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408A -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408A
KR20220027408A KR1020200108235A KR20200108235A KR20220027408A KR 20220027408 A KR20220027408 A KR 20220027408A KR 1020200108235 A KR1020200108235 A KR 1020200108235A KR 20200108235 A KR20200108235 A KR 20200108235A KR 20220027408 A KR20220027408 A KR 2022002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ransaction
digital
content object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601B1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전자책, 음원, 사진 등) 거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소유권 양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가상화폐에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및 유통에 적합한 유통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Digital content transaction method using content encryption key based on blockchain platform}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전자책, 음원, 사진 등)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로서,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하는 탈 중앙화적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을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서명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어, 블록체인의 활용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음악, 사진, 영상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유통하고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해당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암호키 정보도 함께 양도되어야 하는데, 대체로 서비스(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별도의 DRM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 후 전달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DRM 호환성이 낮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는 탈 중앙화적 특징을 이용하기 위해, 블록체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으나, 가상화폐 기반의 블록체인 개발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구축되어 해당 서비스들이 특정 가상화폐와 연계된 구조로 서비스되고 있어, 이 역시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소유권 양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가상화폐에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생성한 콘텐츠 암호키를 별도의 DRM 서버를 통해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거래내역에 포함시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이전과 함께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는, 개별 개체(인스턴스) 단위로 발행되며, 발행되는 각각의 개체별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구분자(ID)와 신규 개체 생성 시, 최종 순번이 하나 증가되어 부여되는 개체 발행 순번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의 속성정보는, 콘텐츠 구분자(ID), 콘텐츠 명, 제작자, 제작일자 및 소개내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콘텐츠 구분자(ID)는,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가, 전자책인 경우,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가 포함되며,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가, 디지털 음원인 경우, 국제표준음악번호(ISMN)가 포함되고,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가, 전자책 또는 디지털 음원이 아닌 디지털 객체인 경우, 디지털객체식별자(DOI)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행 단계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특정 블록체인 노드가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수신자 단말로 확정되면,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송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여,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고,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에는, 송신자 공개키 및 수신자 공개키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거래번호는, 송신자 공개키, 수신자 공개키,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조합된 문자열의 SHA256 해쉬값이며, 전자서명은, 송신자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 가능하도록, 송신자 개인키로 암호화한 거래번호 문자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암호키는, 콘텐츠 개체의 발행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에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부여될 때,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도록, 난수(random)로 임의 생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을 통해, 임의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영역으로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포 단계는,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가 CDN 영역으로 배포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을 통해, 임의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를 수신자 공개키로 암호화시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소비자 단말이, CDN 영역에서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소비자 단말이,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한 개인키 및 콘텐츠 암호화키를 통해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 단계는, 소비자 단말이, 트랜잭션에 포함된 콘텐츠 암호키를 보유한 자신의 개인키를 통해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단계는,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의 복호화가 완료되면,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반복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의 소비가 가능하도록 하며,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 중인 소비자 단말은,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다른 소비자 단말이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수신자 단말로 확정되면,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송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여,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중고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암호키 전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과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고,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소유권 양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가상화폐에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및 유통에 적합한 유통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생성한 콘텐츠 암호키를 별도의 DRM 서버를 통해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거래내역에 포함시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이전과 