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078A - 매니폴드 유체 모듈 - Google Patents

매니폴드 유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078A
KR20240018078A KR1020220095896A KR20220095896A KR20240018078A KR 20240018078 A KR20240018078 A KR 20240018078A KR 1020220095896 A KR1020220095896 A KR 1020220095896A KR 20220095896 A KR20220095896 A KR 20220095896A KR 20240018078 A KR20240018078 A KR 2024001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t exchanger
manifold
heat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구
김무중
노경태
이해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078A/ko
Priority to PCT/KR2023/011288 priority patent/WO2024029908A1/ko
Publication of KR2024001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니폴드 유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은 내부에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압축기, 및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출된 제1 유체가 직접 유입되도록 연결되며,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압축기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를 가지고,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 중 어느 하나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매니폴드 유체 모듈{MANIFOLD FLUID MODULE}
본 발명은 매니폴드 유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 및 밸브류의 부품들을 하나로 모듈화한 매니폴드 유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환경 친화적인 산업 발전 및 화석원료를 대체하는 에너지원의 개발 기조 아래, 근래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있다.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주행 운전뿐만 아니라 냉난방 시에도 배터리를 이용한다.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차량에서, 냉난방 시 배터리가 열원으로 사용된다는 것은 그만큼 주행거리가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위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가정용 냉난방장치로 널리 활용된 히트펌프 시스템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참고로, 히트펌프란 저온의 열을 흡수하여 흡수된 열을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 예로서의 히트펌프는 액체 유체가 증발기 내에서 증발하고 주위에서 열을 빼앗아 기체가 되며, 다시 응축기에 의해 주위에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되는 사이클을 가진다. 이를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하면, 종래 일반적인 공조장치에 부족한 열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모듈화 구성은 부분 모듈화 방식으로 중요부품(밸브, 어큐뮬레이터, 칠러, 응축기, 내부 열교환기 및 센서 등)이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배관의 연결을 위해 피팅 및 커넥터들이 별도로 구성되어야 하며, 부품간의 연결을 위해 적정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패키징, 원가 및 작업성에서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또한, 매니폴드의 모듈화 과정에서 고온의 유체와 저온의 유체 간의 열간섭으로 인하여 히트펌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관, 피팅 및 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원가절감, 중량저감 및 작업성을 증대할 수 있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매니폴드 플레이트와 열교환기의 유체 유로 배치를 통하여 냉매 간의 열간섭을 최소화하고 히트펌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은 내부에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압축기; 및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출된 제1 유체가 직접 유입되도록 연결되며,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압축기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를 가지고,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 중 어느 하나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배출 포트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에서 제1 유체는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고, 제1 유체는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하면서 서로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일면에는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타면에는 제2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유체 유입 포트 및 제2 유체 유출 포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유체 유로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체 유입 포트 및 제2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바깥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 유입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 유입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는 고온의 제1 유체와 저온의 제1 유체 간의 열간섭을 피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유로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1 유체를, 제2 유체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키는 제3 열교환기 및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1 유체를 기상 유체와 액상 유체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제3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수냉식 응축기이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수냉식 증발기이며, 상기 제3 열교환기는 칠러일 수 있다.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난방을 수행하고, 상기 수냉식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냉방을 수행하며, 상기 칠러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배터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피팅 및 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원가절감, 중량저감 및 작업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니폴드 플레이트와 열교환기의 유체 유로 배치를 통하여 냉매 간의 열간섭을 최소화하고 히트펌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1 유체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1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2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3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제2 열교환기 및 제3 열교환기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2 열교환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3 열교환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은 내부에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 결합되는 압축기(30),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30)로부터 유출된 제1 유체가 직접 유입되며,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40), 및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일면에는 유로를 커버하도록 바텀 플레이트(2)가 결합될 수 있는데, 브레이징(Brazing), 구조용 접착제(Structural adhesives), 가스켓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재료는 제작방식에 따라, 알루미늄, 열가소성 플라스틱(Thermo-plastic), 스테인리스강 등 목적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2)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 