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011A -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011A
KR20240016011A KR1020220094003A KR20220094003A KR20240016011A KR 20240016011 A KR20240016011 A KR 20240016011A KR 1020220094003 A KR1020220094003 A KR 1020220094003A KR 20220094003 A KR20220094003 A KR 20220094003A KR 20240016011 A KR20240016011 A KR 2024001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ilting
slat
uni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섭
Original Assignee
(주)로보블럭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블럭시스템 filed Critical (주)로보블럭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9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011A/ko
Publication of KR2024001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이 위치한 옥외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면서도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절에 따른 태양의 높낮이에 따라 블라인드 전체의 경사각과 각 블라인드 슬랫의 경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발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옥외측에서의 힌지결합을 위하여 후면 상측에 힌지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며, 태양광 패널로 된 슬랫; 상기 슬랫의 승강 및 하강을 위한 승강줄
상기 슬랫의 틸팅을 위한 틸팅줄;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경사조절부; 상기 슬랫으로부터 발생된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틸팅줄와 상기 경사조절부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Solar power generation blind}
본 발명은 창문이 위치한 옥외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면서도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절에 따른 태양의 높낮이에 따라 블라인드 전체의 경사각과 각 블라인드 슬랫의 경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발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창문이 위치하는 실내에 설치되는 통상의 베네시안 블라인드는 복수의 차양날개 즉 차양슬랫이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틸팅 조작에 의해 각 슬랫의 각도가 서로 동일하게 변화됨으로써 차광을 하게 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블라인드의 슬랫을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로 형성함으로써 차광은 물론 태양광 발전장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2286248호(태양광 블라인드)에서는,
고정틀;
고정틀의 하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태양광 패널로 된 복수 개의 제1슬랫을 포함하는 제1블라인드부;
제1블라인드부의 하측에 차례로 배열되면서 태양광 패널로 된 복수 개의 제2슬랫을 포함하는 제2블라인드부;
제1 및 제2블라인드부를 승강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줄;
제1블라인드부 슬랫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제1틸팅줄; 및
제2블라인드부 슬랫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제2틸팅줄; 을 포함하며,
제1슬랫의 폭은 제2슬랫의 폭 보다 넓게 마련되고,
제1및 제2슬랫 각각의 길이방향 양 측단에 설치되어 제1및 제2블라인드부의 승강 및 틸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승강줄 및 제1틸팅줄 또는 제2틸팅줄을 연결하도록 마련된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연결수단은, 각각의 슬랫 양 측단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틸팅줄 각각은, 고정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 및 고정부재의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수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가지며,
고정부재는, 제1 및 제2슬랫의 양 측단에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부 및 제1틸팅줄 또는 제2 틸팅줄의 수평부가 안착 고정되도록 마련된 설치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슬랫에 의해 차광은 물론 태양광에 의한 전력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은 태양광 블라인드는 창문이 위치하는 실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승강줄과 틸팅줄을 조절하여 적절한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태양광 블라인드가 실내에 설치된 경우에는 유리창에 의해 태양광의 일부분이 차단됨으로써 발전효율이 크게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유리창이 태양광을 차단막으로 작용하게 되어 발전효율이 그만큼 저하되고, 또한 유리창에 차광을 위한 코팅이 되어 있거나 또는 필름이 부착된 경우에는 더욱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문이 위치하는 외측 즉, 옥외에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차광은 물론 발전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실내에서 슬랫을 접거나 각도를 변경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즉, 승강줄과 틸팅줄이 실내에 구비되어 있어야 슬랫을 접철하거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승강줄과 틸팅줄을 실내로 유입시켜야 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물론, 슬랫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고, 접철되지 않는 구조에 의해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옥외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계절에 따른 태양의 높이에 따라 상측의 슬랫에 의해 하측의 슬랫에 음영이 발생함으로써 충분한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6248호
(태양광 블라인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창문이 위치하는 옥외에 설치하고, 태양의 높낮이에 따라 블라인드 프레임 전체가 회전함과 동시에 각 슬랫의 경사각도도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차광은 물론 최대의 발전효율을 가지도록 한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창호프레임 옥외측에서의 힌지결합을 위하여 후면 상측에 힌지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며, 태양광 패널로 된 슬랫;
상기 슬랫의 승강 및 하강을 위한 승강줄
상기 슬랫의 틸팅을 위한 틸팅줄;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경사조절부;
상기 슬랫으로부터 발생된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틸팅줄와 상기 경사조절부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모드설정부를 통해 수동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승강줄 및 틸팅줄, 그리고 액츄에이터의 제어값에 의해 승강줄 구동부, 틸팅줄 구동부, 그리고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승강줄 구동부를 제어하여 슬랫이 펼쳐지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프레임과 슬랫이 최대가동범위까지 회전 및 틸팅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와 틸팅줄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회전 및 틸팅 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상기 틸팅줄 구동부와 액츄에이터의 제어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동모드 중 승강줄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제외한 자동모드를 일정시간마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슬랫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이 급격히 감소되면,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옥외에 설치하고, 또한 슬랫으로부터 최대 전류값이 발생하도록 슬랫과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발전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센싱된 전류값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우에는 외부인의 침입 또는 외력에 의해 슬랫이 손상된 경우이므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의 전체구조를 보인 도.
