유되도록 하는 노드 액션 유닛(node action unit);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여, 권리자와 사용자를 전산 중개하는 배리피케이션 유닛(mediation unit); 및 중개된 디지털 콘텐츠에 사용 인증 정보를 스탬핑하는 스탬핑 유닛(stamping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아울러, 디지털 파일에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확인하도록 하는 선행문헌으로는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공개번호 제10-2008-0044598호, 특허문헌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은,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매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콘텐츠(DC)를 콘텐츠 ID에 따라 등록 및 저장하고, 디지털 콘텐츠(DC)를 콘텐츠 메타데이타를 포함시켜 DRM 또는 워터 마크를 사용하여 암호화하고, 구매자 단말로 각각의 디지털 콘텐츠(DC)에 대한 소유권/사용권/배포권을 관리하여 고객의 네트워크 판매 실적 관리 및 포인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과 연결되고, 콘텐츠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DC)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아 디지털 콘텐츠(DC)에 대한 인증 요청서를 발급하기 위한 인증 서버; 및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과 연결되고, 소유권 또는 배포권 이전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기 위한 결제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판매자 단말의 디지털 콘텐츠(DC)를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구매자 단말로 구매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사용권/배포권을 관리하여 고객의 네트워크 판매 실적 관리 및 포인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종래의 특허문헌 1 내지 2의 경우, 소유권이나 저작권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닌, 특허문헌 1은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파일 거래 시 디지털 파일에 대한 전자서명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허문헌 2는 심의 요청 후 심의 통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하여 소유권에 대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언급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블록체인 내에서 거래되는 파일에 대한 것으로 블록체인에서 거래되기 전 단계의 소유권 확인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특허문헌 2의 경우, 심의가 이루어지는 파일이 심의 요청자의 것인지 확인되지 않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이나 사용권을 관리해주는 서버를 두었으나, 아이디나 워터마크를 통해 관리하는 것으로 관리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경우, NFT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보증값을 발급하는 것으로서, 보증값은 신뢰 가능한 신분 보증기관으로부터 보증값이 발급되고, 의뢰자, 보증값 발생기관, 검증기관이 각각 보증값을 보관하여 NFT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서도 보증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공개번호 제10-2022-0027408호 등록번호 제10-2239448호 공개번호 제10-2008-0044598호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디지털 콘텐츠가 정당한 권리를 가지고 발행된 것인지 검증하여 신분증명에 대한 보증값이 발행되도록 한다.
둘째, 신뢰할 만한 기관이 발행한 신분증명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에 제공하고, 검증 기관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검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은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소정의 보증값을 발급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정의 보증값 발행을 요청하는 디맨드 유닛(demand unit); 상기 디맨드 유닛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검증 또는 보증하는 배리피케이션 유닛; 및 상기 디맨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보증값 발행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유자의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하고 보관하는 오센티케이션(authentication)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의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유자의 신분의 진위 여부를 검토하여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발행을 접수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 요건이 부합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확인하는 조건 검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하여,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과 상기 디맨드 유닛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보증값 발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보증값 발행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수신받는 보증값 수신부; 및 상기 디맨드 유닛의 거래 발생 시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제공하는 검증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 발행시,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발행 의뢰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발행 일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유효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 또는 보관하도록 하되, i)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 내에 보관, ii)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에 발행, 및 iii)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디맨드 유닛에 발행하여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 상기 디맨드 유닛 각각에 상기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정보를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신분 확인 정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바운더리가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조건 검토부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 해당되는 경우, 상기 보증값 발행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이 발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소유자로부터 소유권 이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상기 소정의 보증값과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이 보유한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보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유성 및 유일성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자 보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신뢰할 만한 기관이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신분 검증을 통하여 소유자의 신분 검증에 대한 보증값을 검증기관, 디지털 콘텐츠에 발행하고 보관하도록 한다.
