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115A -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115A
KR20240016115A KR1020220094215A KR20220094215A KR20240016115A KR 20240016115 A KR20240016115 A KR 20240016115A KR 1020220094215 A KR1020220094215 A KR 1020220094215A KR 20220094215 A KR20220094215 A KR 20220094215A KR 20240016115 A KR20240016115 A KR 2024001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case
tank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도윤
김석욱
이선정
이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115A/ko
Priority to PCT/KR2023/010499 priority patent/WO2024025250A1/ko
Publication of KR2024001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26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물탱크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발포 성형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커버,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이음새 없이 일체형의 물탱크 단열부를 형성하도록 발포 성형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단열부, 및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주위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CHILLER, WATER PURIFIER HAVING THE CHI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원수 또는 상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불순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필터링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상온의 정수,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 및/또는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 상태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수기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장치 및/또는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예를 들면, 물탱크에 수용된 물(예: 정수)을, 물탱크에 배치된 증발기에 의해 직접 냉각하는 탱크 냉각 방식을 이용하여 냉수를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다른 예를 들면, 물탱크(예: 빙축조)에 수용된 물(예: 빙축액)을, 물탱크에 배치된 증발기에 의해 냉각하고, 그 냉각된 물(예: 빙축액)을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별도의 냉수관을 유동하는 정수를 냉각하는 빙축 냉각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정수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또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통상, 증발기와 냉각수를 수용하는 하부의 물탱크 케이스와, 물탱크 케이스로/로부터의 물 유입/유출 통로를 제공하고 물탱크 케이스 내의 온도 균일화에 이용되는 교반기 등이 배치되는 상부의 물탱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의 냉각 장치는, 통상, 냉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탱크 케이스와 물탱크 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냉각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단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냉각장치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물탱크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발포 성형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커버,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이음새 없이 일체형의 물탱크 단열부를 형성하도록 발포 성형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단열부, 및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주위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물이 내부에 유동하는 냉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물탱크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장치의 외부와 연통하는 상기 냉수관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냉수관의 상기 일부분 주위에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된 냉수관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된 중공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통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수관이 상기 한 쌍의 연통관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수관 실링 부재는, 각각의 연통관과 해당 연통관을 관통하는 냉수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교반 모터 주위에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된 모터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리세스된 모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실링 부재는, 상기 모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장치는, 상기 물탱크 커버 단열부 또는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장치 표면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커버 단열부 또는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는, 상기 히터가 안착되도록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리세스된 히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의 상측에, 상기 온도 센서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판 및 스크류 체결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위한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은,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에 냉수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조를 배치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커버를 상기 물탱크 커버를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하는 동작, 및 상기 물탱크 케이스 및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물탱크 커버를 둘러싸도록 단열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상기 냉수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조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된 물이 내부에 유동하는 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냉수관의 일부가 상기 물탱크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냉수관의 상기 일부 주위에 냉수관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된 중공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통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관의 일부가 상기 물탱크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은, 상기 냉수관이 상기 한 쌍의 연통관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관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것은, 각각의 연통관과 해당 연통관을 관통하는 냉수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냉수관 실링 부재를 각각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 모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교반 모터의 주위에 모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면에서 하측으로 리세스된 모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실링 부재는, 상기 모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은 온도 센서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온도 센서의 상측에, 상기 온도 