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478A -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478A
KR20240016478A KR1020220094322A KR20220094322A KR20240016478A KR 20240016478 A KR20240016478 A KR 20240016478A KR 1020220094322 A KR1020220094322 A KR 1020220094322A KR 20220094322 A KR20220094322 A KR 20220094322A KR 20240016478 A KR20240016478 A KR 2024001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pine
connecting rod
hinge
fix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욱
박혜지
김은아
김진원
전화성
Original Assignee
(주)메디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쎄이 filed Critical (주)메디쎄이
Priority to KR102022009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478A/ko
Publication of KR2024001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8Devices comprising separate rigid parts, assembled in situ, to bear on each side of spinous process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5Devices with changeable shape, e.g. collapsible or having retractable arms to aid implantation;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2017/681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 중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어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Clamp)와, 척추의 올바른 배열을 맞춰주고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로드(Rod)와 결합되는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클램프와 커넥터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힌지(Hinge)와, 상기 클램프와 상기 힌지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춘 제1 연결봉과, 상기 힌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연결봉을 포함함으로써, 척추경 나사못(Pedicle screw) 수술 시 척추 극돌기를 단단히 고정하여 수술 중 척추의 정렬이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으며, 나사못 삽입 시 또는 인대 제거, 주변 골화조직 제거 시 불필요한 척추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Interspinous Process Fixation Device}
본 발명은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경 나사못(Pedicle screw) 수술 시 척추 극돌기를 단단히 고정하여 수술 중 척추의 정렬이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으며, 나사못 삽입 시 또는 인대 제거, 주변 골화조직 제거 시 불필요한 척추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척추측만증(Scoliosis),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척추분리증(Spondylolysis) 등과 같은 각종 척추 질환이 유발된다.
이를 그대로 방치해 둘 경우, 척추 뼈들의 변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결국에는 척추의 심한 기형이 유발되며, 그에 따른 내장의 변경 등의 합병증까지 발생할 수 있다.
변병이 일어난 척추를 원형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인접하는 2개 이상의 척추뼈에 나사못을 삽입하여 부동화하는 정형 외과적 방법인 척추 고정술을 실시하게 되는데, 척추 고정술은 척추 디스크의 파괴 부분 혹은 기형적인 부위(척추측만증, 척추분리증 등)을 절개하거나, 잘못된 척추의 배열을 올바른 정렬(Alignment)로 맞춘 상태에서 척추뼈를 중심으로 양측에 드릴링(Drilling) 작업을 한 후, 스크류(Screw)를 박아 넣은 후 로드(Rod)를 이용해 스크류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척추 고정술은 시술 자체가 매우 복잡하고 위험하며,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드릴링 및 로드와 스크류 간 연결시 조임력에 의해 비틀림 현상이나 압박이 생기기도 한다. 이때 수술 시 골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척추신경을 손상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시 척추의 배열을 올바른 정렬(Alignment)로 맞춘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후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39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척추 수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방지하고자 척추의 극돌기간을 고정하여 최소한의 비틀림이나 압박, 척추 손상이 없도록 하며, 척추의 올바른 정렬을 제공하여 시간 단축 및 수술 후 추가적인 병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신체, 변병마다 척추의 각도 및 틀어짐이 다른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척추의 정상적인 정렬(Normal alignment of the spine)을 맞추기 위해 다양한 각도 및 위치조절이 자유로우면서도 신체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술 중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어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Clamp)와, 척추의 올바른 배열을 맞춰주고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로드(Rod)와 결합되는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클램프와 커넥터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힌지(Hinge)와, 상기 클램프와 상기 힌지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춘 제1 연결봉과, 상기 힌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연결봉을 포함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클램프는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도록 극돌기의 일면에 밀착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연결봉이 결합되는 결합구와 클램핑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 집게판과, 상기 척추 극돌기의 타면에 밀착되어 결착력을 가하며, 일단이 상기 고정 집게판의 내측 지지홈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 집게판과, 상기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회전 집게판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홀에서 풀리거나 조여지면 상기 회전 집게판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클램핑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집게판과 회전 집게판의 내측면에는 척추 극돌기에 최대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로드 설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로드 결합구와, 상기 로드 결합구에 고정되는 로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로드 고정구와, 상기 로드 결합구에 로드를 걸어준 후 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는 하단부에 직선형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옆면을 상기 로드 