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101A -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101A
KR20240016101A KR1020220094180A KR20220094180A KR20240016101A KR 20240016101 A KR20240016101 A KR 20240016101A KR 1020220094180 A KR1020220094180 A KR 1020220094180A KR 20220094180 A KR20220094180 A KR 20220094180A KR 20240016101 A KR20240016101 A KR 2024001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ortion
packaging system
main body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
장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9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101A/ko
Publication of KR2024001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1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PACKAGING SYSTEM COMPRISING E-PAPE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송업이 발달하면서 바이오 의약품과 같은 정온물류가 필요한 온도민감성 제품에 대한 배송과정에 있어서의 포장기술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존의 바이오 의약품을 배송하기 위한 포장박스의 경우, 보냉효과는 물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바이오 의약품을 배송하기 위한 포장박스는 운송 중간에 포장이 망가지거나, 실내 공간의 보냉 및 보온의 효과가 떨어진 경우에도 이를 측정하거나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송 중 바이오 의약품이 파손되는 경우 그 책임소재를 놓고 소비자와 공급자간의 다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바이오 의약품을 배송하기 위한 포장박스는 운송과정에서 재사용으로 인한 송장 접착 부위의 파손과 송장으로 인한 개인정보 노출 같은 주요한 문제점과 함께 송장이 망가지거나 습기를 머금은 경우 송장에 있는 글씨가 번져서 확인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정온물류가 필요한 온도민감성 제품과 같이 배송과정에서 절대적인 구조 안정성이 필요하고, 내부 온도 유지가 필요한 포장패키징이 요구되었지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지 않아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7206호에서는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 박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7961호에서는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7206호 (2006.01.1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7961호 (2011.08.03)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제2 수납부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외부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 및 여러 개의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수직방향으로 쌓아올렸을 때, 위 쪽의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형성된 요철부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4개의 모서리 중 최소한 마주보는 2개 이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가 삽입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수납부는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서, 상기 측벽부의 4개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와 제3 측벽부, 상기 제3 측벽부와 제4 측벽부 및 상기 제4 측벽부와 제1 측벽부 사이에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4개의 연결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상기 4개의 연결면에 이어져 일정한 면적을 형성하는 4개의 연결연장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냉기를 공급하여 주는 냉매를 포함하는 보냉제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제는 수평면과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부에서 상부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제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한 상태에서 물품에 공급되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바닥부의 내부면,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부면,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부면, 상기 제3 측벽부의 내부면, 상기 제4 측벽부의 내부면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각각 보냉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최소한 6개의 보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과 본체부 내부의 보냉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정면, 측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본체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온도유지 성능을 테스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온도유지 성능을 테스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로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 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과 본체부 내부의 보냉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정면, 측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본체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로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측벽부를 구성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와 바닥부는 모두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되는 제1 수납부를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측벽에 배치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커버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과 다른 구성이다. 