함께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개별 개체로 구분 시키고, 거래를 통해 양도된 콘텐츠 개체의 소유권을 보장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 및 구독 과정에 걸친 서비스 이해관계자들에게 콘텐츠 개체의 생존주기(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생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이 이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처리 단말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플랫폼의 논리 아키텍처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위해 설계된 블록체인 데이터 모델이 예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 등록 화면이 예시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개체의 발행을 위한 트랜잭션(거래내역) 생성 화면이 예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암호화키가 포함된 트랜잭션 상세 정보가 예시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거래내역을 통한 콘텐츠 암호화키 전달 흐름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이하에서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으로 총칭하기로 함)이 이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서비스를 통해 성장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계정마다 생성된 공개키와 개인키를 통해 전자서명 기술을 활용하여 거래의 투명성을 제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소유권 양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순수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에 적합하게 구현되어, 특정 가상화폐에 종속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생성한 콘텐츠 암호키를 별도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를 통해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거래내역에 포함시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이전과 함께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디지털 콘텐츠에 개체의 특성을 부여하고 아날로그적인 소유의 개념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 모델을 디지털 콘텐츠 개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 만들어진 트랜잭션 데이터 모델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개별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이에 사용된 DRM 암호화 키를 블록체인 계정을 위해 생성된 트랜잭션 수신자(개체 소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달하고 트랜잭션 수신자는 자신의 개인키로 DRM 암호화 키를 복호화함으로써 별도의 DRM 관리 시스템의 도움없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에 의해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는 서로 간의 통신 및 합의를 통해 체인화된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대한 블록을 만들고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100)는, 정보처리 단말로서, 상황/경우에 따라 콘텐츠 발명자 단말,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100b) 또는 소비자 단말(100c, 100d)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주소(Cryptocurrency addresses)에 해당하는 개인키(Private key)와 공개키(Public key)가 부가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허용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개인키로 서명해서 보낼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합의하여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반영할 수 있다.
ex. 블록 해쉬 = SHA256(이전 블록해쉬 + 블록생성일시 + 머클루트)
즉,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100)는, 블록체인 서비스 계정에 기반한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pair)으로 구성된 계정키를 발급받는다. 이때, 계정키는 512 비트의 길이로 난수(random) 방식으로 RSA 알고리즘 이상의 보안 등급이 적용될 수 있다.
콘텐츠 발행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100)(이하에서는 '콘텐츠 발행자 단말'로 총칭함)는, 전자책, 음원 사진, 영상 및 게임 아이템 등의 창작 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발행자 단말(100a)은, 연결된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들을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100)(이하에서는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로 총칭함)는 콘텐츠 발행자 단말(100a)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거래내역)의 송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여, 발행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100b)은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매매/대여 거래를 통해 소비자에게 콘텐츠 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100b)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들을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영역으로 배포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노드(100)(이하에서는 '소비자 단말'로 총칭함)는 콘텐츠 개체를 구매 또는 대여하여, 소비/소유하는 주체이며, 자신이 소유 중인 콘텐츠 개체를 다른 소비자 단말(100c, 100d)에 판매 또는 대여하거나 또는 다른 소비자 단말(100c, 100d)로부터 콘텐츠 개체를 구매 또는 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소비자 단말(100c)은,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100b)로부터 콘텐츠 개체를 구매 또는 대여하여, 암호화되어 배포된 콘텐츠 개체를 다운로드하면,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의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반복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소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소비자 단말(100c)은,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제2 소비자 단말(100d)이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수신자 단말로 확정되면,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송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여,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중고 거래(양도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도, 콘텐츠 개체의 양도 거래 내역은 신규 콘텐츠 발행을 위한 거래 내역과 동일하다. 제1 소비자 단말(100c)은,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여, 제2 소비자 단말(100d)에 전달하고, 제2 소비자 단말(100d)은, 수신된 콘텐츠 개체를 복호화하여 소비할 수 있다.
양도되는 콘텐츠 속성정보에는 새로운 난수로 콘텐츠 암호키가 생성되어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CDN 영역에 재배포하여 이전 콘텐츠 개체를 대체할 수 있으며, 새로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거래내역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처리 단말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100)는, 정보처리 단말로서, 상황/경우에 따라 콘텐츠 발명자 단말,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100b) 또는 소비자 단말(100c, 100d)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블록체인 노드(100)들과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수단이고, 저장부(120)는,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13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매체이다.
