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03A -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603A
KR20240016603A KR1020220094568A KR20220094568A KR20240016603A KR 20240016603 A KR20240016603 A KR 20240016603A KR 1020220094568 A KR1020220094568 A KR 1020220094568A KR 20220094568 A KR20220094568 A KR 20220094568A KR 20240016603 A KR20240016603 A KR 20240016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oral
arm
guide membe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원
Original Assignee
이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원 filed Critical 이혜원
Priority to KR102022009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603A/ko
Publication of KR2024001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63H3/40Dolls' eyes mov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가 제공된다.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는, 카드 삽입부가 구비된 몸통유닛과, 몸통유닛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머리유닛과,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고,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내용 저장부 및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재생시, 머리유닛에 형성된 눈꺼풀, 입, 귀 및 몸통유닛에 형성된 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A doll toy for learning robot that can communicate in two directions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재생할 때, 재생하는 음성에 맞춰 팔, 눈, 입의 동작이 가능하여 음성에 대한 느낌을 이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 및 분석하여 발음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의 인지 발달은 촉각적인 인지능력으로부터 시각적 인지능력으로 발전되고, 이어서 언어적 인지능력으로 발달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유아들의 수준에 맞는 언어학습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학습도구들이 선보이고 있다.
상기 학습도구들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9076호에 언어학습용 인형이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인형의 내면에 기판을 삽입하고 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단추를 누르면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고, 라인 아웃 단자를 이용하여 녹음된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이메일 전송과, 라인 인 단자를 통해 사이버 상에서 원하는 음성정보를 다운 받아 저장,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일방적인 학습 전달기능으로 유아들이 흥미를 갖지 못하고, 언어에 대한 거부감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언어 학습 효과를 표방한 완구 제품들의 경우, 놀이에 초점을 맞춘 단조로운 컨텐츠와 기능으로 실질적인 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실제 움직임과 연동하여 얼굴의 표정 변화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907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재생할 때, 재생하는 음성에 맞춰 팔, 눈, 입 및 귀의 동작을 동기화하여 이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학습하는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 및 분석하여 발음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음성을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는, 카드 삽입부가 구비된 몸통유닛과, 상기 몸통유닛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머리유닛과, 상기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고,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내용 저장부 및 상기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재생시, 머리유닛에 형성된 눈꺼풀, 입, 귀 및 몸통유닛에 형성된 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유닛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팔부 및 상기 몸통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머리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관통된 설치공 및 상기 몸통부재에 배치된 카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부는,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에 관통된 설치공에 배치되는 제1 팔부재 및 상기 제1 팔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팔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팔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 팔부 및 상기 몸통부재의 타측에 관통된 설치공에 배치되는 제2 팔부재 및 상기 제2 팔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팔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팔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2 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유닛은, 안구가 표현된 안면부재와, 상기 안면부재의 하단부에 관통된 제1 설치공 및 상기 안면부재의 상단부에 관통된 제2 설치공을 포함하는 안면부, 상기 안면부재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의 상단부에 대칭되게 관통된 통공을 포함하는 보호부 및 상기 제1 설치공으로 결합되어 돌출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부는, 상기 제1 설치공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1 구강부재 및 상기 제1 구강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 구강부 및 상기 제1 설치공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2 구강부재 및 상기 제2 구강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2 구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면부재의 안구를 개폐하는 눈꺼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꺼풀부는, 상기 제1 구강부와 연동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에 연결되는 눈꺼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면부재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부는, 상기 보호부재의 일측 통공으로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1 귀부재 및 상기 제1 귀부재를 앞.뒤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귀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 귀부 및 상기 보호부재의 타측 통공으로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2 귀부재 및 상기 제2 귀부재를 앞.뒤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귀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2 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섹션을 한 번에 재생하는 학습 모드와, 상기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소절을 재생하고, 재생된 한 소절을 이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대화 모드 및 상기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에 의하면,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재생할 때, 재생하는 음성에 맞춰 팔, 눈, 입 및 귀의 동작을 동기화하여 이용자에게 로봇 인형완구가 직접 말하는 듯한 표정과 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얼굴의 표정을 다양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하는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 및 분석하여 발음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음성을 다시 재생할 수 있으므로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어학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입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정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배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유닛의 