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536A -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536A
KR20230069536A KR1020210155660A KR20210155660A KR20230069536A KR 20230069536 A KR20230069536 A KR 20230069536A KR 1020210155660 A KR1020210155660 A KR 1020210155660A KR 20210155660 A KR20210155660 A KR 20210155660A KR 20230069536 A KR20230069536 A KR 2023006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ckaging
body portion
sidewall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
장인용
박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5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536A/ko
Publication of KR2023006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시스템은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PACKAGING SYSTEM}
본 발명은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송업이 발달하면서 유통기한이 없는 기존의 화물에서 빠른 운송이 필요한 음식물도 운송이 가능해졌다. 음식물은 상온에 노출되면 빠르게 부패되기 때문에 저온에 보관하여 신선도를 유지시켜줘야 한다.
따라서, 음식물을 운송시에는 운송수단에 냉동 및 냉장 보관이 가능한 수단이 별도로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양의 식재료, 냉동식품 등을 운송할 경우가 아닌 소량의 음식물을 개별적으로 운송할 때에는 음식물이 담긴 상자 안에 드라이아이스나 아이스팩을 넣어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보온, 보냉이 요구되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의 내용물들을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포장용 박스는 대부분 종이, 골판지, 스티로폼 등 여러 가지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 박스를 스티로폼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방수 및 보온, 보냉효과는 물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지만, 성형 제작된 박스체가 내용물을 담기 위해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도록 압축 성형되는 것이므로, 보관과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종이와 골판지로 제작되는 포장용 박스는 제작이 용이하고 펼쳐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됨으로서, 물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 구성재료가 종이의 재질이기 때문에 방수성이 크게 떨어지며, 보온, 보냉 효과 역시 기대하는 만큼에 이르지 못하는 동시에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이 제대로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패키징 시스템은 운송 중간에 포장이 망가지거나, 실내 공간의 보냉 및 보온의 효과가 떨어진 경우에도 이를 측정하거나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송중 신선제품이 상하거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 그 책임소재를 놓고 소비자와 공급자간의 다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패키징 시스템은 모두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운송을 마치고 회수한 이후 보관을 하는 과정에서 몇 개만 쌓아놓아도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물류비용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과, 운송과정에서 송장이 망가지거나 습기를 머금은 경우 송장에 있는 글씨가 번져서 확인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정온물류가 필요한 온도민감성 제품과 같이 배송과정에서 절대적인 구조 안정성이 필요하고, 내부 온도 유지가 필요한 포장패키징이 요구되었지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지 않아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 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7206호에서는 운반이용이한스티로폼박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7961호에서는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7206호 (2006.01.1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7961호 (2011.08.03)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송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본체부와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부와 제3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부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제1 본체부와 분리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제1 본체부에 걸려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부가 제2 커버부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볼록요철부 및 상기 제1 블록요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커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오목홈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의 측벽부 안 쪽으로 형성되는 제2 볼록요철부 및 상기 제2 볼록요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오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체부 및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커버부의 네 모서리중 최소한 2개 이상의 모서리에서 모따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부는 제1 오목홈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볼록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패키징은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포장 패키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2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2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기존에는 의약품과 같이 배송과정에서 파손에 예민하여 절대적인 구조적 안정성이 필요한 구조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배송가능한 물품의 종류가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약품 배송과정에 있어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구조를 가지게 하기 위한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조와 물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제1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송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본체부와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상기 제2 커버부와 제3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냉제를 더 포함한다.
진공단열패널은 VIPs(Vacuum insulation Panels)로서, VIP는 흄드실리카(fumed silical) 등 심재(core)가 외피로 감싸진 형태를 가지는 단열재이며, 두께가 얇고 단열 성능이 일반 단열재보다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단열 패널은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복합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체에 심재로서 연속 기포 경질 플라스틱 발포제나 무기물 등을 수납하고 내부를 감압한 후에, 둘레를 이루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을 히트실링하여 제조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부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제1 본체부와 분리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제1 본체부에 걸려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커버부를 제1 본체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커버부에 형성된 손잡이부(210)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렇게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손잡이부와 연결된 걸림부(220)의 걸림이 풀리게 되는데, 이 걸림부는 제1 커버부가 제1 본체부와 결합한 다음 제1 커버부가 제1 본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어둔 장치이므로 이러한 걸림장치를 제거하여 제1 커버부와 제1 본체부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은 제2 본체부가 제2 커버부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볼록요철부 및 상기 제1 블록요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커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오목홈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의 측벽부 안 쪽으로 형성되는 제2 볼록요철부 및 상기 제2 볼록요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오목홈부를 더 포함한다.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본체부와 제2 커버부는 제1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게 되는데, 두 개의 본체부와 두 개 이상의 커버부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구조적인 이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은 배송과정에서 내용물의 파손을 불러올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제2 본체부의 상부 쪽에 제2 커버부의 제1 오목홈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볼록요철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한번 더 강화시키기 위해서 제2 커버부에는 제2 커버부에서 1 오목홈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3 볼록요철부를 형성한다. 제3 커버부는 제2 커버부와 제2 본체부의 사이공간을 줄여주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평면(플랫)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본체부와 두 개 이상의 커버부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구조적인 이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본체부의 측면에는 제1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2 볼록요철부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오목홈부가 형성된다.
