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179A - 각질 제거 샤워기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179A
KR20240015179A KR1020220092109A KR20220092109A KR20240015179A KR 20240015179 A KR20240015179 A KR 20240015179A KR 1020220092109 A KR1020220092109 A KR 1020220092109A KR 20220092109 A KR20220092109 A KR 20220092109A KR 20240015179 A KR20240015179 A KR 20240015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hower
bracket
present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중
김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트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트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트케이
Priority to KR102022009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179A/ko
Publication of KR2024001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47K7/046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water-flow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61B2017/320008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에 각질밀이 부재와 브러시 부재를 선택적
으로 체결함으로써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관이 형성된 손잡이와,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에 삽입 결합되는 임펠러축의 하단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
켓에는 브러시 부재 또는 각질밀이 부재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질 제거 샤워기{exfoliating shower}
본 발명은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에 각질밀이 부재와 브러시 부재를 선택적으로 체결함으로써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목욕을 할 때 사용하는 각질밀이 타올은 표면이 거칠게 이루어져, 피부의 표면에 있는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 타올은 주로 장갑형태로 구성되어 손에 끼운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각질밀이 타올의 재질은 흡수성과 투수성이 뛰어난 섬유재질로 제작되는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각질밀이 타올은 손에 끼워 사용하게 되므로, 손이 잘 닿지 않는 등부분의 각질을 제거할 때는 사용이 불편하여, 다른 사람에게 부탁을 하거나, 수건 형상의 각질밀이 타올을 사용하거나, 긴 막대의 단부에 각질밀이 타올을 형성한 각질밀이용 도구를 사용하여 각질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각질을 제거한 후에는 몸에 묻어 있는 각질을 샤워기 등을 사용하여 씻어주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12720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내부가 격판(31)에 의해 구획되어 손잡이(38)에 형성된 수로(32)를 통해 유입된 물(W)을 배수공(33)을 통해서 배출하는 제 1유입실(34)과, 상기 수로(32)를 통해 유입된 물(W)을 샤워기 캡(35)에 형성된 미세공(35a)을 통해서 배출하는 제 2유입실(36)을 가지는 샤워기 본체(30)와, 상기 샤워기 본체(30)의 수로(32)로부터 제 1유입실(34) 또는 제 2유입실(36)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방향절환밸브(V)와, 상기 방향절환밸브(V)의 배출포트와 제 1유입실(34)의 중간에 설치되어 이들을 통해 흐르는 물에 의해 가해지는 수력을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하는 수력원동기(50)와, 상기 수력원동기(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구(60)와, 커플링수단(70)에 의해 상기 감속기구(6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동되면서 피부(80)에 잔류하는 때(82)를 밀어내는 회전브러시(9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력원동기(50)는 상기 방향절환밸브(V)를 거쳐 상기 제 1유입실(34)를 흐르는 유로를 좁혀서 만들어지고,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가속유로(51)와, 이 가속유로(51)를 통해 흐르는 물(W)에 의해 충격을 받으면서 회전되는 임펠러(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212720호에 기재된 기술은 샤워기에 회전가능한 브러시를 설치하여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고, 별도로 각질을 씻을 필요 없이 한번에 때의 제거와 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브러시를 회전 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쉽게 고장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러시를 피부에 접촉시킬 때 압력을 강하게 하면 피부가 손상이 될 수 있고, 압력을 약하게 하면 때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력을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각질밀이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좋을 뿐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임펠러축의 하단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각질밀이 부재 또는 브러시 부재를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샤워기의 기능과 욕실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세척기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펠러축과 브라켓 사이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세밀한 힘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피부와 각질밀이 부재 사이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관이 형성된 손잡이와,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에 삽입 결합되는 임펠러축의 하단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브러시 부재 또는 각질밀이 부재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물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의 회전력을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각질밀이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좋을 