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466A -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466A
KR20240014466A KR1020237039728A KR20237039728A KR20240014466A KR 20240014466 A KR20240014466 A KR 20240014466A KR 1020237039728 A KR1020237039728 A KR 1020237039728A KR 20237039728 A KR20237039728 A KR 20237039728A KR 20240014466 A KR20240014466 A KR 20240014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p
inform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i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로 시모다
미츠루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9Address allocation for group communication, multicast communication or broadcas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중앙 유닛(IAB-Donor CU) 및 분산 유닛(IAB-Donor DU)로 구성되고, 액세스 백홀 통합의 도너로서 동작하는 제1 기지국과, 액세스 백홀 통합의 노드(IAB-node)로서 동작하는 1개 이상의 제2 기지국을 포함하고, 중앙 유닛이 분산 유닛 및 제2 기지국에 대해서, 통신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행하는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 중앙 유닛으로부터 통신 단말을 향해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을 행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규격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무선 구간에 대해서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으로 부르고,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하, 합쳐서 네트워크라고도 칭함)를 포함한 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시스템 아키텍쳐 에볼루션(System Architecture Evolution:SAE)으로 불리는 통신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5). 이 통신 방식은 3.9G(3.9Generation)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LTE의 액세스 방식으로서는, 하향 방향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상향 방향은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이용된다. 또, LTE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는 달리, 회선 교환을 포함하지 않고, 패킷 통신 방식만으로 이루어진다.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되는, 3GPP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결정 사항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이다.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동일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분할된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동일한 크기의 슬롯(slot)으로 분할된다. 무선 프레임마다 첫 번째 및 여섯 번째의 서브프레임에 하향 동기 신호(Downlink 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다. 동기 신호에는, 제1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와, 제2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가 있다.
3GPP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구성에 관한 결정 사항이,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되어 있다.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에 있어서도 non-CSG 셀과 같은 채널 구성이 이용되는 것으로 상정되고 있다.
물리 알림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은, 기지국 장치(이하, 단순히 「기지국」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부터 이동 단말 장치(이하, 단순히 「이동 단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등의 통신 단말 장치(이하, 단순히 「통신 단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의 하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BCH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은, 40ms 간격 중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 매핑된다. 40ms 타이밍의 명백한 시그널링은 없다.
물리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하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CFICH는, PDCCHs를 위해 이용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의 수를,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에 통지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마다 송신된다.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하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DCCH는, 후술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하나인 하향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DL-SCH)의 리소스 할당(allocation) 정보, 후술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하나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PCH)의 리소스 할당(allocation) 정보, DL-SCH에 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통지한다. PDCCH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를 운반한다. PDCCH는, 상향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운반한다. PDCCH는, L1/L2 제어 신호라고도 불린다.
물리 하향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하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DSCH에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하향 공유 채널(DL-SCH), 및 트랜스포트 채널인 PCH가 매핑되어 있다.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PM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하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MCH에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MCH)이 매핑되어 있다.
물리 상향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은,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UCCH는, 하향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response signal)인 Ack/Nack를 운반한다. PUCCH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운반한다. CSI는,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리포트로 구성된다. RI는, MIMO에 있어서의 채널 행렬의 랭크 정보이다. PMI는, MIMO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웨이트 행렬의 정보이다. CQI란, 수신한 데이터의 품질, 혹은 통신로 품질을 나타내는 품질 정보이다. 또 PUCCH는, 스케줄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SR)를 운반한다.
물리 상향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은,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USCH에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하나인 상향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UL-SCH)이 매핑되어 있다.
물리 HARQ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PHI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하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HICH는, 상향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Nack를 운반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은,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 송신용의 채널이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운반한다.
하향 참조 신호(레퍼런스 시그널(Reference Signal):RS)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지의 심볼이다. 이하의 5종류의 하향 레퍼런스 시그널이 정의되어 있다. 셀 고유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CRS), MBSFN 참조 신호(MBSFN Reference Signal), UE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인 데이터 복조용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위치 결정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P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 통신 단말의 물리 레이어의 측정으로서, 레퍼런스 시그널의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 측정이 있다.
상향 참조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지의 심볼이다. 이하의 2종류의 상향 레퍼런스 시그널이 정의되어 있다. 데이터 복조용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사운드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SRS)이다.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되는 트랜스포트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 트랜스포트 채널 중, 알림 채널(Broadcast Channel:BCH)은, 그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에 알려진다. BCH는, 물리 알림 채널(PBCH)에 매핑된다.