작업의 난이도가 더 올라감에도 불구하고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되는 제1 수납부를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측면에 배치한 이유는 물류작업의 특성상 빠른 처리가 필요한데, 이러한 빠른 처리를 위해서는 포장패키징이 상하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을 빠르게 태깅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커버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포장패키징이 상하로 적재되어 있으면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의 태깅을 위해서 포장패키징 하나하나를 따로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오래 걸리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을 포장패키징의 측면에 배치한 것은 단순한 위치 변경이 아니라, 기존에 생각하지 못하던 물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본체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수납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제2 수납부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부(31)는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 내지 제4 측벽부 모두에 형성되어 사각형 모양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는 커버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수납부와 결합하는데 이 때 제2 수납부는 돌출된 결합부가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제4 측벽부, 바닥부 및 커버부는 모두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보냉제와 각 구성요소의 재질을 고려하였을 때, 포장패키징의 외부는 482 * 487 * 487(mm)의 사이즈로 형성되고, 포장패키징의 내부공간은 235 * 235 * 235(mm)의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이는 마주보는 제1 측벽부(제2 측벽부)와 제3 측벽부(제4 측벽부)의 두께의 합(252mm)이 내부 공간 가로 방향의 크기(235mm)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마주보는 커버부와 바닥부의 두께의 합(247mm)이 내부 공간 세로 방향의 크기(235mm)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바닥부의 외부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 및 여러 개의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수직방향으로 쌓아올렸을 때, 위 쪽의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형성된 요철부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류 작업을 위해서는 포장패키징을 상하로 적재하여 쌓아 놓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 방향의 적재는 작은 힘으로도 균형을 무너뜨려 포장패키징이 넘어지거나 위쪽의 포장패키징이 미끄러져 넘어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쪽 포장패키징의 바닥부에 요철이 아래쪽 포장패키징의 요홈부에 결합하여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포장패키징은 서로 호환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요홈부와 요철부는 모든 포장패키징에 형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커버부의 4개의 모서리 중 최소한 마주보는 2개 이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파지부(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마주보는 2개 이상의 측벽부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측벽부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2 파지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패키징은 물류 보관상태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하 적재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이 때 적재된 상태에서 또는 바닥에 배치된 포장패키징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측면을 직접 잡아서 들어올리는 것보다 제2 파지부를 통하여 들어올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가 삽입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수납부는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로거가 삽입되는 제3 수납부는 선택에 의하여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첫 번째로는 제3 수납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의 내부면으로는 노출되지 않고, 외부면으로만 노출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제3 수납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의 외부면으로는 노출되지 않고, 내부면으로만 노출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제3 수납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의 외부면과 내부면 모두에 노출되지 않고, 상단만 오픈되어 데이터 로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데이터 로거는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3 수납부에 삽입되어 커버부를 덮으면 자연스럽게 포장패키징에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데이터 로거는, 포장패키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포장 패키징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포장 패키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커버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는 배송하는 과정에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포장패키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배송과정에서 온도의 변화로 인한 정온물류가 필요한 배송제품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 감지와 함께 추가적으로 포장패키징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거나, 포장패키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을 파악하여 커버부의 개폐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배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송제품의 손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로거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두 가지가 있으며, 각각 다음과 같다. 이하 데이터 로거의 가장 필수적인 기능인 온도 센서에 대해서 설명을 하지만, 습도센서와 충격 센서도 아래 실시 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의 첫 번째 실시 예는 온도센서가 데이터 로거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렇게 온도센서가 데이터 로거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송과정에서 포장패키징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로거를 제3 수납부가 아닌 포장패키징 내부에 보관을 하여야 한다. 그 후, 배송과정이 끝나고 포장패키징을 회수 할 때에는 데이터 로거를 제3 수납부에 삽입하여 회수하는 것이다.
데이터 로거의 두 번째 실시 예는 데이터 로거를 제3 수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배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조로서, 이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데이터 로거에 별도의 프로브를 연결하는 구조는 가진다. 즉, 데이터 로거는 제3 수납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데이터 로거에 연결된 프로브를 포장패키징 내부에 삽입하여 프로브를 통하여 포장패키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두 번째 실시 예는 제품의 배송과정과 회수과정에서 모두 제3 수납부에 데이터 로거를 삽입하여 데이터 로거를 중간에 이동 시키지 않음으로 분실의 염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하의 온도가 필요한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에는 데이터 로거 본체를 포장패키징 내부에 직접 노출시키는 것보다는 프로브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게 됨으로써 안전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백신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는데, 화이자 백신의 경우 -80°C 내지 -60°C의 보관온도를 요구하였었다. 