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975A -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 Google Patents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975A
KR20240014975A KR1020220092809A KR20220092809A KR20240014975A KR 20240014975 A KR20240014975 A KR 20240014975A KR 1020220092809 A KR1020220092809 A KR 1020220092809A KR 20220092809 A KR20220092809 A KR 20220092809A KR 20240014975 A KR20240014975 A KR 2024001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driving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266B1 (ko
Inventor
이석규
박성민
도영수
윤성조
Original Assignee
(주)텔레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컨스 filed Critical (주)텔레컨스
Priority to KR102022009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66B1/ko
Publication of KR2024001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은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SERVER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OF AUTONOMOUS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이동체와 사람의 공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자율이동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머지않아 자동차가 스스로 판단하여 움직이는 자율주행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예측이 증가하고 있다. 즉, 앞으로 로봇, 자동차 등의 사물들이 주변 환경과의 상호통신을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사람들의 삶에 밀접하게 다가올 것으로 예측된다.
일반적으로 로봇, 자동차, 드론 등과 같은 자율이동체의 요소 기술은 크게 네 가지 영역에 걸쳐 있다. 인지기술, 판단기술, 차량이동제어 기술, HCI(Human Computer Interface)이 그것이다. 여기서 자율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항목은 판단기술이다. 자율자동차의 판단에는 확률론적 방법과 학습/비학습 기반 알고리즘과 같은 인공지능(AI) 기술이 들어가며, 최근 들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자율이동을 위한 기반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자율이동체와 그 자율이동체와 공존하는 사람 간에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 현실이며, 그 둘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하여 공존가능성을 높이는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율이동체와 사람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서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율이동체와 사람 간에 정보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율이동체의 정보를 사람에게 공유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은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자율이동체와 함께 AR(Augmented Reality)로 표시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진행방향 및 정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정보가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상기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지나지 않거나,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지점을 지나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로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는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자율이동체와 함께 AR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진행방향 및 정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정보가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상기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수신부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지나지 않거나,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지점을 지나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로변경요청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시스템은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전송하는 등록 단말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자율이동체정보 및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율이동체와 사람 간에 정보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자율이동체의 정보를 사람에게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 외부 단말기 및 관리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는, 정보 공유 서버가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그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자율이동체는 로봇, 자동차 및 드론 등과 같이 스스로 판단하여 움직이는 모든 형태의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 공유 서버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제1 자율이동체의 소유자 또는 제1 자율이동체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율이동체가 택배물품을 배달하는 자율이동체인 경우를 가정한다. 정보 공유 서버는 택배물품을 배송하는 택배회사가 OPEN API를 이용하여 입력한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정보 공유 서버는 택배회사의 명령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가 직접 택배물품의 배송을 시작하면서 OPEN API를 이용하여 입력한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 공유 서버는 제1 자율이동체로부터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또는 필요시 요청에 의해 현재위치 또는 이동경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정보 공유 서버가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의 컴퓨팅 기기일 수 있으며, 정보 공유 서버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는 경찰, 특정 시설물/단지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사유지의 소유자, 행인 등과 같이 자율이동체와 정보 공유가 필요한 사람들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공유 서버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기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단말기는 GPS센서, 거리센서, 나침반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410)는 스마트 기기(320)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 후, 관리자(410)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제2 자율이동체(420)가 나타나도록 위치를 조정한 후,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2 자율이동체(420)를 선택하여 제2 자율이동체(42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320)의 GPS센서를 이용하여 관리자(410)의 좌표를 결정하고, 나침반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320)가 향하는 방향을 측정하고, ToF, LIDAR등과 같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320)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42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 자율이동체(420)의 위치(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320)의 GPS센서를 이용하여 관리자(410)의 좌표를 결정하고, 나침반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320)가 향하는 방향을 측정하고,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가(32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 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에서 제2 자율이동체(420)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2 자율이동체(420)의 위치(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130에서는, 정보 공유 서버가 그 제2 자율이동체가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외부 단말기에게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한다.
