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859A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859A
KR20240017859A KR1020237044801A KR20237044801A KR20240017859A KR 20240017859 A KR20240017859 A KR 20240017859A KR 1020237044801 A KR1020237044801 A KR 1020237044801A KR 20237044801 A KR20237044801 A KR 20237044801A KR 20240017859 A KR20240017859 A KR 2024001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output unit
bracket
sound
portabl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석
김항석
박경순
이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1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일단부가 개방된 음향통로; 상기 음향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출력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ANC마이크; 및 상기 ANC마이크가 실장되는 마이크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는 ANC마이크와 음향출력부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줄여 휴대용 음향기기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거나 다른 부품의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며 음악재생, 전화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연결하여 전화를 통화하거나, 직접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음향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와 연결하여 페어링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소리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를 수집하여 이를 저장하거나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이때, 사용자의 목소리와 외부 잡음을 구분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용되고, 물리적으로 복수개의 마이크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고자 한다. 다만, 휴대용 음향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마이크의 배치에 한계가 있어 최적의 소리를 수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제한된 공간에 ANC마이크와 음향출력모듈의 일체형 구조를 통해 공간을 확보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일단부가 개방된 음향통로; 상기 음향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출력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ANC마이크; 및 상기 ANC마이크가 실장되는 마이크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서 연장되어 상기 음향출력부의 전면을 가로지르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ANC마이크는 상기 제2 브라켓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의 진동판의 가동범위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을 따라 연장되는 플렉서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NC마이크는 상기 음향통로에 위치하고,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내측의 상기 음향통로의 둘레에 접할 수 있다.
상기 ANC마이크는 상기 음향출력부를 향하여 형성된 음향 수집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음향 수집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NC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중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제외한 노이즈를 추출하고, 상기 노이즈의 상쇄간섭 신호를 포함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는 ANC마이크와 음향출력부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줄여 휴대용 음향기기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거나 다른 부품의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 되어 부품의 개수가 줄고, 조립시 진동판의 파손 위험이 적어 조립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복수개의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가 말하는 소리의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음향출력부 및 ANC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진동판과 ANC마이크 사이의 거리에 따른 노이즈 캔슬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제어부(380)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수신한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출력부(340)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360)에서 수집된 음향을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전송하거나, 마이크(360)에서 수집한 노이즈를 이용하여 보다 깨끗한 음향을 제공하도록 음향출력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로(380)서 인쇄회로기판(381)이 하우징(301, 032) 내부에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381)는 복수개의 IC가 실장되는 바 배터리(391)와 중첩하여 배치하면 두께가 두꺼워 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391)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마이크나 사용자 입력부 및 음향출력부(340) 등의 일부 부품의 실장 및 연결을 위해서 플렉서블 기판(382)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85)는 자체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연결하여 통신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외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통신 방식의 예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귀에 끼워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잡음제거 방법을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노이즈 캔슬링(영어: noise canceling), 또는 능동 소음 감소(active noise reduction, ANR)라고 한다. ANC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소음을 분석하여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상쇄간섭 신호를 출력하여 소음을 차단하는 기술이다.
도 2는 복수개의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가 말하는 소리의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2개의 마이크(361, 362)를 구비한 경우이고, 도 2의 (b)는 3개의 마이크(361, 362, 363)를 구비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360)는 복수개를 구비하여 여러 소리를 조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2 개의 마이크(361, 362)는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 각 마이크(361, 362)에서 수집된 소리의 시간차, 음량 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소리와 외부 잡음을 구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의 (b)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는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수집하는 제3 마이크(363)를 추가로 구비한 경우 3가지 소리를 조합하여 외부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3 마이크(363)에서 수집된 소리는 외부 잡음이 가장 작고 사용자의 음성이 가장 크게 수집될 수 있어 외부 잡음을 제거하는 데 최적의 구조를 가진다.
제3 마이크(363)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음향을 수집하는 ANC마이크(363)로서, ANC마이크(363)에서 노이즈를 수집하더라도 ANC마이크(363)와 음향출력부(340)의 위치 차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ANC마이크(363)에서 수집한 노이즈를 분석하여 이를 상쇄하는 신호를 송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차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간차를 고려하여 시간오차를 보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통해 보상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물리적으로 음향출력부(340)의 소리 생성위치인 진동판(344)과 ANC마이크(363)의 위치가 가까우면 노이즈 캔슬링의 품질을 더 높일 수 있다.