이렇게 영하의 온도에 대한 보관상태를 요구하는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 두 번째 실시 예와 같이 데이터 로거를 외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프로브를 이용하여 포장패키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안전한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데이터 로거의 상단부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부가 오픈되어 형성되는 파지부, 동작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 버튼 및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최소한 2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는, 전용 게이트웨이를 구비하고, 데이터 로거를 구동시키고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데이터 로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의 동작 상태는 슬립(Sleep), 대기, 시작 및 배송으로 나눌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관리자용 단말기를 이용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 시작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배송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배송 정보 기록 후 배송 시작을 지시하면 배송 상태로서 환경 정보(온도, 습도, 조도 및 충격량)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 및 수신하고 온도나 충격에 대한 이상을 감지할 경우 경고 표시 및 경고음을 출력한다. 배송 완료 상태에서는 수집 데이터에 대한 클라우드 서버 전송 후 종료 지시로 슬립 모드로 변경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서, 데이터 로거의 다양한 기능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최소한 2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예로, 적색(RED)와 녹색(GREEN)의 두 가지 색상을 내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배터리(무선 전원)이 장착되면 녹색 다이오드가 약10초 동안 깜빡이며, 이후에는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녹색 다이오드는 꺼진다. 이후, 배송기사의 단말기와 연결되면 녹색 발광다이오드는 10초동안 켜져있으며, 이후에는 다시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녹색 다이오드는 꺼진다. 또한,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온도 및 습도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조도센서를 통하여 포장 패키징의 커버부가 오픈된 경우등에는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켜질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측벽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서, 상기 측벽부의 4개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와 제3 측벽부, 상기 제3 측벽부와 제4 측벽부 및 상기 제4 측벽부와 제1 측벽부 사이에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4개의 연결면(8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상기 4개의 연결면에 이어져 일정한 면적을 형성하는 4개의 연결연장면(85)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면과 연결연장면은 사각형 모양의 포장패키징 4개의 모서리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본체부 및 커버부는 모두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또는 발포폴리스티텐(EPS, expanded polystyre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폴리프로필렌은 자동차 부품이나 포장재, 건축재, 단열재 등에 쓰이는 첨단 소재로 유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해 제품 포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적합한 물질이다. 발포폴리스티렌은 폴리스티렌에 발포제를 가하여 압출 가공을 하여 저발포의 원반을 만들고, 이 원반을 다시 대기 중에서 양면에서 가열하여 발포도를 높여 사용한다. 발포 폴리스티렌은 단독발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열성이 높고 또한 밀도가 낮아 더욱 강인성이 있다. 이들의 특징을 살려서 발포 폴리스티렌은 단열용기(생선포장용 상자 등)나 깨지기 쉬운 기기 등의 완충재, 식품용 접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따라,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폼, 강화 유리,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PCB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폼, PCB기판,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폼,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사이에 배치되는 제4 폼 및 배터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이유는, 기존의 종이송장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종이송장의 경우 배송과정에서 파손되는 일이 많았고, 특히 습기에 취약하여 물이 묻은 상태에서는 송장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송장으로 사용하고 배송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제1폼 내지 제4폼은 부품간 이격이나 충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각 부품간에 4개의 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냉기를 공급하여 주는 냉매를 포함하는 보냉제를 포함한다. 또한, 보냉제(90)는 도 2와 같이, 수평면과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단부(91) 및 상기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부에서 상부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부(92)를 포함한다.
보냉제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한 상태에서 물품에 공급되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한 6개의 보냉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6개의 보냉제는 바닥부의 내부면, 제1 측벽부의 내부면, 제2 측벽부의 내부면, 제3 측벽부의 내부면, 제4 측벽부의 내부면 및 커버부의 내부면에 각각 보냉제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와 같이 이러한 6개의 보냉제가 인접하여 냉기가 빠져나가는 틈을 없애주어야 하기 때문에 각 보냉제의 상단부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보냉제 상단부의 경사각은 일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도, 45도, 60도, 90도와 같이 특수각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특수각이 아닌 다른 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사각을 45도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각 보냉제의 경사진 부분이 맞물리면서 빈 틈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온도유지 성능을 테스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온도유지 성능을 테스한 그래프이다.
도 5와 도 6은 모두 본 발명에 의한 동일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술하였던 보냉제 6개의 상단부를 이웃하게 하여 정6면체 모양으로 형성하여 냉기가 빠져나갈수 있는 틈을 없앴다. 보냉제에 사용된 냉매(상변화물질)는 영하 20°C에서 24시간이 지나면 동결되는 상태의 조건을 갖춘 물질을 사용하였고, 목표시간은 정온물류 배송에 최소한 필요시간인 48시간이었다.
