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701A -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 Google Patents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701A
KR20240014701A KR1020220092182A KR20220092182A KR20240014701A KR 20240014701 A KR20240014701 A KR 20240014701A KR 1020220092182 A KR1020220092182 A KR 1020220092182A KR 20220092182 A KR20220092182 A KR 20220092182A KR 20240014701 A KR20240014701 A KR 2024001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ube
dialysate
hemodialysis machin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순
Original Assignee
미라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라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701A/ko
Publication of KR202400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5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 A61M1/153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the cassette being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or the treat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54Dialysates therefor
    • A61M1/1656Apparatus for preparing dialysates
    • A61M1/166Heating
    • A61M1/1664Heating with 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IR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의 투석과정에서 혈액온도가 체온보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온에 맞는 일정온도로 히팅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혈관 수축을 방지하고 체내에서 빠른 활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일측케이스와, 상기 일측 케이스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되는 타측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튜브의 온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로 온도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일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튜브고정부; 상기 센서부의 온도신호를 전송받아 히터부의 가열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센서부, 상기 히터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THE HEATING DEVICE OF DIALYSATE LIQUID FOR HEMODIALYZER}
본 발명은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의 투석과정에서 혈액온도가 체온보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온에 맞는 일정온도로 히팅하여 줌으로써, 환자의 혈관 수축을 방지하고 체내에서 빠른 활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온은 인체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병원에서는 통상 환자의 혈압과 맥박, 호흡, 그리고 체온을 필수적으로 확인하는데, 체온이 인체의 기능을 제대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체온은 인체를 구성하는 각 장기와 혈액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에 따라 체온은 인체가 정상적인 활동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인체가 활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몸 속 효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효소는 체온이 36 ~ 37.5℃에서 가장 활발하게 만들어지고 왕성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해 적정 체온이 유지될 때 인체의 면역체계(자연치유력)와 혈액순환, 대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음을 뜻한다. 지금까지의 연구 등에 따르면, 적정 체온보다 1도가 떨어지면 대사능력이 12%, 면역력이 30% 저하된다고 한다. 반면에 체온이 1도 상승하면 면역력이 50%가 증가한다고 한다. 따라서, 체온이 정상보다 낮은 상태가 지속되면 면역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체온을 유지하는 중요한 인자로는 혈액을 들 수 있다. 혈액은 혈관을 따라 인체 전체를 순환하면서, 산소와 함께 인체의 온도와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신장은 혈액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와 같은 기능을 한다. 신장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 속의 불순물을 필터링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액투석기를 이용하여 혈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체내로 주입한다. 즉, 혈액 투석은 신체의 혈액 일부를 뽑아 그 속의 노폐물만 걸러내어 제거하고 깨끗해진 혈액을 다시 혈관으로 다시 넣어주는 것을 뜻한다. 통상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시행되며 혈액 투석기(인공 신장기)와 투석막을 이용하여 혈액으로부터 노폐물을 제거하고 신체 내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과잉의 수분을 제거하고 깨끗해진 혈액을 넣어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혈액투석 중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혈압감소를 경험한다. 