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586A -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 Google Patents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586A
KR20240016586A KR1020220094543A KR20220094543A KR20240016586A KR 20240016586 A KR20240016586 A KR 20240016586A KR 1020220094543 A KR1020220094543 A KR 1020220094543A KR 20220094543 A KR20220094543 A KR 20220094543A KR 20240016586 A KR20240016586 A KR 2024001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work lift
clause
workbench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기
Original Assignee
연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화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화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586A/en
Publication of KR2024001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586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가 개시된다. 상기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건물 신축공사 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설치되는 중량물 작업대에 있어서,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게 수평 배치되고, 건축자재 물품을 올려 놓기 위한 평판 형태의 바닥판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복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heavy work bench for a work lift is disclosed. The heavy workbench for the work lift is a heavy workbench installed on one side of an exterior wall during new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near the worklift for transporting building materials. The heavy workbench includes a base frame arranged horizontally so that the edges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floor plates are horizontal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have a flat shape for placing building materials on top of the base frame; and a plurality of leg parts vertically disposed below the base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Description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본 발명은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용 리프트에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용 리프트 주변 바닥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각 구성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추락방지 가이드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work platform for a work lift.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on a work lift to enable workers to safely transport using a cart and load building materials onto the work lift. A work lift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surrounding floor, is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as each componen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is equipp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from falling from the workbench. This is about a heavy work bench for .

일반적으로, 대지면적에 비하여 건물의 용적률을 높이기 위하여 빌딩, 아파트와 같이 고층으로 건물로 신축공사를 하고 있다.In general, new high-rise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are being constru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floor area ratio of the building compared to the site area.

이와 같은 고층건물의 신축공사 시 타워 크레인을 설치한 후 고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이동시켜 1차적으로 건물높이를 올린다. 1차적으로 건물높이가 올라가면 설치되어 있는 타워 크레인을 해체시키고, 건물 옆에 작업용 리프트를 설치하여 건물 내부 공사에 사용될 건축자재 물품을 이동시킨다.When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like this, a tower crane is installed and heavy building materials are moved to initially raise the height of the building. First, when the building height increases, the installed tower crane is dismantled and a work lift is installed next to the building to move the building materials to be used for construction inside the building.

건물 옆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작업용 리프트는 설치구조상 지면까지 내려오지 않는다.The work lift installed and used next to the building does not come down to the ground due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그러므로 보통 도 1과 같이 작업용 리프트(1)에 벽돌운반용 손수레 등과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건축자재 물품(3)을 운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경사로 구조물(2)을 설치하고 있다. 건축자재 물품(3)은 보통 지게차로 하역시킬 수 있도록 파렛트(4) 상측에 벽돌 또는 타일(5) 등이 적재되어 있는 형태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 1, a ramp structure 2 is usually installed on the work lift 1 so that the building materials 3 can be transported and loaded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cart for transporting bricks. Building materials (3) are usually in the form of bricks or tiles (5) loaded on the upper side of a pallet (4) so that they can be unloaded with a forklift.

이와 같은 경우, 고중량의 건축자재 물품(3)인 벽돌 또는 타일(5)을 벽돌운반용 손수레에 실은 후 작업자가 경사로를 타고 운반을 시켜야 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을 요구하는 한편,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In such cases, bricks or tiles (5), which are heavy construction materials (3), must be loaded onto a brick cart and then transported by workers on a ramp, which requires a lot of labor and often causes safety accidents. I'm doing it.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도 2와 같이 많은 공사현장에서는 경사로 구조물(2) 옆에 운반할 건축자재 물품(3)을 적재시켜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를 형성시키고, 그 위에 지게차 등의 건설기기를 이용하여 건축자재 물품(3)을 올려 놓은 후 벽돌운반용 손수레 등으로 작업용 리프트(1)에 적재시키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at many construction sites, as shown in Figure 2, building materials (3) to be transported are loaded next to the ramp structure (2) to form a workbench (3a) using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is placed on it. After placing the building materials (3) using the , they are loaded on the work lift (1) using a cart for transporting bricks.

이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경사로 구조물(2)의 높이와 일치될 수 있도록 건축자재 물품(3)의 상부에 위치한 일부의 벽돌 또는 타일(5a)을 제거하여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로 사용하고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some of the bricks or tiles (5a)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material product (3) are remov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ramp structure (2) to form a workbench (3a) using the building material product. I am using it.