뿐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임펠러축의 하단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각질밀이 부재 또는 브러시 부재를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샤워기의 기능과 욕실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세척기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펠러축과 브라켓 사이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세밀한 힘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피부와 각질밀이 부재 사이에 적절한 가압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각질밀이 샤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고압분사부에 콕밸브가 구비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 겸용 샤워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고압분사부에 콕밸브가 구비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몸체(100)와 상기몸체(1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210))이 형성된 손잡이(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6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700)과 상기 브라켓(7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브러시 부재(910)와 각질밀이 부재(9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임펠러(600)를 설치하기 위한 임펠러 커버(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 커버(50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임펠러(600)가 설치되는데, 임펠러 커버(500)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축연결부(540)가 형성되어 임펠러(600)에 삽입 설치되는 임펠러축(610)의 상단부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측 중심부에는 축삽입공(150)이 형성되어 임펠러축(610)의 하부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임펠러(600)가 임펠러축(6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커버(500)의 측부에는 유입공(5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공(520)은 손잡이(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관(21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210)에서 유입된 물을 임펠러(600)의 날개에 분사하게 되어 임펠러(6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520)은 측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임펄러(600)에 형성된 날개에 보다 강하게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임펠러(600)의 회전력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커버(500)의 하단에는 회전가이드(53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100)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530)에 대응되도록 회전 가이드홈(140)이 형성되어 임펠러 커버(500)가 상기 회전 가이드홈(140)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임펠러 커버(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입공(5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유입관(210)과 연통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물이 유입되어 임펠러(6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유입관(210)과 연통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물이 차단되어 임펠러(600)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측부에는 고압분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 커버(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압분사부(110)와 유입관(210)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턱형상의 유입가이드부(510)가 형성되어 유입관(210)으로 유입되는 물을 고압분사부(110)로 공급하게 된다.
즉, 몸체(100)의 내주면과 임펠러 커버(500) 사이에는 유입가이드부(510)가 형성된 부분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유입가이드부(510)을 따라 유입관(210)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고압분사부(11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압분사부(110)에는 고압노즐(115)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 개방된 부분에는 몸체커버(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커버(300)에는 놉연결부(310)가 하부로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놉연결부(310)의 중심부에는 제1관통공(315)이 형성되어, 임펠러 커버(50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1축연결부(54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커버(300)에 형성된 놉연결부(310)에는 원판 형상의 회전놉(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놉(400)의 하면 중심에는 임펠러커버 연결부(410)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커버 연결부(410)의 하단외주면에는 제1고정단턱(420)이 형성되어 몸체커버(300)에 형성된 제1관통공(315)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놉(40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커버 연결부(410)에는 상기 임펠러 커버(50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1축연결부(540)가 삽입되는데, 상기 임펠러커버 연결부(410)의 내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제1축연결부(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임펠러커버 연결부(410)에 형성된 톱니에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놉(400)을 회전시키게 되면 임펠러커버(50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임펠러커버(500)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공(520)과 유입가이드부(5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유입관(210)으로 