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581A -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 Google Patents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581A
KR20240016581A KR1020220094534A KR20220094534A KR20240016581A KR 20240016581 A KR20240016581 A KR 20240016581A KR 1020220094534 A KR1020220094534 A KR 1020220094534A KR 20220094534 A KR20220094534 A KR 20220094534A KR 20240016581 A KR20240016581 A KR 2024001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frame
plants
alignmen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옥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랑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랑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랑비
Priority to KR102022009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581A/ko
Publication of KR2024001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5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3Transplanting devices for grasping, undercutting or transporting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화분 등 식재공간 내에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식재하는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식재를 요하는 식목 등의 식재식물들을 정렬하는 정렬 지지부가 형성된 정렬틀과; 상기 식재식물들이 정렬된 정렬 프레임의 정렬 지지부에 적층되어 상기 정렬 지지부에 적층된 식재식물들을 압박 지지부을 통해 일괄되게 압박하여서, 상기 정렬틀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을 일괄하여 고정하는 압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식재를 요하는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배열하여 식재공간 내에 상기 식재식물들을 일괄 직립되게 배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Auxiliary tool for planting plant and method for planting pla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화분이나 도로가, 공원 등지에 형성된 식재공간에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일괄되게 정렬 식재하는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도시개발에 따라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도시개발에 따른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라 하는데, 산업폐수, 축산폐수등 산업화 폐수와는 다른 오염물질로 한강권의 경우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약 30% 정도(환경부 추산) 된다고 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하수관로 등을 통해 처리될 경우 기존시설이 필요 이상으로 거대해지며, 불특정 오염물질이 유입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도 발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환경부에서는 2004년도부터 2020년까지 3단계로 비점오염원을 처리하는 대책을 다단계로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여러 업체에서 비점오염저감기술을 가지고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산업폐수 등 점오염원 처리기법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오염원과 함께 발생하는 우수도 하수관 또는 우수관을 통해서 배출시키며 수자원보호는 도외시 되왔던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도시개발로 인하여 도로포장율(서울시 평균포장율 876%, 2008년)이 높기 때문에 비가 오면 토양으로 우수가 침투하기가 어렵고, 침투가 되어도 그 양도 작은 반면 지표면으로 물이 고여 구두가 젖거나 때로는 옷을 걷고 가야 하는 도시 침수현상이 발생하며, 이 때문에 도시 수해민은 물론 경제적·사회적 손실이 계산할 수 없을 정도로 피해가 많이 나타나는 현상은 해를 거듭할수록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에는 오염원 유출 부하량을 최소화시키며 동시에 강우 시 첨두유출 및 총유출량 등의 조절을 유도하며, 이러한 시설을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이전의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구조에 가깝도록 비점오염원을 처리하는 방식, 즉 지표면 유출의 최소화,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호소, 하천, 해역 등 방류수역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오염영향을 최소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설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설규모와 자연 경관 보존을 하고 그 기능을 재현하며 불침투면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공원이나, 인도 등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식물화분 등의 식물 재배틀을 배치하여서, 오염수에 잔류된 비점 오염원을 포집하고, 수려한 도시경관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 재배틀 등지에 형성된 식재공간에는 다양한 경관 식물들이 식재된다.
그리고, 종래 식재공간 내에 경관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은, 상기 식재공간 내에 식재를 요하는 낱개의 식재식물을 직립한 다음, 상기 식재식물의 뿌리부에 흙을 덮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한 작업자가 식재공간에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을 개별적으로 직립하고 이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상기 식재식물의 뿌리부에 흙은 덮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서, 식재공간 내에 각 식재식물들이 순차적으로 식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재공간 내에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식재함에 따른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고, 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식재된 식재식물들의 식재간격이나 식재높이가 균등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기도 한다.