하향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DL-SCH)에는, HARQ(Hybrid ARQ)에 의한 재발송 제어가 적용된다. DL-SCH는,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로의 알림이 가능하다. DL-SCH는, 다이나믹 혹은 준 정적(Semi-static)인 리소스 할당을 지원한다. 준 정적인 리소스 할당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라고도 한다. DL-SCH는, 통신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를 위해 통신 단말의 간헐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을 지원한다. DL-SCH는, 물리 하향 공유 채널(PDSCH)에 매핑된다.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PCH)은, 통신 단말의 저소비 전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통신 단말의 DRX를 지원한다. PCH는,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로의 알림이 요구된다. PCH는, 동적으로 트래픽에 이용할 수 있는 물리 하향 공유 채널(PDSCH)과 같은 물리 리소스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MCH)은,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로의 알림에 사용된다. MCH는, 멀티 셀 송신에 있어서의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MTCH와 MCCH)의 SFN 합성을 지원한다. MCH는, 준 정적인 리소스 할당을 지원한다. MCH는, PMCH에 매핑된다.
상향 트랜스포트 채널 중, 상향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UL-SCH)에는, HARQ(Hybrid ARQ)에 의한 재발송 제어가 적용된다. UL-SCH는, 다이나믹 혹은 준 정적(Semi-static)인 리소스 할당을 지원한다. UL-SCH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에 매핑된다.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RACH)은, 제어 정보에 한정되어 있다. RACH는, 충돌의 리스크가 있다. RACH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에 매핑된다.
HARQ에 대해 설명한다. HARQ란, 자동 재발송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ARQ)와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의 조합에 의해, 전송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HARQ에는, 통신 품질이 변화하는 전송로에 대해서도, 재발송에 의해 오류 정정이 유효하게 기능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재발송에 있어서 최초 송신의 수신 결과와 재발송의 수신 결과의 합성을 하는 것으로, 추가의 품질 향상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재발송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수신 측에서,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없었던 경우, 환언하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한 경우(CRC=NG),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으로 「Nack」를 송신한다. 「Nack」를 수신한 송신측은, 데이터를 재발송한다. 수신 측에서,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할 수 있었던 경우, 환언하면 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CRC=OK),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으로 「Ack」를 송신한다. 「Ack」를 수신한 송신측은 다음 데이터를 송신한다.
비특허문헌 1(6장)에 기재되는 논리 채널(로직 채널:Logical Channel)에 대해, 설명한다. 알림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BCCH)은, 알림 시스템 제어 정보를 위한 하향 채널이다. 논리 채널인 B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알림 채널(BCH), 혹은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페이징 제어 채널(Paging Control Channel:PCCH)은,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 및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의 변경을 송신하기 위한 하향 채널이다. PCCH는, 통신 단말의 셀 로케이션을 네트워크가 모르는 경우에 이용된다. 논리 채널인 P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페이징 채널(PCH)에 매핑된다.
공유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CCCH)은, 통신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송신 제어 정보를 위한 채널이다. CCCH는, 통신 단말이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RRC 접속(connection)을 갖지 않은 경우에 이용된다. 하향 방향에서는, C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상향 방향에서는, C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상향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MCCH)은, 1대 다의 송신을 위한 하향 채널이다. MCCH는,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1개 혹은 몇 개의 MTCH용의 MBMS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이용된다. MCCH는, MBMS 수신중의 통신 단말에만 이용된다. M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멀티캐스트 채널(MCH)에 매핑된다.
개별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DCCH)은, 1대 1에서, 통신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개별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채널이다. DCCH는, 통신 단말이 RRC 접속(connection)인 경우에 이용된다. DCCH는, 상향에서는 상향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되고, 하향에서는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개별 트래픽 채널(Dedicated Traffic Channel:DTCH)은, 사용자 정보의 송신을 위한 개별 통신 단말로의 1대 1 통신의 채널이다. DTCH는, 상향 및 하향 모두에 존재한다. DTCH는, 상향에서는 상향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되고, 하향에서는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MTCH)은,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트래픽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향 채널이다. MTCH는, MBMS 수신 중의 통신 단말에만 이용되는 채널이다. MTCH는, 멀티캐스트 채널(MCH)에 매핑된다.
CGI란,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이다. ECGI란, E-UTRAN 셀 글로벌 식별자(E-UTRAN Cell Global Identifier)이다. LTE, 후술하는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도입된다.
통신 단말의 위치 추적은, 1개 이상의 셀로 이루어지는 구역을 단위로 행해진다. 위치 추적은, 대기 상태라도 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통신 단말을 호출하는, 환언하면 통신 단말이 착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이 통신 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한 구역을 트랙킹 에리어라고 부른다.