프로세서(130)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100)가, 상황/경우에 따라 콘텐츠 발명자 단말,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100b) 또는 소비자 단말(100c, 100d)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제반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할 수 있으며, 연결된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들을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발행된 콘텐츠 개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한 개인키 및 콘텐츠 암호화키를 통해 복호화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플랫폼의 논리 아키텍처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플랫폼의 논리 아키텍처는, API Gateway, Account Management 콤포넌트, Contents Metadata 콤포넌트, Contents Instance 콤포넌트, Master Storage콤포넌트, Contents Hub 콤포넌트, Transaction Broker콤포넌트, Transaction Management 콤포넌트, Contract Management 콤포넌트, Owned Contents Storage, Block Storage, Contract Storage, SDK for Consumer, Contents Edge 및 Operation and Management 콤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API Gateway는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외부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하기 위해 호출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대한 접근 제어를 위한 콤포넌트이다.
Account Management 콤포넌트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모든 계정을 관리하며 접근 권한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다.
Contents Metadata 콤포넌트는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와 콘텐츠 데이러를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Contents Instance 콤포넌트는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개체화 시키고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CDN 영역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Master Storage콤포넌트는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 마련되며, Contents Hub 콤포넌트는 파일 단위의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Transaction Broker콤포넌트는 생성된 거래내역을 분배하기 위한 브로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Transaction Management 콤포넌트는 위임 받은 거래내역을 생성하고, 감시하며 수신자의 거래내역 목록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마련된다.
Contract Management 콤포넌트는 플랫폼 이용에 따른 계약 관리, 과금 및 정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Owned Contents Storage는 모든 거래 수신자의 거래내역 목록을 저장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Block Storage는 플랫폼에서 발생한 모든 거래내역 이력을 블록체인의 블록 단위로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플랫폼을 공개형(public)으로 구축할지 사설형(on-premise)으로 구축할 지에 따라 분산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합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할 수 있다.
Contract Storage는 플랫폼 계약 및 정산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SDK for Consumer는 콘텐츠 개체의 라이프사이클과 암호화키 관리를 위해 콘텐츠 소비자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제공되는 SDK 또는 가이드이다.
Contents Edge는 암호화된 개별 디지털 콘텐츠 개체를 관리하며 플랫폼 외부에 위치한 CDN 영역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Operation and Management 콤포넌트는 플랫폼 시스템을 운영하고 서비스를 감시하고 이벤트를 추적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 거래를 위해 설계된 블록체인 데이터 모델이 예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는, 콘텐츠 개체의 발행은 거래(트랜잭션) 송신자와 수신자를 확정함으로서 발행이 이루어진다.
본 디지털 콘텐츠는, 콘텐츠 데이터와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송신자 공개키, 수신자 공개키,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가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개별 개체(인스턴스) 단위로 발행된다.
발행되는 각각의 개체별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구분자(ID), 콘텐츠 명, 제작자, 제작일자 및 소개내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신규 개체 생성 시, 최종 순번이 하나 증가되어 부여되는 개체 발행 순번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개별 콘텐츠 개체는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로 구분되는데, 이는 콘텐츠 구분자와 개체 발행 순번의 조합이다. 개체 발행 순번은 신규 개체가 생성될 때 최종 순번이 하나 증가되어 부여될 수 있다.
거래번호는, 송신자 공개키, 수신자 공개키,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조합된 문자열의 SHA256 해쉬값을 의미한다.
전자서명은 송신자 개인키로 암호화한 거래번호 문자열로서, 전자서명 데이터는 SHA256 해쉬를 RSA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 및 검증될 수 있다. 즉, 해당 거래 내역의 전자서명은 송신자의 공개키를 통해 검증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노드(100)는, 송신자 개인키 및 거래번호를 이용하여 전자서명 데이터을 생성하고, 송신자 공개키 및 거래번호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선별된 콘텐츠 속성정보에는 개별 개체가 생성될 때 사용된 콘텐츠 암호키(DRM key)가 포함된다. 여기서, 콘텐츠 암호키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Key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디지털 콘텐츠 발행자가 콘텐츠 발행자 단말(100a)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등록시킬 수 있다(S410).