혈압감소는 투석환자의 20 ~ 30%가 경험하는 흔한 합병증으로 짧은 시간 동안 과도한 초여과로 인한 수분제거 및 혈관 내 용적감소로 인해 혈장의 재충전 및 정맥용량 감소와 같은 부적절한 보상적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압감소는 혈액투석과정에서 발생하는 체온상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는 내적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가지고 있는데, 혈액투석과정에서 동정맥루를 통해 혈액이 혈액투석기인 체외로 순환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서 혈액의 온도가 낮아지고, 이 혈액이 다시 체내로 들어오면 체온조절 중추의 작용을 통해 열발생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투석시 초여과량에 의한 수분손실은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열 발산을 방해함으로써 심부온도를 더 상승시키게 되고, 이러한 열 발생의 증가와 열 발산의 감소로 인해 심부온도가 상승함으로써 혈관확장을 초래하여 투석 중 혈압이 낮아지는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관이나 인체 내로 직접 주입되는 투석액의 온도를 환자의 체온이나 환자의 몸 상태에 따라 투석액의 온도를 맞추어 투입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12535호(2011.01.26.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093489호(2011.12.07.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580439호(2015.12.19.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439호(2018.07.3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혈액투석기에서 배출되는 투석액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가온하여 체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일측케이스와, 상기 일측 케이스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되는 타측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튜브의 온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로 온도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일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튜브고정부; 상기 센서부의 온도신호를 전송받아 히터부의 가열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센서부, 상기 히터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케이스는, 평판형태의 일측케이스 전면부와, 상기 일측케이스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일측케이스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일측케이스 본체; 상기 일측케이스 측면부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일측힌지부; 및 상기 일측케이스 측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어 튜브가 삽입되는 유입측 튜브삽입홈과 유출측 튜브삽입홈으로 구성되는 튜브삽입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센서부는, 유입측 튜브삽입홈에 설치되는 유입측 온도센서와, 유출측 튜브삽입홈에 설치되는 유출측 온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히터부는, 전면부 내측면에 부착되는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름형 히터는, 그래핀이 전사된 그래핀 필름형 히터, 탄소나노튜브가 전사된 탄소나노튜브 필름형 히터 또는 열선이 형성된 열선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필름형 히터의 전면에는 열반사판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튜브고정부는, 튜브의 경로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튜브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튜브삽입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튜브고정부는, 일측케이스에 삽입설치되는 도전성 폴리머 재질의 고정부 본체와, 상기 고정부 본체에 튜브의 경로를 형성하는 튜브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측케이스는, 평판형태의 타측케이스 전면부와, 상기 타측케이스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타측케이스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타측케이스 본체; 및 상기 타측케이스 측면부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대응 연결되는 타측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측케이스 전면부 내측에는, 튜브고정부에 고정되는 튜브를 히팅하기 위한 LED 모듈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측케이스 전면부 내측의 LED 모듈 배면에는, 평판형 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는, 투석액이 인체 내로 투입되기 전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가온하여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통증이나 투석에 따른 혈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는, 투석액을 환자의 체내로 주입하기 전에 액상성분을 히팅함으로써, 체내 투입시 액상성분 속의 기능인자들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서 일측케이스에 설치되는 튜브고정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서 일측케이스에 설치되는 튜브고정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튜브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의 일측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의 타측케이스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의 타측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에 설치되는 튜브 배치의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1)는, 혈액투석기에서 체내로 공급되는 투석액 튜브를 감싸고 가온하여, 투석액의 온도를 체온이나 환자에게 적당한 온도로 데우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1)는, 일측케이스(11a)와 타측케이스(11b)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의 내부에 튜브(2)가 고정되고 히팅됨에 따라 튜브 내의 투석액이 가온되는 구성을 가진다.