유입되는 물을 유입공(520)을 통하여 임펠러(600)로 공급하거나, 유입가이드부(510)을 통하여 고압분사부(110)로 공급하거나, 어느 쪽으로도 물을 공급하지 않고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커버(500)를 회전시켜 유입관(210)과 유입공(520)이 연통되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유입공(520)을 통하여 임펠러(600)의 날개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임펠러(600)를 회전시키게 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커버(500)를 회전시켜 유입공(520)과 유입가이드부(510) 사이에 유입관(210)을 위치하게 되면, 유입관(210)으로 유입된 물을 차단함으로써 임펠러(600)가 회전되지 않게 하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커버(500)를 회전시켜 유입관(210)과 유입가이드부(510)를 연통되게 위치하게 되면, 유입관(210)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유입가이드부(510)을 통하여 고압분사부(110)로 공급하게 되어 상기 고압분사부(110)를 통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놉(400)의 상면에는 손잡이부(430)가 형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회전놉(4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축(610)은 상부에 임펠러 체결부(618)가 형성되어 임펠러(600)에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임펠러 체결부(618)의 직경은 상부와 하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몸체(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축삽입공(150)에 삽입될 때, 임펠러 체결부(618)의 하단이 걸리게 되어 임펠러축(610)이 하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임펠러(600)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 체결부(618)의 상하부에는 부시(630)와 와셔(640)를 더 구비하여 임펠러(600)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하부로 돌출된 임펠러축(610)의 하단에는 브라켓(7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브라켓(700)의 상면 중심부에는 제2축연결부(74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축연결부(740)에는 제2관통공(750)이 형성되어 임펠러축(610)이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축(610)의 하부에는 횡으로 관통되는 핀홀(612)이 형성되는데, 상기 핀홀(612)에는 핀(614)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750)의 내주면 상부에는 핀 가이드홈(760)이 형성되어 상기 핀(614)이 삽입되어, 임펠러(600)의 회전력을 임펠러축(610)을 통하여 브라켓(700)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브라켓(700)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브러시 부재(910)와 각질밀이 부재(920)을 회전시키게 되어 욕실의 청소 및 샤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750)의 내주면 하부에는 너트 가이드부(770)가 상기 제2관통공(7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관통공(750)에 삽입되는 임펠러축(610)의 하단에는 수나사(616)가 형성되어 너트(62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브라켓(700)을 임펠러축(610)의 하부에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 가이드홈(760)과 너트 가이드부(77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브라켓(700)이 일정거리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100)와 브라켓(700)의 사이에는 완충부(800)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700)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800)는 상기 임펠러축(610)에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완충부(800)는 브라켓(700)을 하방지지하기 위한 스프링(810)과 상기 스프링(810)의 상,하에 구비되어 브라켓(70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플레이트(820)로 구성된다.
그래서,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때나, 욕실의 바닥이나 벽면을 청소할 때, 세척기 겸용 샤워기를 가압하는 힘을 세심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기 완충부(800)에 의해 적절한 압력이 조절되게 되어 피부나 욕실 바닥 등의 때가 잘 제거될 뿐만 아니라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면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제1가이드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130)의 하단에는 제1단턱부(135)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700)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제2가이드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710)의 상단에는 상기 제1단턱(135)에 대응되는 제2단턱부(7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하면에 형성된 축삽입공(150)의 주위에는 제1배출공(160)이 형성되어, 임펠러(600)를 회전시킨 물이 상기 제1배출공(160)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렇게 배출된 물은 상기 제1,2가이드부(130,710)의 내부를 통하여 브라켓(700)으로 이동하게 되고, 브라켓(700)에는 제3배출공(730)이 형성되어 물을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단턱부(135,712)의 상하 길이는 전술된 핀 가이드홈(76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700)이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2가이드부(130,710)의 내부로 이동하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구비된 완충부(800)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700)의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공(720)이 형성되고, 브러시 부재(910) 또는 각질밀이 부재(92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720)에 대응되는 고정돌출부(914,924)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출부(914,924)의 상단에는 제2고정단턱(916,926)이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 부재(910)와 