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881A - Catheter - Google Patents

Cath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881A
KR20240014881A KR1020220092585A KR20220092585A KR20240014881A KR 20240014881 A KR20240014881 A KR 20240014881A KR 1020220092585 A KR1020220092585 A KR 1020220092585A KR 20220092585 A KR20220092585 A KR 20220092585A KR 20240014881 A KR20240014881 A KR 2024001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dial
catheter
gear
butt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돈수
이병주
장성희
Original Assignee
아이메디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메디컴(주) filed Critical 아이메디컴(주)
Priority to KR102022009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881A/en
Priority to PCT/KR2023/009598 priority patent/WO2024025198A1/en
Publication of KR2024001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8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상부 핸들, 내측 둘레에 제1 기어부가 구비된 환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핸들과 결합하는 하부 핸들, 상기 상부 핸들 및 상기 하부 핸들의 내측에 장착되고, 미리 정해진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핸들 및 상기 하부 핸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조정다이얼, 상기 조정다이얼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조정다이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기어부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원호부를 구비하는 버튼부, 그리고 상기 버튼부에 상기 조정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항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handle, an annular protrusion with a first gear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a lower handle coupled to the upper handle, an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n adjustment dial that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bout a predetermined virtual axis, is movable relative to the adjustment dial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dial,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gear unit. The second gear unit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having an arcuate portion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n elastic member that always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radial outside of the adjustment dial to the button portion.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 등의 내부에 삽입되어 튜브(루멘 샤프트)를 조정할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th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human body, etc. to adjust a tube (lumen shaft).

카테터(catheter)는 인체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약제나 세정액의 주입 등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A catheter is a medical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jection of medicine or cleaning fluid.

도 15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221484호에 개시된 카테터로서, 카테터의 말단부를 좌우로 조절가능한 카테터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15 shows a cathet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221484 applied for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distal end of which can be adjusted left and right.

참고로, 도 15는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도 2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사용된 도면부호가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되었으며, 이들 도면부호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부호와 중복되더라도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Figure 15 corresponds to Figure 2 of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ference numbers used 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are used without modification, and these reference numbers ar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Even if it overlaps with the reference numbers used in , it does not refer to the same component.

한편, 이러한 카테터를 사용할 때, 시술자가 카테터를 인체 내부에서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로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술자가 카테터를 치료 환부에 진입시킨 후 약물 주입, 레이저, 풍선카테터 등의 치료기구 삽입을 통한 시술을 할 때 핸들을 지속적으로 잡고 있어야 하며, 튜브(루멘 샤프트)가 꺾인 상태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Meanwhile, when using such a catheter, it is important for the operator to be able to accurately steer the catheter to the desired area inside the human body.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enters the catheter into the affected area and performs the procedure by injecting drugs or inserting treatment devices such as lasers or balloon catheters, the operator must continuously hold the handle, and the tube (lumen shaft) must be fixed in a bent state. There is.

그런데 상기 카테터는 튜브(2)를 꺾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조절 다이얼(13)을 잡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atheter had a problem in that the operator had to hold the control dial 13 to fix the tube 2 in a bent state.

또한, 상기 카테터는 인체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카테터의 말단을 원하는 각도로 휘게 한 후, 온오프 방식으로 손쉽게 휜 각도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ert the catheter into the human bod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nd of the catheter was bent to a desired angle and then the bending angle could not be easily fixed in an on-off manner.

한국등록특허 제1221484호(등록일 2013.01.07)Korean Patent No. 1221484 (registration date 2013.01.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온오프 방식으로 손쉽게 카테터의 튜브가 휜 상태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theter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fix or unfix the bent state of the catheter tube in an on-off mann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상부 핸들, 내측 둘레에 제1 기어부가 구비된 환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핸들과 결합하는 하부 핸들, 상기 상부 핸들 및 상기 하부 핸들의 내측에 장착되고, 미리 정해진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핸들 및 상기 하부 핸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조정다이얼, 상기 조정다이얼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조정다이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기어부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원호부를 구비하는 버튼부, 그리고 상기 버튼부에 상기 조정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항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handle, an annular protrusion with a first gear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a lower handle coupled to the upper handle, the upper handle, and the An adjustment dial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handle and rotatable relative to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bout a predetermined virtual axis, movable relative to the adjustment dial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dial, The second gear unit, which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gear unit, includes a button unit having an arcuate portion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n elastic member that always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adjustment dial to the button unit. .