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1)의 케이스(11) 내측에는 튜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2)와, 튜브 내의 투석액을 가온하기 위한 히터부(13)와, 케이스(11)내의 튜브(2)를 고정하기 위한 튜브고정부(14)와, 튜브를 가온하기 위한 히터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7)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18)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1)의 일측케이스(11a)를 설명하면, 일측케이스(11a)는, 평판형태의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와,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일측케이스 측면부(1112a)로 이루어지는 일측케이스 본체(111a)와, 일측케이스 측면부(1112a)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일측힌지부(112a)와, 일측케이스 측면부(1112a)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어 튜브(2)가 삽입되는 유입측 튜브삽입홈(1131a)과 유출측 튜브삽입홈(1132a)으로 구성되는 튜브삽입홈부(113a)와, 일측케이스 측면부(1112a)의 하단에 일측케이스(111a)와 타측케이스(111b)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114a)로 이루어진다. 일측힌지부(112a)는 타측힌지부(11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측힌지부(112a)에는 돌기홈(1121a)이 형성되어 타측힌지부(112b)의 힌지돌기(1121b)가 삽입된다. 락킹부(114a)에는 락킹홈(1141a)이 형성되고, 락킹홈(1141a)에는 락킹돌기(1141b)가 삽입되어 락킹된다.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의 내측에는 히터부(13)가 부착되고, 히터부(13)의 전면에는 튜브고정부(14)가 구비된다. 튜브고정부(14)는,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작하여 히터부(13)의 전면에 부착되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튜브고정부(14)는, 튜브(2)의 경로에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141)으로 이루어진다. 브라켓(141)에는 튜브(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튜브삽입홈(142)이 형성된다. 센서부(12)는 튜브(2)의 유입측 및 유출측에 형성된다. 센서부(12)는 유입되는 측과 유출되는 측의 튜브(2)의 온도를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입측 튜브(21a)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입측 온도센서(121a)와 유출측 튜브(21b)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출측 온도센서(121b)로 이루어진다. 유입측 온도센서(121a)는 유입되는 투석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측 튜브(21a)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유입측 튜브(21a)와 튜브 내의 투석액의 온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투석액이 흐르는 일정구간의 튜브의 온도를 다수회 측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튜브고정부(14)의 브라켓(141)의 튜브삽입홈(142)에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유출측 튜브(21b)의 온도를 측정하여야 하므로 유출측 온도센서(121b)는 유출측 튜브삽입홈(1132a)에 설치된다. 투석액은 튜브(2) 내부를 흐르기 때문에 튜브(2)와 동일한 온도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실험을 통하여 원하는 투석액의 온도에 맞는 튜브의 온도로 보정할 필요가 있다. 즉, 튜브(2)의 온도와 튜브를 통해서 열전달되어 가온되는 투석액을 실험적으로 계산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컨트롤러(17)를 통해서 히터부(13)의 열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튜브고정부(14')를 구비한 일측케이스(11a)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튜브고정부(14')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고정부(14')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튜브고정부(14')는, 일측케이스(11a)에 삽입설치되는 도전성 폴리머 재질의 고정부 본체(141')와, 고정부 본체(141')에 튜브(2)의 경로를 형성하는 튜브삽입홈(142')으로 이루어진다. 튜브고정부(14')가 직접 튜브(2)와 접촉하게 되어, 튜브(2)의 가온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튜브(2)의 가온이 더 용이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의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하게 되면, 히터부(13)로부터 공급되는 열은 직접 튜브고정부(14')로 전달되고, 튜브고정부(14')가 튜브(2)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직접 열공급으로 인해 튜브(2)의 가온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고정부(14')의 고정부 본체(141') 상부에는 타측케이스(11b)가 개방되는 경우, 타측케이스(11b)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가이드홈(1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측케이스(11a)에 부착되는 히터부(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부(13)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 내측에 부착된다. 히터부(13)가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에 부착될 수 있도록 평판형태인 필름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와 접착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부(13)는 필름형 히터(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형 히터(131)에는 그래핀이 전사된 그래핀 필름형 히터와 탄소나노튜브가 전사된 탄소나노튜브 필름형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선을 이용한 필름형 히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필름형 히터(131)의 배면측에는 열반사판(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열반사판(132)에 의해 필름형 히터(131)에서 일측케이스 전면부(1111a) 측으로 발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히터부(13)에서 발생되는 열이 가능한 튜브(2)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필름형 히터(131)의 전면 일측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조인트(1311)가 형성된다.
