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670A -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 Google Patents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670A
KR20240017670A KR1020220095645A KR20220095645A KR20240017670A KR 20240017670 A KR20240017670 A KR 20240017670A KR 1020220095645 A KR1020220095645 A KR 1020220095645A KR 20220095645 A KR20220095645 A KR 20220095645A KR 20240017670 A KR20240017670 A KR 2024001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spinal
support
protecting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동
Original Assignee
박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동 filed Critical 박유동
Priority to KR102022009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670A/ko
Publication of KR2024001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에 관한 것으로, 등판(111)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날개부(115)가 형성되어 등과 허리 옆 부분을 감싸아 압박 고정시키는 몸체(110); 및 등판(111)에 세로로 형성되며, 척추가 돌출되어 등판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없도록 등판홀(113);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로 인해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Spine joint protection functional back suppor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로 인해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척추보조기라 함은 신체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허리 및 척추 관절의 손상 및 압박골절을 갖고 있는 경우에 치료 및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각종 산업 현장이나 사무실 등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서 있는 자세 또는 앉은 자세를 필요로 하는 경우의 사람에게 있어서는 허리 및 척추부위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져 통증이나 관절염 및 허리디스크 등의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물건을 들거나 옮기기 위해 앉거나 일어서는 경우에 이를 위한 동작시 허리부위에 대한 과다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관절부위나 근육 및 인대 등이 손상되어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종래의 척추보조기는 신축성을 가지며 신체의 허리부위에 착용되어 허리부위를 가압하여 압박된 상태로 장착되어 허리부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며 통상 밴드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척추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통상 인체의 허리부는 평평하지 않고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움직임에 따라서 척추의 상태가 변하게 되므로서 인체와 본체부 간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는 바, 종래에는 허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되는 척추보조기의 역할이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은 척추보조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등받이 지지대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등받이 지지대에 홀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허리가 굽은 경우 척추가 돌출됨으로 인해 등판에 계속 부딪히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등받이 지지대의 하단부가 일자로 형성되어 착용자가 서 있거나 않을 때 엉치뼈가 부딪히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등받이 지지대의 등판과 양날개부위가 두께가 동일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나, 양날개부위의 허리를 보호하는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08838호(2008. 02. 25)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2173호(2014. 04. 29)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9232호(2008. 08. 29)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4039호(2002. 01. 30)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에 몸체, 등판, 곡선부, 등판홀, 반원곡선홈, 날개부, 요철홈, 절개선, 및 날개홀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척추보조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등받이 지지대가 착용자의 척추관절 손상시 불안정성이 있는 허리의 일부분을 압박 고정하는 S라인 형태의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제4목적은 등받이 지지대에 세로로 홀을 형성하여 허리가 굽은 경우 및 척추가 돌출될 경우에도 등판에 척추가 계속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제5목적은 등받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반원 곡선의 홈을 형성하여 착용자가 서 있거나 앉을 때 엉치뼈가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제6목적은 등받이 지지대의 등판 보다 양날개부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착용시 등판은 지지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양날개부는 유연성 있게 허리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어도 등받이 지지대가 자세를 올바로 유지시키면서 피로감이 없도록 해주게 되고, 제8목적은 구조가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성이 높은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인체의 흉추에서 천추까지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허리를 보호하면서 강력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고, 제10목적은 피로예방과 편안함 제공함과 아울러 척추 보호와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제11목적은 이로 인해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등판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날개부가 형성되어 등과 허리 옆 부분을 감싸아 압박 고정시키는 몸체; 및 등판에 세로로 형성되며, 척추가 돌출되어 등판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없도록 등판홀;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에 몸체, 등판, 곡선부, 등판홀, 반원곡선홈, 날개부, 요철홈, 절개선, 및 날개홀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등받이 지지대가 착용자의 척추관절 손상시 불안정성이 있는 허리의 일부분을 압박 고정하는 S라인 형태의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받이 지지대에 세로로 홀을 형성하여 허리가 굽은 경우 및 척추가 돌출될 경우에도 등판에 척추가 계속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반원 곡선의 홈을 형성하여 착용자가 서 있거나 앉을 때 엉치뼈가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받이 지지대의 등판 보다 양날개부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착용시 등판은 지지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양날개부는 유연성 있게 허리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어도 등받이 지지대가 자세를 올바로 유지시키면서 피로감이 없도록 해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성이 높은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체의 흉추에서 천추까지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허리를 보호하면서 강력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피로예방과 편안함 제공함과 아울러 척추 보호와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이로 인해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정면을 보