즉, 정보 공유 서버는 그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가 제1 자율이동체의 위치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에, 그 제2 자율이동체가 제1 자율이동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공유 서버는 주기적으로 제1 자율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수신하거나, 제1 자율이동체에게 현재위치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공유 서버는 그 경우에 외부 단말기에게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인 주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행정보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제2 자율이동체와 함께 AR(Augmented Reality)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제2 자율이동체가 나타난 현실의 이미지에 주행정보가 AR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나타나 있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는 현실에 존재하는 제2 자율이동체(420)가 나타나 있으며, 제2 자율이동체(420)의 진행방향에 관한 주행정보(510)가 AR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주행정보(510)는 현실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만 존재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진행방향 뿐만 아니라, 이동경로, 이동속도, 정차여부에 관한 정보 역시 주행정보에 포함하여 AR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제2 자율이동체(420)를 기준으로 경도 및 위도 좌표로 구성된 이동경로를 변환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제2 자율이동체(420)의 위치를 기준으로 경도 및 위도 좌표와 화면 출력 좌표의 변환 관계에 관한 변환테이블을 내부에 보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변환한 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행정보는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진행방향 및 정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경로는 제2 자율이동체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이동하도록 설정된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동속도는 제2 자율이동체의 최근의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진행방향은 제2 자율이동체가 현재 이동하고 있는 방향 또는 전환하려는 방향(예, 좌회전, 우회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차여부는 제2 자율이동체가 이동 중인지 정차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동경로는 제2 자율이동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설정된 경로가 AR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동속도는 제2 자율이동체의 근처에 최근의 속도가 AR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진행방향은 제2 자율이동체의 전방에 좌회전, 직진, 우회전 등의 그림이 AR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정차여부는 제2 자율이동체의 근처에 적색(정지) 및 청색(이동)의 아이콘이 AR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 공유 서버가, 주행정보가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외부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가 이동경로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지나지 않거나, 이동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지점을 지나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로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단말기의 소유자는 외부 단말기에 표시된 전자지도 상에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와 이동경로가 표시되어 있을 때, 이동경로 상의 제1 지점을 터치하여 제1 지점을 지나지 않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정보 공유 서버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경로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제1 지점을 지나지 않는 새로운 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2 자율이동체에게 전송하거나, 제2 자율이동체에게 제1 지점을 지나지 않는 새로운 이동경로로 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단말기의 소유자는 외부 단말기에 표시된 전자지도 상에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와 이동경로가 표시되어 있을 때, 이동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지점을 터치하여 제2 지점을 지나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정보 공유 서버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경로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제2 지점을 지나는 새로운 이동경로를 생성하여 제2 자율이동체에게 전송하거나, 제2 자율이동체에게 제2 지점을 지나는 새로운 이동경로로 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200)는 수신부(210), 판단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200)는 데스크탑PC, 노트북PC, 서버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그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그 제2 자율이동체가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전송부(230)는 그 제2 자율이동체가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외부 단말기에게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행정보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제2 자율이동체와 함께 AR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행정보는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진행방향 및 정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시스템(300)은 등록 단말기(310), 외부 단말기(32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등록 단말기(310)는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그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전송한다.
외부 단말기(320)는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서버(200)는 그 자율이동체정보 및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제2 자율이동체가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외부 단말기(320)에게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단말기(320)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외부 단말기(3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행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자율이동체와 함께 AR(Augmented Reality)로 표시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진행방향 및 정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가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상기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지나지 않거나,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지점을 지나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로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5.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자율이동체와 함께 AR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진행방향 및 정차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가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상기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수신부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지나지 않거나, 상기 이동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제2 지점을 지나도록 이동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로변경요청신호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서버.
  9.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자율이동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체정보를 전송하는 등록 단말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주행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인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자율이동체정보 및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자율이동체가 상기 제1 자율이동체에 대응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자율이동체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때,
    상기 외부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나타난 상기 제2 자율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주행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0220092809A 2022-07-26 2022-07-26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KR10264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09A KR102642266B1 (ko) 2022-07-26 2022-07-26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09A KR102642266B1 (ko) 2022-07-26 2022-07-26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975A true KR20240014975A (ko) 2024-02-02
KR102642266B1 KR102642266B1 (ko) 2024-02-29

Family

ID=8990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09A KR102642266B1 (ko) 2022-07-26 2022-07-26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544A (ko) * 2013-10-11 2015-04-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위치정보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4074A (ko) * 2018-01-18 2019-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이동체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143151A (ko) * 2018-06-20 2019-12-30 이우용 자율주행 자동차의 자율주행 시스템
JP2020010147A (ja) * 2018-07-05 2020-01-16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情報共有端末、自律型の移動体、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
KR20200112631A (ko) * 2019-03-21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KR102297578B1 (ko) 2019-11-12 2021-09-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의 자율 주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220092660A (ko) * 2020-12-24 2022-07-04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경로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544A (ko) * 2013-10-11 2015-04-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위치정보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4074A (ko) * 2018-01-18 2019-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이동체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143151A (ko) * 2018-06-20 2019-12-30 이우용 자율주행 자동차의 자율주행 시스템
JP2020010147A (ja) * 2018-07-05 2020-01-16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情報共有端末、自律型の移動体、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方法
KR20200112631A (ko) * 2019-03-21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KR102297578B1 (ko) 2019-11-12 2021-09-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의 자율 주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220092660A (ko) * 2020-12-24 2022-07-04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경로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66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5661B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user within specific space
US20230412707A1 (en) Navigation using proximity information
US11574262B2 (en) Location accuracy using local device communications
US9222782B2 (en) Predictive transit calculations
US8239132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US11057591B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to preserve user privacy
KR20190032090A (ko) 외부 이동 수단으로 릴레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051170A (zh) 识别自主车辆的未分配的乘客
US10567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drones flying overhead
US9746339B2 (e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device for enabling control of a vehicle
KR20190018243A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US10192332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642266B1 (ko)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서버
Subakti et al. Engfi Gate: An Indoor Guidance System using Marker-based Cyber-Physical Augmented-Reality.
CN111158556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460949B1 (ko) 자율이동체의 정보 공유 및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5249198A (zh) 增强的约车系统和方法
CN113259652A (zh) 提供增强现实显示的方法和系统
US202203243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19838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location tracking and sharing using augmented reality
US115615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11899446B2 (en) Verifying authorized personnel for interaction with autonomous vehicles
CN116295417A (zh) 机器人导航方法及装置
CN117782115A (zh) 自动驾驶路由的生成方法
JP6184357B2 (ja) 移動制御装置、移動制御方法及び移動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