또한, 상기 조정다이얼은 슬릿이 형성된 호형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원호부에 이어지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버튼부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호부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는 상기 환형 돌출부가 통과하는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dial includes an arc-shaped peripheral wall with a slit, and the butt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button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arc portion and penetrating the slit, and the arc portion and the button portion body portion include the annular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groove through which passes.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어부과 상기 제2 기어 부은 서로 기어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버튼부 몸체부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서로 기어결합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호형 둘레벽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tto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when the first gear portio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rc-shaped peripheral wall.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버튼부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 다이얼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supported by the button part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adjustment dial.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이고, 일단은 상기 원호부의 저면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다이얼의 돌기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a leaf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arc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protrusion of the adjustment dial.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고, 일단은 상기 원호부의 저면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다이얼의 돌기부에 지지가 되며, 내경부는 상기 조정 다이얼의 와이어고정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a torsion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circular arc,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protrusion of the adjustment dial, and the inner diameter part is supported on the wire fixing part of the adjustment dial.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부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양쪽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조정다이얼의 내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34)에 지지가 되어,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extends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body portion and is supported by a locking protrusion 34 located inside the adjustment dial to generate the restoring force.

또한, 상기 하부 핸들의 제1 기어부와 상기 버튼부의 제2 기어부가 서로 기어결합시, 상기 버튼부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연결부위는 상기 호형 돌출부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gear portion of the lower handle and the second gea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button portio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rc-shaped protrusion. .

또한, 상기 상부 핸들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다이얼은 원통형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정다이얼은 상기 상부 핸들에 안착 되며, 상기 가상의 축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handl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e adjustment dial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and the cylindrica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adjustment dial is seated on the upper handle, and the virtual axis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시술자가 버튼부를 누르면 하부 핸들과 버튼부의 고정이 해제되고, 버튼부를 누르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부 핸들과 버튼부가 고정되는 구성을 통하여, 카테터의 튜브(루멘 샤프트)를 조향 후 소정 각도로 꺾인 상태를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시술자의 손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button, the fixation of the lower handle and button is released, and when the operator does not press the button, the lower handle and button are fixed by an elastic member. After steering the tube (lumen shaft) of the catheter, i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t can be maintained simply and conveniently, improving the freedom of the operator's hands.

한편,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물론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other effects that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but can be expected from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테터의 상부 핸들과 하부 핸들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상부 핸들에 조정다이얼, 탄성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카테터의 조정다이얼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카테터의 버튼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카테터에서, 조정다이얼과 버튼부와 탄성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카테터에서 탄성부재로서 판스프링이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1의 카테터에서 탄성부재로서 토션스프링이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1의 카테터에서 탄성부재가 버튼부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카테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의 카테터의 작용을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의 카테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handles of the catheter of Figure 1.
Figure 3 shows an adjustment dial and an elastic member mounted on the upper handle of Figure 2.
Figure 4 shows the adjustment dial of the catheter of Figure 1.
Figure 5 shows a button portion of the catheter of Figure 1.
FIG. 6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djustment dial, the button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in the catheter of FIG. 1.
Figure 7 shows a leaf spring used as an elastic member in the catheter of Figure 1.
Figure 8 shows a torsion spring used as an elastic member in the catheter of Figure 1.
Figure 9 shows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button part in the catheter of Figure 1.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ember of Figure 9.
FIG. 11 is a view of FIG. 9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1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theter of FIG. 1.
Figures 13 and 14 are another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theter of Figure 1.
Figure 1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athet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221484호에 개시된 카테터에서 조정다이얼을 원터치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하는 발명으로서, 튜브(루멘 샤프트)의 꺾임을 조절하는 와이어 등에 관한 구성은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논점을 흐리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Figure 3 shows a cathe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fixes or unfixes the adjustment dial in the cathet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221484 of the present applicant with one touch.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for controlling the bending of the tube (lumen shaft) is known, and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irrelevant to the main point, its explanation is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poin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이하, '본 카테터'라 함)는 상부 핸들(1), 하부 핸들(2), 조정다이얼(3), 버튼부(4), 그리고 탄성부재(5)를 포함한다.The cathe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catheter') includes an upper handle (1), a lower handle (2), an adjustment dial (3), a button portion (4), and an elastic member (5). Includes.