이와 같이 분리된 일부의 벽돌 또는 타일(5a)는 별도로 보관을 하다 관리의 부주의로 인하여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의 경우에는 모서리 부근에 있는 상부의 벽돌 또는 타일(5)이 추락하거나 또는 상부에 놓여지는 건축자재 물품(3) 또는 중량물이 실린 손수레의 이동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벽돌 또는 타일(5)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some of the separated bricks or tiles (5a) are frequently damaged due to carelessness while stored separately, while in the case of the workbench (3a) using building materials as shown in Figure 4, the corners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nearby upper bricks or tiles (5) are damag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falling or the movement of a cart loaded with building materials (3) or heavy goods placed on top. there is.

또한,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의 모서리 부근에서 추락된 상부의 벽돌 또는 타일(5) 등에 의하여 공사현장이 번잡해지고, 추락된 상부의 벽돌 또는 타일(5)이 이동로를 막거나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site becomes busy due to upper bricks or tiles (5) that fall near the edge of the workbench (3a) us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fallen upper bricks or tiles (5) block the movement path or cause inconvenience. It may cause damage or may be a factor in causing a safety accid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1589Republic of Korea Open Patent 10-2019-005158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용 리프트에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용 리프트 주변 바닥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각 구성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추락방지 가이드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is installed on a work lift to allow workers to safely transport using a cart and load building materials onto the work lift, and to be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floor around the work lif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each componen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making it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is equipp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from falling from the workbench. It is to provid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건물 신축공사 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설치되는 중량물 작업대에 있어서,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게 수평 배치되고, 건축자재 물품을 올려 놓기 위한 평판 형태의 바닥판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복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 is a heavy workben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xterior wall during new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installed near a work lift for transporting building materials. A base frame arranged horizontally so that the edges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floor plates are horizontal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have a flat shape for placing building materials on top of the base frame; and a plurality of leg parts vertically disposed below the base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 후 측에 이격되게 수평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되, 'ㅁ'자 형태로 모서리가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통형 관 형상의 상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includes lower frames arranged horizontally and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It may include a cylindrical tube-shaped upper fram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the corners of which are connected in a 'ㅁ' shape.

또한, 상기 바닥판재는, 상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패턴부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판재; 및 상기 상부프레임 상부에 걸어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판재 양단에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 plate is a flat plate with a protruding pattern formed on the top to prevent slipping; and a hook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with one side open at both ends of the plate so that it can be hung and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또한, 상기 다리부는, 지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평판 형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 및 상기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 하 이동되며, 상기 다리부 하단이 지지되는 조절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 portion further includes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ground,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lat support plate supported on the ground; a threaded portion installed vertical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n adjustment handle that is screwed to the threaded part and moves up and down,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leg part.

또한,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절핸들의 위치를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설정 간격마다 다른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Additionally, paint of a different color may be applied to the threads of the threaded portion at set interval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handle.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받침판이 지면과 맏닿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height adjustment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when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또한, 상기 높이고정수단은, 상기 조절핸들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 상기 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는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된 체결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ncludes hing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adjustment handle; It may include a fastening rotation memb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and whose end has teeth formed to engage the screw threads of the screw thread portion.

또한, 상기 체결회동부재는, 하단부분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고정수단은, 상기 체결회동부재가 회동되지 않고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 위치의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whos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and the height fixing means is configured to fix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in a state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screw thread portion without rotating the fastening rotating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crew member screw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screw portion at the position.

또한, 상기 고정나사부재는,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 상부에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어 끼움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너트부의 나사산이 형성된 홀 직경보다 크게 홀이 형성된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screw member includes a nut portion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to the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and a receiving hole in which a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in which the thread of the nut part is formed so as to provide a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nut part for receiving and inserting the extension part.

또한, 상기 수용홀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홀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ceiving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hole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 하부와 상기 다리부 일측에는, 건축자재 물품의 하중에 버틸 수 있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reinforcing means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rame and on one side of the leg portion to increase the force that can withstand the load of building materials.

또한, 상기 보강수단은, 일측의 상기 하부프레임 및 타측의 상기 하부프레임과, 일측의 상기 다리부 및 타측의 상기 다리부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 2곳에 1개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means may include a clam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the leg portion on one side, and the le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one of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two of the clamps.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제1보강바 양단을 연결하도록 연결보강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또한, 상기 연결보강바는, 상기 제1보강바 2곳에 끼움되기 위해 양단이 상기 제1보강바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 및 상기 고리와 고리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includes a ring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so that both ends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into the two first reinforcing bars; And it may include; a rod-shape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ing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다리부에는, 전, 후 측에 각각, 상기 다리부 일측에 수평되게 제2보강바가 용접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cond reinforcing bar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by welding on one side of the leg portion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의 모서리 4곳에는, 상기 바닥판재상에 적재된 중량물 및 작업자가 상기 바닥판재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fall prevention guides may be further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loaded on the floor plate from falling outside the floor plate.