도2는 경사조절부를 저면에서 보인 도.
도3은 경사조절부의 접철바가 힌지결합된 부위에서의 유격 상태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구동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블럭도.
도6은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급격히 감소되는 상태를 보인 그래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의 전체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경사조절부를 저면에서 보인 도이며, 도3은 경사조절부의 접철바가 힌지결합된 부위에서의 유격 상태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의 구동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블럭도이며, 도6은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급격히 감소되는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100)이 창호프레임(20)의 옥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향각도가 조절되고, 이러한 프레임(100)을 동력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경사조절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사각의 틀 형태로 되고, 안쪽으로는 일반적인 블라인드와 같이 복수의 슬랫(110)이 승강줄(120)과 틸팅줄(130)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슬랫(110)은 외측을 바라보는 면에 태양광 패널이 부착되거나 또는 슬랫(110) 자체가 태양광 플랫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줄(120)은 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된 드럼(도시하지 않음)에 권취된 상태이며, 이러한 드럼은 모터의 순방향 및 역방향 구동에 의해 슬랫(110)을 승강시켜 접철시키거나 또는 하강시켜 펼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틸팅줄(130)도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의 상부 내측에서 드럼에 권취되어 있으며, 드럼과 직결된 모터의 순방향 및 역방향 구동에 의해 틸팅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승강줄(120)과 틸팅줄(130)의 제어에 의해 슬랫(110)의 접철 및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는 공지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2259305호(우드 또는 알루미늄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 등록특허 제10-0728938호(블라인드) 등의 구조를 이용하거나 이로부터 적절히 변형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슬랫(110)을 승강시키고 틸팅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승강줄과 틸팅줄 대신에 별도의 모터, 전기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로 대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승강줄(120)과 틸팅줄(130)에 의해 승강 및 틸팅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하나의 예로서 기술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슬랫(110)을 승강시키고 틸팅시키는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승강줄(120)은 승강부로, 틸팅줄(130)은 틸팅부로 명칭될 것이다.
상기 프레임(10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00)의 후면 상측부위 양측에는 창호프레임(20)에 설치되는 힌지(21)와 힌지결합되기 위한 힌지부(101,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하측에는 상기 힌지부(101,102)를 매개로 하여 프레임(100)을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태양이 위치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200)는 동력에 의해 접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도2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1접철바(231)와 제2접철바(232)가 'X'형태로 교차되어 형성되고, 그 접철바(231,232)의 일단부들은 프레임(100)의 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고정된 프레임고정부(220)에 힌지(H2,H4)를 매개로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들은 창호프레임(20)에 고정되는 창호고정부(210)에 형성된 힌지(H1,H3)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접철바(231) 또는 제2접철바(232)에는 액츄에이터(24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창호고정부(210)에 힌지로 고정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액츄에이터(240)는 그 일예로서 압축과 신장이 가능한 전기실린더의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액츄에이터(240)가 압축되는 경우에는 제1접철바(231)와 제2접철바(232)가 접철되면서 프레임(100)이 창호프레임(20) 방향 즉 후방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것이며, 액츄에이터(240)가 신장되는 경우에는 그 신장길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회전함으로써 태양을 향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경사각도가 조절될 것이다.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뿐만 아니라 동력에 의해 프레임(100)의 하측부위를 창호프레임(2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힌지부(101,102)를 매개로 하여 상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 언급한 구조를 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든 것일 뿐이다.