센싱부(375)는, 이어버드(300)의 상태와 주변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bud)가 케이스(110)에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이어버드(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본 발명과 같이 사이즈가 작은 이어버드(300)는 터치형식을 이용하거나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한 제어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390)는 제어부 및 각 부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작은 공간에 실장하기 위해 버튼형의 배터리(391)를 이용할 있다. 배터리(391)의 크기가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사용시간을 결정하는 바, 가능한 넓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일부 기판을 중첩하여 배치하여 가능한 실장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배터리(391)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단자는 휴대용 음향기기(300)가 실장되는 크래들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배터리는 용량이 클수록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나, 너무 큰 경우 이어버드(300)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어버드(300)는 사용중에는 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야하므로, 너무 무겁거나 너무 부피가 큰경우 귀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착용이 어렵다.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그리고 휴대의 편의성을 고려시, 하우징(301, 302) 내부에 실장공간이 매우 작다. 따라서 각 부품이 조밀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각부재간의 갭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하우징(301, 302), 상기 하우징(301, 302)의 일측에 형성된 음향통로(304), 음향통로의 외측을 감싸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307), 음향통로(304) 내측에 위치하는 음향출력부(340), 음향출력부(340)의 전면에 배치되는 ANC마이크(363), 및 ANC마이크(363)가 실장되는 마이크 브라켓(365)을 포함한다.
이어팁(307)은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외이도를 통해 외부소리가 들어오는 것을 일정수준 차단할 수 있다.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이어팁(307)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귀에 유입되는 외부 노이즈가 있어, 물리적인 방법 이외에 알고리즘적으로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ANC마이크(363)가 실장되는 마이크 브라켓(365)은 직접적으로 음향출력부(340)와 결합하여 조립과정에서 음향출력부(340)와의 거리가 달라지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마이크 브라켓(365)이 없는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NC마이크(363)를 안착하기 위해 하우징(301, 302)에 결합하는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340)를 하우징(301, 302)에 조립시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공차를 고려하여 ANC마이크(363)와 음향출력부(340)의 거리가 이격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ANC마이크(363)는 음향출력부(340)에 고정된 마이크 브라켓(365)에 고정되므로 음향출력부(340)를 하우징(301, 302)에 실장 시 ANC마이크(363)에 의해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진동브라켓이 하우징(301, 302)과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진동 브라켓은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ANC마이크(363)와 진동판(344)의 거리는 음향출력부(340)에 직접 결합하는 마이크 브라켓(365)을 구비한 경우(b)가 ANC마이크(363)가 하우징(301, 302)에 결합하는 브라켓(305)을 통해 고정되는 경우(d) 보다 훨씬 작게 형성할 수 있다(b<d). 결과적으로 음향통로(304) 입구부터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 까지의 거리도 마이크 브라켓(365)을 구비한 실시예에서 더 작게된다(a<c).
음향출력부(340)가 좀더 음향통로(304)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할 수 있는 경우 음향출력부(340)의 배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381)과 배터리(391) 등의 다른 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을 더 확보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를 더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6은 도 3의 음향출력부(340) 및 하우징(301, 302)의 음향통로(304)을 향하는 ANC마이크(363)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음향출력부-마이크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음향출력부(340)는 프레임(341)과 프레임(341)의 일면에 위치하는 진동판(344), 진동판(344)을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345), 보이스 코일(345)의 외측에 위치하는 자석(346), 자속을 이끌어 내는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343) 등으로 구성된다. 보이스 코일(345)은 자석(346)이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 위치하며 진동판(344)과 연결된다. 보이스 코일(345)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345)이 진동하고 진동판(344)은 보이스 코일(345)과 함께 진동하며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은 음향통로(304)를 향하도록 음향통로(304)의 내측에 위치한다.
진동판(344)의 전면에 ANC마이크(363)를 배치하면서 진동판(344)이 만드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344) 전면을 가로지르는 마이크 브라켓(3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브라켓(365)은 음향출력부(340)의 프레임 둘레를 감싸며 음향출력부(340)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3651)과, 제1 브라켓(3651)과 양단이 결합되고, 진동판(344) 전면을 가로지르는 제2 브라켓(36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651)은 제2 브라켓(3652)의 양 단부를 음향출력부(34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제2 브라켓(3652)은 진동판(344)의 가동범위를 고려하여 가동 범위보다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 브라켓(365)을 통해 ANC마이크(363)가 음향출력부(340)의 진동판(344)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7는 진동판(344)과 ANC마이크(363) 사이의 거리에 따른 노이즈 캔슬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실선이 실제 ANC마이크(363)에서 수집한 노이즈이고, 점선은 노이즈 캔슬링 알고리즘을 통해 음향출력부(340)에서 출력되는 상쇄 시그널을 도시하고 있다.