또 3GPP에서는, 릴리스 10으로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LTE-A)의 규격 책정이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참조). LTE-A는, LTE의 무선 구간 통신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그것에 몇 가지 신기술을 더하여 구성된다.
LTE-A 시스템에서는, 100MHz까지의 것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transmission bandwidths)을 지원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컴퍼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CC)를 집약하는(「어그리게이션(aggregation)하는」라고도 칭함),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CA)이 검토되고 있다. CA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CA가 구성되는 경우, 통신 단말인 UE는 네트워크(Network:NW)와 유일한 RRC 접속(RRC connection)을 갖는다. RRC 접속에 있어서, 1개의 서빙셀이 NAS 모빌리티 정보와 시큐리티 입력을 부여한다. 이 셀을 1차 셀(Primary Cell:PCell)이라고 부른다. 하향 링크에서, P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하향 프라이머리 컴퍼넌트 캐리어(Down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DL PCC)이다. 상향 링크에서, P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상향 프라이머리 컴퍼넌트 캐리어(Up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UL PCC)이다.
UE의 능력(케이퍼빌리티(capability))에 따라, 2차 셀(Secondary Cell:SCell)이, PCell과 함께, 서빙셀의 세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하향 링크에서, S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하향 2차 컴포넌트 캐리어(Downlink Secondary Component Carrier:DL SCC)이다. 상향 링크에서, S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상향 2차 컴포넌트 캐리어(Uplink Secondary Component Carrier:UL SCC)이다.
1개의 PCell과 1개 이상의 SCell로 이루어지는 서빙셀의 세트가, 1개의 UE에 대해서 구성된다.
또, LTE-A에서의 신기술로서는, 보다 넓은 대역을 지원하는 기술(Wider bandwidth extension), 및 다지점 협조 송수신(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CoMP) 기술 등이 있다. 3GPP에서 LTE-A를 위해 검토되고 있는 CoMP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또, 3GPP에 있어서, 장래의 방대한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해서, 스몰 셀을 구성하는 스몰 eNB(이하 「소규모 기지국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스몰 eNB를 설치하여, 다수의 스몰 셀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여, 통신 용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기술 등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UE가 2개의 eNB와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DC로 약칭됨) 등이 있다. DC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중 접속(DC)을 행하는 eNB 중, 한쪽을 「마스터 eNB(MeNB로 약칭됨)」라고 하고, 다른 쪽을 「세컨더리 eNB(SeNB로 약칭됨)」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의 트래픽량은, 증가 경향에 있고, 통신 속도도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LTE 및 LTE-A가 본격적으로 운용이 개시되면, 통신 속도가 더 고속화되는 것이 전망된다.
또한, 고도화하는 이동 통신에 대해서, 2020년 이후에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 제5세대(이하 「5G」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유럽에서는, METIS라고 하는 단체에서 5G의 요구 사항이 정리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참조).
5G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 대해서, 시스템 용량은 1000배,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00배, 데이터의 처리 지연은 10분의 1(1/10), 통신 단말의 동시 접속수는 100배로서, 추가의 저소비 전력화, 및 장치의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을 요건으로서 들고 있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3GPP에서는, 릴리스 15로서, 5G의 규격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6~19 참조). 5G의 무선 구간의 기술은 「New Radio Access Technology」라고 칭해진다(「New Radio」는 「NR」로 약칭됨).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여 검토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으로부터의 변경 및 추가가 행해지고 있다.
NR의 액세스 방식으로서는, 하향 방향은 OFDM, 상향 방향은 OFDM, DFT-s-OFDM(DFT-spread-OFDM)이 이용된다.
NR에서는, 전송 속도 향상, 처리 지연 저감을 위해서, LTE에 비해 높은 주파수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NR에 있어서는, 좁은 빔 형상의 송수신 범위를 형성하고(빔 포밍) 또한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는(빔 스위핑) 것에 의해, 셀 커버리지의 확보가 도모된다.
NR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서브캐리어 간격, 즉, 여러가지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지원되고 있다. NR에 있어서는, 뉴머롤로지에 의하지 않고, 1 서브프레임은 1 밀리초이며, 또, 1 슬롯은 14 심볼로 구성된다. 또, 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수는, 서브캐리어 간격 15kHz의 뉴머롤로지에 있어서는 1개이고, 다른 뉴머롤로지에 대해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비례하여 많아진다(비특허문헌 13(3GPP TS38.211) 참조).