셋째, 검증기관을 통한 소유자 신분 검증에 대한 보증값의 매칭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신분 검증이 가능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보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오센티케이션 유닛을 통하여 소정의 보증값이 발행되어 보관되고, 소정의 보증값이 디지털 콘텐츠와 배리피케이션 유닛에 발행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요청 수신부를 통하여 의뢰자의 보증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고, 요청에 따라 보증값 발행부를 통해 보증값이 발행되어 디지털 콘텐츠에 소정의 보증값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발생 시 배리피케이션 유닛을 통하여 소정의 보증값을 통한 보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에 대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각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오센티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배리피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과 소정의 보증값이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을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오센티케이션 유닛을 통하여 소정의 보증값이 발행되어 보관되고, 소정의 보증값이 디지털 콘텐츠와 배리피케이션 유닛에 발행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요청 수신부를 통하여 의뢰자의 보증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고, 요청에 따라 보증값 발행부를 통해 보증값이 발행되어 디지털 콘텐츠에 소정의 보증값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발생 시 배리피케이션 유닛을 통하여 소정의 보증값을 통한 보증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에 대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각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오센티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배리피케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중,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과 소정의 보증값이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을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은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소정의 보증값(verification value)(3)를 발급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보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2)의 경우, NFT(Non-fungible token)에 해당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에 대한 소유주를 증명하는 디지털 상의 가상의 토큰(virtual token)에 해당하게 된다.
고유성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낼 수 있다.
NFT의 경우, NFT를 발행한 시점에서의 원본성과 고유성, 소유권을 증명하는 것이 가능하나, NFT 발행 전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원본성과 소유권의 보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정의 보증값(3)의 경우,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이 신분 증명을 한 후의 전자서명 값이 되는 것으로, 신뢰할 만한 보증기관이 발행한 전자서명 정보, 전자 인증 정보, 인증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원 발명의 경우, 소정의 보증값(3)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 증명 또는 보장과 함께, NFT를 통하여 원본성과 고유성에 대한 증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유권 및 권한에 대한 검증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경우, 디맨드 유닛(100, demand unit),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verification unit), 오센티케이션 유닛(300, authentication unit)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디맨드 유닛(1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정의 보증값(3) 발행을 요청한다.
디맨드 유닛(100)은, 의뢰자의 단말기 또는 거래소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디맨드 유닛(100),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버 또는 단말에 해당한다.
디맨드 유닛(100)이 의뢰자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경우, 의뢰자의 단말기는, 네트워크 가능한 것으로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아이패드 등),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에 대한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기기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유자의 신분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의 경우, 디맨드 유닛(100)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디지털 콘텐츠(1)와 소정의 보정서(3)의 정보를 매칭하여 디지털 콘텐츠(1)를 검증 또는 보증한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디맨드 유닛(100)으로부터 소정의 보증값(3) 발행 요청을 수신하며, 디지털 콘텐츠(1)의 창작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유자의 소정의 보증값(3)를 발행하고 보관한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소정의 보증값(3)를 발행하는 기관에 해당하는 것으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창작자 또는 소유자의 소유자 신분 검증을 통하여 소정의 보증값(3)가 발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신분에 대하여 증명하고 신분 증명에 대한 결과에 따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으로, 예컨대, 한국 전자 인증, 베리사인(verisign)에 해당하는 신분에 대한 인증서를 발행하는 기관으로부터 증명서 발급을 위임할 수 있으며, 카카오, 네이버를 통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인증으로부터 인증서를 발급하는 기관에 증명서 발급을 위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통신사 인증, 신용카드 인증과 같은 신분에 대한 증명이 가능한 계좌 또는 본인 확인을 통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앱 인증과 같은 이미 인증된 신분 증명을 통하여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증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인증에 대하여 상용화되어 있는 기관에 신분 증명을 위탁함을 통하여 소유자의 인증 또는 신분 증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시로 설명한 인증 또는 기관 외에도 신분 증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총망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기술적 방식이 등장하는 경우, 사용되는 기술적 방식에 대한 도입을 통하여 신분 증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예컨대, 신분 증명에 대하여 모바일을 통한 생체 인증이 가능한 경우, 단말의 기능을 통하여 가능하도록 해당 단말에 인증에 대한 절차를 일정 위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종래의 은행 어플을 통한 생체 인증의 경우에도 단말의 기능을 통하여 일부 위탁함을 통해 생체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오센티케이션 유닛(300)내에 생체 인증에 대한 정보가 저장 또는 보관되고, 단말의 기능을 통해 인증된 정보와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신분 증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소정의 보증값(3)를 디지털 콘텐츠(1)와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에 발행하고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 보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디지털 콘텐츠(1)의 소유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의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에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유자의 신분의 진위 여부를 검토하여 소정의 보증값(3)를 디지털 콘텐츠(1)에 발행한다.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의 경우, 신분 검증 또는 신분 증명에 대한 조건의 바운더리(boundary)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준점이 선택적으로 축소 또는 확장되어질 수 있다.