결합구 내측벽으로 밀착가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Hinge)는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구를 고정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형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결합되는 2개의 고정 플레이트와, 2개의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이거나 풀면 그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연결봉 및 제2 연결봉의 원형구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원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봉과 제1 연결봉은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단부에 원형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척추체의 높낮이 차이가 발생하면 필요한 길이의 연결봉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경추 또는 요추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 극돌기를 단단히 고정하여, 수술 중 척추의 정렬이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으며, 나사못 삽입 시 또는 인대제거, 주변 골화 조직 제거 시 불필요한 척추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척추경 나사못(Pedicle screw) 수술 시 최소의 조직손상 및 수술시간의 단축, 척추의 올바른 정렬(Alignment) 등을 제공하여 최대한의 안정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드가 체결되는 로드결합구에 일측 방향이 개방되어 로드 체결 시 편의를 도모하고, 수술 환경이나 다양한 상황에서도 로드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언락(unlock)(a), 락(lock)(b)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고정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커넥터에 로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언락(unlock)(a), 락(lock)(b)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롱 타입(long type) 제1 연결봉과 숏 타입(short type) 제1 연결봉의 교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는 수술 중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어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Clamp)(100)와, 척추의 올바른 배열을 맞춰주고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로드(Rod)와 결합되는 커넥터(Connector)(200)와, 상기 클램프(100)와 커넥터(200)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힌지(Hinge)(300)와, 상기 클램프(100)와 상기 힌지(300)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춘 제1 연결봉(400)과, 상기 힌지(300)와 상기 커넥터(200)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연결봉(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100)는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도록 대략 집게의 형태를 갖는데, 척추 극돌기의 일면에 밀착되는 고정 집게판(110)과, 상기 척추 극돌기의 타면에 밀착되어 결착력을 가하는 회전 집게판(120)과, 상기 회전 집게판(120)을 회동시키기 위한 클램핑 볼트(1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집게판(110)은 척추 극돌기의 일면에 밀착되는 몸체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대략 'ㄱ'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1 연결봉(400)이 결합되는 결합구(114)와, 클램핑 볼트(130)가 체결되는 체결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봉(400)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구(114)에 체결되는 수나사(420)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봉(400)과 결합구(114)는 나사체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 집게판(120)은 척추 극돌기의 타면에 밀착되어 결착력을 가하며, 일단이 상기 고정 집게판(110)의 내측 지지홈(112)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볼트(130)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 집게판(120)은 척추 극돌기의 타면에 밀착되는 몸체의 상부에 상기 고정 집게판(1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대략 'ㄱ'자형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고정 집게판(110)의 내측 지지홈(112)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단부는 라운딩되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체결홀(116)에는 클램핑 볼트(130)가 체결되는데, 상기 클램핑 볼트(130)는 하단부가 상기 회전 집게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클램핑 볼트(130)가 상기 체결홀(116)에 체결된 상태에서 풀리거나 조여지면 상기 회전 집게판(120)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언락(unlock)(a), 락(lock)(b)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클램핑 볼트(130)는 상기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회전 집게판(1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램핑 볼트(130)를 풀거나 조이면 상기 회전 집게판(120)을 밀거나 당길 수 있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집게판(120)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척추 극돌기에 상기 클램프(100)의 고정 집게판(110)과 회전 집게판(120)을 끼우고 상기 클램핑 볼트(130)를 조이면 상기 회전 집게판(120)이 밀어지어 척추 극돌기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고정 집게판(110)과 회전 집게판(120)의 내측면에는 척추 극돌기에 최대한 밀착되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파이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고정 집게판(110)과 회전 집게판(120)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스파이크(14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집게판(110)과 회전 집게판(120)이 척추 극돌기를 물면 그 고정력이 매우 강하고 수술 중 장시간 안정적으로 극돌기를 잡아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고정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커넥터에 로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커넥터(200)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로드(10) 설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10)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로드 결합구(220)와, 상기 로드 결합구(220)에 고정되는 로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240)가 결합되는 로드 고정구(230)와, 상기 로드 결합구(220)에 로드를 걸어준 후 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240)는 하단부에 직선형 테이퍼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옆면을 상기 로드 결합구(220) 내측벽으로 밀착가압시킬 수 있다.