NR에 있어서의 하향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버스트(Synchronization Signal Burst:이하, SS 버스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서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계속 시간을 갖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SS 버스트는, 기지국의 빔마다의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이하, SS 블록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의해 구성된다.
기지국은 SS 버스트의 계속 시간 내에 있어서 각 빔의 SS 블록을, 빔을 바꾸어 송신한다. SS 블록은, P-SS, S-SS, 및 PBCH에 의해 구성된다.
NR에 있어서는, NR의 하향 참조 신호로서,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의 추가에 의해, 위상 잡음의 영향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상향 참조 신호에 있어서도, 하향과 마찬가지로 PTRS가 추가되고 있다.
NR에 있어서는, 슬롯 내에 있어서의 DL/UL의 전환을 유연하게 행하기 위해,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에 슬롯 구성 통지(Slot Format Indication:SFI)가 추가되었다.
또, NR에 있어서는, 캐리어 주파수대 중 일부(이하, Bandwidth Part(BWP)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기지국이 UE에 대해서 미리 설정하고, UE가 해당 BWP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 UE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이 도모된다.
3GPP에서는, DC의 형태로서, EPC에 접속하는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에 의한 DC, 5G 코어 시스템에 접속하는 NR 기지국에 의한 DC, 또, 5G 코어 시스템에 접속하는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에 의한 DC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2, 16, 19 참조).
또, 3GPP에서는, 사이드링크(SL:Side Link) 통신(PC5 통신이라고도 칭함)을 이용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라도 좋다)를, 후술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에 있어서도, 5G 코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지원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16, 20, 21, 22, 23 참조). SL 통신에서는 단말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SL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V2X(Vehicle-to-everything) 서비스, 프록시미티 서비스 등이 있다. SL 통신에 있어서는, 단말간의 직접 통신뿐만이 아니라, 릴레이(relay)를 거친 UE와 NW 사이의 통신이 제안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0, 23, 26, 27 참조).
또, 3GPP에서는, 몇 개의 새로운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NR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검토되고 있다. NR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신뢰성을 확보한 멀티캐스트 방식, 포인트 투 멀티 포인트(Point To Multipoint:PTM) 송신과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PTP) 송신의 동적인 전환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8, 29, 30 참조). 또, CU(Central Unit:중앙 유닛)/DU(Distributed Unit:분산 유닛) 분리 구성의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에 대해서도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1 참조).
다른 예로서, UE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인 액세스 링크, 기지국 사이의 링크인 백홀 링크를 모두 무선으로 행하는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IAB)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6, 32, 33 참조).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16.5.0 [비특허문헌 2] 3GPP S1-083461 [비특허문헌 3] 3GPP TR 36.814 V9.2.0 [비특허문헌 4] 3GPP TR 36.912 V16.0.0 [비특허문헌 5] "Scenarios, requirements and KPIs for 5G mobile and wireless system", ICT-317669-METIS/D1.1 [비특허문헌 6] 3GPP TR 23.799 V14.0.0 [비특허문헌 7] 3GPP TR 38.801 V14.0.0 [비특허문헌 8] 3GPP TR 38.802 V14.2.0 [비특허문헌 9] 3GPP TR 38.804 V14.0.0 [비특허문헌 10] 3GPP TR 38.912 V16.0.0 [비특허문헌 11] 3GPP RP-172115 [비특허문헌 12] 3GPP TS 37.340 V16.5.0 [비특허문헌 13] 3GPP TS 38.211 V16.5.0 [비특허문헌 14] 3GPP TS 38.213 V16.5.0 [비특허문헌 15] 3GPP TS 38.214 V16.5.0 [비특허문헌 16] 3GPP TS 38.300 V16.5.0 [비특허문헌 17] 3GPP TS 38.321 V16.4.0 [비특허문헌 18] 3GPP TS 38.212 V16.5.0 [비특허문헌 19] 3GPP TS 38.331 V16.4.1 [비특허문헌 20] 3GPP TR 23.703 V12.0.0 [비특허문헌 21] 3GPP TS 23.501 V17.0.0 [비특허문헌 22] 3GPP TS 23.287 V16.5.0 [비특허문헌 23] 3GPP TS 23.303 V16.0.0 [비특허문헌 24] 3GPP TS 38.305 V16.4.0 [비특허문헌 25] 3GPP TS 23.273 V17.0.0 [비특허문헌 26] 3GPP R2-2009145 [비특허문헌 27] 3GPP TR 38.836 V17.0.0 [비특허문헌 28] 3GPP TR 23.757 V17.0.0 [비특허문헌 29] 3GPP RP-201038 [비특허문헌 30] 3GPP R2-2009337 [비특허문헌 31] 3GPP R3-211029 [비특허문헌 32] 3GPP RP-201293 [비특허문헌 33] 3GPP TS 38.401 V16.5.0 [비특허문헌 34] 3GPP TS 36.321 V16.4.0 [비특허문헌 35] 3GPP TS 38.473 V16.5.0 [비특허문헌 36] 3GPP TS 38.340 V16.4.0 [비특허문헌 37] 3GPP TS 23.502 V17.0.0 [비특허문헌 38] 3GPP TS 38.413 V16.5.0 [비특허문헌 39] 3GPP TS 38.323 V16.3.0 [비특허문헌 40] 3GPP TS 38.322 V16.2.0 [비특허문헌 41] 3GPP R3-210017
