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65A - 튀김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튀김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65A
KR20240016665A KR1020220094699A KR20220094699A KR20240016665A KR 20240016665 A KR20240016665 A KR 20240016665A KR 1020220094699 A KR1020220094699 A KR 1020220094699A KR 20220094699 A KR20220094699 A KR 20220094699A KR 20240016665 A KR20240016665 A KR 2024001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supply
cleaning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2009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65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4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the food being transported through an oil-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일이 저장되고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부와, 복수개로 구획되어 저장된 조리대상물을 조리부로 투입시켜 조리대상물을 가조리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에서 뒤집혀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키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고, 조리대상물을 조리부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조리대상물이 골고루 조리되면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튀김 조리장치{FRIED FOOD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튀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조리 대상물이 가열된 오일에 투입되어 조리되고, 조리 과정에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튀김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고기 튀김 요리는 닭을 조각내고 밀가루 등을 묻혀서 끓는 튀김유에 튀긴 음식으로서, 프라이드치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닭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세척, 염지, 베터링, 브래딩, 칼집, 튀기기, 굽기 등의 여러 조리 단계를 거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최근에는 튀김 요리로 육류 외에 각종 야채를 사용하는데, 식감 유지를 위해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야채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밀가루와 함께 혼합한 후 오일에 투입하여 조리한다.
그러나, 채썰기 방식으로 절단된 야채를 포함하는 조리대상물은 밀가루 반죽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리 과정에서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0812호(2020.10.21.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 튀김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량의 조리 대상물이 가열된 오일에 투입되어 조리되고, 조리 과정에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튀김 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는: 오일이 저장되고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부; 복수개로 구획되어 저장된 조리대상물을 상기 조리부로 투입시켜 조리대상물을 가조리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서 뒤집혀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키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고, 조리대상물을 상기 조리부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오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탱크부; 및 상기 조리탱크부에 장착되고, 오일을 가열하는 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공급프레임부;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급회전부; 상기 공급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공급동력부; 상기 공급회전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공급체인부; 및 상기 공급체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체인부와 연동되고, 조리대상물이 구획되어 담기는 공급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하부배출부; 및 상기 하부배출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배출부를 통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부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는: 상기 조리부에 장착되고, 저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부는 상기 조리부에 형성되는 청소프레임부; 상기 청소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청소회전부; 상기 청소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청소동력부; 상기 청소회전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청소체인부; 및 상기 청소체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청소체인부와 연동되고, 상기 조리부의 저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청소스크래퍼부; 및 상기 청소스크래퍼부에 의해 수거된 이물질과 오일을 처리하는 청소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는: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되지 않고 부착된 조리대상물을 제거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는 조리대상물이 공급부에 투입되어 가조리되면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공급부에서 뒤집혀 낙하된후 배출부를 통해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부에서 배출되므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조리대상물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용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1)는 조리부(10)와, 공급부(20)와, 배출부(30)를 포함한다.
조리부(10)에는 오일이 저장된다. 조리부(10)에 형성되는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때, 조리대상물은 썰어진 육류와 해물 또는 야채가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밀가루와 물이 혼합된 반죽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부(10)는 조리대상물이 조리되기 위한 시간동안 조리대상물이 이동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성형되고, 복수개의 조리대상물이 폭방향으로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공급부(20)는 복수개로 구획되어 저장된 조리대상물을 조리부(20)로 투입시켜 조리대상물을 가조리한다. 일예로, 공급부(20)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조리대상물을 오일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배출부(30)는 공급부(20)에서 뒤집혀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키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고, 조리대상물을 조리부(10)에서 외부로 배출한다. 일예로, 조리부(10)의 좌측에 공급부(20)가 배치되고 조리부(10)의 우측에 배출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20)에 조리대상물이 투입되면, 공급부(20)를 통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이 조리부(10)에 저장된 오일을 통과하면서 1차 조리된다. 그리고, 1차 조리된 조리대상물이 공급부(20)에서 낙하되면서 뒤집히고, 배출부(30)를 통해 이동되면서 조리가 완료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0)는 조리탱크부(11)와 조리가열부(12)를 포함한다.
조리탱크부(11)는 상측이 개방되고,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일예로, 조리탱크부(1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이동수단과 연결되어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다.
조리가열부(12)는 조리탱크부(11)에 장착되고, 오일을 가열한다. 일예로, 조리가열부(12)는 조리탱크부(1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열지지부(121)와, 가열지지부(1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열전달부(122)와, 가열전달부(122)에 연결되고, 조리탱크부(11)의 내부에서 오일을 가열시키는 가열작동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전달부(122)는 쌍으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가열작동부(12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조리가열부(12)는 조리탱크부(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조리탱크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온도센서를 통해 오일이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조리가열부(12)는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용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20)는 공급프레임부(21)와, 공급회전부(22)와, 공급동력부(23)와, 공급체인부(24)와, 공급용기부(25)를 포함한다.