상부 핸들(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다이얼(3)이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후술되는 조정다이얼(3)의 원통형 돌출부(35)가 삽입되는 관통홀(11)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n adjustment dial 3 is mounted on the upper handle 1. For this purpose, a through hole 11 into which the cylindrical protrusion 35 of the adjustment dial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may be formed.

하부 핸들(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둘레에 제1 기어부(211)는 구비된 환형 돌출부(21)를 구비하고, 상부 핸들(1)과 결합한다. 제1 기어부(211)는 산과 골이 교호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As shown in FIG. 2, the lower handle 2 has an annular protrusion 21 with a first gear portion 211 on its inner circumferenc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handle 1. The first gear unit 211 is formed with alternating peaks and valleys (see FIG. 12).

조정다이얼(3)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핸들(1) 및 하부 핸들(2)의 내측에 장착되고, 미리 정해진 가상의 축(A) 즉, 조정다이얼(3)의 관통홀(1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축(A)을 중심으로 상부 핸들(1) 및 하부 핸들(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adjustment dial 3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handle 1 and the lower handle 2, and moves along a predetermined virtual axis A, that is, the adjustment dial 3. It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upper handle (1) and the lower handle (2) about the axis (A) that passes vertically through the through hole (11).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다이얼(3)은 슬릿(311)이 형성된 호형 둘레벽(31)를 포함한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 the adjustment dial 3 includes an arc-shaped peripheral wall 31 in which a slit 311 is formed.

버튼부(4)는, 도 5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다이얼(3)의 반경방향(B)으로 조정다이얼(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버튼부(4)는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기어부(411)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원호부(41)를 구비한다. 제2 기어부(411)도 제1 기어부와 마찬가지로 산과 골이 교호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도 12 참조).The button portion 4 is movable relative to the adjustment dial 3 in the radial direction B of the adjustment dial 3, as shown in FIGS. 5 to 7, etc. And the button portion 4 has an arc portion 4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econd gear portion 411 that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gear portion 211 of the lower handle 2. The second gear unit 411, like the first gear unit, is formed with alternating peaks and valleys. And the first gear part 211 of the lower handle 2 and the second gear part 411 of the button part 4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ee FIG. 12).

또한, 버튼부(4)는, 원호부(41)에 이어지고 슬릿(311)을 관통하는 버튼부 몸체부(42)를 더 포함한다. 원호부(411)와 버튼부 몸체부(42)는 하부 핸들(2)의 환형 돌출부(21)가 통과하는 홈부(43)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button portion 4 further includes a button body portion 42 that extends to the circular arc portion 41 and penetrates the slit 311. The circular arc portion 411 and the button body portion 42 form a groove portion 43 through which the annular protrusion 21 of the lower handle 2 passes.