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배면을 보
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정면을 보
인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사용상태
배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는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등판(111)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날개부(115)가 형성되어 등과 허리 옆 부분을 감싸아 압박 고정시키는 몸체(1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판(111)에 세로로 형성되며, 척추가 돌출되어 등판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없도록 등판홀(113)이 포함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등판홀(113)은 상부(L1) 보다 하부(L2)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흉추에서 요추로 내려갈수록 척추뼈가 가로로 넓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만족도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등판(111)은 인체의 흉추에서 천추까지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S라인 형태의 곡선부(112)인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등판(111)의 하단부는 서 있거나 앉을 때 엉치뼈가 등판의 하단에 부딪힘을 방지함과 아울러 과도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도록 반원곡선홈(11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판(111) 보다 날개부(115)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판(111)은 강도와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두께가 2~3t로 형성되고, 날개부(115)는 유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옆구리에 착 달라붙게 하기 위해 두께가 1~2t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등판(111)의 두께가 2t 이하로 형성될 경우 강도와 지지력이 약화되고, 3t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등판의 무게가 무거워 지기 때문에 상기 등판(111)의 두께는 두께가 2~3t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날개부(115)의 두께가 1t 이하로 형성될 경우 너무 얇아 찢어질 우려가 있고, 2t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유연성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115)의 두께는 1~2t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등판(111)의 내주면에는 착용시 등판의 강도와 지지력이 확보됨과 아울러 유연성도 함께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철홈(116)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허리보호 및 자세교정용 기능성 등받이 지지(100)는 도 6 과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반원곡선홈(114)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개선(117)을 구비하여 허리를 숙일 때 자연스럽게 절개선이 약간 벌어지도록 하여 등쪽으로 휘어져 있는 엉치뼈 부위의 과도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 날개부(115)에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날개홀(118)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날개부의 유연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정면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정면도를 보인 것으로, 등받이홀(113)의 상부 보다 하부가 넓게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측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곡선부(112)가 S라인 형태의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평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등판(111) 보다 날개부(115)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등받이 지지대(100)를 척추보조기(도7,8)의 등판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척추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는 'S'라인 형태를 띄게 된다.
본 발명의 몸체(110)에 구비된 등판(111)에는 'S'라인 형태의 곡선부(112)를 형성하여 척추 관절 손상 시 불안정성이 있는 허리의 일부분을 압박 고정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모든 사람의 허리는 이상적인 척추라인을 갖고 있지 않으며 특히 노년층의 경우 허리가 굽은 경우가 많아 척추보조기 착용시에 척추가 돌출하여 등판에 계속 부딪히게 되어 불편함과 고통을 호소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등판(111)에 등판홀(113)을 형성하여 척추가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게 되었다.
특히 상기 등판홀(113)은 상부(L1) 보다 하부(L2)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도3) 이유는 흉추에서 요추로 내려갈수록 척추뼈가 가로로 넓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등판홀을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하여 착용자의 만족도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판(111)의 하단에 반원곡선홈(114)을 형성하여 아래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게 되었다.