바운더리에 대한 기준이 어느정도까지 인정되는지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바운더리에 대한 확장 또는 축소 영역은 리스크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바운더리에 대한 기준은 국가의 법령이나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서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하는 기술에 따라 기준이 선택적으로 설정되어질 수도 있으며,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의 검증 범위에 따라 바운더리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요청 수신부(310), 조건 검토부(320), 보증값 발행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요청 수신부(310)의 경우,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여 소정의 보증값(3)의 발행을 접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맨드 유닛(100)의 경우, 보증 서비스에 대하여 신청하게 되는데, 보증 서비스의 경우, 소정의 보증값에 대하여 발행을 요청하고 소정의 보증값 발행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신분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이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디맨드 유닛(100)이 요청한 보증 서비스 요청 즉, 소정의 보증값 발행에 대하여 접수하게 된다.
조건 검토부(320)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 요건이 부합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확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소정의 보정서에 대한 발행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검토하는 것으로, 소정의 보정서에 대한 발행 요건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한다.
발행 요건에 경우, 앞서 서술한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정의 보정서 발급 또는 발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증값 발행부(330)의 경우, 소정의 보증값(3)를 발행하여, 배리피케이션 유닛(200)과 디맨드 유닛(100)에 소정의 보증값(3)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보증값 발행부(330)의 경우, 보증값에 대한 발행과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보증값(3)에 대하여 발행하고 보관되도록 한다.
보증값 발행부(330)를 통하여 발행된 발행된 소정의 보증값(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 보관,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에 발행, 의뢰자 또는 거래소에 해당하는 디맨드 유닛(100)에 보관 또는 발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은, 보증값 수신부(210), 검증 제공부(220)를 포함한다.
보증값 수신부(210)의 경우, 보증값 발행부(330)로부터 소정의 보증값(3)를 수신받는다.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은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으로부터 발행된 소정의 보증값을 수신받아 저장 또는 보관하게 된다.
검증 제공부(220)의 경우, 디맨드 유닛(100)의 거래 발생 시 소정의 보증값(3)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제공한다.
검증 제공부(220)는,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발생 시 소유자의 신분을 검증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유자의 신분 검증은 소정의 보증값(3)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소정의 보증값(3) 발행시, 소정의 보증값(3)의 발행 의뢰자, 소정의 보증값(3)의 발행 일자, 소정의 보증값(3)의 유효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요청한다.
소정의 보증값(3) 내에는 발행 의뢰자의 정보, 보증값에 대한 발행 일자 정보, 보증값에 대한 유효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소정의 보증값(3)에 대하여 발행 요청과 함께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소정의 보증값(3)에 대한 발행 의뢰자 정보는 의뢰자에 대한 성명, 계좌번호, 앱 아이디 정보, 메일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앱 아이디 정보의 경우,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에 대한 아이디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소정의 보증값(3)에 대한 발행 일자 정보의 경우, 예컨대, 보증값이 발행된 일자에 해당하며, 세계시를 기준으로 일자가 기재되어 정확한 시간과 날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보증값(3)에 대한 유효기간 정보의 경우, 보증값에 대한 유효기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하며, 예컨대, 유효기간의 경우, 오센티케이션 유닛(300) 또는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이 설정한 유효기간에 따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 또는 보관하도록 하되, i) 소정의 보증값을 오센티케이션 유닛(3000) 내에 보관, ii) 소정의 보증값을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에 발행, 및 iii) 소정의 보증값을 디맨드 유닛(100)에 발행하여 오센티케이션 유닛(300),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디맨드 유닛(100) 각각에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보증값(3)의 경우, 디맨드 유닛(100),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 보관 또는 저장되는 것으로 소정의 보증값(3)는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으로부터 발행되어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 보관되어진다. 