장착 프레임(4)에 설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 플레이트(1)는 대략 내부에 유체 유로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인 제1 열교환기(40), 제2 열교환기(60), 제3 열교환기(80), 어큐뮬레이터(50) 및 팽창밸브(70,90)가 결합되어 모듈화됨으로써 제품 제작 공수가 절감되고 차량 조립라인의 공수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는 배관, 피팅 및 하우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원가절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는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6)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6)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유로 중 고온 영역과 저온 영역이 최대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열교환기의 유체 포트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개구부(6)는 열간섭을 피하기 위해 압축기(30)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유로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후면에는 유체의 열교환, 팽창, 유입 및 유출에 있어서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후면에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각종 유체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 포트로서 제1 열교환기(40)에서 제1 유체가 유출되는 제1 열교환기 유출 포트(8), 어큐뮬레이터(50)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0) 및 어큐뮬레이터 유출 포트(12), 제2 열교환기(60)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열교환기 유입 포트(13) 및 제2 열교환기 유출 포트(14), 제3 열교환기(80)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3 열교환기 유입 포트(17) 및 제3 열교환기 유출 포트(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후면에는 제1 팽창밸브(70)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팽창밸브 포트(16), 제2 팽창밸브(90)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팽창밸브 포트(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일면, 즉 후면에는 압축기(30)가 결합된다. 압축기(30)는 제1 유체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제1 열교환기(4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일면, 즉 전면에는 열교환 장치로서 제1 열교환기(40),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가 결합된다. 제1 열교환기(40),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에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각각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기(40)로는 수냉식 응축기, 제2 열교환기(60)로는 수냉식 증발기, 제3 열교환기(80)로는 칠러가 사용될 수 있다. 수냉식 응축기는 압축기 또는 내부 응축기에서 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유체(냉매)를 외부 열원과 열교환시켜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식 증발기는 팽창된 제1 유체(냉매)를 제2 유체(냉각수)와 열교환시켜서 증발시키고 제2 유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냉식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난방을 수행하고, 상기 수냉식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칠러는 저온 저압의 제1 유체가 공급되어 냉각수 순환라인(미도시)에서 이동하는 제2 유체(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장치로서, 칠러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제2 유체는 냉각수 순환라인을 순환하여 배터리와 열교환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체 및 제2 유체는 냉매, 냉각수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체로 냉매, 제2 유체로 냉각수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40)는 상술한 압축기(30)와 직접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열교환기(40)에서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유체 유입 포트(41)는 압축기(30)에서 제1 유체가 유출되는 포트와 직접 연결됨으로써 제1 유체가 매니폴드 플레이트(1) 상의 유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체는 압축기(30)에서 제1 열교환기(4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매니폴드 플레이트(1)를 지나지 않고 직접 연통된 유로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기(30)에서 별도의 매니폴드 플레이트(1) 상의 유로를 거치지 않게 되면, 압축기(3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제1 유체(히트펌프 시스템에서 가장 고온 고압임)가 매니폴드 플레이트(1)를 통해 열전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0)와 제1 열교환기(40)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 각각 결합되기는 하지만, 매니폴드 플레이트(1)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지 않고 직접 제1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일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축기(30)는 제1 유체 유입 포트(32)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34)를 가지고, 제1 열교환기(40)는 제1 유체 유입 포트(41)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42)를 가진다. 압축기(30)의 제1 유체 유입 포트(32)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34) 중 어느 하나는 제1 열교환기(40)의 제1 유체 유입 포트(41)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42) 중 어느 하나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압축기(30)의 제1 유체 유출 포트(34)가 제1 열교환기(40)의 제1 유체 유입 포트(32)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된다. 그리고, 압축기(30)의 제1 유체 유입 포트(32)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일면에 결합되고, 제1 열교환기(40)의 제1 유체 유출 포트(42)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40)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일측, 즉 좌측 또는 우측 끝에 배치되고, 다른 한쪽으로 어큐뮬레이터(50),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유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매니폴드 플레이트(1)의 제한된 공간에 집적화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열교환기(60)의 상부 및 제3 열교환기(80)의 상부에는 각각 제1 팽창밸브(70) 및 제2 팽창밸브(90)가 배치된다. 제1 팽창밸브(70) 및 제2 팽창밸브(90)는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로 유입되는 제1 유체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큐뮬레이터(50)는 제2 열교환기(60)를 통과한 제1 유체가 기상 유체와 액상 유체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큐뮬레이터(50)에 별도의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제1 열교환기(40)를 통과한 제1 유체가 유입되어 열교환한 후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1 유체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도면에서 점선 화살표는 고온 고압의 제1 유체의 유동을 표시한 것이고, 실선 화살표는 저온 저압의 제1 유체의 유동을 표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압축기(3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제1 유체는 제1 열교환기(40)로 유입된다. 제1 열교환기(40)에서 제2 유체와 열교환된 제1 유체는 제1 열교환기 유출 포트(8)를 통해 유출된다. 그리고, 제1 유체는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50)로 유입된 후 내부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다. 다음으로, 제1 유체는 제1 팽창밸브 포트(16) 및 제2 팽창밸브 포트(20)를 통해 제1 팽창밸브(70) 및 제2 팽창밸브(90)로 유입된다.