센서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판 및 스크류 체결 구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 및 상기 물탱크 커버를 둘러싸도록 단열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는 동작은, 상기 일체형의 물탱크 커버 단열부의 외주면에 열선 배치를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물탱크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발포 성형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커버,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이음새 없이 일체형의 물탱크 단열부를 형성하도록 발포 성형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단열부, 및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주위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 단열부가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일체로 발포 성형됨에 따라 냉각장치의 하부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상부 물탱크 커버 단열부 사이에 이음매나 틈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외부로의 냉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장치의 냉각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냉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물탱크 커버 단열부 간 이음매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별도의 실링 부재, 예컨대 OPP Tape 등이 요구되지 않아서, 단열부 성형에 필요한 제조 비용이 줄고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물탱크 커버 단열부가 발포 성형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물탱크 커버 단열부가 발포 성형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개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조립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i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정수기(1)는, 케이스(10), 필터부(20), 냉각장치(30), 가열장치(40), 밸브 어셈블리(50), 냉각 사이클 장치(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는, 정수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는, 프론트 패널(11), 사이드 패널(12), 어퍼 패널(13), 리어 패널(14), 및 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패널(11)은, 정수기(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패널(12)은, 정수기(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패널(13)은, 정수기(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패널(14)은, 정수기(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패널(14)은, 원수 유입구(141), 냉수/정수 배출구(142), 온수 배출구(143), 배수 유입구(144) 또는 배수 배출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 유입구(141), 냉수/정수 배출구(142), 온수 배출구(143), 배수 유입구(144) 또는 배수 배출구(145) 각각은, 밸브 어셈블리(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온 상태의 원수(예: 물)는, 원수 유입구(141)를 통해 정수기(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수도(미도시)와 같은 수원으로부터의 원수가 원수 유입구(141)를 통해 정수기(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정수 배출구(142)를 통해, 정수기(1)에서 필터링된 정수 또는 냉수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수/정수 배출구(142)를 통해 정수기(1)로부터 외부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정수는 수전(faucet)(미도시)과 같은 물공급 장치로 공급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정수기(1)로부터의 냉수 및 정수가 냉수/정수 배출구(142)를 통해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리어 패널(14)에, 냉수와 정수 각각을 위한 냉수 배출구와 정수 배출구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배출구(143)를 통해, 정수기(1)에서 필터링되고 가열된 온수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수 배출구(143)를 통해 정수기(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수전(faucet)(미도시)과 같은 물공급 장치로 공급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 유입구(144)를 통해, 수전(faucet)(미도시)와 같은 물공급 장치에서 버려진 물(예: 잔수)은, 정수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 배출구(145)를 통해, 물공급 장치에서 버려진 물이 정수기(1) 내부 밸브 어셈블리(50)와, 필터부(20), 냉각장치(30) 또는 가열장치(40) 각각을 연결하는 배관(미도시) 내부에 잔존하는 물(예: 잔수)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패널(14)은, 배기홀(14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홀(146)은, 정수기(1)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홀(146)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그릴로 마련될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는(15)은, 정수기(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5)는, 정수기(1)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일부(예: 냉각장치(30) 또는 냉각 사이클 장치(6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20)는, 밸브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20)는, 원수 유입구(14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밸브 어셈블리(50)를 통해 공급받고, 공급받은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중금속과 같은 불순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20)는, 냉각장치(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20)는,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상온 상태의 물(이하, 정수)을 밸브 어셈블리(50)를 통해 후술하는 냉각장치(30), 가열장치(40) 또는 냉수/정수 배출구(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필터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filter)(예: 멤브레인 필터 및 후처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20)는,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는,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는, 각각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원으로부터 원수 유입구(141) 및 밸브 어셈블리(50)를 통해 제1 필터(20a)에 공급된 원수는 1차적으로 제1 필터(20a)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이 후, 제1 필터에서(20a)에서 필터링된 물은, 제2 필터(20b)로 재차 공급되어 제2 필터(20b)에서 2차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로 각각 원수가 공급되며, 제1 필터(20a)와 제2 필터(20b)에서 원수가 각각 필터링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장치(30)는, 밸브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장치(30)는, 밸브 어셈블리(50)를 통해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상온 상태의 물(예: 정수)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장치(30)는, 공급받은 상온 상태의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장치(30)는, 냉각장치(30)에서 냉각된 물(냉수)을 밸브 어셈블리(50) 및 냉수/정수 배출구(14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냉각장치(3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이하의 도면들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장치(40)는, 밸브 어셈블리(50)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장치(40)는, 밸브 어셈블리(50)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장치(40)는, 