또한, 버튼부 몸체부(42)는 걸림턱(421)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가 서로 기어결합시, 걸림턱(421)이 조정다이얼(3)의 호형 둘레벽(31)의 내벽에 접촉하여, 탄성부재(5)로 인하여 버튼부(4)가 조정다이얼(3)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기어결합이라 함은, 제1 기어부의 골에 제2 기어부의 산이 결합하고, 제2 기어부의 골에 제1 기어부의 산이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button body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421, and the first gear portion 211 of the lower handle 2 and the second gear portion 411 of the button portion 4 are geared to each other. When combined, the locking protrusion 421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rc-shaped peripheral wall 31 of the adjustment dial 3, and the button portion 4 mov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dial 3 due to the elastic member 5. It can prevent being pushed around. For reference, gear coupling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coupling of the ridge of the second gear unit to the groove of the first gear unit, and the coupling of the ridge of the first gear unit to the valley of the second gear unit.

탄성부재(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에 조정다이얼(3)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항시 복원력(F1)을 발생시킨다. 이 복원력(F1)에 의하여,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는 서로 기어결합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elastic member 5 always generates a restoring force F1 in the button portion 4 in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of the adjustment dial 3. By this restoring force F1, the first gear part 211 of the lower handle 2 and the second gear part 411 of the button part 4 can b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또한, 탄성부재(5)는 일단이 버튼부(4)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조정다이얼(3)에 지지될 수 있다(도 7 참조).Additionally,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 may be supported by the button portion 4,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by the adjustment dial 3 (see FIG. 7).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는 판스프링이고, 일단은 버튼부(4)의 원호부(41)의 저면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조정다이얼(3)의 돌기부(32)에 고정될 수 있다.Exemplarily, as shown in FIG. 7, the elastic member 5 is a leaf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arcuate portion 41 of the button portion 4,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of the adjustment dial 3. It can be fixed at (32).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는 토션스프링이고, 일단은 버튼부(4)의 원호부(41)의 저면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조정다이얼(3)의 돌기부(32)에 지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토션스프링의 내경부(53)는 조정 다이얼(3)의 와이어고정부(33)에 지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the elastic member 5 is a torsion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ottom of the circular arc portion 41 of the button portion 4,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32 of the adjustment dial 3. ) can be supported. And the inner diameter portion 53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supported on the wire fixing portion 33 of the adjustment dial 3.

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는 버튼부 몸체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이들 탄성부재(5)는 조정다이얼(3)의 내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34)에 지지가 되어, 버튼부(4)에 조정다이얼(3)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항시 복원력(F1)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탄성부재(5)는 탄성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elastic members 5 extend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body portion 42, respectively. And these elastic members (5) are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34)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adjustment dial (3), and always provide a restoring force (F1) to the button portion (4) in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of the adjustment dial (3). generates For this purpose, the elastic member 5 is made of a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and can be bent.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도 9에는 미도시)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가 서로 기어결합시, 버튼부 몸체부(4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5)의 연결부위(54)는 호형 돌출부(31)의 내벽에 접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first gear part 211 (not shown in Figure 9) of the lower handle 2 and the second gear part 411 of the button part 4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portion 54 of the elastic member 5 connected to the button body portion 42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rc-shaped protrusion 31.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판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며, 도 10의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the case where a leaf spring or torsion spring is us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same applies even when the elastic member of FIG. 10 is used.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가 서로 기어결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는, 조정 다이얼(3)이 버튼부(4)와 고정되어 튜브(루멘 샤프트)가 소정 상태로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first gear unit 211 of the lower handle 2 and the second gear unit 411 of the button unit 4 are shown in a gear-coupled state. At this time, the adjustment dial 3 is fixed to the button portion 4 and the tube (lumen shaft) is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state.

만일, 시술자가 튜브(루멘 샤프트)를 소정 각도로 꺾이게 하고자 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를 눌러 주면(P),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조정다이얼(3)을 회전시키면 된다. If the operator wishes to bend the tube (lumen shaft)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13, by pressing the button part 4 (P), the first gear part 211 of the lower handle 2 ) and the second gear part 411 of the button part 4 are released, and in this state, the adjustment dial 3 can be rotated to the desired angle.