제1 팽창밸브(70) 및 제2 팽창밸브(90)로 유입된 제1 유체는 팽창되어 제2 열교환기 유입 포트(13) 및 제3 열교환기 유입 포트(17)를 통해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로 유입된다.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에서 제2 유체와 열교환된 제1 유체는 각각 제2 열교환기 유출 포트(14) 및 제3 열교환기 유출 포트(18)를 통해 유출되고,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50)로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50)에서 기상 유체와 액상 유체로 분리된 제1 유체는 다시 압축기(30)로 유입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1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2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3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열교환기(40)의 일면, 즉 후면에는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유체 유입 포트(41)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42)가 각각 구비된다. 제1 유체 유입 포트(41)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42)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와 결합되는 일면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유체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배관을 없애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를 순환하는 제1 유체의 유동 구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제1 유체의 고온 영역과 저온 영역 간의 열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유체 유입 포트(41)는 상부에 구비되고 제1 유체 유출 포트(42)는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제1 유체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40)의 타면, 즉 전면에는 제2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유체 유입 포트(43) 및 제2 유체 유출 포트(44)가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입 포트(43)는 제1 열교환기(4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 유체 유출 포트(44)는 제1 열교환기(40)의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2 유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 제2 유체가 유동 단면적을 채운 상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2 유체의 유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열교환기(40)의 일면에 제1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포트를 구비토록 하고 타면에 제2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포트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제1 유체 및 제2 유체 간에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와의 결합을 위한 조립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일면, 즉 후면에는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유체 유입 포트(61,81)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62,82)가 각각 구비된다. 제1 유체 유입 포트(61,81)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62,82)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와 결합되는 일면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유체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배관을 없애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를 순환하는 제1 유체의 유동 구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제1 유체의 고온 영역과 저온 영역 간의 열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유체 유입 포트(61,81)는 상부에 구비되고 제1 유체 유출 포트(62,82)는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제1 유체가 중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타면, 즉 전면에는 제2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유체 유입 포트(63,83) 및 제2 유체 유출 포트(64,84)가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유입 포트(63,83)는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2 유체 유출 포트(64,84)는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2 유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유체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 제2 유체가 유동 단면적을 채운 상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2 유체의 유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일면에 제1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포트를 구비토록 하고 타면에 제2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포트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제1 유체 및 제2 유체 간에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와의 결합을 위한 조립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각각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고, 실선 화살표는 제1 유체의 이동, 점선 화살표는 제2 유체의 이동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유체는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매니폴드 플레이트(1)와 직접 연결되는 안쪽 부분을 통해 이동이 되고, 열교환기의 바깥쪽 부분으로는 제2 유체가 이동되기 때문에 제2 유체가 매니폴드 플레이트(1) 측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간섭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제2 열교환기 및 제3 열교환기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2 열교환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 유체 모듈의 제3 열교환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는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19)이 형성된다. 체결홈(19)은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상부 및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체결부(66,86)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체결부(66,86)에는 체결공(68,88)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다. 체결볼트(100)는 체결공(68,88)을 관통하여 체결홈(19)에 체결됨으로써,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가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체결 구조를 통해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2 열교환기(60) 및 제3 열교환기(8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열교환기(40), 어큐뮬레이터(50) 등 매니폴드 플레이트(1)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체결 구조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매니폴드 플레이트 2: 바텀 플레이트
4: 장착 프레임 6: 개구부
8: 제1 열교환기 유출 포트 10: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
12: 어큐뮬레이터 유출 포트 13: 제2 열교환기 유입 포트
14: 제2 열교환기 유출 포트 16: 제1 팽창밸브 포트