이렇게, 제1 볼록요철부와 제1 오목홈부를 상하 방향으로 결합시켜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의 내부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볼록요철부와 제2 오목홈부를 좌우 방향으로 결합시켜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평축과 수직축 방향으로의 흔들림 방지를 통하여 입체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본체부 및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커버부의 네 모서리중 최소한 2개 이상의 모서리에서 모따기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6(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송기사가 배송을 위하여 포장패키징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이동보조부(230)를 형성하게 된다. 배송기사는 이러한 이동보조부를 파지하여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도 6(I)는 도 6(H)의 x-y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본체부 내부에 배치된 제2 본체부와 제2 커버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정성이 강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배송이 끝난후 물품을 꺼내기 위하여, 제2 커버부를 제1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지 않을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의 (H) 및 (I)와 같이 제2 커버부의 모서리를 모따기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도 6의 (J)와 같이 사용자가 모따기 된 구조를 통하여 제2 커버부를 제1 본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모따기 구조에 더해서 도 6의 (J)와 같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제2 커버부를 분리하기 위한 파지부를 제2 커버부에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는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패키징을 적재하였을 때 상부의 포장패키징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의 포장패키징은 하부 포장패키징의 제1 커버부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배치가 되고, 이 때 상부패키징의 바닥부가 하부패키징의 수납부에 밀착되게 되면 이후 포장패키징을 분리할 때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하여, 도 7의 (L)과 같이 상부 포장패키징의 바닥면이 하부 포장패키징의 수납부에 밀착하지 않도록 모든 포장패키징의 바닥면을 완전 평면이 아니라 모서리 부분을 돌출시켜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본체부, 제1 커버부 및 제3 커버부는 각각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스티텐(PS,polystyrene),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은 프로필렌의 중합체로서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도 우수하고, 천연가스로부터 풍부하게 얻어지는, 에틸렌과 비슷하고 탄소 원자가 하나 많은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면 폴리에틸렌보다 투명하고 굴절에 강한 폴리프로필렌이 만들어진다.
폴리스티텐(PS,polystyrene)은 스티렌의 라디칼 중합으로 얻어지는 비결정성의 고분자로, 무색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이다. 끓는점은 145℃이고, 스티롤 수지라고도 하며, 에틸렌과 벤젠을 반응시켜 생긴 액체 스티렌 단위체의 중합체인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며 약품에 잘 침식되지 않는다. 스티렌 수지는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가공하기 쉽고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또 투명하고 빛깔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단단한 성형품(成型品)이 되고 전기절연 재료로도 우수하다.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은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을 단량체로 중합하여 얻는 고분자이다. 폴리올레핀(polyolefin)이라 불리는 합성 고분자의 하나이며, 폴리프로필렌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제품이다.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속하며, 강인성으로 특히 충격강도가 크다. 내열성이 크고, 저온특성도 좋으며(135~-100℃), 빛에도 안정되어 있고, 가공시의 산화가 적다. 전기특성이 뛰어나며, 투명하고, 치수안정성 및 내후성도 좋으며, 흡수성도 작으며, 독성이 없고, 물, 강산에 강하다. 전기부품, 기계부품, 일용품(식품, 가스라이터, 화장품 용기), 보안용 헬멧 등에 널리 이용된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은 아크릴로니트릴(AN)과 부타디엔, 스티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이고, 성상은 옅은 아이보리색의 고체로 착색이 용이하고 표면광택이 좋으며 기계적, 전기적 성질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가정용·사무실용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표면 소재로 주로 사용된다.