5G 방식의 기지국은,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IAB)(비특허문헌 16(TS38.300) 참조)을 지원 가능하다. 또, IAB를 지원하는 기지국(이하, IAB 기지국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트를 행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비특허문헌 41(R3-210017) 참조). 그런데,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의 상세한 설정 방법, 특히, IAB 노드 사이의 라우팅 등을 행하는 BAP(Backhaul Adaptation Protocol) 레이어에 있어서의 설정 등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를 실현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에 비추어, 액세스 백홀 통합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으로 구성되고, 액세스 백홀 통합의 도너로서 동작하는 제1 기지국과, 액세스 백홀 통합의 노드로서 동작하는 1개 이상의 제2 기지국을 포함하고, 중앙 유닛이 분산 유닛 및 제2 기지국에 대해서, 통신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행하는 백홀 적응 레이어(backhaul adaptation layer)에 있어서 중앙 유닛으로부터 통신 단말을 향해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을 행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액세스 백홀 통합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3GPP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3GPP에 있어서 논의되고 있는 NR 방식의 통신 시스템(2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EPC에 접속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5는 NG 코어에 접속하는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6은 NG 코어에 접속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7은 NG 코어에 접속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이동 단말(2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2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MM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5GC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UE)이 행하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까지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NR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어드레스의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헤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의 설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의 전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의 설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의 후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비트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예를, IAB 도너 CU로부터 UE까지의 프로토콜 스택 상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실시의 형태 3에 대해, 데이터의 복수의 경로가 도중에 합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 38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2는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3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4는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5는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6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8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0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2는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3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4는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MN과 릴레이 UE#S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7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을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2는, 3GPP에 있어서 논의되고 있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1)으로 칭해진다. 통신 단말 장치인 이동 단말 장치(이하 「이동 단말(User Equipment:UE)」라고 함)(202)는,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E-UTRAN NodeB:eNB)」라고 함)(203)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무선 통신으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 장치」는, 이동 가능한 휴대전화 단말 장치 등의 이동 단말 장치뿐만이 아니라, 센서 등의 이동하지 않는 디바이스도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를, 단순히 「통신 단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동 단말(202)에 대한 제어 프로토콜, 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사용자 플레인(이하, U-Plane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예를 들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 layer)가 기지국(203)에서 종단한다면, E-UTRAN은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203)에 의해 구성된다.
이동 단말(202)과 기지국(203) 사이의 제어 프로토콜 RRC(Radio Resource Control)는, 알림(Broadcast), 페이징(paging), RRC 접속 매니지먼트(RRC connection management) 등을 행한다. RRC에 있어서의 기지국(203)과 이동 단말(202)의 상태로서, RRC_IDLE와, RRC_CONNECTED가 있다.
RRC_IDLE에서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SI)의 알림, 페이징(paging),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모빌리티 등이 행해진다. RRC_CONNECTED에서는, 이동 단말은 RRC 접속(connection)을 갖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 RRC_CONNECTED에서는, 핸드오버(Handover:HO), 인접 셀(Neighbor cell)의 측정(메저먼트(measurement)) 등이 행해진다.
기지국(203)은, 1개 혹은 복수의 eNB(207)에 의해 구성된다. 또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E-UTRAN(201)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은,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칭해진다. 코어 네트워크인 EPC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E-UTRAN(201)을 합쳐, 「네트워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eNB(207)는,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혹은 S-GW(Serving Gateway), 혹은 MME 및 S-GW를 포함하는 MME/S-GW부(이하 「MME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204)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eNB(207)와 MME부(204)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1개의 eNB(207)에 대해서, 복수의 MME부(204)가 접속되어도 좋다. eNB(207) 사이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eNB(207)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MME부(204)는, 상위 장치, 구체적으로는 상위 노드이며, 기지국인 eNB(207)와, 이동 단말(UE)(202)과의 접속을 제어한다. MME부(204)는, 코어 네트워크인 EPC를 구성한다. 기지국(203)은, E-UTRAN(201)을 구성한다.