이후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으로부터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디맨드 유닛(100)으로 발행된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디맨드 유닛(100)에 보관되는 소정의 보증값(3)는 동일한 정보에 대하여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는, 디지털 콘텐츠(1)의 소유자 신분 확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1)의 소유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바운더리가 선택적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디지털 콘텐츠(1)의 소유자 신분 확인 정보의 경우, 소유자의 성명, 소유자의 주민번호, 소유자의 신용카드 정보, 소유자의 전화번호 정보, 소유자의 SNS를 통한 신분 확인 정보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유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의 경우, 소유자가 보유한 계좌가 소유자의 계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를 보유하는 월렛과 연결된 계좌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계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 확인 정보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거래가 정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1)가 A로부터 B로 위임된 경우, 혹은 디지털 콘텐츠(1)를 A가 C에게 판매한 경우 정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거래 혹은 위임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도록 하며, 정상적인 거래에 대한 정보는 거래내역 조회 정보, 거래에 대한 금융조회 정보, 거래에 대한 재산 변동 정보 등을 통하여 거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은 이러한 신분 검증에 대한 정보들에 대하여서 바운더리가 선택적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바운더리의 경우,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예컨대, 계좌 확인 정보의 경우, 계좌 확인이 어느 정도까지 이루어질 지에 대하여서는 각국의 법령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분 확인 정보의 경우도 예컨대, SNS를 통한 신분 확인 정보의 경우, SNS에 신분 확인에 대하여 어느정도까지 위임할지에 따라 신분 확인 정보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조건 검토부(32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정보가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 해당되는 경우, 보증값 발행부(330)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소정의 보증값이 발행되도록 한다.
조건 검토부(320)는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보증값 발행부(330)에 소정의 보증값(3)가 발행되도록 발행 요청을 처리하며, 보증값 발행부(330)가 발행한 소정의 보증값(3)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를 소유하는 소유자의 소유자 확인 검증에 대한 보증값으로서 디지털 콘텐츠(1)에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증값 발행부(330)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2)이 발행되는 시점에서 소정의 보증값이 발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은,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하여 소유자로부터 소유권 이전이 발생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1)의 소정의 보증값(3)와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이 보유한 소정의 보증값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1)를 보증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통하여 해시값을 형성하는 형태의 전자서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 검증 코드 발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의 경우, 소유자 신분 검증에 대한 인증서에 기반한 소정의 보증값 발행을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보증값은 배리피케이션 유닛(200)과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에 각각 발행되고 저장되는데, 배리피케이션 유닛(200)의 경우, 거래 발생에 따라서 매수자, 원작자, 매도자의 요청 시 소정의 보증값에 대하여 검증함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1)가 보증되어 거래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경우, 앱 혹은 웹을 통하여 서비스가 구현되며, 디지털 콘텐츠,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통하여 보증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의 경우, 노드 쉐어링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쉐어링 유닛(400)의 경우, 복수 개의 노드로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노드(node)를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디지털 콘텐츠(1)의 트랜잭션의 경우,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소정의 보증값 발행 및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2)에 대한 발행에 대한 이벤트 기록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드의 경우, 공유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트랜잭션의 정보를 공유하고 합치한다.