또한, 상기 추락방지 가이드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모서리 4곳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관 형태의 안전바 거치대; 상기 안전바 거치대에 삽입되고 수직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 또는 봉 형태의 안전바; 및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바에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는 안전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guide includes a tubular safety bar holder installed vertically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A safety ba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ubes or rods inserted into the safety bar holder and installed vertically; and a safety line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across the plurality of safety bars.

또한, 상기 안전바에는,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안전선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걸쳐지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선걸이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bar may further include line hook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safety line members to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용 리프트에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용 리프트 주변 바닥의 높이에 대응하여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이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며, 각 구성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추락방지 가이드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avy work bench for the work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ork lift to allow workers to safely transport using a cart and load building materials onto the work lift, and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floor around the work lift. The height of the parts supported on the floor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making it easy to level, and each componen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for easy installation and transportation, and a fall prevention guide is provided to keep heavy objects and workers off the workbench.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alls.

도 1 내지 도 4는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된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종래의 경사로 구조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의 높이조절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고정수단이 구비된 높이조절부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고정수단이 구비된 높이조절부 단면도.
도 10은 보강수단이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
도 11은 연결보강바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
도 12는 추락방지 가이드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
1 to 4 are illustrations of conventional ramp structures for transporting building materials installed on a work lif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ment unit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height adjustment unit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reinforcement means.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necting reinforcement bar installe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installe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용 리프트에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용 리프트 주변 바닥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각 구성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추락방지 가이드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ork lift to allow workers to safely transport using a cart and load building materials onto the work lift, 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around the work lif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each componen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making it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and it is equipp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from falling from the workbench. It's about the workbench.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건물 신축공사 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벽돌, 타일 등과 같은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손수레 등을 이용한 적재시 작업자가 보다 쉽게 작업용 리프트까지 적재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도모함으로써 노동력 감소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a heavy work 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xterior wall during new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transports heavy building materials such as bricks, tiles, etc. near the work lift. This is to reduce labor force and ensure safety by allowing workers to more easily transport the load to the work lift when loading using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0), 바닥판재(20) 및 다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heavy work platform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base frame 10, a floor plate 20, and leg portions 30.

먼저, 베이스 프레임(10)은 기본 골조가 되는 부분으로,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수평 배치되는 부분이다.First, the base frame 10 is a part that becomes the basic frame and is arranged horizontally so that the corners are connected.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건축자재 물품(예: 벽돌 등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공간의 전, 후 측에 이격되게 수평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1) 및 상기 하부프레임(11) 상부에 배치되되, 'ㅁ'자 형태로 모서리가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통형 관 형상의 상부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frame 10 is disposed on a lower frame 11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 space where building materials (e.g., bricks, etc.) are loaded, and on an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11, It may include a cylindrical tube-shaped upper frame 12 installed with the corners connected in a 'ㅁ' shape.

즉, 상기 하부프레임(11)은 건축자재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의 양측단 위치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 상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12)이 'ㅁ'자 형태로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수평되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frame 11 is arranged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space where building materials are loaded, and the upper frame 1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11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It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to form a border in the shape of a ruler.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수평배치되는 골조이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중심은 공백이 형성된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 frame 10 is a frame that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10 may be formed as an empty space.

다음으로, 바닥판재(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게 수평 배치되고, 건축자재 물품을 올려 놓기 위한 평판 형태의 구성이다.Next, a plurality of floor plates 20 are horizontal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10 and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for placing building materials.

상기 바닥판재(20)는 상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패턴부(21a)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판재(21) 및 상기 상부프레임(12) 상부에 걸어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판재(21) 양단에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걸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or plate 20 is a flat plate 21 with a protruding pattern portion 21a formed thereon to prevent slipping, and both ends of the plate 21 can be hung on the upper frame 12. It may include a hook 22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with one side open.

즉, 상기 판재(20)는 상기 걸이부(22)를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12)에 걸어지는 구조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plate 20 is hung on the upper frame 12 through the hook 22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base frame 10.