밸브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장치(40)는,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후 밸브 어셈블리(50)를 통해 가열장치(40)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를 밸브 어셈블리(50) 및 온수 배출구(14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 패널(14)의 원수 유입구(141), 냉수/정수 배출구(142), 및 온수 배출구(143), 필터부(20), 냉각장치(30), 및 가열장치(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50)는, 원수 유입구(141), 냉수/정수 배출구(142), 온수 배출구(143), 필터부(20), 냉각장치(30), 또는 가열장치(40) 사이에서 물(예: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을 전달 또는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관, 밸브, 펌프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어셈블리(50)는 원수 유입구(141)로부터의 원수를 필터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어셈블리(50)는,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상온 상태의 물(예: 정수)을 냉각장치(30), 가열장치(40), 또는 냉수/정수 배출구(142)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사이클 장치(60)는, 냉각장치(30)를 통과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고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필터부(20)로부터 냉각장치(30)로 공급되는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사이클 장치(60)는, 케이스(10) 내의 베이스(15)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사이클 장치(60)는, 압축기(61), 응축기(62), 팽창기(63) 및 증발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사이클 장치(60)는, 냉매가 압축기(61), 응축기(62), 팽창기(63) 및 증발기(예: 도 5의 증발기(64))를 순환하는 냉각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61)는, 냉매를 고온 고압 기체 상태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61)는, 냉매를 압축하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62)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62)는,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62)는, 압축기(61)에서 압축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의 열을 공기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62)는, 응축된 냉매를 팽창기(63)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기(63)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기(63)는, 응축기(62)와 증발기(6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기(63)는, 응축기(62)로부터 토출된, 응축된 냉매의 압력 또는 온도를 강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기(63)는, 팽창된 냉매를 증발기(64)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기(63)는, 모세관(capillary tube)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기(63)는, 팽창밸브(expansion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는,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의 적어도 일부는 냉각장치(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에서는, 팽창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후술하는 냉각장치(30)에 수용된 빙축액과의 열교환을 통해, 필터부(20)로부터 냉각장치(30)로 공급된 정수가 냉각될 수 있다. 증발기(64)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는 도 5의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사이클 장치(60)는, 팬(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65)는, 응축기(6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65)은 회전하며 응축기(62)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65)은 회전하며 정수기(1)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65)은, 냉각 사이클 장치(60)와 같은 정수기(1)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정수기(1)에 포함된 구성들(예: 밸브 어셈블리(50), 압축기(61), 팬(65))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전기적 소자들이 배치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정수기(1)에 포함된 구성들(예: 밸브 어셈블리(50), 압축기(61), 팬(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물이 냉각장치(30), 가열장치(50), 또는 냉수/정수 배출구(142)로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 어셈블리(50)를 제어하여 물의 유동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냉각장치(30) 또는 가열장치(40)로부터의 냉수 또는 온수가, 냉수/정수 배출구(142) 또는 온수 배출구(143)로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 어셈블리(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는, 케이스(1) 내측의 어퍼 패널(13) 배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절개한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냉각장치(30)는, 단열 커버(31), 물탱크(32), 히터(예: 도 10i의 히터(33)), 전술한 냉각 사이클 장치(60)의 증발기(64), 냉수관(34), 모터부(35), 단열 부재(36), 파이프 브라켓(37), 및 아이스 가이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는, 물탱크(32)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물탱크 케이스(321)와, 물탱크(32)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물탱크 커버(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22)는, 물탱크 케이스(321)의 상측에서 물탱크 케이스(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상면에는, 개구부(예: 도 10a의 개구부(3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22)는, 물탱크 케이스(321)의 개구부(3211)을 커버하도록, 물탱크 케이스(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와 물탱크 커버(322)가 결합하여 물탱크(32)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내부에 빙축액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내부에, 필터부(20)로부터 공급된 물(예: 정수)이 유동하는 냉수관(34)과, 냉수관(34)을 통해 유동하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냉각 사이클 장치(60)의 일부를 이루는 증발기(6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관(34)은, 필터부(20)로부터 유입되는 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관(34)에 유입된 정수는, 냉수관(34) 내를 유동하는 동안 물탱크(32)에 저장된 빙축액과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관(34)은, 빙축액과의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물탱크 케이스(321) 내의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64)의 적어도 일부가,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는, 빙축액과의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는, 증발기(64)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의 증발 현상에 의해 물탱크(32)에 저장된 빙축액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는, 물탱크 케이스(321) 내에서 냉수관(34)보다 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64)가 이루는 나선 형상의 직경은, 냉수관(34)이 이루는 나선 형상의 직경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파이프 브라켓(37)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개구부(3211) 근처 내측면에는 파이프 브라켓(37)이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예: 도 10a의 가이드 홈(3214))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브라켓(37)은, 