기지국(203)은, 1개의 셀을 구성해도 좋고, 복수의 셀을 구성해도 좋다. 각 셀은, 이동 단말(202)과 통신 가능한 범위인 커버리지로서 미리 정하는 범위를 갖고, 커버리지 내에서 이동 단말(202)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1개의 기지국(203)이 복수의 셀을 구성하는 경우, 하나하나의 셀이, 이동 단말(202)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은, 3GPP에 있어서 논의되고 있는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2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211)으로 칭해진다. UE(202)는, NR 기지국 장치(이하 「NR 기지국(NG-RAN NodeB:gNB)」이라고 함)(213)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무선 통신으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코어 네트워크는, 5G 코어(5G Core:5GC)라고 칭해진다.
UE(202)에 대한 제어 프로토콜, 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사용자 플레인(이하, U-Plane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예를 들면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 layer)가 NR 기지국(213)에서 종단한다면, NG-RAN은 1개 혹은 복수의 NR 기지국(213)에 의해 구성된다.
UE(202)와 NR 기지국(213) 사이의 제어 프로토콜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기능은 LTE와 마찬가지이다. RRC에 있어서의 NR 기지국(213)과 UE(202)의 상태로서, RRC_IDLE와, RRC_CONNECTED와, RRC_INACTIVE가 있다.
RRC_IDLE, RRC_CONNECTED는, LTE 방식과 마찬가지이다. RRC_INACTIVE는 5G 코어와 NR 기지국(213) 사이의 접속이 유지되면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SI)의 알림, 페이징(paging),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모빌리티 등이 행해진다.
gNB(217)는, 액세스 이동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SMF), 혹은 UPF(User Plane Function), 혹은 AMF, SMF 및 UPF를 포함하는 AMF/SMF/UPF부(이하 「5GC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214)와 NG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다. gNB(217)와 5GC부(214)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된다. NG 인터페이스는, gNB(217)와 AMF 사이의 N2 인터페이스, gNB(217)와 UPF 사이의 N3 인터페이스, AMF와 SMF 사이의 N11 인터페이스, 및, UPF와 SMF 사이의 N4 인터페이스의 총칭이다. 1개의 gNB(217)에 대해서, 복수의 5GC부(214)가 접속되어도 좋다. gNB(217) 사이는, Xn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gNB(217)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된다.
5GC부(214)는, 상위 장치, 구체적으로는 상위 노드이며,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에 대해서, 페이징 신호의 분배를 행한다. 또, 5GC부(214)는, 대기 상태(Idle State)의 모빌리티 제어(Mobility Control)를 행한다. 5GC부(214)는, 이동 단말(202)이 대기 상태일 때, 인 액티브 상태(Inactive State) 및,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일 때에, 트랙킹 에리어(Tracking Area) 리스트의 관리를 행한다. 5GC부(214)는, 이동 단말(202)이 등록되어 있는(registered) 추적 영역(트랙킹 에리어:Tracking Area)에 속하는 셀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페이징 프로토콜에 착수한다.
NR 기지국(213)도, 기지국(203)과 마찬가지로, 1개 혹은 복수의 셀을 구성해도 좋다. 1개의 NR 기지국(213)이 복수의 셀을 구성하는 경우, 하나하나의 셀이, UE(202)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gNB(217)는, 중앙 유닛(Central Unit:이하, CU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218)과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이하, DU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219)으로 분할되고 있어도 좋다. CU(218)는, gNB(217) 안에 1개 구성된다. DU(219)는, gNB(217) 안에 1개 혹은 복수 구성된다. CU(218)는, DU(219)와 F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CU(218)와 DU(219)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된다.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21(3GPP TS23.501)에 기재된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UDM) 기능, 폴리시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PCF)이 포함되어도 좋다. UDM 및/또는 PCF는, 도 3에 있어서의 5GC부(214)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24(3GPP TS38.305)에 기재된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LMF)이 마련되어도 좋다. LMF는, 비특허문헌 25(3GPP TS23.273)에 개시되어 있듯이, AMF를 경유하여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21(3GPP TS23.501)에 기재된 비 3GPP 상호 동작 기능(Non-3GPP Interworking Function:N3IWF)이 포함되어도 좋다. N3IWF는, UE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 3GPP 액세스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AN)를 UE와의 사이에서 종단해도 좋다.