또한, 디지털 콘텐츠 발행자는, 콘텐츠 발행자 단말(100a)을 이용하여,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송신자 공개키, 수신자 공개키,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 중 특정 블록체인 노드(100)(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또는 특정 소비자의 정보처리 단말에 해당됨)가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수신자 단말로 확정되면, 플랫폼 계정이 생성된 디지털 콘텐츠 발행자는 송신자가 되어,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게 된다.
여기서, 콘텐츠 암호키는, 콘텐츠 개체의 발행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에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부여될 때,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도록, 난수(random)로 임의 생성된다.
콘텐츠 데이터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바이너리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데이터 형식을 나타내는 확장자(epub, pdf, mp3, jpeg, mov 등)를 갖게 된다.
콘텐츠의 속성정보는 콘텐츠 구분자(ID), 콘텐츠 명, 제작자, 제작일자, 소개내용 등의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이며, 이때, 콘텐츠 구분자(ID)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별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는 알파벳 또는 정수의 조합으로 전자책의 경우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음원의 경우 국제표준음악번호(ISMN), 전자책 또는 디지털 음원이 아닌 일반적인 디지털 객체인 경우,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속성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 등록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개체의 발행을 위한 트랜잭션(거래내역) 생성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디지털 콘텐츠 발행자는, 콘텐츠 발행자 단말(100a)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100)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콘텐츠 발행자는, 콘텐츠 발행자 단말(100a)을 이용하여,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거래내역)의 송신자 역할을 수행하고,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가 수신자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발행된 콘텐츠 개체를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다만, 콘텐츠 개체의 생성을 위한 거래의 수신자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사업자가 대부분의 사례에 해당될 것이나 수신자 지정의 제약은 없다.
상황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 발행자는 최종 소비자를 직접 지정하거나, 대여 사업자를 지정하거나, 혹은 자기 자신을 지정(수신자를 자기 자신의 공개키로 지정)하여 콘텐츠 개체와 거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암호화키가 포함된 트랜잭션 상세 정보가 예시된 도면이다.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들을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고,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영역으로 배포할 수 있다(S440).
즉,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에게 전달된 콘텐츠 개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100)들을 통해, 임의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영역으로 배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100)들은,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가 CDN 영역으로 배포되면, 임의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를 플랫폼에 저장하지 않고, 트랜잭션에 포함된 수신자 공개키로 암호화시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는 콘텐츠 개체의 매매/대여 거래를 통해 소비자에게 콘텐츠 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콘텐츠 거래 송신자와 수신자의 금전적 계약 사항은 본 플랫폼 기능 범위 밖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거래내역을 통한 콘텐츠 암호화키 전달 흐름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에 의해 배포된 콘텐츠 개체를 다운로드하고(S450),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한 개인키 및 콘텐츠 암호화키를 통해 복호화하여(S460), 해당 콘텐츠 개체를 소비할 수 있다(S470).
즉, 콘텐츠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00c, 100d)을 이용하여,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의 복호화가 완료되면,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반복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소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콘텐츠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00c, 100d)을 이용하여, 트랜잭션에 포함된 콘텐츠 암호키를 보유한 자신의 개인키를 통해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즉,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는 트랜잭션에 포함된 자신의 공개키로 암호화 되어 있는 콘텐츠 암호키를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콘텐츠 개체에 접근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위해 생성한 계정키(공개키와 개인키)를 콘텐츠 암호화키(DRM key) 전달에 활용하게 되는데,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개체가 생성되면 난수(random)에 의해 AES CBC 방식으로 콘텐츠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키를 이용해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의 공개키로 콘텐츠 암호화키가 암호화되어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포함되면, 콘텐츠 개체를 다운로드한 거래내역 수신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해 자신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암호화키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콘텐츠 암호화키로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자신이 소유 중인 콘텐츠 개체를 다른 소비자에게 판매 또는 대여하거나 또는 다른 소비자로부터 콘텐츠 개체를 구매 또는 대여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소비자는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와 암호화 키 관리를 위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또는 개발 가이드를 준수해야 한다.
