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129A - 스팀 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129A
KR20240018129A KR1020220096013A KR20220096013A KR20240018129A KR 20240018129 A KR20240018129 A KR 20240018129A KR 1020220096013 A KR1020220096013 A KR 1020220096013A KR 20220096013 A KR20220096013 A KR 20220096013A KR 20240018129 A KR20240018129 A KR 20240018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team generator
hea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균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2009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129A/ko
Publication of KR2024001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7Skirts or splash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4Heating plates with overheat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패드, 상기 청소패드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외부로 토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수를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형성되는 스팀 발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발열부재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팀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팀 청소기{STEAM CLEANER}
본 발명은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스팀 가열 효율이 향상된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닦아 내어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흡입력을 이용한 진공 청소기와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의 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모터의 힘으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특히, 스팀 청소기는 청소하는 과정에서 스팀화 되지 않은 물방울이 스팀과 같이 튀어 오르게 되므로 물과 스팀이 같이 배출되어 청소 대상물이 젖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0029호(공고일자: 2009년 10월 05일)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청소기는, 스팀 청소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수용된 공급수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스팀 청소기의 사용시에 물의 스팀화 과정에서 물이 외부로 스팀과 함께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패드;
상기 청소패드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외부로 토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수를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형성되는 스팀 발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발열부재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배출구에 인접한 부위에는,
물 튐에 의한 상기 공급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물튐 방지 유닛;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튐 방지 유닛에는,
상기 공급수의 일부가 낙수되어 회수되는 독립적인 유로에 의하여 워터탱크에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는 상기 물튐 방지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부재는 면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는, 상기 스팀 발생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 방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청소기는, 스팀 청소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수용된 공급수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스팀 청소기의 사용시에 물의 스팀화 과정에서 물이 외부로 스팀과 함께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부가 적용된 스팀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직립형 발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직립형 발열부재의 물튐 방지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청소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 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재가 적용된 스팀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청소기(1)는 헤드부(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11),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패드(20), 상기 청소패드(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미도시), 상기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가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의 발열부재(200)가 형성되는 스팀 발생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청소기(1)는 헤드부(10)에 회동 가능하게 포함되는 핸들 유닛(30)을 포함될 수 있다. 핸들 유닛(30)은 스팀 청소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유체를 수용하고 스팀 발생장치(100)에 유체를 공급하는 워터탱크(미도시) 및 전기를 저장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미도시)는 핸들 유닛(30)에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될 수 있고, 유체를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유체를 스팀 발생장치(10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핸들 유닛(30)에는 워터탱크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는 워터탱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워터탱크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핸들 유닛(30)에 탈착 가능하게 포함되어 사용자는 분리하여 유체를 보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워터탱크는 핸들 유닛(3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에 의하여 스팀 발생장치(100)와 연결되어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워터탱크는 솔레노이드 밸브 방식으로 제어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연장관 및 연결 호스를 통해 스팀 발생장치(10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핸들 유닛(3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해 손잡이(3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31)를 파지하여 스팀 청소기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손잡이 하부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팀 발생장치(100) 및 회전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팀 발생장치(100)는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고, 회전 유닛은 회전 유닛에 장착된 청소 패드(20)를 회전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가 포함되어 스팀 발생장치(100) 및 회전 유닛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에 의해 청소 수행에 있어 무선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로 포함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은 헤드부(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장치(100), 본체 하우징(11)에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패드(20), 청소패드(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은 핸들 유닛(2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핸들 유닛(20)에 형성된 손잡이(31)를 파지하여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청소패드(20)는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청소 패드는 회전 유닛(2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청소가 종료된 후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청소패드(20)는 본체 하우징(1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소패드(20)가 본체 하우징(1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본체 하우징(11)의 크기에 의해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틈새도 청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소정의 길이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헤드부(10)에는 청소 패드(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회전 유닛에 청소 패드(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 유닛에 청소 패드(20)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 유닛이 회전하여 청소패드(20)가 회전되어 청소면을 닦아내어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회전 유닛(미도시)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미도시), 모터부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부는 모터부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청소패드(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청소패드(2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유닛에는 탄성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탄성부가 포함되어 청소면에 굴곡이 포함되어 있어도, 탄성부의 변형에 의해 굴곡면을 따라 조절되어 청소패드(20)가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
헤드부(20)에는 스팀 발생장치(100)가 포함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100)는 워터탱크(미도시)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 후 스팀 노즐(미도시)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 발생장치는 스팀 발생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입수부(120) 및 공급부(130)가 형성된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 및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 내부에 포함되어 유체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은 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입수부(120)와 공급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은 입수부(120)를 통해 워터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유입된 유체는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에 저장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에 저장된 유체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공급부(130)를 통해 가열 또는 스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11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입수부(120) 및 가로방향을 따라 공급부(130)가 포함되어 있고, 하부 하우징(112)에는 발열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수부(120)는 핸들 유닛(3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에 의하여 워터탱크와 연결되어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입수부(120)는 워터탱크와 유체 연통되어 유체를 공급받아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에 유입시킬 수 있다.