또한, 상기 판재(20) 상부에는 작업자가 보행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패턴 무늬가 돌출 형성된 돌출패턴부(21a)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재(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심 빈공간의 면적만큼을 복수 개로 등분한 크기로 제작되어 바닥판재(20) 1개당 무게를 줄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pattern portion 21a with a certain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20 to prevent the worker from slipping when walking, and the bottom plate 20 is an empty space at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10. It is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area into a plurality of equal parts, so that the weight of each floor plate 20 can be reduced to make it easy to transport.

마지막으로, 다리부(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하부에 복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부분이다.Lastly, a plurality of leg parts 30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10 and are supported on the ground.

즉, 상기 다리부(30)는 적어도 모서리 4곳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및 상기 바닥판재(20)를 지지하고 작업 현장의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수직 형태의 원통형 봉 또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로서 전면측에 설치되는 다리부(30)와 후면측에 설치되는 다리부(30)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leg portion 30 is installed at at least four corners to support the base frame 10 and the floor plate 20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work site, and is in the form of a vertical cylindrical rod or tube. This can be done, and in various embodiments, the leg portion 3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leg portion 30 installed on the rear side may have different lengths.

한편, 상기 다리부(30)는 지면과의 높이, 즉 지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한 높이조절부(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g portion 30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portion 30a for adjusting the height in response to the height from the ground, that is, the height of the ground.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부(30a)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30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바닥판재(20) 및 상기 다리부(30)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의 기본적이 구성을 이룰 수 있고, 중량물인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하더라도 그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base frame 10, the floor plate 20, and the leg portion 30, Even if heavy construction materials are loaded, it can withstand the loa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의 높이조절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고정수단이 구비된 높이조절부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고정수단이 구비된 높이조절부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provided with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to 8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ight adjustment unit provided with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30a)는 상기 다리부(3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평판 형상의 받침판(31), 상기 받침판(31)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32) 및 상기 나사산부(32)에 나사결합되어 상, 하 이동되며, 상기 다리부(30) 하단이 지지되는 조절핸들(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height adjustment part 30a is a part installed on the leg part 30, and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flat support plate 31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support plate 31. It may include a threaded portion 32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n adjustment handle 33 that is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32 and moves up and down,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30.

상기 받침판(31)은 평평한 판형으로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 현장의 바닥에 직접 접촉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The support plate 31 has a flat plate shape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a part that is suppor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work site.

상기 나사산부(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관으로서, 상기 나사산부(32)의 길이는 상기 다리부(30)의 조절가능한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The threaded portion 32 is a cylindrical tube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rtion 32 may correspond to the adjustable height of the leg portion 30.

상기 조절핸들(33)은 상기 나사산부(32)에 나사결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부분으로, 상기 다리부(30) 하단 부분은 상기 조절핸들(33)의 상측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조절핸들(33)의 고정 위치가 상기 다리부(30)의 설정 높이가 될 수 있다.The control handle 33 is a part that is screwed to the thread part 32 and moves up and down by the operator's manipulat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leg part 30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rol handle 33. The fixed posi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33 may be the set height of the leg portion 30.

즉, 상기 다리부(30)와 지면과의 높이에 맞게 상기 높이조절부(30a)를 통해 높이 조절을 하고자할 경우, 상기 조절핸들(33)을 회전시켜 그 높이를 낮게 하면 상기 다리부(30)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조절핸들(33)이 하강하면서 상기 다리부(30)의 총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조절핸들(33)을 회전시켜 그 높이를 높게 하면 상기 조절핸들(33)의 상승하면서 상기 다리부(30)의 총 길이가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f you want to adjust the height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part (30a) to match the height between the leg part 30 and the ground, lower the height by rotating the adjustment handle 33 to lower the height of the leg part 30. ) As the adjustment handle 33, which supports the As the rises, the total length of the leg portion 30 extends and becomes relatively longer.

한편,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조절핸들(33)의 위치를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설정 간격마다 다른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paint of a different color may be applied to the threads of the threaded portion 32 at set interval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33.

즉, 사용자는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 상에서 조절핸들(33)이 어느 위치에 위치해 있는지 육안으로 쉽게 가늠할 수 있어 여러 곳의 다리부(30)에 설치된 높이조절부(30a)의 설정 높이를 일치시켜 상기 바닥판재(20)의 수평을 맞출 경우 보다 쉽게 수평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determine where the adjustment handle 33 is located on the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32, so that the set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30a installed on the leg portion 30 at various locations can be adjusted. When leveling the bottom plate 20 by matching it, leveling work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높이조절부(30a)는, 상기 받침판(31)이 지면과 맏닿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핸들(33)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고정수단(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another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unit 30a includes height adjustment means 10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33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late 31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t may further include.