또한, 상기 힌지(H1,H2,H3,H4)는 제1접철바(231)와 제2접철바(232)의 결합될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데, 도3은 힌지(H4)와 제2접철바(232)와의 힌지결합구조를 도시하였다.
즉, 힌지(H4)와 제2접철바(232)의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할 때 충분한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00)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할 때 힌지(H4)와 제2접철바(232)의 일단부가 서로 간섭을 회피하면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은 물론,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프레임(100)의 최대회전각도는 20~30°정도이므로, 그 유격에 의해 충분히 프레임(10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힌지(H4)와 접철바의 결합구조는 다른 힌지(H1,H2,H3)의 결합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H1,H2,H3,H4) 형태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볼마운트 구조,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이중 힌지구조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240)의 압축과 신장에 의해 프레임(110)은 상부의 힌지부(101,102)를 매개로 하여 상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태양 방향을 지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슬랫(110)이 태양광을 최대한 받음으로써 발전효율을 크게 증대시키기 위해서 프레임(110)의 경사각도와 슬랫(110)의 틸팅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로 구동하게 되는데, 슬랫(110)으로부터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충전회로부(30)를 통해 배터리(40)에 충전되고, 상기 슬랫(110)과 충전회로부(30) 사이의 배선상에는 전류센서(310)가 설치되어 있다.
1) 수동모드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부(350)를 통하여 수동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컨트롤러(300)는 모드설정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값에 의해 슬랫(110)의 틸팅각도와 프레임(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된 모드설정부(350)를 통해 슬랫(110)의 틸팅각도값과 프레임(100)의 경사각도을 인가하게 되면, 컨트롤러(300)는 이에 따라 틸팅 구동부(330)와 액츄에이터(240)를 제어하게 되고, 또한 모드설정부(350)를 통해 슬랫(11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승강 구동부(320)를 제어하여 슬랫(11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다.
2) 자동모드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부(350)를 통해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컨트롤러(300)는 승강 구동부(320)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랫(110)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240)와 틸팅 구동부(330)를 제어하여 태양광이 슬랫(110)에 가장 많이 조사되어 전류값이 가장 큰 각도를 지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100)의 최대 회전각도인 30°범위내에서 5°, 10°, 15°, 20°, 25°, 30°각도로 회전하도록 액츄에이터(240)를 구동시키면서 각 회전각도에서 슬랫(110)을 상하방향으로 최대한 틸팅시키도록 틸팅 구동부(33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컨트롤러(300)는 액츄에이터(240)와 틸팅 구동부(330)의 제어에 의해 프레임(100)의 회전각도가 5°일때 슬랫(110)의 상하방향 최대회전, 10°일때 슬랫(110)의 상하방향 최대회전, 15°일때 슬랫(110)의 상하방향 최대회전, 20°일때 슬랫(110)의 상하방향 최대회전, 25°일때 슬랫(110)의 상하방향 최대회전, 30°일때 슬랫(110)의 상하방향 최대회전시키게 되고, 각 회전각도에서 슬랫(110)이 틸팅할 때 전류센서(310)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100)과 슬랫(110)의 회전 및 틸팅각도는 액츄에이터(240)와 모터로 된 틸팅 구동부(330)에 장착된 엔코더(340)에 의해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컨트롤러(300)는 프레임(100)과 슬랫(110)을 가동범위 내에서 최대한 구동하는 과정 중에 센싱된 각 전류값과 함께 각 전류값과 대응하는 프레임(100)의 회전각도값과 슬랫(110)의 틸팅값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컨트롤러(300)는 상기의 과정이 종료되면, 가장 최대의 전류값을 갖는 프레임(100)의 회전각도와 슬랫(110)의 틸팅각도값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40)와 틸팅 구동부(330)를 제어함으로써 슬랫(100)에 태양광이 가장 크게 조사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과정 즉, 프레임(100)의 회전각도와 슬랫(110)의 틸팅 각도에 따라 최대 전류값을 갖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일정시간 예를 들면, 20~30분 단위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최대의 발전효율을 가지도록 한다.