가이드 홈(예: 도 10a의 가이드 홈(3214))을 통해 물탱크 케이스(32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3214)은, 물탱크 케이스(321)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321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예: 상측)이 개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브라켓(37)은,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안착되도록 냉수관(34)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브라켓(37)의 바닥면에는, 증발기(64)가 파이프 브라켓(37)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37a)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리브(37a)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리브(37a)는, 물탱크 케이스(321)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90도 간격(예: 12시, 3시, 6시, 9시)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브라켓(37)은, 냉수관(34)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브라켓(37)은, 냉수관(34)의 일단부(예: 도 10b의 일단부(34a)) 또는 타단부(예: 도 10b의 타단부(34b))가 삽입되는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된 파이프 결합부(37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측면들 중 어느 한 면에는, 증발기(64)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여 물탱크(32) 내외부 사이에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홀(예: 도 10a의 연통홀(3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통홀(3212)에는, 해당 연통홀(32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증발기(64)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단열 부재(36)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바닥면에는, 냉수관(34)이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 리브(3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 리브(3213)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트 리브(3213)는, 물탱크 케이스(321)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90도 간격(예: 12시, 3시, 6시, 9시)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 리브(3213)는, 물탱크 케이스(32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22)에는,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모터부(35) 및 아이스 가이드(38)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21)의 상면에는, 모터부(35)의 모터(35a)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홈(3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홈(3221)은, 물탱크 커버(321)의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일부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부(35)는, 모터 홈(3221)에 배치된 모터(35a)와 모터(35a)를 둘러싼 모터 실링 부재(82), 그리고 모터(35a)에 축 결합된 교반기(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5a)는, 물탱크 커버(322)의 모터 홈(3221)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실링 부재(82)는, 모터 홈(3221) 내에 장착된 모터(35a) 주위로 물탱크 케이스(311)를 향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터(35a)의 주변을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기(35b)는, 물탱크 커버(322)의 배면 측에서 모터(35a)와 축 결합되어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 예컨대 물탱크 케이스(32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빙축액 내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5a)는, 교반기(35b)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기(3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35a)에 축 결합되어, 모터(35a)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부(35)는, 물탱크 케이스(32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빙축액과 냉수관(34) 내부를 유동하는 정수(또는 냉수) 또는 증발기(64)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부(35)는, 모터(35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기(35b)가 물탱크 케이스(321) 내의 빙축액을 휘저어 섞어 빙축액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함으로써 빙축액과 냉수관(34) 내의 정수 간의 열교환, 또는 빙축액과 증발기(64)의 냉매 간의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 가이드(38)가, 물탱크 커버(322)의 배면 측에 결합되어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 가이드(38)는 교반기(35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 가이드(38)는, 물탱크 케이스(321) 내에서 증발기(64)의 표면으로부터 탈락된 얼음(예: 성에)이 교반기(35b)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기(35b)와 얼음의 충돌을 방지하여 교반기(35b)의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커버(31)가, 냉각장치(30)를 외부로부터 단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커버(31)는, 물탱크(32)의 외주면, 즉 물탱크 케이스(321)와 그에 결합된 물탱크 커버(3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커버(31)는, 물탱크(32)의 외측에서 발포액을 발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커버(31)는, PU(폴리우레탄, polyuretha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 커버(31)는, 발포 PU 폼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커버(31)는, 물탱크 케이스(3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단열을 제공하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커버(31)는, 물탱크 커버(322)의 외주면을 감싸고 단열을 제공하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와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는,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는, 물탱크(32)의 물탱크 케이스(321)의 외측에서 발포액을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 보다 먼저 발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는, 예컨대 먼저 발포 성형된 상태의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의 적어도 일부(예: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의 상부)와 물탱크 커버(322)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는,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와, 물탱크 커버(32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발포액을 발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물탱크 케이스(321)에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를 선 발포하여 형성한 뒤,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물탱크 케이스(321)와 그 위에 결합된 물탱크 커버(322)를 일체로서 다시 후 발포하여, 물탱크 커버(322)에 관한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를 포함한, 전체로서 하나의 단열 커버(31)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와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를 일체로서 발포하여 하나의 단열 커버(31)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경우, 물탱크 케이스를 위한 단열부와 물탱크 커버를 위한 단열부 각각을 형성한 후 이들을 조립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양자간 틈새(또는, 이음매 