즉, 상기 조절핸들(33)가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높이고정수단(100)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djustment handle 33 needs to remain stably fixed without moving from the set position, and for this purpose,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00 can be installed.

상기 높이고정수단(100)은 상기 조절핸들(33)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110), 상기 힌지(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는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된 체결회동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100 includes a hinge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adjustment handle 33,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110, and the end has teeth so as to engage with the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32. It may include a formed fastening rotation member 120.

즉, 상기 체결회동부재(120)는 상기 힌지(110)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조절핸들(33)의 고정시킬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체결회동부재(120)의 단부에 형성된 톱니가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아래쪽으로 하강하면서 회동함으로써 체결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핸들(33)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120 is pivotably coupled to the hinge 110 and is rotatable. When the position to fix the adjustment handle 33 is determined, the teeth formed on the end of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120 are It is in a fastened state by descending downward and rotating to engage the thread of the threaded portion 32, and in this state, the adjustment handle 33 cannot descend any longer and can remain fixed.

또한, 다시 조절핸들(33)을 회전시켜 위치이동을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상기 체결회동부재(120)를 회동시켜 조절핸들(33)을 위치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move the position by rotating the adjustment handle 33 again, the adjustment handle 33 is rotated by rotating the fastening rotation member 120 to release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32. It is possible to set the position to a state where movement is possible.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회동부재(120)는, 하단부분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130)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높이고정수단(100)은, 상기 체결회동부재(120)가 회동되지 않고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130) 위치의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nother embodiment, the fastening rotation member 120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130 whos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and in this case, the height fixing means 100 is used for the fastening rotation. In order to ensure that the member 120 is not rotated and is fixed in a state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threaded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screw member 140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32 a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30. can do.

상기 고정나사부재(140)는 상기 나사산부(32)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141) 및 상기 너트부(141) 상부에 상기 연장부(130)가 수용되어 끼움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너트부(141)의 나사산이 형성된 홀 직경보다 크게 홀이 형성된 수용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screw member 140 includes a nut portion 141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to the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32, and the extension portion 130 is accommodated and fitted on the upper part of the nut portion 141. It may include a receiving hole 142 having a hol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where the thread of the nut portion 141 is formed so that there is a space for the nut portion 141 to be formed.

즉, 상기 체결회동부재(120)가 회동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더이상 상기 체결회동부재(120)가 회동되지 않고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체결회동부재(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130) 위치까지 상기 고정나사부재(14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120 is no longer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120 is rotated and stopped, but is fixed in a state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screw thread portion, the fastening and rotating member 120 is stopped.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fixing screw member 140 by screwing it to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art 130.

이처럼, 상기 고정나사부재(140)가 상기 체결회동부재(120) 하단의 연장부(130) 위치까지 이동하여 체결되게 되면 상기 체결회동부재(120)는 외측을 향해 벌어지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결국 상기 조절핸들(33)이 상기 나사산부(3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fixing screw member 140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30 at the bottom of the fastening pivoting member 120 and is fastened, the fastening pivoting member 120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be opened outward. The control handle 33 can be fixed in a screwed state to the threaded portion 32.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용홀(14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홀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another embodiment, the receiving hole 142' may be formed to have a gradually smaller hole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즉, 다른 실시예로서의 상기 수용홀(142')은 홀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서 수용홀(142') 내측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연장부(130) 위치까지 상기 고정나사부재(140)가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연장부(130) 단부가 수용홀(142') 위치로 원활하게 안내되어 조여진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receiving hole 142' in another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hole gradually becomes smaller, so that the inside of the receiving hole 142' can be formed with a sloping inclined surf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ing screw up to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art 130. This is so that during the process of screwing the member 140,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130 is smoothly guided to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hole 142' and fastened in a tightened state.

도 10은 보강수단이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연결보강바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reinforcement means, 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necting reinforcement bar install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11) 하부와 상기 다리부(30) 일측에는, 건축자재 물품의 하중에 버틸 수 있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한 보강수단(2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reinforcing means 20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 and the leg portion 30 to increase the force that can withstand the load of building materials.