(a)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파형이고, (b)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파형으로, (a)의 실시예, 즉 마이크 브라켓(365)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노이즈와 노이즈 캔슬링 신호의 동기화가 더 잘 이루어져, 노이즈 캔슬링의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e<f)
마이크 브라켓(365)은 강성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하우징(301, 302)과 직접 맞닿아 음향출력부(340)를 고정할 수 있다. 마이크 브라켓(365)이 진동판(344)의 전면에 위치하여 음향출력부(340)를 하우징(301, 302)에 조립시 진동판(344)과 하우징(301, 302)의 거리를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때, ANC마이크(363)는 음향통로(304) 내에 별도의 브라켓 없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음향통로(304)로부터 음향출력부(340)까지의 거리가 도 4의 실시예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344)과 더 가까운 거리에서 소리를 수집하기 위해 진동판(344)을 향하여 ANC마이크(363)의 음향수집홀(3631)이 위치하고 그에 상응하여 제2 브라켓(3652)에 개구(3655)가 형성될 수 있다.
ANC마이크(363)와 인쇄회로기판(381)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3632)은 제2 브라켓(3652)을 따라 연장되면 플렉서블 기판(3632)을 하우징(301, 302) 내에서 고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는 ANC마이크와 음향출력부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줄여 휴대용 음향기기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거나 다른 부품의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 되어 부품의 개수가 줄고, 조립시 진동판의 파손 위험이 적어 조립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일단부가 개방된 음향통로;
    상기 음향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출력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ANC마이크; 및
    상기 ANC마이크가 실장되는 마이크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에서 연장되어 상기 음향출력부의 전면을 가로지르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ANC마이크는 상기 제2 브라켓 상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음향출력부의 진동판의 가동범위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을 따라 연장되는 플렉서블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휴대용 음향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NC마이크는 상기 음향통로에 위치하고,
    상기 마이크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내측의 상기 음향통로의 둘레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NC마이크는 상기 음향출력부를 향하여 형성된 음향 수집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음향 수집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NC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중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제외한 노이즈를 추출하고, 상기 노이즈의 상쇄간섭 신호를 포함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237044801A 2021-08-06 2021-08-06 휴대용 음향기기 KR202400178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0413 WO2023013799A1 (ko) 2021-08-06 2021-08-06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859A true KR20240017859A (ko) 2024-02-08

Family

ID=8515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801A KR20240017859A (ko) 2021-08-06 2021-08-06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7859A (ko)
WO (1) WO20230137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1115A (ja) * 2013-09-17 2015-03-30 船井電機株式会社 音声入出力装置
TW201813416A (zh) * 2016-09-30 2018-04-0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抗噪耳機
JP7264052B2 (ja) * 2017-08-17 2023-04-2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音響出力装置
KR102406572B1 (ko) * 2018-07-17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102059001B1 (ko) * 2018-10-15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799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6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582284B2 (en) In-ear headphone
JP5146147B2 (ja) 骨伝導マイク・スピーカ通話装置
CN108184184B (zh) 蓝牙耳机
CN101795143B (zh) 内置骨骼传导麦克风的头戴式送受话器
KR102059001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8713324A (zh) 多功能骨传导耳机
US20040165720A1 (en) Two-way voic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rnal acoustic noise reduction
KR101790528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20101487A (ko) 개인용 오디오 장치
JP7473673B2 (ja) 音響入出力装置
KR20120015209A (ko) 진동 유닛을 이용한 헬멧형 오디오 출력장치
KR102426408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6658265A (zh) 降噪耳机以及电子设备
KR20240017859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85621B1 (ko)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20210036406A (ko) 휴대용 음향기기
JP2019121896A (ja) 首掛け型スピーカー装置
EP3576424B1 (en) System comprising a pair of sound output devices
KR20170033750A (ko) 골전도 센서를 구비한 무선 통화용 헬멧
JP2020140196A (ja) 眼鏡型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充電装置
CN217388954U (zh) 无线听音设备
US20230275617A1 (en) Audio device with hall effect sensor proximity detection and independent coupling
EP4161103A1 (en) A remote microphone array for a hearing aid
EP3905720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