도 6과 도 7은 타측케이스(11b) 및 타측케이스(11b)에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도시된 도면이다. 우선 타측케이스(11b)는, 평판형태의 타측케이스 전면부(1111b)와, 타측케이스 전면부(1111b)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타측케이스 측면부(1112b)로 이루어지는 타측케이스 본체(111b)와, 타측케이스 측면부(1112b)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일측힌지부(112a)에 회전가능하게 대응 연결되는 타측힌지부(112b)와, 타측케이스 측면부(1112b)의 하부에 형성되어 락킹부(114a)와 함께 락킹되는 대응 락킹부(114b)로 이루어진다. 대응 락킹부(114b)에는 락킹돌기(1141b)가 형성되어, 락킹부(114a)의 락킹홈(1141a)에 삽입 체결된다. 또한, 타측케이스 측면부(1112b)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유입측 튜브삽입홈(1131b)과 유출측 튜브삽입홈(113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측케이스 전면부(1111b)에는 전원스위치홀(1113b)과 작동 LED 홀(114b)이 마련될 수 있다. 타측힌지부(112b)는 일측힌지부(112a)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일측힌지부(112a)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형태를 가진다. 타측힌지부(112b)에는 일측힌지부(112a)의 돌기홈(1121a)에 삽입될 수 있는 힌지돌기(1121b)가 형성되고, 힌지돌기(1121b)는 돌기홈(1121a)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타측케이스 전면부(1111b)에는 LED 모듈(15)이 장착된다. LED 모듈(15)은 튜브(2)의 경로에 맞춰 장착되며, LED 모듈(15)은 튜브(2)를 2차적으로 가온할 수 있다. LED 모듈(15)은 기판(151)과 기판(151)에 형성되는 LED(152)로 이루어진다. LED 모듈(15)의 배면측에는 평판형 히터(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평판형 히터(16)는 필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름형 히터로는 그래핀 필름, 탄소나노튜브 필름 또는 열선이 형성된 필름형 히터일 수 있다. 평판형 히터(16)는 평판형 히터본체(161)와 전선이 연결되는 조인트(162)로 이루어진다. 평판형 히터(16) 또는 타측케이스 전면부(1111b)에는 컨트롤러(17)와 스위치부(18)가 장착될 수 있다. 스위치부(18)는 전원 스위치(181)와 작동 LED(182)와 기판(183)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튜브(2)가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튜브(2)의 배치가 M자를 눕혀놓은 형태이고, 도 8(b)는 튜브(2)의 배치가 S의 역방향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 이외에 튜브(2) 내의 투석액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 튜브(2)를 지그재그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작동 블럭도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전원(3)은 스위치부(18)의 전원스위치(181)가 눌리면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3)은 상시전원 또는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센서부(12)의 유입측 온도센서(121a)로 유입측 튜브(21a)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유출측 온도센서(121b)로 유출측 튜브(21b)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12)에서 측정된 온도신호는 컨트롤러(17)로 전송되고, 온도신호를 전송받은 컨트롤러(17)는 히터부(13)를 구동한다. 히터부(13)의 구동과 함께 더 많은 열량이 필요한 경우 LED 모듈(15)과 타측케이스 전면부(1111b)에 부착되는 히터(16)를 구동한다. 그에 따라 발생되는 열량이 많아지고, 튜브(2)의 가열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컨트롤러(17)는 히터부(13)와 LED 모듈(15) 및 히터(16)의 구동을 제어하여 튜브(2) 내의 투석액의 온도를 환자의 상태에 맞춰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7)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1)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석액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환자의 혈압이 떨어지거나 한기를 느끼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체내의 온도에 적합하게 조절된 투석액의 투입은 환자의 항상성 및 투석액의 기능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11 : 케이스 11a : 일측케이스
11b : 타측케이스 12 : 센서부
13 : 히터부 14 : 튜브고정부
15 : LED 모듈 16 : 히터
17 : 컨트롤러 18 : 스위치부

Claims (11)

  1. 튜브고정부가 설치되는 일측케이스와, 상기 일측 케이스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되는 타측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튜브의 온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로 온도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일측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튜브고정부;
    상기 센서부의 온도신호를 전송받아 히터부의 가열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상기 센서부, 상기 히터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케이스는,
    평판형태의 일측케이스 전면부와, 상기 일측케이스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일측케이스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일측케이스 본체;
    상기 일측케이스 측면부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일측힌지부; 및
    상기 일측케이스 측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되어 튜브가 삽입되는 유입측 튜브삽입홈과 유출측 튜브삽입홈으로 구성되는 튜브삽입홈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유입측 튜브삽입홈에 설치되는 유입측 온도센서와, 상기 유출측 튜브삽입홈에 설치되는 유출측 온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전면부 내측면에 부착되는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히터는, 그래핀이 전사된 그래핀 필름형 히터, 탄소나노튜브가 전사된 탄소나노튜브 필름형 히터 또는 열선이 형성된 열선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히터의 전면에는 열반사판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고정부는,