공급프레임부(21)는 조리부(10)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별도의 고정물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급회전부(22)는 공급프레임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공급회전부(22)는 공급프레임부(2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경사를 갖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회전부(22)는 조리부(10)의 폭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급동력부(23)는 공급회전부(22)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킨다. 일예로, 공급동력부(23)는 공급회전부(2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공급체인부(24)는 공급회전부(22)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일예로, 공급체인부(24)는 공급회전부(22)에 맞물리고, 공급회전부(22)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공급용기부(25)는 공급체인부(24)에 연결되어 공급체인부(24)와 연동되고, 조리대상물이 복수개로 구획되어 담긴다. 일예로, 공급용기부(25)는 마주보는 공급체인부(24)에 양단부가 연결되는 용기연결부(251)와, 용기연결부(251)에 장착되고 조리대상물이 저장되도록 용기 형상을 하는 용기저장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저장부(252)는 용기연결부(25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조립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조리대상물의 형상을 다변화할 수 있다.
한편, 공급용기부(25)는 공급체인부(24)와 연동되어 왕복 이동되고, 공급부(20)는 공급용기부(25)의 이동경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제1공급구간부(S1)는 조리부(10)의 외부에 배치되고, 공급용기부(25)에 조리대상물이 투입된다. 일예로, 제1공급구간부(S1)는 공급용기부(25)를 수평 이동시키고, 제1공급구간부(S1)에서 조리대상물이 각각의 용기저장부(252)에 공급될 수 있다. 조리대상물을 기구물을 통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용기저장부(252)에 조리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제2공급구간부(S2)는 제1공급구간부(S1)에서 하향 경사지게 공급용기부(25)를 이동시켜 오일 내부로 조리대상물을 유도한다.
제3공급구간부(S3)는 제2공급구간부(S2)에서 수평으로 공급용기부(25)를 이동시켜 조리대상물이 오일에서 가조리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제2공급구간부(S2)에서 조리대상물이 오일에 잠기게 되고, 제3공급구간부(S3)에서 조리대상물이 오일에 잠긴 상태로 가조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대상물은 용기저장부(252)와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4공급구간부(S4)는 제3공급구간부(S3)에서 상향 경사지게 공급용기부(25)를 이동시켜 오일 외부로 조리대상물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가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오일에서 벗어난다.
제5공급구간부(S5)는 제4공급구간부(S4)에서 공급용기부(25)를 회전시켜 조리대상물의 낙하를 유도한다. 일예로, 제5공급구간부(S5)는 공급체인부(24)가 공급회전부(22)의 둘레를 따라 이동되는 영역이 될 수 있으며, 공급용기부(25)가 180도 회전되어 용기저장부(252)에서 가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용기저장부(25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6공급구간부(S6)는 제5공급구간부(S5)에서 회전 완료된 공급용기부(25)를 제1공급구간부(S1)로 이동시킨다. 일예로, 제6공급구간부(S6)는 제1공급구간부(S1)와, 제2공급구간부(S2)와, 제3공급구간부(S3)와, 제4공급구간부(S4)와 대응되도록 수평 또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는 하부배출부(31)와 상부배출부(32)를 포함한다. 하부배출부(31)와 상부배출부(32)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구동되고, 조리대상물은 하부배출부(31)와 상부배출부(32) 사이 공간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리대상물은 골고루 조리될 수 있다.
하부배출부(31)는 공급부(20)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킨다. 일예로, 하부배출부(31)의 일단부는 제5공급구간부(S5)의 하방에 배치되고, 하부배출부(31)의 타단부는 조리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리부(10) 외부로 조리대상물을 안내할 수 있다.
상부배출부(32)는 하부배출부(31)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배출부(31)를 통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의 상승을 제한한다. 일예로, 조리 중 오일에서 뜨려고 하는 조리대상물은 상부배출부(32)에 의해 상승이 제한되면서 조리부(10)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하부배출부(31)와 상부배출부(32)는 배출프레임부(33)에 지지될 수 있으며, 배출프레임부(33)는 조리탱크부(11)와 공급프레임부(21)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1)는 청소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부(40)는 조리부(10)에 장착되고, 저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걸러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부(40)는 청소프레임부(41)와, 청소회전부(42)와, 청소동력부(43)와, 청소체인부(44)와, 청소스크래퍼부(45)와, 청소처리부(46)를 포함한다.