KR 10-2004-0003911 KR 20-047687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재를 요하는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식목공간 내에 일괄되게 직립 정렬하여서, 식재공간 내에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식재함에 따른 작업상의 편리와 신속성을 확보하는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보조구는,
식재를 요하는 식목 등의 식재식물들을 정렬하는 정렬 지지부가 형성된 정렬틀과;
상기 식재식물들이 정렬된 정렬 프레임의 정렬 지지부에 적층되어 상기 정렬 지지부에 적층된 식재식물들을 압박 지지부을 통해 일괄되게 압박하여서, 상기 정렬틀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을 일괄하여 고정하는 압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식재를 요하는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배열하여 식재공간 내에 상기 식재식물들을 일괄 직립되게 배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호 마주하는 정렬틀의 정렬 지지부와 압박틀의 압박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식재식물들은 탄력적으로 압박하여 탄성 압박시트가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안착하여 정렬하는 정렬틀와, 상기 정렬틀에 적층하여 정렬틀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을 일괄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박틀 사이에는, 이를 사이를 적층되게 고정하는 클램프부가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정렬틀의 하부와 압박틀의 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결속하는 하부 클램프 유닛과,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에 의해 하부가 고정된 정렬틀의 상부와 압박틀의 상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결속하는 상부 클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재식물의 식재방법은,
정렬틀의 정렬 지지부에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들을 정렬하는 식재식물 정렬단계;
상기 식재식물들이 정렬된 정렬틀의 상부에 압박틀을 안착하는 틀 적층단계;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과 상부 클램프 유닛을 통해 정렬틀과 압박틀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고정하여, 상기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식재식물들이 압박하여 고정하는 틀 결속단계;
상기 식재식물들을 정렬 배열된 정렬틀과 압박틀을 포함하는 식재 보조구를 식재공간 내에 직립되게 세워서,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이 식재공간 내에 직립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거상 직립단계; 및
상기 식재 보조구에 의해 식재식물들의 뿌리가 형성된 식재공간의 바닥에 흙을 복토하여서, 식재식물들의 뿌리가 복토되는 흙에 묻혀 식립되도록 하는 식립 복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재를 요하는 복수의 식목 등의 식재식물들을 설정된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배열한 다음 상기 식재식물들을 식재공간 내에 일괄되게 직립하여서,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식재공간 내에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일괄되게 식재하는 식재 보조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식재 보조구를 통해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일괄 배열하여서 식재하면, 종래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들을 개별적으로 식목공간 내에 식재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보조구는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요하는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정렬하여 식재공간에 일괄되게 직립하여 배치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종래 어느 한 작업자가 식목공간에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을 개별적으로 직립하고 이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상기 식재식물의 뿌리부에 흙은 덮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 즉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고 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식재된 식재식물들의 식재간격이나 식재높이가 균일하게 못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를 이용하여 식재식물을 식재한 식재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를 식재식물의 식재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에 구비된 클램프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를 이용하여 식재식물을 식재한 식재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를 식재식물의 식재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에 구비된 클램프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1)는, 복수의 식목 등의 식재식물들을 설정된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배열하고, 상기 식재식물(T)들을 도로가나, 공원, 그리고 식재화분 등지의 식재공간(110)에 일괄되게 직립하여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식재식물(T)들을 식재공간(110) 내에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일괄되게 식재하는 식재 보조기구이다.
상기 식재 보조구(1)는, 기본적으로 식재를 요하는 복수의 식목 등의 식재식물(T)들을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수평 배열하고, 상기 수평 배열된 식재식물들의 줄기를 양면 압박을 통해 일괄하여 고정한 다음 이들을 식재공간(110) 내에 일괄되게 직립하여서,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T)들을 개별적으로 식목공간(110) 내에 식재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재 보조구(1)는, 도 2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재를 요하는 식목 등의 식재식물(T)들을 정렬하는 정렬 지지부(11)가 형성된 정렬틀(10)과; 상기 식재식물(T)들이 정렬된 정렬 프레임(10)의 정렬 지지부(11)에 적층되어, 상기 정렬 지지부(11)에 적층된 식재식물(T)들을 압박 지지부(21)을 통해 일괄되게 압박하여서, 상기 정렬틀(10)에 정렬된 식재식물(T)들을 일괄하여 고정하는 압박틀(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틀(10)과 압박틀(20)은 금속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좌우로 길이가 긴 장방향의 프레임 바디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우수한 강도를 겸비하면서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프레임 바디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틀(10, 20)들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디에는 거상 손잡이(12, 22)가 각각 형성되어 작업자는 거상 손잡이(12, 22)를 통해 정렬틀(10)과 압박틀 (20)을 포함하는 식재 보조구(1)를 간편하게 거상하여 이동하거나 직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렬틀(10)과 지지틀(20)에는 노면과의 지지높이를 설정하는 높이 조절구(13, 23)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구(13)는 승강슬롯(13a, 23a)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고정볼트(13b, 23b)를 통해 요하는 높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호 마주하는 정렬틀(10)의 정렬 지지부(11)와, 압박틀(20)의 압박 지지부(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는 탄성 압박시트(14, 24)를 배치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상기 정렬틀(10)와 압박틀(20) 사이에 정렬하여 압박하여 고정되는 식재식물(T)들이 과도하게 압박되어 물리적으로 손상되거나, 직경이 다른 식재식물(T)들을 이들 사이에 배치하더라도 탄성 압박시트(14, 24)의 탄성 신축작용에 의해 이들 식재식물(T)들은 탄력적으로 압박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압박시트(14, 24)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신축성 재질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서, 상호 마주하는 정렬틀(10)의 정렬 지지부(11)와 압박틀(20)의 압박 지지부(21) 사이에 배열된 식재식물(T)들을 탄력적으로 일괄 압박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식재식물(T)들을 안착하여 정렬하는 정렬틀(10)과, 상기 정렬틀(10)에 적층하여 정렬틀(10)에 정렬된 식재식물(T)들을 일괄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박틀(20) 사이에는, 이를 사이를 적층되게 고정하는 클램프부(30)를 대응되게 형성한다.