각질밀이 부재(920)를 브라켓(70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공(720)은 긴 장공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은 폭을 넓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출부(914,924)를 삽입할 수 있고, 타측은 폭을 좁게 형성하여 브러시 부재(910)나 각질밀이 부재(920)을 회전시켜 고정돌출부(914,924)가 폭이 좁은 부분에 삽입되게 하여, 고정돌출부(914,924)의 상단에 형성된 제2고정단턱(916,92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부재(910)와 각질밀이 부재(920)에는 상기 제3배출공(730)과 연통되게 제4배출공(912,922)이 형성되어, 몸체(100)에서 이동한 물을 하부로 배출하게 되어, 브러시 부재(910)와 각질밀이 부재(920)에 의해 제거된 각질을 씻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제2배출공(170)이 형성되어 임펠러(600)를 회전시킨 물을 하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 부재(910)와 각질밀이 부재(920)에 의해 제거된 각질을 씻어 주어 보다 용이하게 청소나 샤워를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200)의 단부에는 조인트(220)가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220)의 단부에는 연결 자바라(230)가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도면 미도시)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분사부(110)의 상단에는 콕밸브(1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콕밸브(160)는 조절부(165)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165)를 조절하여 콕밸브(16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압분사부(110)의 하부에는 고압노즐(115)이 형성되고, 유입된 물은 상기 고압노즐(115)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게 되어 상기 고압분사부(110)의 내부에는 배출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콕밸브(160)를 열게 되면, 상기 고압분사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음압의 영향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되어 내부에 공기방울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공기방울은 상기 고압노즐(115)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165)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163)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163)와 고압분사부(110)의 사이에는 평스프링(167)을 더 구비하여 콕밸브(160)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는 상기 평스프링(167)의 탄성에 의해 콕밸브(16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닫힌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임의로 콕밸브(160)가 하부로 이동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고압분사부
115 : 고압노즐 130 : 제1가이드부
135 : 제1단턱부 140 : 회전가이드홈
150 : 축삽입공 160 : 제1배출공
170 : 제2배출공 200 : 손잡이
210 : 유입관 220 : 조인트
230 : 연결자바라 300 : 몸체커버
310 : 놉연결부 400 : 회전놉
410 : 임펠러커버 연결부 420 : 제1고정단턱
430 : 손잡이부 500 : 임펠러커버
510 : 유입가이드부 520 : 유입공
530 : 회전가이드 540 : 제1축연결부
600 : 임펠러 610 : 임펠러축
612 : 핀홀 614 : 핀
616 : 수나사 618 : 임펠러체결부
620 : 너트 630 : 부시
640 : 와셔 700 : 연결브라켓
710 : 제2가이드부 712 : 제2단턱부
720 : 고정공 730 : 제3배출공
740 : 제2축연결부 750 : 제2관통공
760 : 핀가이드홈 770 : 너트 가이드부
800 : 완충부 810 : 스프링
820 : 회전 플레이트 910 : 브러시부재
912,922 : 제4배출공 914,924 : 고정돌출부
916,926 : 제2고정단턱 920 : 각질밀이부재

Claims (1)

  1. 유입관이 형성된 손잡이와,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된 몸체로 이루어지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에 삽입 결합되는 임펠러축의 하단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브러시 부재 또는 각질밀이 부재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 겸용
    샤워기.
KR1020220092109A 2022-07-26 2022-07-26 각질 제거 샤워기 KR20240015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09A KR20240015179A (ko) 2022-07-26 2022-07-26 각질 제거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09A KR20240015179A (ko) 2022-07-26 2022-07-26 각질 제거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179A true KR20240015179A (ko) 2024-02-05

Family

ID=8990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109A KR20240015179A (ko) 2022-07-26 2022-07-26 각질 제거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1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703B1 (ko) 다용도 세척기
KR100672948B1 (ko) 다기능 샤워기
KR101224475B1 (ko) 양치 전용잭
KR20110115213A (ko) 세척기 겸용 샤워기
WO2024046502A1 (zh) 宠物喷水沐浴梳及其水路控制方法
KR20090099249A (ko) 빗살형 샤워기 헤드
KR20240015179A (ko) 각질 제거 샤워기
KR101532044B1 (ko) 자동 때밀이가 가능한 샤워기
CN210079830U (zh) 多功能花洒
CN220225589U (zh) 一种清洗装置及马桶
KR20050081076A (ko) 입형 욕실 청소기
CN220451008U (zh) 一种马桶清洁装置及马桶
JP3022754U (ja) 自動回転洗浄ブラシ付シャワーヘッド
JP4713183B2 (ja) 洗面台用シャワーヘッド
CN213612076U (zh) 压力旋转式花洒
KR20040104906A (ko) 다용도 세면대
CN216515955U (zh) 智能马桶、智能马桶盖及其喷枪和喷头
CN217747532U (zh) 一种多功能龙头花洒
JP2000270930A (ja) 回転式洗浄機
CN216238828U (zh) 一种洁身器把手止位结构
KR100957889B1 (ko) 출수방향 및 출수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
KR200281481Y1 (ko) 안마용 샤워기 헤드
KR200268337Y1 (ko) 신체 청정용품을 구비한 샤워기 헤드
KR101515027B1 (ko) 때밀이 겸용 샤워기
KR200146942Y1 (ko) 비데의 변좌/뚜껑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