    튜브의 경로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튜브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튜브삽입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고정부는,
    상기 일측케이스에 삽입설치되는 도전성 폴리머 재질의 고정부 본체와, 상기 고정부 본체에 튜브의 경로를 형성하는 튜브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케이스는,
    평판형태의 타측케이스 전면부와, 상기 타측케이스 전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타측케이스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타측케이스 본체; 및
    상기 타측케이스 측면부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대응 연결되는 타측힌지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케이스 전면부 내측에는, 상기 튜브고정부에 고정되는 튜브를 히팅하기 위한 LED 모듈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케이스 전면부 내측의 LED 모듈 배면에는, 그래핀 평판형 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KR1020220092182A 2022-07-26 2022-07-26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KR20240014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82A KR20240014701A (ko) 2022-07-26 2022-07-26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82A KR20240014701A (ko) 2022-07-26 2022-07-26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701A true KR20240014701A (ko) 2024-02-02

Family

ID=8990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182A KR20240014701A (ko) 2022-07-26 2022-07-26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70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35B1 (ko) 2008-07-22 2011-02-07 박재상 의료용 가온장치
KR101093489B1 (ko) 2011-06-02 2011-12-16 박시명 가온기능을 갖는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혈액여과 또는 복막투석용 장치
KR101580439B1 (ko) 2014-05-08 2015-12-24 조태범 투석액 재생 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투석장치
KR20180086439A (ko) 2015-11-17 2018-07-31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가열 및 냉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투석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35B1 (ko) 2008-07-22 2011-02-07 박재상 의료용 가온장치
KR101093489B1 (ko) 2011-06-02 2011-12-16 박시명 가온기능을 갖는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혈액여과 또는 복막투석용 장치
KR101580439B1 (ko) 2014-05-08 2015-12-24 조태범 투석액 재생 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투석장치
KR20180086439A (ko) 2015-11-17 2018-07-31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가열 및 냉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투석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609B2 (ja) 腹膜透析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572641B2 (en) Devices for warming fluid and methods of use
JP5505905B2 (ja) 腹膜透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93489B1 (ko) 가온기능을 갖는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혈액여과 또는 복막투석용 장치
JP2013248519A (ja) 二重電圧加熱回路を有する腹膜透析器及びその動作方法
EP3141273B1 (en) Fluid-based hyper/hypothermia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device
CN106237412B (zh) 血液净化系统的溶液回路设备和血液净化系统
EP2532999A1 (en) Heat exchange device
JP2011504385A (ja) 加熱式透析液容器を備える透析液タンク、対応する透析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10379257A1 (en) Fluid warming device for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luid temperature at an outlet of a fluid warming device for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KR20240014701A (ko) 혈액투석기용 투석액 가온장치
WO2015074999A1 (en) A warm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warming
US20230285647A1 (en) Renal failure therapy systems having reduced time between treatments
KR20160037356A (ko) 부분 보강형 온열매트
CN210728319U (zh) 一种装有控温加热模块的血液透析导管结构
US11806460B2 (en) Syringe warmer
JP7154128B2 (ja) 血液浄化装置
CN206979782U (zh) 一种肾内科用血液透析装置
JP2009028340A (ja) 脳保護装置
CN216417941U (zh) 一种基于血浆置换治疗的简易血浆加温装置
CN215995053U (zh) 一种腹膜透析设备
US20230302207A1 (en) Dialysis system having thermoelectric heating
CN215875719U (zh) 一种肾内科临床血液透析装置
CN217187195U (zh) 一种用于透析液或置换液预热的便捷式加热装置
CN218923419U (zh) 一种高效安全防护的医用输液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