이는 로드(10)가 체결되는 로드 결합구(220)에 일측 방향이 오픈되게 형성되어 로드(10) 체결 시 편의를 도모하고, 수술 환경이나 다양한 상황에서도 로드(1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240)의 일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42)에 의해 상기 로드(10)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고정볼트(240)의 나사결합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로드(10)를 상기 로드 결합구(220) 내측벽으로 밀착 가압시키게 되어, 로드(10)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힌지(Hinge)(300)는 상기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구(410)(510)를 고정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형구(410)(5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결합되는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와,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이거나 풀면 그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볼트(330)와 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10)(32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연결봉(400) 및 제2 연결봉(500)의 원형구(410)(51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원형홀(312)(314)(322)(324)이 형성된다.
즉, 한 개의 고정 플레이트(310)의 상부와 하부에도 원형홀(312)(314)이 형성되고, 나머지 고정 플레이트(320)의 상부와 하부에도 원형홀(322)(324)이 형성되어,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 각각의 원형구(410)(510)를 상기 원형홀(312)(314)(322)(324)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언락(unlock)(a), 락(lock)(b)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봉(400)의 원형구(410)를 하부에 배치하고, 상부에는 제2 연결봉(500)의 원형구(510)를 배치한 후, 상기 볼트(330)와 너트(340)를 조이면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의 원형홀(312)(314)(322)(324)에 상기 원형구(410)(5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봉의 이탈은 상기 볼트(330)와 너트(340)를 풀어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원형구(410)(510)를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의 단부에 각각 원형구(410)(510)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구(410)(510)를 2개의 고정 플레이트(310)(320) 사이에서 상기 원형홀(312)(314)(322)(324)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힌지(Hinge)(300)에 고정되는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의 각도롤 조절함으로써, 상기 클램프(100)와 커넥터(200)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 변병마다 척추의 각도 및 틀어짐이 다른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척추의 정상적인 정렬(Normal alignment of the spine)을 맞추기 위해 다양한 각도 및 위치조절이 자유로우면서도 신체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롱 타입(long type) 제1 연결봉과 숏 타입(short type) 제1 연결봉의 교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300)와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 시 연결봉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통상,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이나 척추전만증(HyperLordosis)과 같은 변병의 경우, 추체(Vertebral body)의 높낮이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의 제1 연결봉을 필요한 길이로 선택하여 척추간 높이를 맞춰 로드에 결합할 수 있도록 롱 타입과 숏 타입의 형태로 구성하며, 본 발명의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은 힌지(300)와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요 시 쉽게 연결봉의 교체가 가능하여 수술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연결봉(400)과 제2 연결봉(500)이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300)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경추 또는 요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의 (a)(b)는 요추용 롱 타입과 숏 타입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의 (c)(d)는 경추용 롱 타입과 숏 타입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척추 극돌기를 클램프(100)로 단단히 고정하고, 인접한 각각의 극돌기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커넥터(200)에 로드(10)를 결합하여, 수술 중 척추의 정렬이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으며, 나사못 삽입 시 또는 인대제거, 주변 골화 조직 제거 시 불필요한 척추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클램프 110: 고정 집게판
120: 회전 집게판 130: 클램핑 볼트
200: 커넥터 210: 본체
220: 로드 결합구 230: 로드 고정구
240: 고정볼트 300: 힌지
310, 320: 고정 플레이트 330: 볼트
340: 너트 312, 314, 322, 324: 원형홀
400: 제1 연결봉 410: 원형구
500: 제2 연결봉 510: 원형구

Claims (10)

  1. 수술 중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어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Clamp);
    척추의 올바른 배열을 맞춰주고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로드(Rod)와 결합되는 커넥터(Connector);
    상기 클램프와 커넥터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힌지(Hinge);
    상기 클램프와 상기 힌지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춘 제1 연결봉; 및
    상기 힌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연결봉;