또는 갭(gap))가 존재하지 않아, 냉각장치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 케이스를 위한 단열부와 물탱크 커버를 위한 단열부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음매 또는 틈새를 막기 위한 별도의 실링 부재(sealing material)가 필요 없어 조립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커버(31)에는, 냉각장치(30)의 내외부간 온도 차이로 인하여 냉각장치(30)의 표면에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33)가 안착되는 히터 가이드(311a, 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 가이드(311a, 312b)는, 하부 히터 가이드(311a) 또는 상부 히터 가이드(3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히터 가이드(311a)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히터 가이드(312a)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 가이드(311a, 312a)를 형성하기 위해,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 및/또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를 발포 형성하는 단계에서, 히터 가이드(311a, 312a)가 형성될 부분에 발포액이 도피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탱크 커버 단열부가 발포 성형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냉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개한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물탱크 케이스(321)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2)가 발포 성형되고 물탱크 케이스(321) 위에 물탱크 커버(322)가 조립 배치된 상태로서, 아직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가 형성되기 이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물탱크 커버(322)에는, 연통관(3222, 3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통관(3222, 3223)은, 제1 연통관(3222) 및 제2 연통관(3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 및 제2 연통관(3223) 각각은, 물탱크 커버(32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예: z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 및 제2 연통관(3223)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 내에 수용된 냉수관(34)의 일단부(34a)(또는, 물 유입부)는, 제1 연통관(3222)을 통해 물탱크(32)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은, 제1 연통관(3222)의 일부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예: -z 방향)으로 리세스된 제1 관통부(3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을 통해 물탱크 커버(322)를 관통해서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냉수관(34)은, 제1 관통부(3222a)를 통해, 방향을 바꾸어 수평 방향(예: -x 방향)으로 계속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은, 제1 연통관(3222)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돌기(3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 내측에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의 외주면에는, 제1 연통관(3222)의 내주면의 제1 결합돌기(3222a)와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홈(811a)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는, 제1 연통관(3222)을 관통하는 냉수관(34)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는, 전체적으로 원환(예: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는, 내주면이 냉수관(34))에 맞닿으며, 외주면이 제1 연통관(3222)에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 내에 수용된 냉수관(34)의 타단부(34b)(또는, 냉수 배출부)는, 제2 연통관(3223)을 통해 물탱크(32)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통관(3223)은, 제2 연통관(3223)의 일부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예: -z 방향)으로 리세스된 제2 관통부(32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통관(3223)을 통해 물탱크 커버(322)를 관통해서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냉수관(34)은, 제2 관통부(3223a)를 통해, 방향을 바꾸어 수평 방향(예: -x 방향)으로 계속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통관(3223)은, 전술한 제1 연통관(3222a)와 마찬가지로,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 제2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통관(3222)을 둘러싸고 끼움 결합된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와 마찬가지로, 제2 연통관(3223)을 둘러싸고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의 외주면에는, 제2 연통관(3223)의 내주면의 제2 결합돌기(미도시)와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는, 제2 연통관(3223)을 관통하는 냉수관(34)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는, 전체적으로 원환(예: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는, 내주면이 냉수관(34))에 맞닿으며, 외주면이 제2 연통관(3223)에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 및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는, 각각 제1 연통관(3222) 및 제2 연통관(3223)을 통하여 연장되는 냉수관(34) 주위를 밀폐하여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로 개방된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이프 실링부재(81a,) 및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b)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를 위한 발포 성형 공정 시, 제1 및 제2 연통관(3222, 3223) 내부로 흘러 넘친 발포액이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12)의 상면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35 a)가 장착될 수 있고, 모터(35a)를 둘러싸고 모터 실링 부재(8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실링 부재(82)는, 물탱크 커버(322)의 모터 홈(예: 도 5의 모터 홈(3221))에 장착될 수 있고, 모터(35a)를 둘러싼 주변 틈새를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실링 부재(82)는, 모터(35a)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실링 부재(82)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 실링 부재(82)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를 위한 발포 성형 공정에서, 발포액이 모터(35a) 주변의 틈새나 모터(35a)의 축을 따라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22)에는, 온도 센서(9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91)는, 체결판(91a) 및 온도 감지부(9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판(91a)과 온도 감지부(91b)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91)의 온도 감지부(91b)는 물탱크 커버(322)로부터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를 향하여 연장되어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수용된 물(예: 빙축액)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91)는, 서미스터(thermal sensitive resistor) 타입의 온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91)의 체결판(91a)은 물탱크 커버(322)의 상면에 대해 스크류(S) 체결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온도 센서(91) 주위로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321)를 향해 연통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커버(322)에는, 수위 센서(9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센서(92)는, 물탱크 케이스(321) 내에 수용된 물(또는 빙축액)의 만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 센서(92)는, 정전 용량 레벨 타입의 수위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i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조립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3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단계(S10)에서, 물탱크 케이스(321)의 외측에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가 발포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탱크 케이스(321)가 발포 지그에 안착되고 물탱크 케이스(321)의 외측에 대해 발포액이 발포됨에 따라 물탱크 케이스(321)를 둘러싸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도 10a 참고). 