공급부(130)는 본체 하우징(11)에 포함되는 스팀 노즐과 연장관 및 연결 호스 등에 의해 유체 연통될 수 있고, 공급부(130)를 통해 스팀 발생장치(100)에 유입된 유체가 가열되어 배출 또는 스팀으로 발생되어 배출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150)는 상부 하우징(111) 및 하부 하우징(112)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연결부(150)에 의해 본체 하우징(11)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가 보관되는 워터탱크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열부재(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발열부재(200)는 필름형태로 인쇄되거나 매립되어 부착된 형태의 면상 히터로 포함될 수 있다. 발열부재(200)가 면상 히터로 형성되어 급속도로 가열될 수 있고, 면상히터에 의해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부재가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예열을 위해 물을 예열하는 예열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재(200)가 면상 히터로 포함되어 예열 동작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발생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발열부재(200)는 면상 히터로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면상히터가 발열하여 워터탱크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발열부재(200)는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 내부의 바닥면에 매립되고, 매립된 발열부재(200)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발열부재(200)는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 내부의 바닥면에 매립될 수 있고, 발열부재(200)가 매립된 상기 바닥면의 기울기는 발열부재(200)가 매립된 매립부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어 포함될 수 있다. 매립부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어 형성되어 스팀 발생장치(100) 내부에 유입된 유체를 발열부재(200)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110)에는 과열방지센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과열방지센서는 발열부재(200)에 의해 기설정된 온도보다 온도가 상승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또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오동작 등에 의해 과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팀 발생장치(100)의 온 오프(on-off) 동작을 통해 1회 동작의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1회 동작은 제1 시간 딜레이 후 제2 시간동안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1초, 제2 시간은 5초로 설정하여 1회 동작에 1초 대기 후 5초 동안 스팀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를 들어, 배터리는 24V 450W의 용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배터리 완충 후 50회 이상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여 에너지 소비 효율이 상승하여 보다 장시간 스팀 청소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스팀 발생장치(100)는 온풍을 생성할 수 있고, 스팀 노즐을 통해 온풍을 청소면에 송풍할 수 있다. 청소패드에 의해 청소면 청소 후 온풍을 송풍하여 청소면의 습기를 더 제거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에는 청소면을 조명하는 조명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조명부는 청소면과 대향한 위치에 포함될 수 있고,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가 포함되어 청소면을 조명하여 어두운 구석 등의 청소에 용이할 수 있다. 조명부는 UV 광원을 조사할 수도 있다. UV 광원을 조사하여 청소면을 살균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발생장치(100)의 발열부재(200)에 대한 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직립형 발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직립형 발열부재의 물튐 방지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청소기(1)는 헤드부(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11),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패드(20), 상기 청소패드(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미도시), 상기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체를 가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의 발열부재(200)가 형성되는 스팀 발생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재(200)는 스팀 발생장치(100)의 공급수가 보관되는 워터탱크의 측면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발열부재(20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워터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급수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부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수가 보관된 워터탱크의 측면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술한 스팀 공급 시간이 조절에 따른 정지시간인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스팀 공급이 가능하므로, 공급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생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재(200)의 가열시간이 제1 시간은 1초, 제2 시간은 5초로 설정하여 1회 동작에 1초 대기 후 5초 동안 스팀이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발열부재(200)는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직 상기 수위감지센서(S)에서 감지된 상기 공급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발열부재(200)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상기 제2 시간 동안 5초간 분사되는 스팀 발생 시간동안 상기 공급수의 수위가 최소한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상기 공급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온도센서가 생략될 수 있다.