도 5와 도 6에서 다른 조건은 외부 온도이며, 도 5에서는 외부온도를 영상 32°C의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하였고, 도 6에서는 외부 온도가 실제 배송때와 같이 탑차의 내부와 외부등 변화하는 온도값을 유지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5는 목표시간인 48시간을 넘겨서 약 56시간 동안 목표온도 이하의 값을 유지하였으며, 도 6은 목표시간인 48시간을 넘겨서 약 61시간 동안 목표온도 이하의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측벽부
11 : 제1 측벽부
12 : 제2 측벽부
13 : 제3 측벽부
14 : 제4 측벽부
15 : 제1 수납부
20 : 바닥부
21 : 요철부
30 : 본체부
31 : 결합부
40 : 커버부
42 : 요홈부
43 : 제1 파지부
50 : 제2 파지부
55 : 제3 수납부
60 :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70 : 데이터 로거
71 : 프로브
80 : 연결면
85 : 연결연장면
90 : 보냉제
91 : 하단부
92 : 상단부
100 : 포장패키징 시스템

Claims (7)

  1. 각각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를 포함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로 구성되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커버부;
    송장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및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제2 수납부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외부면에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 및
    여러 개의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수직방향으로 쌓아올렸을 때, 위 쪽의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형성된 요철부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4개의 모서리 중 최소한 마주보는 2개 이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가 삽입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수납부는
    상기 제1 측벽부, 제2 측벽부, 제3 측벽부 및 제4 측벽부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서,
    상기 측벽부의 4개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와 제3 측벽부, 상기 제3 측벽부와 제4 측벽부 및 상기 제4 측벽부와 제1 측벽부 사이에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4개의 연결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면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상기 4개의 연결면에 이어져 일정한 면적을 형성하는 4개의 연결연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냉기를 공급하여 주는 냉매를 포함하는 보냉제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제는
    수평면과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부에서 상부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제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한 상태에서 물품에 공급되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바닥부의 내부면,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부면,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부면, 상기 제3 측벽부의 내부면, 상기 제4 측벽부의 내부면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각각 보냉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최소한 6개의 보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1020220094180A 2022-07-28 2022-07-28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40016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180A KR20240016101A (ko) 2022-07-28 2022-07-28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180A KR20240016101A (ko) 2022-07-28 2022-07-28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101A true KR20240016101A (ko) 2024-02-06

Family

ID=8985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180A KR20240016101A (ko) 2022-07-28 2022-07-28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1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206Y1 (ko) 2005-11-14 2006-01-25 정채경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박스
KR20110087961A (ko) 2010-01-28 2011-08-03 박경원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206Y1 (ko) 2005-11-14 2006-01-25 정채경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박스
KR20110087961A (ko) 2010-01-28 2011-08-03 박경원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608B2 (en) Transport container
US9688455B2 (en) Modular insulated contai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5726149B2 (ja) 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072211A1 (en) Reusable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GB2563732A (en) An insulating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102338952B1 (ko) 콜드체인용 의약품 운송 용기
US20240142154A1 (en) Portable cooler
KR20240016101A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102648219B1 (ko)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30065084A (ko) 배송기사용 단말기를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20220048357A (ko)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는 신선제품 운송 시스템
KR102590499B1 (ko) 리터너블 패키징 및 패키징의 상태정보를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102556912B1 (ko) 데이터 로거 및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US20230252397A1 (en) Returnable packaging and fresh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packaging state information
KR20230075294A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패키징 시스템
KR102556915B1 (ko)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20230069536A (ko)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30065083A (ko) 관리자용 단말기를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20230065086A (ko) 회수기사용 단말기를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KR20230075292A (ko) 리터너블 접이식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20102604A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패키징 시스템
KR20230075279A (ko) 회수가능한 포장패키징을 활용한 제품 배송 및 포장패키징 회수를 위한 고객용 주문관리시스템
KR20230150686A (ko) 검수자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제품 배송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