단계(S10)에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의 성형을 위해 이용되는 발포 지그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 상에 전술한 히터 가이드(311a)가 마련되도록 발포액이 도피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0)에서,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파이프 브라켓(37)과 냉수관(34)이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파이프 브라켓(37)에 냉수관(34)이 먼저 조립된 뒤, 조립된 상태의 파이프 브라켓(37)과 냉수관(34)이 함께 물탱크 케이스(321)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서포트 리브(3213)와 가이드 홈(3214)을 통해 물탱크 케이스(321)에 조립될 수 있으며(도 10b 참고),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0)에서, 물탱크 커버(322) 상에서 각 부품이 배치되었거나 배치될 위치에 각각 실링부재(81, 82)가 배치될 수 있다(S30). 예를 들면, 냉수관(34)의 각 단부가 관통 배치된 물탱크 커버(322)의 제1 및 제2 연통관(3222, 3223) 각각에 대해 제1 및 제2 파이프 실링부재(81a, 81b)가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35a)가 장착될 물탱크 커버(322)의 모터 홈(3221) 내의 위치에 모터 실링부재(82)가 배치될 수 있다(도 10c 참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0)에서, 물탱크 커버(322)에 각 부품, 예컨대 모터(35a), 온도 센서(91) 및 수위 센서(92)가 정해진 위치가 각각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35a)는 물탱크 커버(322)에 장착된 모터 실링부재(8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도 10d 참고). 예를 들면, 온도 센서(91) 및/또는 수위 센서(92)는, 물탱크 커버(322) 상의 정해진 각 위치에 배치되고, 체결부재(예: 스크류(S))를 통해 물탱크 커버(322)에 결합될 수 있다(도 10d 참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50)에서, 물탱크 커버(322)에 교반기(35b) 및 아이스 가이드(38)가 각각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반기(35b)는, 물탱크 커버(322)의 배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물탱크 커버(322)의 상면에 장착된 모터(35a)와의 축 결합을 통해 물탱크 커버(322)에 조립될 수 있다(도 10e 참고). 예를 들면, 아이스 가이드(38)는, 교반기(35b)를 감싸도록 물탱크 커버(322)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도 10e 참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0)에서,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증발기(64)가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발기(64)는, 파이프 브라켓(37)의 가이드 리브(37a)에 의해 물탱크 케이스(321)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도 10f 참고). 예를 들면, 물탱크 케이스(321)의 연통홀(3212)에, 물탱크(32) 외부로 연장되는 증발기(64)의 일부분과 증발기(64)를 감싸는 단열부재(36)가 결합될 수 있다(도 10f 참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70)에서, 물탱크 케이스(321) 상에 물탱크 커버(322)가 배치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탱크 커버(322)는, 물탱크 케이스(321)의 개구부(3211)를 차폐하도록 물탱크 케이스(321)에 결합될 수 있다(도 10g 참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80)에서, 물탱크 커버(322)의 외측에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가 발포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와 함께, 상방에 배치된 물탱크 커버(322)가 발포 지그에 안착된 후, 발포액이 발포되어 물탱크 커버(322)를 감싸는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도 10h 참고).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방의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311)와, 상부의 물탱크 커버 단열부(312)가 일체형의 단열 커버(31)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발포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90)에서, 단열 커버(31)에 히터(3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33)는, 단열 커버(31)를 둘러싸도록, 단열 커버(31)에 마련된 히터 가이드부(311a, 31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히터(33)를 단열 커버(3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예: 알루미늄 테이프(B))가 히터 가이드부(311a, 312a)를 둘러싸도록 단열 커버(31)에 부착할 수 있다(예: 도 10i).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33)는, 열선(heating cable)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및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냉각장치 조립 공정 흐름은 단지 일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장치의 각 구성을 조립하는 순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정수기를 위한 냉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물탱크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발포 성형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커버,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이음새 없이 일체형의 물탱크 단열부를 형성하도록 발포 성형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단열부, 및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주위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물이 내부에 유동하는 냉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물탱크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장치의 외부와 연통하는 상기 냉수관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냉수관의 상기 일부분 주위에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된 냉수관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된 중공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통관을 갖고,
    상기 냉수관이 상기 한 쌍의 연통관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냉수관 실링 부재는, 각각의 연통관과 해당 연통관을 관통하는 냉수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배치된,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교반 모터 주위에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치된 모터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리세스된 모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실링 부재는, 상기 모터 홈에 배치되는,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 단열부 또는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장치 표면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커버 단열부 또는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는,
    상기 히터가 안착되도록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리세스된 히터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상측에, 상기 온도 센서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판 및 스크류 체결 구조가 배치되는, 냉각장치.