17: 제3 열교환기 유입 포트 18: 제3 열교환기 유출 포트
20: 제2 팽창밸브 포트 30: 압축기
40: 제1 열교환기 41: 제1 유체 유입 포트
42: 제1 유체 유출 포트 43: 제2 유체 유입 포트
44: 제2 유체 유출 포트 50: 어큐뮬레이터
60: 제2 열교환기 61: 제1 유체 유입 포트
62: 제1 유체 유출 포트 63: 제2 유체 유입 포트
64: 제2 유체 유출 포트 66: 체결부
68: 체결공 70: 제1 팽창밸브
80: 제3 열교환기 81: 제1 유체 유입 포트
82: 제1 유체 유출 포트 83: 제2 유체 유입 포트
84: 제2 유체 유출 포트 86: 체결부
88: 체결공 90: 제2 팽창밸브
100: 체결볼트

Claims (16)

  1. 내부에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압축기; 및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출된 제1 유체가 직접 유입되도록 연결되며,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1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압축기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를 가지고,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 또는 제1 유체 유출 포트 중 어느 하나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와 직접 연결되어 연통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제1 유체 유입 포트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제1 유체 배출 포트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열교환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에서 제1 유체는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고, 제1 유체는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하면서 서로 열교환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일면에는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타면에는 제2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유체 유입 포트 및 제2 유체 유출 포트가 각각 구비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유입 포트 및 제1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유체 유로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체 유입 포트 및 제2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유입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유입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체 유출 포트는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는 고온의 제1 유체와 저온의 제1 유체 간의 열간섭을 피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유로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1 유체를, 제2 유체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키는 제3 열교환기 및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1 유체를 기상 유체와 액상 유체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가 결합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제3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수냉식 응축기이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수냉식 증발기이며, 상기 제3 열교환기는 칠러인 매니폴드 유체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난방을 수행하고, 상기 수냉식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냉방을 수행하며, 상기 칠러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배터리를 냉각시키는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1020220095896A 2022-08-02 2022-08-02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20240018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96A KR20240018078A (ko) 2022-08-02 2022-08-02 매니폴드 유체 모듈
PCT/KR2023/011288 WO2024029908A1 (ko) 2022-08-02 2023-08-02 매니폴드 유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96A KR20240018078A (ko) 2022-08-02 2022-08-02 매니폴드 유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078A true KR20240018078A (ko) 2024-02-13

Family

ID=8984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896A KR20240018078A (ko) 2022-08-02 2022-08-02 매니폴드 유체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8078A (ko)
WO (1) WO20240299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2948A (ja) * 2016-03-25 2017-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2563521B1 (ko) * 2017-01-20 2023-08-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US11440376B2 (en) * 2017-08-04 2022-09-13 Tesla, Inc. Technologies for manifolds
DE102020109006A1 (de) * 2020-04-01 2021-10-07 OET GmbH Heiz-/Kühlsystem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Elektro- oder Hybridfahrzeug, Halteelement für ein derartiges Heiz-/Kühlsystem
CN113276630B (zh) * 2021-06-24 2022-09-0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热管理集成模块和电动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908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500B2 (en) Centralized energy module for vehicle
KR20190016711A (ko) 차량용 ce 모듈
CN107914538B (zh) 一种电动汽车热管理系统
CN102445029A (zh) 集成制冷剂系统
KR102665060B1 (ko) 차량용 히트펌프의 냉매 시스템 모듈
KR20240018078A (ko) 매니폴드 유체 모듈
US20240167769A1 (en) Integrated cooling module
CN113650474B (zh) Hev混合动力汽车整车热管理系统及控制方法
CN107636403A (zh) 具有集成膨胀箱的跨临界空调回路
KR20170112659A (ko) 차량용 쿨링모듈
KR20130054048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KR20230163106A (ko)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20230163105A (ko)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20240010251A (ko)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20240010252A (ko) 매니폴드 유체 모듈
US20240131903A1 (en)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vehicle
KR20240057623A (ko)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KR20230108064A (ko) 매니폴드 냉매 모듈
KR20230148639A (ko)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20240010250A (ko) 기액분리기 일체형 매니폴드 유체 모듈
KR20240059881A (ko)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US20230182526A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nt Mo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Same
US11981185B2 (en) Refrigerant mo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CN219172128U (zh) 空调集成模块和车辆
US11993134B2 (en) Refrigerant mo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