본 실시예서 제안하고 있는 클램프부(30)는, 상기 정렬틀(10)의 하부와 압박틀(20)의 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결속하는 하부 클램프 유닛(40)과,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40)에 의해 하부가 고정된 정렬틀(10)의 상부와 압박틀(20)의 상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결속하는 상부 클램프 유닛(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정렬한 정렬틀(10)과 압박틀(20)은 하부 클램프 유닛(40)과 상부 클램프 유닛(50)을 통해 하부와 상부가 각각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이들 사이에 정렬 배치된 식재식물(T)들을 정렬틀(10)과 압박틀(20) 압박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서, 식재공간(110) 내에 식재식물(T)들을 기립하여 식재하는 과정에 정렬된 식재식물(T)들이 넘어지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40)은 상호 끼움하여 견착되는 걸쇄형으로 구성되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정렬틀(10)의 하부와 압박틀(20)의 하부 사이는 걸쇄형 하부 클램프 유닛(40)에 의해 걸림하여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걸쇄형 하부 클램프 유닛(40)은 걸쇄부재(41)와 상기 걸쇄부재(41)에 견착하여 걸림하는 걸림쇄 부재(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쇄부재(41)를 압박 고정을 요하는 식재식물들의 직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내외측으로 진입하는 탄성 진퇴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식재식물들의 공용된 압박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렬틀(10)의 하부와, 압박틀(20)의 하부 중 어느 하나의 틀에 진퇴슬롯(43)을 형성하고, 상기 진퇴슬롯(43)에 걸쇄부재(41)를 진퇴구조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걸쇄부재(41)는 견인 스프링(44)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탄성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쇄부재(41)에는 체결량의 조절에 의해 견인 스프링(44)의 탄성 견인력을 조절하는 견인력 조절너트(45)가 배치하여서, 상기 걸쇄부재(41)의 탄성 견인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견인력 조절너트(45)의 체결량에 따라 견인 스프링의 압축량은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걸쇄부재는 견인 스프링의 압축량에 따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탄성 견인된다.
그리하여, 상기 정렬틀(10)과 압박틀(20) 사이에 배치된 식재식물(T)들의 두께에 따라 걸쇄부재(41)는 내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진퇴하면서 걸림쇄 부재(42)를 정형화되게 견착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40)은 체결 등 별도의 조작과정 없이 걸쇄부재(41)에 걸림쇄 부재(42)를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이들 사이의 정형화된 결속을 도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부 클램프 유닛(30)은 도 9와 같이 마주하는 틀(10, 20) 중 어느 하나의 틀(10)의 상부에 견착핀(55)을 형성하고, 나머지 틀(20)에는 복수의 견착홈(56a)들이 형성된 견착레버(56)를 상하 선회구조로 배치하여서, 상기 견착레버(56)는 마주하는 틀에 배치된 견착핀(55)을 견착홈(56a)들 중 어느 하나의 견착홈에 견착하여 설정된 간극으로 틀(10, 20)들이 상호 결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하부 클램프 유닛(4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주하는 틀(10)의 하부를 하향 진입하여 견착하는 하부 견착레버(4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프 유닛(50)은 마주하는 틀(10)의 상부를 상향 진입하여 견착하는 상부 견착레버(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견착레버(46)를 정렬틀(10)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부 견착레버(54)를 압박틀(20)에 배치하여, 상기 하부 견착레버(46)와 상부 견착레버(54)는 상호 대각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하부 견착레버(46)는 마주하는 틀(20)을 하향 진입하여 견착 고정하는 하향 진입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견착레버(54)는 마주하는 틀(10)을 상향 진입하여 견착 고정하는 상향 진입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 견착레버(46, 54)에는 간극 조절볼트(46a, 54a)가 배치되어 간극 조절볼트(46a, 54a)의 체결량에 따라 장착된 틀(10, 20)의 내외측으로 진퇴하여, 마주하는 틀(10, 20) 사이의 고정 간격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정렬틀(10)과 압박틀(20)을 상하 교차되게 진입하면, 하부 견착레버(46)와 상부 견착레버(54)에 의한 틀(10, 20) 사이의 정형화된 결합상태가 구현되고, 또 상부 견착레버(54)가 배치된 틀(20)을 상향 취출하면 이들 틀(10, 20) 사이의 간편한 해체가 이룩된다.