  8. 정수기를 위한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에 있어서,
    냉각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에 냉수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조를 배치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
    상기 물탱크 커버를 상기 물탱크 커버를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하는 동작, 및
    상기 물탱크 케이스 및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물탱크 커버를 둘러싸도록 단열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상기 냉수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조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된 물이 내부에 유동하는 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냉수관의 일부가 상기 물탱크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냉수관의 상기 일부 주위에 냉수관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배치된 중공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수관의 일부가 상기 물탱크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은, 상기 냉수관이 상기 한 쌍의 연통관 각각을 관통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관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것은, 각각의 연통관과 해당 연통관을 관통하는 냉수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냉수관 실링 부재를 각각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 모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교반 모터의 주위에 모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는, 상면에서 하측으로 리세스된 모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실링 부재는, 상기 모터 홈에 배치되는, 일체형 물탱크 단열부 생성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을 배치하는 동작은 온도 센서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를 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온도 센서의 상측에, 상기 온도 센서를 실링하기 위한 체결판 및 스크류 체결 구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체형 물탱크 커버 단열부 생성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 및 상기 물탱크 커버를 둘러싸도록 단열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는 동작은, 상기 일체형의 물탱크 커버 단열부의 외주면에 열선 배치를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체형 물탱크 커버 단열부 생성 방법.
  15. 정수기에 있어서,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물탱크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발포 성형된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커버,
    상기 물탱크 케이스 단열부와 이음새 없이 일체형의 물탱크 단열부를 형성하도록 발포 성형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물탱크 커버 단열부, 및
    상기 물탱크 커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주위로, 상기 물탱크 케이스로 통하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20094215A 2022-07-28 2022-07-28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16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215A KR20240016115A (ko) 2022-07-28 2022-07-28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PCT/KR2023/010499 WO2024025250A1 (ko) 2022-07-28 2023-07-20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215A KR20240016115A (ko) 2022-07-28 2022-07-28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115A true KR20240016115A (ko) 2024-02-06

Family

ID=8970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215A KR20240016115A (ko) 2022-07-28 2022-07-28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6115A (ko)
WO (1) WO20240252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3871A (ja) * 2007-09-28 2009-04-23 Noritz Corp 飲料水サーバ
KR101991442B1 (ko) * 2016-04-11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71263B1 (ko) * 2016-11-10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JP6840009B2 (ja) * 2017-03-29 2021-03-10 株式会社コロナ 発泡断熱材および貯湯式給湯機
JP7094136B2 (ja) * 2018-04-18 2022-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250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3805B2 (ja) 冷却装置用のモジュール冷却システム
US10266381B2 (en) Water dispenser
CN107289731B (zh) 水分配器
WO2017057004A1 (ja) 水熱交換器収容ユニット
JP6623649B2 (ja) 水熱交換器収容ユニット
CN105465931A (zh) 空调扇
JP2008057794A (ja) タンクユニット
JP5642648B2 (ja) 製氷機
KR20240016115A (ko) 냉각장치, 냉각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제조방법
US7947934B2 (en) High frequency cookware
JPWO2020235043A1 (ja) ヒートポンプ装置
CN110418924A (zh) 空调机的室内单元
JP5359555B2 (ja) 保冷米びつ装置
KR101813648B1 (ko) 제빙기용 냉매 유도관을 갖는 단열 커버
JP5441517B2 (ja) 冷却貯蔵庫
JP2017067371A (ja) 水熱交換器収容ユニット
CN211632856U (zh) 一种风冷型开关隔热电热锅底座
JP5796707B2 (ja) ヒートポンプ式熱源機
US20200173690A1 (en) Outdoor unit of heat pump water heater
CN217876185U (zh) 空调室外机
KR102422009B1 (ko) 공기조화기
JP2005127660A (ja) 冷蔵庫
JP2001324174A (ja) 冷凍機ユニット
JP5772700B2 (ja) 冷凍装置
KR101980131B1 (ko) 정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