복수 개의 노드는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하여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의 수정 및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노드에 트랜잭션이 공유되는 과정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고유성이 발행되는 과정이 모든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되어 저장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노드는 트랜잭션에 대하여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 비교함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이벤트가 상호 정합되는지 여부를 매칭 비교하고, 각각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1)에 대한 이벤트가 합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디지털 콘텐츠(1)의 이벤트 발생되었으나, 노드 상호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디맨드 유닛(100), 배리피케이션 유닛(200), 오센티케이션 유닛(300)으로부터 소싱되지 않은 정보는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노드 상호 간의 디지털 콘텐츠(1)의 이벤트에 대한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소정의 보증값의 경우, 개인 서명 정보에 포함 가능할 수 있으며, 개인 서명 정보 내에 포함되는 경우,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2)과 함께 합치되어 디지털 콘텐츠에 제공됨으로 디지털 콘텐츠와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2)과 함께 복수 개의 노드에 트랜잭션 정보로서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지털 콘텐츠
2: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
3: 소정의 보증값
100: 디맨드 유닛
200: 배리피케이션 유닛
210: 보증값 수신부
220: 검증 제공부
300: 오센티케이션 유닛
310: 요청 수신부
320: 조건 검토부
330: 보증값 발행부

Claims (10)

  1. 고유성을 제공하는 토큰이 부여된 디지털 콘텐츠에 소정의 보증값(verification value)을 발급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정의 보증값 발행을 요청하는 디맨드 유닛(demand unit);
    상기 디맨드 유닛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검증 또는 보증하는 배리피케이션 유닛(verification unit); 및
    상기 디맨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보증값 발행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유자의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하고 보관하는 오센티케이션 유닛 (authentication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의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유자의 신분의 진위 여부를 검토하여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발행을 접수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 요건이 부합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확인하는 조건 검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하여,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과 상기 디맨드 유닛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보증값 발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보증값 발행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수신받는 보증값 수신부; 및
    상기 디맨드 유닛의 거래 발생 시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자 신분 검증을 제공하는 검증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 발행시,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발행 의뢰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발행 일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의 유효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발행 또는 보관하도록 하되,
    i)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 내에 보관,
    ii)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에 발행, 및
    iii)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상기 디맨드 유닛에 발행하여
    상기 오센티케이션 유닛,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 상기 디맨드 유닛 각각에 상기 소정의 보증값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 신분 확인 정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자에 대한 계좌 확인 정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거래 확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바운더리가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검토부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소정의 조건 바운더리 내 해당되는 경우,
    상기 보증값 발행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소정의 보증값이 발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소유자로부터 소유권 이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상기 소정의 보증값과 상기 배리피케이션 유닛이 보유한 상기 소정의 보증값을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보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KR1020220096500A 2022-08-03 2022-08-03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KR20240018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500A KR20240018772A (ko) 2022-08-03 2022-08-03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500A KR20240018772A (ko) 2022-08-03 2022-08-03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772A true KR20240018772A (ko) 2024-02-14

Family

ID=8989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00A KR20240018772A (ko) 2022-08-03 2022-08-03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7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598A (ko) 2006-11-17 2008-05-21 주식회사 케이티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KR102239448B1 (ko)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KR20220027408A (ko) 2020-08-27 2022-03-08 에스케이 주식회사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598A (ko) 2006-11-17 2008-05-21 주식회사 케이티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KR20220027408A (ko) 2020-08-27 2022-03-08 에스케이 주식회사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KR102239448B1 (ko)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3658B (zh) 基於區塊鏈中智慧合約保護交易活動敏感資料的方法和設備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10079682B2 (en) Method for managing a trusted identity
US63670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ransmission, storage, and retrieval of authenticated electronic original documents
US69380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ecure electronic payments
Zhao et al. NFTCert: NFT-based certificates with online payment gateway
CN112037068B (zh) 资源转移方法、系统、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437922A (zh) 分布式数据记录
US11663595B1 (en) Blockchain transactional identity verification
JP7114078B2 (ja) 電子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58608A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635489B1 (ko) 블록체인 기반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846765B (zh) 提供去中心化身份验证的方法和设备
JP6840319B1 (ja) 取引情報処理システム
CN115310978A (zh) 一种数字资产的交易方法及装置
KR102271647B1 (ko) 데이터 상호 공유 오브젝트 검증을 통한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KR20240018772A (ko)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KR20210058091A (ko) 블록체인 기반 위변조 방지 및 인증마크 부여를 통한 이력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KR20210058092A (ko) Eid를 이용한 거래자 인증을 수반하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내역 관리방법
CN115660679B (zh) 一种基于哈希锁定的去中心化安全交易方法
KR102447638B1 (ko) 트레이드 정보가 제시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선택적 거래 승인을 통한 디지털 데이터 거래 처리 시스템
KR10250350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정품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368186A1 (en) Process for Creation storage retrieval of immutable NFT Non-fungible token based electronic book publishing on a decentralized proof ofstake blockchain
US202302816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digital contract tokens
US20230316262A1 (en) Fungible and Non-Fungible Tokens with Authenticity: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Funding and Fundraising for Busin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