상기 보강수단(200)은 일측의 상기 하부프레임(11) 및 타측의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일측의 상기 다리부(30) 및 타측의 상기 다리부(30)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210) 및 상기 클램프(210) 2곳에 1개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강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means 200 includes the lower frame 11 on one side and the lower frame 11 on the other side, the leg portion 30 on one side, and the clamp 2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eg portion 30 on the other side. ) and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ement bars 220, one of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two locations of the clamps 210.

즉, 상기 클램프(210)는 일측 부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1보강바(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clamp 210 is used to fix the first reinforcement bar 220 by allowing one side of the clamp 210 to be open or closed.

따라서, 상기 제1보강바(220)는 전면측 하부프레임(11) 일측과 전면측 다리부(30) 일측에 상기 클램프(210)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보강바(220)는 후면측 하부프레임(11) 일측과 후면측 다리부(30) 일측에 상기 클램프(210)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reinforcing bar 22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lower frame 11 and one side of the front leg portion 30 by the clamp 2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22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ar lower frame 11 and one side of the rear leg portion 30 by the clamp 210.

즉, 상기 제1보강바(220)는 수평 배치되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reinforcement bar 220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and connect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한편, 상기 다리부(30)에는 전, 후 측에 각각, 상기 다리부(30) 일측에 수평되게 제2보강바(240)가 용접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reinforcing bar 240 may be installed by welding and fixed horizontally to one side of the leg portion 3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eg portion 30, respectively.

즉, 상기 제2보강바(240)는 상기 제1보강바(220)와 더불어 버팀 강도를 높이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제1보강바(2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평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보강바(22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버팀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econd reinforcing bar 240 is a part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upport along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220, and is arranged horizontal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220, thereby support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2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part where (220) is not installed.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상기 제1보강바(220) 양단을 연결하도록 연결보강바(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another embodiment,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230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220.

상기 연결보강바(230)는 상기 제1보강바(220) 2곳에 끼움되기 위해 양단이 상기 제1보강바(2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231) 및 상기 고리(231)와 고리(231)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30 includes a ring 231 and the ring ( It may include a rod-shaped connecting member 232 that connects 231) and the ring 231.

이처럼, 상기 연결보강바(230)를 상기 제1보강바(220)의 2곳에 설치하여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인 비틀림 강도 및 버팀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overall torsional strength and support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install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30 at two location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220.

도 12는 추락방지 가이드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installed.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모서리 4곳에는, 상기 바닥판재(20)상에 적재된 중량물 및 작업자가 상기 바닥판재(20)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 가이드(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11, there are fall prevention guides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loaded on the floor plate 20 from falling outside the floor plate 20. 30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추락방지 가이드(300)는 상기 하부프레임(11)의 모서리 4곳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관 형태의 안전바 거치대(310), 상기 안전바 거치대(310)에 삽입되고 수직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 또는 봉 형태의 안전바(320) 및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바(320)에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는 안전선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ll prevention guide 300 includes a tube-shaped safety bar holder 310 installed vertically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11, a plurality of tubes inserted into the safety bar holder 310 and installed vertically, or It may include a rod-shaped safety bar 320 and a plurality of safety line members 330 installed horizontally across the safety bars 320.

상기 안전바 거치대(310)는 하부프레임(11)의 적어도 모서리 4곳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안전바(320)는 상기 안전바 거치대(3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최초 조립 전 운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안전바(320)를 상기 안전바 거치대(310)로부터 분리시켜 용이하게 운반하고, 설치 현장에서 쉽게 안전바(320)를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The safety bar holder 310 is fixedly installed at at least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11, and the safety bar 32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afety bar holder 310, and is transported before initial assembly. In this case, the safety bar 320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separating it from the safety bar holder 310, and assembly can be completed by easily installing the safety bar 320 at the installation site.

한편, 상기 안전선부재(330)는 예를 들어, 체인, 와이어, 로프 등의 부재로서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안전바(320)상에 일정 간격마다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됨으로써 적재물 또는 작업자가 바닥판재(20)로부터 이탈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afety line member 330 is, for example, a chain, wire, rope, etc.,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afety bar 320, so that the load or the worker can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away from the floor plate 20.