다음, 조정다이얼(3)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즉, 튜브를 소정 각도로 꺾은 상태)에서, 버튼부(4)에 가해진 힘(P)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의 복원력(F1)에 의해 하부 핸들(2)의 제1 기어부(211)와 버튼부(4)의 제2 기어부(411)가 다시 기어결합한 상태가 된다. 이때, 조정 다이얼(3)이 버튼부(4)와 고정되어 튜브는 소정 각도로 꺾인 상태로 고정된다(도 14 참조).Next, with the adjustment dial (3) rotated to the desired angle (i.e., the tu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force (P)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4) is removed, the restoring force ( By F1), the first gear part 211 of the lower handle 2 and the second gear part 411 of the button part 4 are geared again. At this time, the adjustment dial 3 is fixed to the button portion 4 and the tube is fixed in a bent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see Figure 14).

이와 같이, 버튼부(4)를 누르면 하부 핸들과 버튼부의 고정이 해제되고, 버튼부(4)를 누르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부 핸들과 버튼부가 고정되는 구성을 통하여, 카테터의 튜브(루멘 샤프트)를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조향 후 고정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utton part 4 is pressed, the fixation of the lower handle and button part is released, and when the button part 4 is not pressed, the lower handle and button part are fixed by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catheter tube (lumen shaft) It can be steered and fixed simply and convenient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상부 핸들
11...관통홀
2...하부 핸들
21...환형 돌출부, 211..제1 기어부
3...조정다이얼
31...호형 둘레벽, 311...슬릿
32...돌기부
4...버튼부
41...원호부, 411...제2 기어부
42...버튼부 몸체부, 421...걸림턱
43...홈부
5...탄성부재
1...Upper handle
11...through hole
2...Lower handle
21...annular protrusion, 211..first gear part
3...Adjustment dial
31... arc-shaped peripheral wall, 311... slit
32...Protrusion
4...button part
41...circle part, 411...second gear part
42...Button body part, 421...Latching jaw
43...Home Department
5...elastic member

Claims (10)

상부 핸들,
내측 둘레에 제1 기어부가 구비된 환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핸들과 결합하는 하부 핸들,
상기 상부 핸들 및 상기 하부 핸들의 내측에 장착되고, 미리 정해진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핸들 및 상기 하부 핸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조정다이얼,
상기 조정다이얼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조정다이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2 기어부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원호부를 구비하는 버튼부, 그리고
상기 버튼부에 상기 조정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항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카테터.
upper handle,
a lower handle having an annular protrusion with a first gear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engaging the upper handle;
An adjustment dial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nd rotatable relative to the upper handle and the lower handle about a predetermined virtual axis,
A button portion that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dial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dial and has a second gear portion selectively coupleable with the first gear portion having an arc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n elastic member that always applies a restoring force to the button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outside the adjustment dial.
A catheter containing.
제1항에서,
상기 조정다이얼은 슬릿이 형성된 호형 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원호부에 이어지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버튼부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호부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는 상기 환형 돌출부가 통과하는 홈부를 형성하는
카테터.
In paragraph 1:
The adjustment dial includes an arc-shaped peripheral wall with slits formed,
The butt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button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arc portion and penetrating the slit,
The circular arc portion and the button body portion form a groove through which the annular protrusion passes.
Catheter.
제2항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는 서로 기어결합하는
카테터.
In paragraph 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Catheter.
제3항에서,
상기 버튼부 몸체부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가 서로 기어결합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호형 둘레벽의 내벽에 접촉하는
카테터.
In paragraph 3,
The butto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When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the stopping protrusion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rc-shaped peripheral wall.
Catheter.
제4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버튼부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 다이얼에 지지되는
카테터.
In paragraph 4,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by the button part,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adjustment dial.
Catheter.
제5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이고, 일단은 상기 원호부의 저면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다이얼의 돌기부에 고정되는
카테터.
In paragraph 5,
The elastic member is a leaf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circular arc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protrusion of the adjustment dial.
Catheter.
제5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고, 일단은 상기 원호부의 저면에 지지가 되고 타단은 상기 조정다이얼의 돌기부에 지지가 되며, 내경부는 상기 조정 다이얼의 와이어고정부에 지지되는
카테터.
In paragraph 5,
The elastic member is a torsion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circular arc,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protrusion of the adjustment dial, and the inner diameter part is supported on the wire fixing part of the adjustment dial.
Catheter.
제5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부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양쪽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조정다이얼의 내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34)에 지지가 되어,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카테터.
In paragraph 5,
The elastic member is
Extending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body portion,
It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34 located inside the adjustment dial, and generates the restoring force.
Catheter.
제8항에서,
상기 하부 핸들의 제1 기어부와 상기 버튼부의 제2 기어부는 서로 기어결합시, 상기 버튼부 몸체부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연결부위는 상기 호형 돌출부의 내벽에 접촉하는
카테터.
In paragraph 8:
When the first gear portion of the lower handle and the second gea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are gear-coupl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button portion body portion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rc-shaped protrusion.
Catheter.
제1항에서,
상기 상부 핸들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다이얼은 원통형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돌출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정다이얼은 상기 상부 핸들에 안착되며, 상기 가상의 축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에 해당하는
카테터.
In paragraph 1:
The upper handl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e adjustment dial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the cylindrica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adjustment dial is seated on the upper handle, and the virtual axis is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axis
Catheter.
KR1020220092585A 2022-07-26 2022-07-26 Catheter KR2024001488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85A KR20240014881A (en) 2022-07-26 2022-07-26 Catheter
PCT/KR2023/009598 WO2024025198A1 (en) 2022-07-26 2023-07-06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85A KR20240014881A (en) 2022-07-26 2022-07-26 Cath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881A true KR20240014881A (en) 2024-02-02