도 4는, EPC에 접속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eNB(223-1)가 마스터 기지국으로 되고, gNB(224-2)가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된다(이 DC 구성을, EN-D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도 4에 있어서, MME부(204)와 gNB(224-2) 사이의 U-Plane 접속이 eNB(223-1) 경유로 행해지는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MME부(204)와 gNB(224-2) 사이에서 직접 행해져도 좋다.
도 5는, NG 코어에 접속하는 gNB에 의한 D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gNB(224-1)가 마스터 기지국으로 되고, gNB(224-2)가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된다(이 DC 구성을, NR-D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도 5에 있어서, 5GC부(214)와 gNB(224-2) 사이의 U-Plane 접속이 gNB(224-1) 경유로 행해지는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5GC부(214)와 gNB(224-2) 사이에서 직접 행해져도 좋다.
도 6은, NG 코어에 접속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eNB(226-1)가 마스터 기지국으로 되고, gNB(224-2)가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된다(이 DC 구성을, NG-EN-D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도 6에 있어서, 5GC부(214)와 gNB(224-2) 사이의 U-Plane 접속이 eNB(226-1) 경유로 행해지는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5GC부(214)와 gNB(224-2) 사이에서 직접 행해져도 좋다.
도 7은, NG 코어에 접속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gNB(224-1)가 마스터 기지국으로 되고, eNB(226-2)가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된다(이 DC 구성을, NE-D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도 7에 있어서, 5GC부(214)와 eNB(226-2) 사이의 U-Plane 접속이 gNB(224-1) 경유로 행해지는 예에 대해 나타내고 있지만, 5GC부(214)와 eNB(226-2) 사이에서 직접 행해져도 좋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이동 단말(2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이동 단말(202)의 송신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프로토콜 처리부(30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부(302)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버퍼부(303)에 보존된다. 송신 데이터 버퍼부(303)에 보존된 데이터는, 인코더부(304)로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인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딩 처리가 실시되지 않고, 송신 데이터 버퍼부(303)로부터 변조부(305)로 직접 출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해도 좋다. 인코더부(304)에서 인코딩 처리된 데이터는, 변조부(305)에서 변조 처리가 행해진다. 변조부(305)에서, MIMO에 있어서의 프리코딩이 행해져도 좋다. 변조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주파수 변환부(306)로 출력되고, 무선 송신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 후, 안테나(307-1~307-4)로부터 기지국(203)에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도 8에 있어서, 안테나의 수가 4개인 경우에 대해 예시했지만, 안테나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동 단말(202)의 수신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기지국(20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안테나(307-1~307-4)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부(306)에서 무선 수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복조부(308)에 있어서 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복조부(308)에서, 웨이트 계산 및 곱셈 처리가 행해져도 좋다. 복조 후의 데이터는, 디코더부(309)로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디코딩 처리가 행해진다. 디코딩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301)로 전달되고, 사용자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302)로 전달된다. 이동 단말(202)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310)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도 8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부(301~309)와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즉, 이동 단말(202)의 일련의 처리가 기술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10)가 실현된다. 이동 단말(202)의 일련의 처리가 기술된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다. 메모리의 예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제어부(31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전용 처리 회로로 실현되어도 좋다. 도 8에 있어서, 이동 단말(202)이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수와 수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2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기지국(203)의 송신 처리를 설명한다. EPC 통신부(401)는, 기지국(203)과 EPC(MME부(204) 등)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5GC 통신부(412)는, 기지국(203)과 5GC(5GC부(214) 등)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타 기지국 통신부(402)는,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EPC 통신부(401), 5GC 통신부(412), 및 타 기지국 통신부(402)는, 각각 프로토콜 처리부(403)와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프로토콜 처리부(403)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EPC 통신부(401), 5GC 통신부(412), 및 타 기지국 통신부(402)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는, 송신 데이터 버퍼부(404)에 보존된다.