더불어, 콘텐츠 소비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른 주체에게 해당 콘텐츠 개체를 양도할 수 있다. 콘텐츠 개체의 양도는 거래를 이루는 송신자와 수신자를 확정함으로서 이루어 진다. 거래내역에 사용될 수신자의 공개키는 직접 입력할 수 있지만, 플랫폼에 등록된 계정정보를 통해 수신자의 이메일을 이용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 양도 거래 내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신규 콘텐츠 발행을 위한 거래 내역과 동일하다. 양도되는 콘텐츠 속성정보에는 새로운 난수로 생성되는 콘텐츠 암호키가 포함되고,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가 CDN 영역에 재배포되면, 이전 콘텐츠 개체가 대체되며, 새로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거래내역에 포함된다.
또한, 콘텐츠 소비자 서비스가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환경인 경우에는 플랫폼에서 소비자의 계정정보를 활용해 콘텐츠 암호키를 복호화하여 CDN영역의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달할 수 있다.
소비가 완료된 디지털 콘텐츠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른 주체에게 해당 콘텐츠 개체를 양도할 수 있다. 소비자에 의한 콘텐츠 양도 거래는 사업자에 의한 콘텐츠 양도 거래 방식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콘텐츠 거래 송신자와 수신자의 금전적 계약 사항은 본 플랫폼 기능 범위 밖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소유권 양도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가상화폐에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및 유통에 적합한 유통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생성한 콘텐츠 암호키를 별도의 DRM 서버를 통해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거래내역에 포함시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이전과 함께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개별 개체로 구분 시키고, 거래를 통해 양도된 콘텐츠 개체의 소유권을 보장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 및 구독 과정에 걸친 서비스 이해관계자들에게 콘텐츠 개체의 생존주기(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생태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블록체인 노드
100a : 콘텐츠 발행자 단말
100b : 콘텐츠 유통/대여 사업자 단말
100c : 제1 소비자 단말
100d : 제2 소비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프로세서

Claims (11)

  1.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는,
    개별 개체(인스턴스) 단위로 발행되며,
    발행되는 각각의 개체별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구분자(ID)와 신규 개체 생성 시, 최종 순번이 하나 증가되어 부여되는 개체 발행 순번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콘텐츠의 속성정보는,
    콘텐츠 구분자(ID), 콘텐츠 명, 제작자, 제작일자 및 소개내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콘텐츠 구분자(ID)는,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가, 전자책인 경우,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가 포함되며,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가, 디지털 음원인 경우, 국제표준음악번호(ISMN)가 포함되고,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가, 전자책 또는 디지털 음원이 아닌 디지털 객체인 경우, 디지털객체식별자(DOI)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발행 단계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특정 블록체인 노드가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수신자 단말로 확정되면, 콘텐츠 발행자 단말이, 송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여,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고,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에는,
    송신자 공개키 및 수신자 공개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발행되는 콘텐츠 개체의 거래번호는,
    송신자 공개키, 수신자 공개키,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조합된 문자열의 SHA256 해쉬값이며,
    전자서명은,
    송신자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 가능하도록, 송신자 개인키로 암호화한 거래번호 문자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콘텐츠 암호키는,
    콘텐츠 개체의 발행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에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가 부여될 때,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도록, 난수(random)로 임의 생성되며,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을 통해, 임의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체를 암호화하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영역으로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배포 단계는,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가 CDN 영역으로 배포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을 통해, 임의 생성된 콘텐츠 암호키를 수신자 공개키로 암호화시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이, CDN 영역에서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및
    소비자 단말이,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한 개인키 및 콘텐츠 암호화키를 통해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복호화 단계는,
    소비자 단말이, 트랜잭션에 포함된 콘텐츠 암호키를 보유한 자신의 개인키를 통해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복호화 단계는,
    다운로드된 콘텐츠 개체의 복호화가 완료되면,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반복적으로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의 소비가 가능하도록 하며,