제2 본체부 및 제2 커버부는 각각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발포폴리스티텐(EPS, expanded polystyrene), 발포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 또는 발포폴리올레핀(EPO, expanded polyolefine)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은 자동차 부품이나 포장재, 건축재, 단열재 등에 쓰이는 첨단 소재로 깨짐성, 유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해 제품 포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적합한 물질이다. 발포폴리스티텐(EPS, expanded polystyrene)은 폴리스티렌에 발포제를 가하여 압출 가공을 하여 저발포의 원반을 만들고, 이 원반을 다시 대기 중에서 양면에서 가열하여 발포도를 높여 사용한다. 발포 폴리스티렌은 단독발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열성이 높고 또한 밀도가 낮아 더욱 강인성이 있다. 이들의 특징을 살려서 발포 폴리스티렌은 단열용기(생선포장용 상자 등)나 깨지기 쉬운 기기 등의 완충재, 식품용 접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포장 패키징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포장 패키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 패키징은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고, 데이터 로거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포장 패키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데이터 로거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등을 통하여, 포장패키징의 온도, 습도 및 충격량을 측정하여 배송기사용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여 줌으로써 포장패키징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데이터 로거는 배터리와 같은 무선 전원공급을 받기 때문에 전원을 절약할 필요가 있다. 즉, 데이터 로거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 가속도 센서에서 데이터 로거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여 데이터 로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로거는, 전용 게이트웨이를 구비하고, 데이터 로거를 구동시키고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데이터 로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로거는 상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원 스위치를 누르거나, 상기 센서부에 설치된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의 동작 상태는 슬립(Sleep), 대기, 시작 및 배송으로 나눌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관리자용 단말기를 이용한 활성화 명령에 따라 시작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배송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배송 정보 기록 후 배송 시작을 지시하면 배송 상태로서 환경 정보(온도, 습도, 조도 및 충격량)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 및 수신하고 온도나 충격에 대한 이상을 감지할 경우 경고 표시 및 경고음을 출력한다. 배송 완료 상태에서는 수집 데이터에 대한 클라우드 서버 전송 후 종료 지시로 슬립 모드로 변경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서, 데이터 로거의 다양한 기능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최소한 2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예로, 적색(RED)와 녹색(GREEN)의 두 가지 색상을 내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배터리(무선 전원)이 장착되면 녹색 다이오드가 약10초동안 깜빡이며, 이후에는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녹색 다이오드는 꺼진다. 이후, 배송기사의 단말기와 연결되면 녹색 발광다이오드는 10초동안 켜져있으며, 이후에는 다시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녹색 다이오드는 꺼진다. 또한,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온도 및 습도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조도센서를 통하여 포장 패키징의 커버부가 오픈된 경우등에는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켜질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 본체부
110 : 측벽부
111 : 제2 볼록요철부
120 : 바닥부
130 : 결합부
200 : 제1 커버부
210 : 손잡이부
220 : 걸림부
230 : 이동보조부
300 : 제2 본체부
310 : 제1 볼록요철부
320 : 제2 오목홈부
400 : 제2 커버부
410 : 제1 오목홈부
420 : 제3 볼록요철부
500 : 제3 커버부
600 : 진공단열패널
610 : 제1 진공단열패널
620 : 제2 진공단열패널
700 : 보냉제
900 : 데이터로거
1000 : 포장패키징 시스템

Claims (7)

  1.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송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2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본체부와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와 제3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냉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부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제1 본체부와 분리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제1 본체부에 걸려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제2 본체부가 제2 커버부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볼록요철부 및 상기 제1 블록요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커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오목홈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의 측벽부 안 쪽으로 형성되는 제2 볼록요철부 및 상기 제2 볼록요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오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 및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커버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커버부의 네 모서리중 최소한 2개 이상의 모서리에서 모따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제1 오목홈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볼록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포장패키징 시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패키징은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포장 패키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1020210155660A 2021-11-12 2021-11-12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30069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60A KR20230069536A (ko) 2021-11-12 2021-11-12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60A KR20230069536A (ko) 2021-11-12 2021-11-12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536A true KR20230069536A (ko) 2023-05-19

Family

ID=8654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60A KR20230069536A (ko) 2021-11-12 2021-11-12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53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206Y1 (ko) 2005-11-14 2006-01-25 정채경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박스
KR20110087961A (ko) 2010-01-28 2011-08-03 박경원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206Y1 (ko) 2005-11-14 2006-01-25 정채경 운반이 용이한 스티로폼박스
KR20110087961A (ko) 2010-01-28 2011-08-03 박경원 아이스 팩 내장 스티로폼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24083B (zh) 柔性包装件
US9650198B2 (en) Insulated shipping bags
US9045278B2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1457996U (zh) 折叠组装冷藏保温箱
KR101519521B1 (ko) 보냉용 포장 박스
CN202491978U (zh) 智能瓦楞纸箱
CN101638162B (zh) 可折叠式相变蓄能冷链冷藏箱
KR20230069536A (ko)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리터너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30069541A (ko) 정온물류 배송을 위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00000823U (ko)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KR20220048357A (ko) 데이터 로거를 포함하는 신선제품 운송 시스템
KR20230075292A (ko) 리터너블 접이식 포장패키징 시스템
KR20230075294A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패키징 시스템
JP5740148B2 (ja) 保冷容器
WO2023069298A1 (en) Recyclable, thermally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with packed, loose-fill organic insulation
JP2001080638A (ja) 蓋付き折畳コンテナー
US201700883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KR102556912B1 (ko) 데이터 로거 및 통신시스템을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CA2959789A1 (en) An insulating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CN218892893U (zh) 一种携带封口结构的物流快递外包装箱
CN214986753U (zh) 一种可二次利用的猫粮包装箱
KR20240016101A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포장패키징 시스템
KR101982638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패키징 시스템
CN216036298U (zh) 一种新型塑料保温盒
JPH05160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