배면 입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유닛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입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정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의 배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유닛의 배면 입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유닛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는, 교육성 서적 및 어학 등을 흥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로, 몸통유닛(100), 머리유닛(200), 학습내용 저장부(300), 제어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통유닛(100)은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의 몸통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머리유닛(200)과 함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통유닛(100)은 몸통부(110), 팔부(120), 회전안내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통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통부(110)는 몸통부재(111), 설치공(112), 카드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통부재(111)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112)은 몸통부재(111)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 양측에 각각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112)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 팔부재(121a)와 제2 팔부재(122a)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드 삽입부(113)는 몸통부재(111)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카드 삽입부(113)는 측면부 또는 후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면부는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의 전면을 나타내는 것이고, 후면부는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의 후면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팔부(120)는 몸통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팔(arm)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팔부(120)는 제1 팔부(121), 제2 팔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부(121)는 오른쪽 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부(121)는 제1 팔부재(121a),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부재(121a)는 몸통부재(11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부재(121a)의 단부는 몸통부재(111)의 일측에 관통된 설치공(11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는 몸통부재(111)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면서 제1 팔부재(121a)에 연결되고, 제1 팔부재(121a)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부(122)는 왼쪽 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부(122)는 제2 팔부재(122a),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부재(122a)는 몸통부재(11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부재(122a)의 단부는 몸통부재(111)의 타측에 관통된 설치공(11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는 몸통부재(111)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면서 제2 팔부재(122a)에 연결되고, 제2 팔부재(122a)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는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와 서로 반대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는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와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의 회전각도는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의 회전각도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재(130)는 머리유닛(200)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재(130)는 머리유닛(200)을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재(130)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재(130)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재(130)는 몸통부재(111) 내부에 위치하면서 머리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안내부재(130)의 좌.우 수평 방향 회전에 따라 머리유닛(200)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안내부재(130)의 상.하 수직 방향 회전에 따라 머리유닛(200)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안내부재(130)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유닛(200)은 몸통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유닛(200)은 회전안내부재(130)에 의해 몸통유닛(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유닛(200)은 안면부(210), 보호부(220), 구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부(210)는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의 얼굴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부(210)는 안면부재(211), 제1 설치공(212), 제2 설치공(21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면부재(211)는 안구가 표현된 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설치공(212)은 안면부재(211)의 하단부에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설치공(212)은 안면부재(211)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고, 제1 설치공(212)에 구강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설치공(213)은 안면부재(211)의 상단부에 관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설치공(213)은 안면부재(211)의 상단부에 제1 설치공(212)과 직교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고, 제2 설치공(213)에 눈꺼풀(233b)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부(220)는 안면부(210)를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부(220)는 보호부재(221), 통공(22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부재(221)는 안면부재(211)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부재(221)는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거나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공(222)은 보호부재(221)의 상단부에 대칭되게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공(222)으로 하기에 설명하는 제1 귀부재(241a), 제2 귀부재(242a)가 각각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강부(230)는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의 입(mouth)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구강부(230)는 제1 설치공(212)으로 결합되어 돌출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강부(230)는 제1 구강부(231), 제2 구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부(231)는 제1 구강부재(231a),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부재(231a)는 제1 설치공(21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강부재(231a)는 안면부재(211)의 후면부에서 전면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부재(231a)는 상악부분으로 윗 입술에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는 제1 구강부재(231a)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부(231)는 제1 