3) 보안모드
본 발명의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보안모드를 가지고 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모드설정부(350)를 통해 보안모드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게 되면, 컨트롤러(300)는 전류센서(310)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의 급격한 변동을 판단하게 된다.
즉, 자동모드 수행 중에 외부인이 침입을 위하여 슬랫(110)을 강제로 파손하거나 또는 또다른 외력에 의해 슬랫(110)이 파손된 경우에는 도6에서와 같이 충전회로부(30)로 공급되는 전류값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300)는 기 설정된 전류감소값보다 큰 전류감소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경보부(36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보안모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20 : 창호프레임
30 : 충전회로부
40 : 배터리
100 : 프레임
101,102 : 힌지부
110 : 슬랫
120 : 승강줄
130 : 틸팅줄
200 : 경사조절부
210 : 창호고정부
220 : 프레임고정부
230 : 접철부
231,232 : 접철바
240 : 액츄에이터
300 : 컨트롤러
310 : 전류센서
320 : 승강 구동부
330 : 틸팅 구동부
340 ; 엔코더
350 : 모드설정부
360 : 경보부
H1,H2,H3,H4 : 힌지

Claims (4)

  1. 창호프레임 옥외측에서의 힌지결합을 위하여 후면 상측에 힌지부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며, 태양광 패널로 된 슬랫;
    상기 슬랫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슬랫을 틸팅시키는 틸팅부;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켜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경사조절부;
    상기 슬랫으로부터 발생된 전류값을 센싱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에 의해 상기 틸팅부와 상기 경사조절부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모드설정부를 통해 수동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승강부 및 틸팅부, 그리고 액츄에이터의 제어값에 의해 승강 구동부, 틸팅 구동부, 그리고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자동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슬랫이 펼쳐지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프레임과 슬랫이 최대가동범위까지 회전 및 틸팅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와 틸팅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회전 및 틸팅 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센싱된 전류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상기 틸팅 구동부와 액츄에이터의 제어를 중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동모드 중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제외한 자동모드를 일정시간마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슬랫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센싱된 전류값이 급격히 감소되면,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20220094003A 2022-07-28 2022-07-28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20240016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03A KR20240016011A (ko) 2022-07-28 2022-07-28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03A KR20240016011A (ko) 2022-07-28 2022-07-28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011A true KR20240016011A (ko) 2024-02-06

Family

ID=8985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003A KR20240016011A (ko) 2022-07-28 2022-07-28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0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324B1 (ko) 태양 추종식 블라인드 장치
KR20100034361A (ko) 유리창의 햇빛 투과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WO2009136620A1 (ja) 電動ブラインド
WO2002041740A1 (en) Solar powered motorized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20130065519A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JP2000054762A (ja) 電動ブラインド等の制御方式
KR101592403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창호
KR101564513B1 (ko) 개선된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채광 및 차광용 반사판 조절장치
KR101673490B1 (ko) 전동식 블라인드장치
KR100321805B1 (ko) 태양광 적응형 블라인더장치
KR20240016011A (ko) 옥외설치형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102053692B1 (ko) 자동조절이 가능한 pv프레임이 적용된 bipv 이중외피 시스템
DE19709546A1 (de) Regelungssystem und -verfahren zur Belichtung/Beschattung von Räumen
JP2006161309A (ja) 電動ブラインド
KR20240031597A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US20210363821A1 (en) Curtain hanging assembly
KR102028860B1 (ko) 태양광 발전 및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블라인드
JPH05133177A (ja) ブラインド装置
KR20170112167A (ko) 창문 일체형 차양장치
KR102286248B1 (ko) 태양광 블라인드
KR200353808Y1 (ko)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창호
KR20200143932A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2061095B1 (ko) 태양광 발전 장치가 구비된 블라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