또, 워터탱크에는 수위감지센서(S)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워터탱크에 수위감지센서가 포함되어 스팀 청소기 동작 중 워터탱크 내의 물이 일정수위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열부재(20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기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수위에 대한 경고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스팀 발생장치(100)는 공급수가 수용된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100)의 배출구(130)에 인접한 부위에는, 물 튐에 의한 상기 공급수가 상기 배출구(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물튐 방지 유닛(30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물튐 방지 유닛(300)은 발열부재(200)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급수가 가열과정에서 물튐 현상에 의하여 스팀화 되지 않은 공급수가 상기 배출구(130)로 함께 배출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물튐 방지 유닛(300)은 배출구(130) 부위에 배치되어 발열부재(200)의 가열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급수의 물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에서, 물튐 방지 유닛(3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차단 리브(310)가 형성되어 있고, 대면하는 하측면에는 상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교호적으로 차단 리브(31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발열부재(200)에서 가열된 스팀(steam)이 스팀 공급장치(100)의 배출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열되지 않은 공급수가 물튐 방지 유닛(300)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서, 발열부재(200)의 가열과정에서 공급수에 의한 물튐 현상으로 스팀과 함께 공급수가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물튐 방지 유닛(3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상측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차단 리브(310)가 형성되어 있고, 대면하는 하측면에는 상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교호적으로 차단 리브(310)가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차단 리브(310)을 통하여 낙수되는 물이 다시 워터탱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회수 배관(3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튐 장지 유닛(300)의 차단 리브(3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물튐 현상에 물이 스팀과 함께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2차적으로 차단된 물이 다시 공급수로 회수되어 스팀으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스팀 청소기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스팀 청소기 10: 헤드부
11: 본체 하우징 20: 청소 패드
30: 핸들 유닛 100: 스팀 발생장치
110: 스팀 발생장치 하우징 111: 상부 하우징
112: 하부 하우징 120: 입수부
130: 공급부 150: 연결부
200: 발열부재 300: 물튐 방지 유닛
310: 차단 리브 320: 회수 배관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패드;
    상기 청소패드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외부로 토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수를 가열하는 발열부재가 형성되는 스팀 발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발열부재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팀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의 배출구에 인접한 부위에는,
    물 튐에 의한 상기 공급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물튐 방지 유닛;가 형성되는, 스팀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 방지 유닛에는,
    상기 공급수의 일부가 낙수되어 회수되는 독립적인 유로에 의하여 워터탱크에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팀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는 상기 물튐 방지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팀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워터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스팀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면상 히터인, 스팀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는,
    상기 스팀 발생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 방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팀 청소기
KR1020220096013A 2022-08-02 2022-08-02 스팀 청소기 KR20240018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013A KR20240018129A (ko) 2022-08-02 2022-08-02 스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013A KR20240018129A (ko) 2022-08-02 2022-08-02 스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129A true KR20240018129A (ko) 2024-02-13

Family

ID=8989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013A KR20240018129A (ko) 2022-08-02 2022-08-02 스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1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9B1 (ko) 2008-01-18 2009-10-05 한경희 스팀발생유닛 및 스팀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9B1 (ko) 2008-01-18 2009-10-05 한경희 스팀발생유닛 및 스팀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868Y1 (ko)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US20080060689A1 (en) Wa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shaver
RU2091053C1 (ru) Пылесос с пароструй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EP2117404B1 (en) Nozzle for cleaner
WO2008012661A2 (en) Handheld steam cleaner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KR101897245B1 (ko) 코핸드워시 드라이장치
JP6754939B2 (ja) 衛生洗浄装置
US2016015093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ES2881804T3 (es) Aparato de lavado higiénico
KR20140140126A (ko) 스팀청소기
KR20120015477A (ko) 로봇청소기
KR20240018129A (ko) 스팀 청소기
KR20240018130A (ko) 스팀 청소기
KR20240012945A (ko) 청소기
KR20240012947A (ko) 청소기
KR20240018132A (ko) 청소기
KR20240012950A (ko) 청소기의 스팀발생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20240007994A (ko) 청소기
KR20240023873A (ko) 청소기
KR20240023878A (ko) 청소기
KR20240023875A (ko) 청소기
KR200421793Y1 (ko)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GB2530568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405606Y1 (ko) 핸디형 스팀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