    복호화된 콘텐츠 개체를 보유 중인 소비자 단말은,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콘텐츠 생존주기(lifecycle)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다른 소비자 단말이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수신자 단말로 확정되면,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의 송신자 단말 역할을 수행하여, 보유 중인 콘텐츠 개체의 중고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1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과 통신 연결되는 통신부;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설명하는 속성정보, 거래번호, 콘텐츠 개체 고유번호, 전자서명 및 콘텐츠 암호키를 트랜잭션에 포함시켜 콘텐츠 개체를 발행하고,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 개체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거래장부에 기록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1020200108235A 2020-08-27 2020-08-27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KR10242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35A KR102428601B1 (ko) 2020-08-27 2020-08-27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35A KR102428601B1 (ko) 2020-08-27 2020-08-27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408A true KR20220027408A (ko) 2022-03-08
KR102428601B1 KR102428601B1 (ko) 2022-08-02

Family

ID=8081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35A KR102428601B1 (ko) 2020-08-27 2020-08-27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063B1 (ko) * 2022-10-05 2023-07-17 주식회사 위드마루 블록체인 기술기반 중고 컴퓨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컴퓨터 거래 서비스 방법
KR20240018772A (ko) 2022-08-03 2024-02-14 채재병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188A (ko) * 2011-10-24 2014-06-12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콘텐츠의 보안 배포
KR101439923B1 (ko) 2007-08-10 2014-09-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콘텐츠의 선택적인 부분 암호화를 위한 drm 시스템 및방법
KR101628005B1 (ko) *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KR101986482B1 (ko) * 2017-12-12 2019-06-07 주식회사 디지캡 콘텐츠 정보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콘텐츠 블록체인
KR20190069759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디지캡 콘텐츠 블록체인에서의 콘텐츠 암호키 관리 및 배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23B1 (ko) 2007-08-10 2014-09-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콘텐츠의 선택적인 부분 암호화를 위한 drm 시스템 및방법
KR20140072188A (ko) * 2011-10-24 2014-06-12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콘텐츠의 보안 배포
KR101628005B1 (ko) *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KR101986482B1 (ko) * 2017-12-12 2019-06-07 주식회사 디지캡 콘텐츠 정보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콘텐츠 블록체인
KR20190069759A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디지캡 콘텐츠 블록체인에서의 콘텐츠 암호키 관리 및 배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특허 제10-1291075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권한 관리의 선택적 암호화 및 복호화에 대한 방법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72A (ko) 2022-08-03 2024-02-14 채재병 소유자 신분 확인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거래 보증 시스템
KR102556063B1 (ko) * 2022-10-05 2023-07-17 주식회사 위드마루 블록체인 기술기반 중고 컴퓨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컴퓨터 거래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601B1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7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object management in a blockchain environment
EP3635597B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ent transaction consensus
CN108804879B (zh) 用于内容和服务共享的方法和系统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US10491378B2 (en) Decentralized nodal network for providing security of files in distributed filesystems
US20200143015A1 (en) Decentralize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block chains
US20190173854A1 (en) Decentralized information sharing network
JP4424465B2 (ja) 情報機器、情報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14225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콘텐츠 파일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5764A (ko) 블록체인에서 교환을 구현하기 위한 토큰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86187A1 (en) Decentralize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block chains and encrypted peer-to-peer network
KR102428601B1 (ko)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암호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Chavan et al. Music streaming application using blockchain
JP2018098564A (ja) 分散型台帳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705571A (zh) 保护可审计的帐户的隐私
US20190294759A1 (en) Digital Media Distribution Computer System
KR20070061605A (ko) 합법적 네트워크 마케팅 유통 지원 및 저작권 파일 무단전송/복제의 차단 및 탐지 가능한 저작권 보호 p2p 시스템
Kitahara et al. A method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Bitcoin protocol
Pérez‐Solà et al. BArt: Trading digital contents through digital assets
US20180276633A1 (en) Digital Media Distribution Computer System
Reddy et al. An Intelligent Tender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 Chain and IPFS
US202303344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Software Key Distribution
WO202320421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64475A1 (en) Content containerization, distribu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