청소프레임부(41)는 조리부(10)에 형성된다. 일예로, 조리탱크부(11)의 타단부에는 함몰되어 이물질 수집이 가능한 조리수집부(19)가 형성되고, 청소프레임부(41)는 조리탱크부(11)의 양단부에 별도로 조립되거나, 조리탱크부(11) 자체가 될 수 있다.
청소회전부(42)는 청소프레임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청소회전부(42)는 조리탱크부(11)의 폭방향으로 한 쌍이 각각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청소회전부(42)는 조리탱크부(11)의 양단부 외에 조리탱크부(11) 사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청소회전부(42)는 조리탱크부(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동력부(43)는 청소회전부(42)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킨다. 일예로, 청소동력부(43)는 조리탱크부(11)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청소회전부(42)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청소체인부(44)는 청소회전부(42)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일예로, 청소체인부(44)는 청소회전부(42)에 맞물리고, 청소회전부(42)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청소스크래퍼부(45)는 청소체인부(44)에 연결되어 청소체인부(44)와 연동되고, 조리부(10)의 저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이동시킨다. 일예로, 청소스크래퍼부(45)는 마주보는 청소체인부(44)에 양단부가 장착되고, 청소체인부(44)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청소스크래퍼부(45)는 조리탱크부(11)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이동되면서 이물질을 조리수집부(19)를 유도할 수 있다.
청소처리부(46)는 청소스크래퍼부(45)에 의해 수거된 이물질과 오일을 처리한다. 일예로, 청소처리부(46)는 오일 중에서 이물질은 제거하고 필터링된 오일은 조리탱크부(11)에 재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처리부(46)는 조리수집부(19)의 바닥면과 연결되거나 조리수집부(19)에 삽입되어 오일과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제1처리부(461)와, 제1처리부(461)와 연결되어 오일이 저장되는 제2처리부(462)와, 제2처리부(462)를 통과하는 오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3처리부(463)와, 제2처리부(462)에서 필터링된 오일을 조리탱크부(11)로 재공급하는 제4처리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처리부(463)는 권취된 필터가 풀려 제2처리부(46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1)는 분리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50)는 공급부(20)에서 낙하되지 않고 부착된 조리대상물을 제거한다. 일예로, 분리부(50)는 뒤집힌 용기저장부(252)에 부착된 조리대상물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용기저장부(252)에서 조리대상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부(50)는 분리캠부(51)와, 분리회전부(52)와, 분리복원부(53)와, 분리걸림부(54)와, 분리타격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캠부(51)는 공급회전부(22)와 동축상에 연결되고, 공급프레임부(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캠부(51)는 원판 형상을 하며,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캠조작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회전부(52)는 공급프레임부(2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분리회전부(52)는 공급체인부(24)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복원부(53)는 분리회전부(5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분리복원부(53)는 일단부가 공급프레임부(2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분리회전부(52)에 고정되어 분리회전부(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분리걸림부(54)는 분리회전부(52)에 장착되고 분리캠부(51)에 의해 분리회전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분리걸림부(54)는 분리회전부(52)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분리캠부(51)에 걸쳐질 수 있다. 분리걸림부(54)는 분리캠부(51)의 외측에 걸려 상승하고, 함몰된 캠조작부(511)에 의해 외력이 제거되면 분리복원부(53)의 복원력에 의해 분리걸림부(54)는 하강할 수 있다.
분리타격부(55)는 분리회전부(52)에 결합되고, 분리회전부(52)가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면 용기저장부(252)를 타격할 수 있다. 분리타격부(55)는 각각의 용기저장부(252)를 타격하도록, 분리회전부(5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분리걸림부(54)와 분리타격부(55)는 분리회전부(52)와 함께 연동된다. 이때, 분리걸림부(54)가 분리캠부(51)에 밀려 이동되다가 캠조작부(511)에서 분리걸림부(54)와의 접촉이 제거되면, 분리복원부(53)의 복원력에 의해 분리회전부(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분리회전부(52)와 연동되는 분리타격부(55)가 용기저장부(252)를 타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부(10)에 저장된 오일이 가열되고, 공급부(20)를 통해 조리부(10)를 통과한 조리대상물이 가조리된다. 즉, 공급동력부(23)에 의해 공급회전부(22)가 회전되면, 공급체인부(24)가 이동되고, 공급체인부(24)에 연결된 공급용기부(25)에 투입된 조리대상물이 오일을 통과하면서 1차 조리된다. 이때, 제1공급구간부(S1)에서는 용기저장부(252)에 조리대상물이 투입되고, 제2공급구간부(S2)와 제3공급구간부(S3)에서는 조리대상물이 오일에 잠기면서 조리되고, 제5공급구간부(S5)에서 가조리된 조리대상물이 오일로 낙하된다.