    을 포함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척추 극돌기를 잡아주도록 극돌기의 일면에 밀착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연결봉이 결합되는 결합구와 클램핑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 집게판;
    상기 척추 극돌기의 타면에 밀착되어 결착력을 가하며, 일단이 상기 고정 집게판의 내측 지지홈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 집게판;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회전 집게판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홀에서 풀리거나 조여지면 상기 회전 집게판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는 클램핑 볼트;
    를 포함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집게판과 회전 집게판의 내측면에는 척추 극돌기에 최대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로드 설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로드 결합구;
    상기 로드 결합구에 고정되는 로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로드 고정구; 및
    상기 로드 결합구에 로드를 걸어준 후 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하단부에 직선형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옆면을 상기 로드 결합구 내측벽으로 밀착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Hinge)는,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구를 고정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형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결합되는 2개의 고정 플레이트;
    2개의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이거나 풀면 그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볼트와 너트;
    를 포함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연결봉 및 제2 연결봉의 원형구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원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봉과 제1 연결봉은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단부에 원형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척추체의 높낮이 차이가 발생하면 필요한 길이의 연결봉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경추 또는 요추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KR1020220094322A 2022-07-29 2022-07-29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KR20240016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322A KR20240016478A (ko) 2022-07-29 2022-07-29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322A KR20240016478A (ko) 2022-07-29 2022-07-29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478A true KR20240016478A (ko) 2024-02-06

Family

ID=8985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322A KR20240016478A (ko) 2022-07-29 2022-07-29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4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61B1 (ko) 2014-11-12 2016-08-01 (주)메디쎄이 척추경 나사못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61B1 (ko) 2014-11-12 2016-08-01 (주)메디쎄이 척추경 나사못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206B2 (en) Pedicle screw having a removable rod coupling
US7344537B1 (en) Bone fixation rod system
US10105166B2 (en) Spinal rod link reducer
US7658754B2 (en)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using a rod-plate anterior system
US5951553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usionless treatment of spinal deformities
EP1729664B1 (en) Head-to-head connector spinal fixation system
US9486247B2 (en) Rod attachment for head to head cross connector
US662348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usionless treatment of spinal deformities
US5470333A (en) System for stabilizing the cervical and the lumbar region of the spine
KR960004979B1 (ko) 척추골 유지 장치
JP5078900B2 (ja) 骨部分を安定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US8915945B2 (en) Adjustable multi-axial spinal coupling assemblies
US5531747A (en) System for stabilizing the spine and reducing spondylolisthesis
US64581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pinal deformity
US8894690B2 (en) Offset connection bone anchor assembly
JP4146500B2 (ja) 脊椎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5928232A (en) Spinal fixation system
WO1998008454A9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nal fixation and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WO19980084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nal fixation and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JP2010506672A (ja) 整形外科用インプラント組立体
US8672983B2 (en) Orthopedic plate system
KR20240016478A (ko) 척추 극돌기간 고정장치
KR200443999Y1 (ko) 다축성 척추경고정장치
US20190388124A1 (en) Uniplanar screw
MXPA97003631A (en) Hooks of subjection of lamina seg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