Family

ID=8970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585A KR20240014881A (en) 2022-07-26 2022-07-26 Cathe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4881A (en)
WO (1) WO2024025198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84B1 (en) 2012-04-06 2013-01-14 아이메디컴(주)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051B1 (en) * 2009-05-07 2010-01-08 한창기전 주식회사 General purpose catheter
KR101626346B1 (en) * 2014-08-18 2016-06-02 (주)세원메디텍 Multi-Balloon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81969B1 (en) * 2018-04-18 2020-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looping pigtail catheter equipment
KR102472425B1 (en) * 2020-11-19 2022-12-01 주식회사 페라자 Cathet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84B1 (en) 2012-04-06 2013-01-14 아이메디컴(주)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198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358B2 (en) Steerable catheter
CA2105774C (en) Catheter with electrode tip having asymmetric configurations
EP0636344B1 (en) Medical instrument for treating sinusitis
US4921482A (en) Steerable angioplasty device
JP4675686B2 (en) Improved steering mechanism for bi-directional catheters
US5358479A (en) Multiform twistable tip deflectable catheter
US11850369B2 (en) Mapping variable loop catheter handle
US5545200A (en) Steerable electrophysiology catheter
US5328467A (en) Catheter having a torque transmitting sleeve
US5487757A (en) Multicurve deflectable catheter
US6579278B1 (en)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 with asymmetric fulcrum
US5702433A (en) Kink-resistant steerable catheter assembly for microwave ablation
US8021327B2 (en) Steering mechanism for bi-directional catheter
JP5961603B2 (en) Fixation device and catheter set
US20100256664A1 (en) Needle assembly for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EP1231975A1 (en) Steerable catheter device
AU7304491A (en) Catheter steering mechanism
WO2004000405A9 (en) Articulating handle for a deflectable catheter and method therefor
KR102010491B1 (en) Steerable catheter
EP3658212B1 (en) Tension adjustment for steering actuator for deflectable catheter
JP6132926B2 (en) Push coil steering mechanism
KR20240014881A (en) Catheter
EP0711130A1 (en) Bendable tip assemblies for catheters
WO2013141011A1 (en) Medical tube control handle and medical tube device
JP2751117B2 (en) Bending oper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