구강설치안내부재(2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설치안내부재(231c)는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강설치안내부재(231c)는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강설치안내부재(231c)가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부(232)는 제2 구강부재(232a),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부재(232a)는 제1 설치공(21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강부재(232a)는 안면부재(211)의 후면부에서 전면부 방향으로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부재(232a)는 하악부분으로 아랫 입술에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는 제2 구강부재(232a)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부(232)는 제2 구강설치안내부재(2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설치안내부재(232c)는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설치안내부재(232c)는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구강설치안내부재(232c)가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강설치안내부재(232c)는 제1 구강설치안내부재(231c)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강부(230)는 눈꺼풀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눈꺼풀부(233)는 제1 구강부(231)와 연동되고, 안면부재(211)에 표현된 안구를 깜빡이게 표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눈꺼풀부(233)는 링크(233a), 눈꺼풀(233b)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링크(233a)는 제1 구강부(231)와 눈꺼풀(233b)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링크(233a)는 제1 구강부(231)에 연결된 제1 링크와, 제1 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및 제2 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링크는 'T'자 형상으로 양측 단부에 눈꺼풀(233b)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눈꺼풀(233b)은 링크(233a)에 연결되고, 제2 설치공(213)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눈꺼풀(233b)은 제3 링크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설치공(213)을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눈꺼풀(233b)은 제1 구동부재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때, 링크(233a)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안구 부분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눈꺼풀(233b)은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따른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에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눈꺼풀(233b)은 안면부재(211)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는 안면부재(211)에 돌출된 편과 눈꺼풀(233b)에 돌출된 편을 축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유닛(200)은 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귀부(240)는 안면부재(211)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귀(ear)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귀부(240)는 제1 귀부(241), 제2 귀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부(241)는 오른쪽 귀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부(241)는 제1 귀부재(241a), 제1 귀회전안내부재(241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부재(241a)는 보호부재(221)의 통공(222)으로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회전안내부재(241b)는 제1 귀부재(241a)를 앞.뒤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회전안내부재(241b)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회전안내부재(241b)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회전안내부재(241b)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부(241)는 제1 귀설치안내부재(24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설치안내부재(241c)는 제1 귀회전안내부재(241b)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설치안내부재(241c)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설치안내부재(241c)는 절곡되어 형성되고,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귀설치안내부재(241c)가 절곡됨으로써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231b)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부(242)는 왼쪽 귀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부(242)는 제2 귀부재(242a), 제2 귀회전안내부재(242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부재(242a)는 보호부재(221)의 통공(222)으로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회전안내부재(242b)는 제2 귀부재(242a)를 앞.뒤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회전안내부재(242b)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회전안내부재(242b)는 모터의 회전으로 당겨지는 끈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회전안내부재(242b)는 제어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부(242)는 제2 귀설치안내부재(24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설치안내부재(242c)는 제2 귀회전안내부재(242b)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설치안내부재(242c)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설치안내부재(242c)는 절곡되어 형성되고, 안면부재(211)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설치안내부재(242c)가 절곡됨으로써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232b)와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귀설치안내부재(242c)는 제1 귀설치안내부재(241c)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내용 저장부(300)는 상기 몸통유닛(100)과 머리유닛(200) 및 학습내용 저장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내용 저장부(300)는 카드 삽입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내용 저장부(300)는 다양한 학습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 데이터는 교육용 서적, 어학 등 다양한 내용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내용 저장부(30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유닛(400)은 학습내용 저장부(30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재생시, 머리유닛(200)에 형성된 눈꺼풀(233b), 입, 귀 및 몸통유닛(100)에 형성된 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유닛(400)은 학습 모드(410), 대화 모드(420), 인공지능 모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 모드(410)는 학습내용 저장부(30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섹션을 한 번에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모드(410)는 교육용 서적의 한 섹션의 내용을 한 번에 재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학습 모드(410)는 학습 데이터의 재생시, 음성과 동기화된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이 '오른쪽 팔을 들어'라고 재생되면, 제1 팔부재(121a)가 제1 팔회전안내부재(121b)의 동력으로 상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화 모드(420)는 학습내용 저장부(30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소절을 재생하고, 음성인식을 통해 이용자가 한 소절을 읽는 방식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화 모드(420)는 이용자가 읽은 학습 데이터의 한 소절의 음성을 인식 및 분석하여 발음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읽은 학습 데이터의 한 소절의 음성이 틀렸거나 부정확한 경우, 이용자에게 틀린 부분을 지적해주고, 틀린 부분만 다시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화 모드(420)는 학습내용 저장부(300)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소절을 재생할 때,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이 '왼쪽 팔을 들어'라고 재생되면, 제2 팔부재(122a)가 제2 팔회전안내부재(122b)의 동력으로 상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공지능 모드(430)는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간단한 대화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시간, 현재의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의 시간은 내장된 시계를 통해 알려줄 수 있고, 현재의 날씨는 네트워트(network)를 통해 기상청에 접속하여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10)와 기상청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100: 몸통유닛