즉, 사람의 척추라인을 살펴볼 때 엉치뼈가 등쪽으로 휘어져 있는데 척추보조기를 착용시 서 있거나 앉을 때 엉치뼈가 척추보조기에 부딪혀 불편함이 있는데, 상기 반원곡선홈(114)이 부딪힘을 없애주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고, 등판 하단이 일자일 경우 허리를 숙일 때 척추보조기 하단의 과도한 들뜸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상기 반원곡선홈(114)이 이를 해결해주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등판(111)과 날개부(115)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등판(111) 보다 날개부(115)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것으로, 이때 상기 등판(111)은 강도와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두께가 2~3t로 형성되고, 날개부(115)는 유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옆구리에 착 달라붙게 하기 위해 두께가 1~2t로 형성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등판(111)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철홈(116)을 형성하여 착용시 등판의 강도와 지지력이 확보됨과 아울러 유연성도 함께 작동되도록 하였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정면을 보인 다른 실시예 사시도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반원곡선홈(114)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개선(117)을 구비하여 허리를 숙일 때 자연스럽게 절개선이 약간 벌어지도록 하여 등쪽으로 휘어져 있는 엉치뼈 부위의 과도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 날개부(115)에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날개홀(118)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날개부의 유연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의 사용상태 배면도로, 등받이 지지대(100)가 척추보조기의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실제 착용자가 사용한 결과 허리 및 척추를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해주는 매우 좋은 효과를 얻게 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한 것이고, 척추보조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등받이 지지대가 착용자의 척추관절 손상시 불안정성이 있는 허리의 일부분을 압박 고정하는 S라인 형태의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등받이 지지대에 세로로 홀을 형성하여 허리가 굽은 경우 및 척추가 돌출될 경우에도 등판에 척추가 계속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등받이 지지대의 하단부에 반원 곡선의 홈을 형성하여 착용자가 서 있거나 앉을 때 엉치뼈가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고, 등받이 지지대의 등판 보다 양날개부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착용시 등판은 지지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양날개부는 유연성 있게 허리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110: 몸체
111: 등판
112: 곡선부
113: 등판홀
114: 반원곡선홈
115: 날개부
116: 요철홈
117: 절개선
118: 날개홀

Claims (5)

  1. 척추보조기 등판 내부에 삽입되어 허리 및 척추를 인체공학적으로 지지하면서 손상된 척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100)에 관한 것으로,
    등판(111)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날개부(115)가 형성되어 등과 허리 옆 부분을 감싸아 압박 고정시키는 몸체(110); 및
    등판(111)에 세로로 형성되며, 척추가 돌출되어 등판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없도록 등판홀(113);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등판(111)은,
    인체의 흉추에서 천추까지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S라인 형태의 곡선부(112)인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등판(111)의 하단부는,
    서 있거나 앉을 때 엉치뼈가 등판의 하단에 부딪힘을 방지함과 아울러 과도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도록 반원곡선홈(114);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등판(111) 보다 날개부(115)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등판(111)의 내주면에는,
    착용시 등판의 강도와 지지력이 확보됨과 아울러 유연성도 함께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철홈(116);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KR1020220095645A 2022-08-01 2022-08-01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KR20240017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645A KR20240017670A (ko) 2022-08-01 2022-08-01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645A KR20240017670A (ko) 2022-08-01 2022-08-01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670A true KR20240017670A (ko) 2024-02-08

Family

ID=8990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645A KR20240017670A (ko) 2022-08-01 2022-08-01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67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39B1 (ko) 1996-03-29 2000-08-16 김영환 샘플링수를 동일화한 디지탈이동통신 교환기의 pcm데이터 송신장치
KR100808838B1 (ko) 2006-04-06 2008-03-05 하병욱 등허리 엉치뼈 보호용구
KR20080079232A (ko) 2008-07-30 2008-08-29 양영근 척추(등골뼈)교정에 도움되는 거북이 등판형 등받이
KR101392173B1 (ko) 2012-02-10 2014-05-12 최찬휘 졸음퇴치 및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기능성 등받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39B1 (ko) 1996-03-29 2000-08-16 김영환 샘플링수를 동일화한 디지탈이동통신 교환기의 pcm데이터 송신장치
KR100808838B1 (ko) 2006-04-06 2008-03-05 하병욱 등허리 엉치뼈 보호용구
KR20080079232A (ko) 2008-07-30 2008-08-29 양영근 척추(등골뼈)교정에 도움되는 거북이 등판형 등받이
KR101392173B1 (ko) 2012-02-10 2014-05-12 최찬휘 졸음퇴치 및 자세 교정 기능을 갖는 기능성 등받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817B1 (ko) 체형교정이 가능한 건강베개
US5544377A (en) Therapeutic pillow for low back pain
US20050197607A1 (en) Posture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026825B1 (ko) 척추 보정용 속옷
JP2014525303A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AU2006326935A1 (en) Adhesive posture supports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US20030208846A1 (en) Multi-use support pillow
KR200395867Y1 (ko) 척추 교정 장치
KR101852603B1 (ko) 허리 보호용 밸트
KR20240017670A (ko)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RU2607367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напряжения в шее
CA2464166C (en) Leg pillow with single clasp
KR102134213B1 (ko) 허리 보호대
CN213217963U (zh) 一种骨科脊柱辅助矫正器
JP3200538B2 (ja) 骨盤安定サポータ及び骨盤安定パンツ
JP2001104369A (ja) 腰痛治療用ガードル
CA3178061A1 (en) Scoliosis brace
KR200464933Y1 (ko) 좌석 안락보조기구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CN101088434A (zh) 一种用于腹部依托/支撑的椅靠
TWM509591U (zh) 具備彈性支撐棍的床墊結構
KR20200073815A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101520837B1 (ko) 척추교정 및 골반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