이때, 상기 안전바(320)에는, 일정 간격 높이마다 설치되어 상기 안전선부재(330)가 일정 간격마다 걸쳐지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선걸이부(3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line hangers 321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safety bar 320 to ensure that the safety line members 33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선걸이부(321)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서 상기 안전바(320)의 외측면 여러 방향에 대해 부착 설치되어, 상기 안전선부재(330)를 쉽게 안전바(320)에 설치할 수 있고, 또 다시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line hanger 321 is in the form of a ring with one side open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bar 320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the safety line member 330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safety bar 320, Once again, it can be easily removed.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용 리프트에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용 리프트 주변 바닥의 높이에 대응하여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이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며, 각 구성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며, 추락방지 가이드가 구비되어 중량물 및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heavy work bench for the work lif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ork lift to enable workers to safely transport using a cart and load building materials on the work lift. , the parts supported on the floor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in height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floor around the work lift, making it easy to level, and each componen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making it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and preventing falls. The guide is provided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from falling from the workbench.

캐리어 세정장치는, 세정에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본체를 커버보다 많이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캐리어를 세정할 경우 단위 시간당 높은 처리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캐리어의 복잡한 형상에 대응하여 표면 및 내부공간 곳곳에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세정액 분사노즐의 구조를 개선하며, 캐리어의 본체가 고정된 형태가 아닌 세정액 분사 각도에 맞춰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carrier cleaning device allows for a high throughput rate per unit time when cleaning multiple carriers by allowing the main body, which requires more time to be cleaned, to be accommodated than the cover, and responds to the complex shape of the carriers by adjusting the surface and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liquid spray nozzle has been improve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an be sprayed throughout the internal space, and the main body of the carrier can be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according to the cleaning liquid spray angle rather than in a fixed form, which increases the cleaning effect. There i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 베이스 프레임 11: 하부프레임
12: 상부프레임 20: 바닥판재
21: 판재 21a: 돌출패턴부
22: 걸이부 30: 다리부
30a: 높이조절부 31: 받침판
32: 나사산부 33: 조절핸들
100: 높이고정수단 110: 힌지
120: 체결회동부재 130: 연장부
140: 고정나사부재 141: 너트부
142, 142': 수용홀 200: 보강수단
210: 클램프 220: 제1보강바
230: 연결보강바 231: 고리
232: 연결부재 240: 제2보강바
300: 추락방지 가이드 310: 안전바 거치대
320: 안전바 321: 선걸이부
330: 안전선부재
10: base frame 11: lower frame
12: upper frame 20: floor plate
21: plate 21a: protruding pattern portion
22: Hook portion 30: Leg portion
30a: Height adjustment part 31: Support plate
32: threaded portion 33: adjustment handle
100: Height adjustment tool 110: Hinge
120: Fastening rotation member 130: Extension part
140: Fixing screw member 141: Nut part
142, 142': receiving hole 200: reinforcement means
210: Clamp 220: First reinforcement bar
230: Connection reinforcement bar 231: Ring
232: Connecting member 240: Second reinforcing bar
300: Fall prevention guide 310: Safety bar holder
320: safety bar 321: line hanger
330: Safety line member

Claims (18)