한편, 조리대상물은 용기저장부(252)에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부(50)는 공급부(20)와 연동되어 용기저장부(252)를 타격하여 용기저장부(252)로부터 조리대상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조리대상물이 공급부(20)에서 낙하되면, 상하로 배치되는 하부배출부(31)와 상부배출부(32)를 따라 이동되면서 조리가 완료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 외, 청소부(40)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청소스크래퍼부(45)가 조리 과정에서 낙하된 조리탱크부(11)의 저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긁어서 조리수집부(19)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청소처리부(46)는 조리수집부(19)의 오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조리탱크부(11)로 재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 조리장치(1)는 조리대상물이 공급부(20)에 투입되어 가조리되면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공급부(20)에서 뒤집혀 낙하된 후 배출부(30)를 통해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부(10)에서 배출되므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조리대상물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조리부 11 : 조리탱크부
12 : 조리가열부 20 : 공급부
21 : 공급프레임부 22 : 공급회전부
23 : 공급동력부 24 : 공급체인부
25 : 공급용기부 30 : 배출부
31 : 하부배출부 32 : 상부배출부
40 : 청소부 41 : 청소프레임부
42 : 청소회전부 43 : 청소동력부
44 : 청소체인부 45 : 청소스크래퍼부
46 : 청소처리부 50 : 분리부
51 : 분리캠부 52 : 분리회전부
53 : 분리복원부 54 : 분리걸림부
55 : 분리타격부

Claims (7)

  1. 오일이 저장되고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부;
    복수개로 구획되어 저장된 조리대상물을 상기 조리부로 투입시켜 조리대상물을 가조리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에서 뒤집혀 배출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키면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고, 조리대상물을 상기 조리부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오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탱크부; 및
    상기 조리탱크부에 장착되고, 오일을 가열하는 조리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공급프레임부;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급회전부;
    상기 공급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공급동력부;
    상기 공급회전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공급체인부; 및
    상기 공급체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체인부와 연동되고, 조리대상물이 구획되어 담기는 공급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되는 조리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하부배출부; 및
    상기 하부배출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배출부를 통해 이동되는 조리대상물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부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에 장착되고, 저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조리부에 형성되는 청소프레임부;
    상기 청소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청소회전부;
    상기 청소회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청소동력부;
    상기 청소회전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청소체인부; 및
    상기 청소체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청소체인부와 연동되고, 상기 조리부의 저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청소스크래퍼부; 및
    상기 청소스크래퍼부에 의해 수거된 이물질과 오일을 처리하는 청소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되지 않고 부착된 조리대상물을 제거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 조리장치.
KR1020220094699A 2022-07-29 2022-07-29 튀김 조리장치 KR20240016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99A KR20240016665A (ko) 2022-07-29 2022-07-29 튀김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699A KR20240016665A (ko) 2022-07-29 2022-07-29 튀김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65A true KR20240016665A (ko) 2024-02-06

Family

ID=8985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99A KR20240016665A (ko) 2022-07-29 2022-07-29 튀김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5401B (zh) 自动烹饪设备
US5317964A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fat content of fried foods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RU2444897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обжаривания теста во фритюре, оснаще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подачи тест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бжаренных во фритюре мучных изделий
CN101467841A (zh) 烹饪机
KR101461122B1 (ko) 기름제거장치가 구비된 웰빙 튀김장치
US3787594A (en) Method of cooking comestibles
KR101592335B1 (ko) 채소 증숙기
KR20240016665A (ko) 튀김 조리장치
RU2450519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жарки мучных изделий во фритюре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теста в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CN215898735U (zh) 一种可防烫伤的食品油炸装置
KR200402442Y1 (ko) 즉석튀김장치
US20220386633A1 (en) Basket for use with a washing system for the cleaning of crustacea
Lee et al. Different types of fryers for the food industry
KR101978142B1 (ko) 오븐기를 이용하여 감자 후렌치후라이를 조리하는 감자 후렌치후라이 조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자 후렌치후라이 조리방법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MX2010011180A (es) Dispositivo de coccion.
KR102291053B1 (ko) 튀김장치
CN113951290A (zh) 一种食品自动连续油炸装置
KR101822579B1 (ko) 튀김기의 찌꺼기 제거장치
CN219961808U (zh) 具有沥油功能的鱼糜制品加工用油炸装置
KR102616179B1 (ko) 튀김 구이 복합 장치
CN111972617A (zh) 一种盐味毛豆加工工艺及清洗设备
JP2008220569A (ja) 自動フライヤ
US6935512B1 (en) Shortening s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