110: 몸통부
111: 몸통부재
112: 설치공
113: 카드 삽입부
120: 팔부
121: 제1 팔부
121a: 제1 팔부재
121b: 제1 팔회전안내부재
122: 제2 팔부
122a: 제2 팔부재
122b: 제2 팔회전안내부재
130: 회전안내부재
200: 머리유닛
210: 안면부
211: 안면부재
212: 제1 설치공
213: 제2 설치공
220: 보호부
221: 보호부재
222: 통공
230: 구강부
231: 제1 구강부
231a: 제1 구강부재
231b: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
231c: 제1 구강설치안내부재
232: 제2 구강부
232a: 제2 구강부재
232b: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
232c: 제2 구강설치안내부재
233: 눈꺼풀부
233a: 링크
233b: 눈꺼풀
240: 귀부
241: 제1 귀부
241a: 제1 귀부재
241b: 제1 귀회전안내부재
241c: 제1 귀설치안내부재
242: 제2 귀부
242a: 제2 귀부재
242b: 제2 귀회전안내부재
242c: 제2 귀설치안내부재
300: 학습내용 저장부
400: 제어유닛
410: 학습 모드
420: 대화 모드
430: 인공지능 모드

Claims (11)

  1. 카드 삽입부가 구비된 몸통유닛;
    상기 몸통유닛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머리유닛;
    상기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고, 학습 데이터가 저장된 학습내용 저장부; 및
    상기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재생시, 머리유닛에 형성된 눈꺼풀, 입, 귀 및 몸통유닛에 형성된 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유닛은,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팔부; 및
    상기 몸통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머리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관통된 설치공; 및
    상기 몸통부재에 배치된 카드 삽입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팔부는,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에 관통된 설치공에 배치되는 제1 팔부재 및 상기 제1 팔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팔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팔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 팔부; 및
    상기 몸통부재의 타측에 관통된 설치공에 배치되는 제2 팔부재 및 상기 제2 팔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팔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팔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2 팔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유닛은,
    안구가 표현된 안면부재와, 상기 안면부재의 하단부에 관통된 제1 설치공 및 상기 안면부재의 상단부에 관통된 제2 설치공을 포함하는 안면부;
    상기 안면부재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의 상단부에 대칭되게 관통된 통공을 포함하는 보호부; 및
    상기 제1 설치공으로 결합되어 돌출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강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부는,
    상기 제1 설치공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1 구강부재 및 상기 제1 구강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강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 구강부; 및
    상기 제1 설치공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2 구강부재 및 상기 제2 구강부재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강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2 구강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재의 안구를 개폐하는 눈꺼풀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눈꺼풀부는,
    상기 제1 구강부와 연동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에 연결되는 눈꺼풀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재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귀부를 더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귀부는,
    상기 보호부재의 일측 통공으로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1 귀부재 및 상기 제1 귀부재를 앞.뒤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귀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 귀부; 및
    상기 보호부재의 타측 통공으로 결합되어 돌출되는 제2 귀부재 및 상기 제2 귀부재를 앞.뒤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귀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2 귀부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섹션을 한 번에 재생하는 학습 모드;
    상기 학습내용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의 한 소절을 재생하고, 재생된 한 소절을 이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대화 모드; 및
    상기 이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드를 포함하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KR1020220094568A 2022-07-29 2022-07-29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KR20240016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68A KR20240016603A (ko) 2022-07-29 2022-07-29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68A KR20240016603A (ko) 2022-07-29 2022-07-29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603A true KR20240016603A (ko) 2024-02-06

Family

ID=8985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568A KR20240016603A (ko) 2022-07-29 2022-07-29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6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076Y1 (ko) 2000-04-14 2000-10-02 이철호 언어학습용 인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076Y1 (ko) 2000-04-14 2000-10-02 이철호 언어학습용 인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1787B1 (en) Dolls with alterable facial features
US7322874B2 (en) Expression mechanism for a toy, such as a doll, having fixed or moveable eyes
JP2002307354A (ja) 電子玩具
US20080026669A1 (en) Interactive response system for a figure
CN104537925A (zh) 语障儿童语言训练辅助系统及方法
KR20240016603A (ko) 음성인식 기능으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학습용 로봇 인형완구
US20180071644A1 (en) Wirelessly Communicative Cuddly Toy
US7988521B2 (en) Simulated eye for toy
CN207895719U (zh) 面部识别早教机
JP2012008390A (ja) 英語発音学習教材兼英語発音指導教具、語学発音学習方法および語学発音指導方法。
KR102414466B1 (ko) 척추동물의 포식활동 재현 학습교구
CN108854100A (zh) 交互式机器人玩具
CN106799009A (zh) 微笑专用训练器
CN106621354A (zh) 智能变装机器人和情景智能化方法
CN207137357U (zh) 智能变装机器人
CN209596558U (zh) 玩具写字笔
CN220513416U (zh) 一种玩具
KR200451013Y1 (ko) 학습용 손인형
CN217671940U (zh) 一种仿真猴子装置
CN215679693U (zh) 一种基于安卓系统的智能教育机器人
CN218392235U (zh) 一种基于视觉和触觉的儿童组合玩具
CN219272149U (zh) 一种缝纫机玩具
CN210874076U (zh) 单指套玩偶
CN218357326U (zh) 一种动物模型玩具
CN209405666U (zh) 人偶躯体及人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