따라서, 상기 정렬 지지부(11)에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들을 배열한 정렬틀(10)은, 클랩프부(30)를 구성하는 하부 클램프 유닛(40)과 상부 클램프 유닛(50)에 의해 상부에 적층되는 압박틀(20)에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정형화된 결속이 이루어져, 상호 마주하는 정렬 지지부(11)와 압박 지지부(12) 사이에 정렬된 식재식물(100)들을 일괄하여 압박 고정한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보조구(1)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식재식물 정렬단계]
본 단계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렬틀(10)의 정렬 지지부(11)에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들을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정렬한다. 이러한 과정에, 작업자는 눈금부(15)를 통해 정렬 지지부(11)에 정렬되는 식재식물(100)의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틀 적층단계]
본 단계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식재식물(T)들이 정렬된 정렬틀(10)의 상부에 압박틀(20)을 안착하여 적층한다.
이때, 상기 식재식물들의 줄기 저면은 정렬틀(10)의 정렬 지지부(11)에 지지되고, 줄기 상부면은 압박틀(20)의 압박 지지부(21)에 지지된 상태를 형성한다.
[틀 결속단계]
본 단계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40)과 상부 클램프 유닛(50)을 통해 정렬틀(10)과 압박틀(20)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고정하여, 상기 정렬틀(10)과 압박틀(20) 사이에 식재식물(T)들이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거상 직립단계]
본 단계에서는 도 5와 같이 작업자가 거상 손잡이(12)를 통해 식재식물(T)들을 정렬 배열된 정렬틀(10)과 압박틀(20)을 포함하는 식재 보조구(1)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이를 식재공간(110) 내에 직립되게 세워 정렬된 식재식물(T)들의 뿌리가 식재공간(110)의 바닥에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높이 조절구(13, 23)를 통해 식재식물을 고정한 정렬틀(10)과 압박틀(20)의 높이를 설정하여 식재식물의 식립높이를 설정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텐딩암(60)을 통해 식재 보조구(1)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지속적인 개입없이도 식재식물들을 압박 고정한 식재 보조구(1)는 식재공간(110)에서 직립되도록 한다.
[식립 복토단계]
본 단계에서는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식재 보조구(1)에 의해 식재식물(T)들의 뿌리가 형성된 식재공간의 바닥에 흙을 복토하여서, 식재식물들의 뿌리가 복토되는 흙에 묻혀 식립되도록 한다
[탈거단계]
이러한 식립 복토단계에 의해 식재식물들의 일괄된 식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하부 클램프 유닛(40)과 상부 클램프 유닛(50)을 순차 해체하여 식재된 식재식물(T)에서 정렬틀(10)과 압박틀(20)을 탈거하여 제거하는 순으로, 식재 보조구(1)를 통한 식재식물의 식재에 따른 일련의 과정이 완료된다.
1. 식재 보조구
10. 정렬틀 11. 정렬 지지부
12. 거상 손잡이 13. 높이 조절구
13a. 승강슬롯 13b. 고정볼트
14. 탄성 압박시트
20. 압박틀 21. 압박 지지부
22. 거상 손잡이 23. 높이 조절구
23a. 승강슬롯 23b. 고정볼트
24. 탄성 압박시트
30. 클램프부
40. 하부 클램프 유닛 41. 걸쇄부재
42. 걸림쇄 부재 43. 진퇴슬롯
44. 견인 스프링 45. 견인력 조절너트
46. 하부 견착레버 46a. 간극 조절볼트
50. 상부 클램프 유닛 51. 압입 클립
52. 압입헤드 53. 조절볼트
54. 상부 견착레버 54a. 간극 조절볼트
55. 견착핀 56. 다단 견착레버
56a. 견착홈 60. 스텐딩암
100. 식재틀 110. 식재공간
T. 식재식물

Claims (4)

  1. 식재를 요하는 식목 등의 식재식물들을 정렬하는 정렬 지지부가 형성된 정렬틀과;
    상기 식재식물들이 정렬된 정렬 프레임의 정렬 지지부에 적층되어 상기 정렬 지지부에 적층된 식재식물들을 압박 지지부을 통해 일괄되게 압박하여서, 상기 정렬틀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을 일괄하여 고정하는 압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식재를 요하는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요하는 식재간격과 식재높이로 배열하여 식재공간 내에 상기 식재식물들을 일괄 직립되게 배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마주하는 정렬틀의 정렬 지지부와 압박틀의 압박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식재식물들은 탄력적으로 압박하여 탄성 압박시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재식물들을 안착하여 정렬하는 정렬틀과, 상기 정렬틀에 적층하여 정렬틀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을 일괄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박틀 사이에는, 이를 사이를 적층되게 고정하는 클램프부가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정렬틀의 하부와 압박틀의 하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결속하는 하부 클램프 유닛과,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에 의해 하부가 고정된 정렬틀의 상부와 압박틀의 상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결속하는 상부 클램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보조구.