건물 신축공사 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설치되는 중량물 작업대에 있어서,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게 수평 배치되고, 건축자재 물품을 올려 놓기 위한 평판 형태의 바닥판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복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In the heavy workben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xterior wall during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near the work lift for transporting building materials,
A base frame arranged horizontally so that the edges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floor plates are horizontal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have a flat shape for placing building materials on top of the base frame; and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plurality of leg portions arranged vertically below the base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 후 측에 이격되게 수평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되, 'ㅁ'자 형태로 모서리가 연결되게 설치되는 원통형 관 형상의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
The base frame is,
A lower frame arranged horizontally and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cylindrical tube-shaped upper fram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the corners of which are connected in a 'ㅁ' shap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는,
상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패턴부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판재; 및
상기 상부프레임 상부에 걸어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판재 양단에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2,
The floor plate is,
A flat plate with a protruding pattern formed on the top to prevent slipping; and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hook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with one side open at both ends of the plate so that it can be hung on an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지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지면에 지지되는 평판 형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 및
상기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 하 이동되며, 상기 다리부 하단이 지지되는 조절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3,
The legs,
It further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grou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A flat support plate supported on the ground;
a threaded portion installed vertically in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n adjustment handle that is screwed to the threaded part and moves up and down,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leg pa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절핸들의 위치를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설정 간격마다 다른 색상의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4,
In the thread of the threaded portion,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paint of different colors is applied at set interval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hand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받침판이 지면과 맏닿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4,
The height adjustment part,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further comprising height adjustment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handle while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고정수단은,
상기 조절핸들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힌지;
상기 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는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된 체결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6,
The height and correction means are,
Hing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handle;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fastening rotation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and an end having teeth formed to engage with the threads of the threaded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회동부재는, 하단부분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고정수단은,
상기 체결회동부재가 회동되지 않고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 위치의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7,
The fastening rota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whos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The height and correction means are,
A heavy object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screw member screw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a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rotation member is fixed in a state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thread portion without being rotated. bench.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부재는,
상기 나사산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 상부에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어 끼움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너트부의 나사산이 형성된 홀 직경보다 크게 홀이 형성된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8,
The fixing screw member is,
A nut portion having threads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to the threads of the threaded portion; and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receiving hole in which a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in which the thread of the nut part is formed so as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and inserting the extension part in the upper part of the nut par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홀의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9,
The receiving hole is,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hole gradually becomes small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 하부와 상기 다리부 일측에는,
건축자재 물품의 하중에 버틸 수 있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4,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leg portion,
A heavy work bench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reinforcement means are further installed to increase the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of building material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은,
일측의 상기 하부프레임 및 타측의 상기 하부프레임과, 일측의 상기 다리부 및 타측의 상기 다리부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 2곳에 1개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1,
The reinforcement means are,
Clamp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the leg portion on one side, and one side of the leg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A heavy load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one of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two of the clamps.
제 1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1보강바 양단을 연결하도록 연결보강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2,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further provid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바는,
상기 제1보강바 2곳에 끼움되기 위해 양단이 상기 제1보강바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 및
상기 고리와 고리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3,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bar is,
A ring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so that both ends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ement bar to be inserted into the two first reinforcement bars; and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rod-shape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ings to each oth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전, 후 측에 각각, 상기 다리부 일측에 수평되게 제2보강바가 용접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2,
In the leg portion,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reinforcing bar is welded and fixed horizontally to one side of the leg portion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모서리 4곳에는,
상기 바닥판재상에 적재된 중량물 및 작업자가 상기 바닥판재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4,
At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further comprising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heavy objects and workers loaded on the floor plate from falling outside the floor plat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 가이드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모서리 4곳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관 형태의 안전바 거치대;
상기 안전바 거치대에 삽입되고 수직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 또는 봉 형태의 안전바; 및
복수 개의 상기 안전바에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는 안전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6,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A tubular safety bar holder installed vertically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A safety ba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ubes or rods inserted into the safety bar holder and installed vertically; and
A heavy load workbench for a work lift, comprising: a plurality of safety line members installed horizontally across the safety bars.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에는,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안전선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걸쳐지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선걸이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ccording to clause 17,
In the safety bar,
A heavy workbench for a work lift, characterized in that line hange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safety line members to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KR1020220094543A 2022-07-29 2022-07-29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KR20240016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43A KR20240016586A (en) 2022-07-29 2022-07-29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43A KR20240016586A (en) 2022-07-29 2022-07-29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86A true KR20240016586A (en) 2024-02-06

Family

ID=8985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543A KR20240016586A (en) 2022-07-29 2022-07-29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58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589A (en) 2017-11-07 2019-05-15 이장섭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589A (en) 2017-11-07 2019-05-15 이장섭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288B2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US8820807B2 (en) Container carrying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EP2246288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goods, and use thereof
CA29103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KR20240016586A (en) 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US3302751A (en) Scaffolding construction
EP1801318A1 (en) Vehicle for transporting materials along exteriors of buildings
JP3977400B2 (en)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20150127896A (en) A safty container gondola of docking jig moving type for distribution
JP3379813B2 (en) Hanging scaffold
KR20190037847A (en) Yuropom lifting device
KR200223149Y1 (en) A supporting bed of step
US20020042981A1 (en) System for lifting and assembling re-bar cages
CN214432952U (en) Portable lifting appliance placing frame with adjustable lifting hook
CN218862071U (en) Elevator shaft construction equipment and system
AU2007100972A4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lifting devices
AU2001100055A4 (en) Transport lifting device
US20060156687A1 (en) Portable lift assembly
GB2439952A (en) Transporter for roof tiles
KR0122100Y1 (en) Device for piling construction material
JP2022034847A (en) Set of boxes forming scaffolding
WO2004040082A1 (en) Drywall panel carrier
JPH0577452U (en) Supporting structure for unloader
JPH0658007B2 (en) Portable walkway for construction
JPH0693715A (en) Portable passageway or construction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