  4. 정렬 지지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정렬틀을 노면에 안착하는 식재식물 정렬단계;
    상기 정렬틀의 정렬 지지부에 식재를 요하는 식재식물들을 정렬하는 식재식물 정렬단계;
    상기 식재식물들이 정렬된 정렬틀의 상부에 압박틀을 안착하는 틀 적층단계;
    상기 하부 클램프 유닛과 상부 클램프 유닛을 통해 정렬틀과 압박틀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고정하여, 상기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식재식물들이 압박하여 고정하는 틀 결속단계;
    상기 식재식물들을 정렬 배열된 정렬틀과 압박틀을 포함하는 식재 보조구를 식재공간 내에 직립되게 세워서, 정렬틀과 압박틀 사이에 정렬된 식재식물들이 식재공간 내에 직립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거상 직립단계; 및
    상기 식재 보조구에 의해 식재식물들의 뿌리가 형성된 식재공간의 바닥에 흙을 복토하여서, 식재식물들의 뿌리가 복토되는 흙에 묻혀 식립되도록 하는 식립 복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KR1020220094534A 2022-07-29 2022-07-29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KR20240016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34A KR20240016581A (ko) 2022-07-29 2022-07-29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534A KR20240016581A (ko) 2022-07-29 2022-07-29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81A true KR20240016581A (ko) 2024-02-06

Family

ID=8985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534A KR20240016581A (ko) 2022-07-29 2022-07-29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58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911A (ko) 2002-07-04 2004-01-13 김유제 수목보호대를 이용한 식재 방법 및 그 수목보호대
KR200476871Y1 (ko) 2012-12-26 2015-04-10 주식회사 저탄소문명원시촌 식재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911A (ko) 2002-07-04 2004-01-13 김유제 수목보호대를 이용한 식재 방법 및 그 수목보호대
KR200476871Y1 (ko) 2012-12-26 2015-04-10 주식회사 저탄소문명원시촌 식재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20873C2 (de) Vorrichtung für die Anpflanzung von Bäumen u.dgl., insbesondere in Verkehrsbereichen
CN102220783B (zh) 城市合流污水溢流和雨水径流污染控制的装置、方法和用途
KR102028065B1 (ko)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
KR20200009934A (ko) 태양광 패널 고정시스템
CN106958264A (zh) 一种高速公路绿化带及其施工方法
KR20240016581A (ko) 식재 보조구, 및 이를 이용한 식재식물의 식재방법
CN205027744U (zh) 一种边坡植被水文效应模型
CN205742231U (zh) 一种用于护坡绿化的生态混凝土
CN211498733U (zh) 加强型土工防渗结构
EP2826925A2 (de) Gebäudekomplex
JP3622179B2 (ja) 樹木の埋設式兼有の鳥居形擬木支柱
CN106894583A (zh) 一种用于古建筑廊桥的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354201A (zh) 一种用于城市河道污水处理的生态浮板及其施工方法
DE4041241A1 (de) Anlage zur biologischen behandlung von abwasser in einem pflanzenbecken
CN204982937U (zh) 一种多功能重力式挡墙
CN210439228U (zh) 一种组合式生态护坡砌块
CN105862967A (zh) 适用于城市绿地的雨水蓄水回渗模块和系统
DE8805949U1 (de) Bausatz zur Herstellung einer Wurzelschutzbrücke für Bäume
CN109006028A (zh) 一种模块式结构的海绵城市绿化景观道路
JP2926492B1 (ja) 植栽樹木の根鉢固定方法及び装置
KR102646864B1 (ko) 개량된 저수구조를 갖는 식물 재배화분 시공체의 시공방법
CN205567228U (zh) 生态树池
CN216130061U (zh) 一种水利工程用生态护坡结构
CN211498882U (zh) 一种安全型生态公路防护坡
CN211973367U (zh) 混凝土格梗叠梁装配结构水利河道生态护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