송신 데이터 버퍼부(404)에 보존된 데이터는, 인코더부(405)로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인코딩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딩 처리가 실시되지 않고, 송신 데이터 버퍼부(404)로부터 변조부(406)로 직접 출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해도 좋다. 인코딩된 데이터는, 변조부(406)에서 변조 처리가 행해진다. 변조부(406)에서, MIMO에 있어서의 프리코딩이 행해져도 좋다. 변조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주파수 변환부(407)로 출력되고, 무선 송신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 후, 안테나(408-1~408-4)로부터 1개 혹은 복수의 이동 단말(202)에 대해서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도 9에 있어서, 안테나의 수가 4개인 경우에 대해 예시했지만, 안테나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기지국(203)의 수신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1개 혹은 복수의 이동 단말(202)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안테나(408)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부(407)에서 무선 수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복조부(409)에서 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복조된 데이터는, 디코더부(410)로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디코딩 처리가 행해진다. 디코딩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403) 혹은 5GC 통신부(412) 혹은 EPC 통신부(401) 혹은 타 기지국 통신부(402)로 전달되고, 사용자 데이터는 5GC 통신부(412) 혹은 EPC 통신부(401) 혹은 타 기지국 통신부(402)로 전달된다. 기지국(203)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411)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411)는, 도 9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부(401~410, 412)와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411)는, 상술한 이동 단말(202)의 제어부(310)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 또는, FPGA, ASIC, DSP 등의 전용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도 9에 있어서, 기지국(203)이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수와 수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9는, 기지국(203)의 구성에 대해 나타낸 블럭도이지만, 기지국(2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또, 도 8 및 도 9에 대해, 이동 단말(202)의 안테나수와 기지국(203)의 안테나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10은, MM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서는, 전술한 도 2에 나타내는 MME부(204)에 포함되는 MME(204a)의 구성을 나타낸다. PDN GW 통신부(501)는, MME(204a)와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 Way)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 통신부(502)는, MME(204a)와 기지국(203) 사이의 S1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PDN GW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는, PDN GW 통신부(501)로부터, 사용자 플레인 통신부(503) 경유로 기지국 통신부(502)로 전달되고,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203)에 송신된다. 기지국(20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02)로부터, 사용자 플레인 통신부(503) 경유로 PDN GW 통신부(501)로 전달되고, PDN GW에 송신된다.
PDN GW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PDN GW 통신부(501)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로 전달된다. 기지국(20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02)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로 전달된다.
HeNBGW 통신부(504)는, MME(204a)와 HeNB GW(Home-eNB Gate Way)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HeNBGW 통신부(504)가 HeNB GW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는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로 전달된다. HeNBGW 통신부(504)는,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HeNB GW에 송신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에는, NAS 시큐리티부(505-1), SAE 베어러 컨트롤부(505-2), 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모빌리티 관리부(505-3) 등이 포함되고, 제어 플레인(이하, C-Plane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에 대한 처리 전반을 행한다. NAS 시큐리티부(505-1)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의 시큐리티 등을 행한다. SAE 베어러 컨트롤부(505-2)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베어러의 관리 등을 행한다.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505-3)는, 대기 상태(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LTE-IDLE 상태, 또는, 단순히 아이들이라고도 칭해짐)의 모빌리티 관리, 대기 상태 시의 페이징 신호의 생성 및 제어, 산하의 하나 혹은 복수의 이동 단말(202)의 트랙킹 에리어의 추가, 삭제, 갱신, 검색,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 관리 등을 행한다.
MME(204a)는,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203)에 대해서, 페이징 신호의 분배를 행한다. 또, MME(204a)는, 대기 상태(Idle State)의 모빌리티 제어(Mobility control)를 행한다. MME(204a)는, 이동 단말(202)이 대기 상태일 때, 및,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일 때에, 트랙킹 에리어(Tracking Area) 리스트의 관리를 행한다. MME(204a)는, 이동 단말(202)이 등록되어 있는(registered) 추적 영역(트랙킹 에리어:Tracking Area)에 속하는 셀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페이징 프로토콜에 착수한다. MME(204a)에 접속되는 eNB(207)의 CSG의 관리, CSG ID의 관리, 및 화이트 리스트의 관리는,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505-3)에서 행해져도 좋다.
MME(204a)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506)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506)는, 도 10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부(501~505)와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506)는, 상술한 이동 단말(202)의 제어부(310)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 또는, FPGA, ASIC, DSP 등의 전용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도 11은, 5GC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서는, 전술한 도 3에 나타내는 5GC부(21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5에서 나타내는 5GC부(214)에, AMF의 구성, SMF의 구성 및 UPF의 구성이 포함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부(521)는, 5GC부(214)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 통신부(522)는, 5GC부(214)와 기지국(203)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또는, 5GC부(214)와 기지국(213) 사이의 NG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는,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부(521)로부터, 사용자 플레인 통신부(523) 경유로 기지국 통신부(522)로 전달되고,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에 송신된다.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22)로부터, 사용자 플레인 통신부(523) 경유로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부(521)로 전달되고, 데이터 네트워크에 송신된다.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부(521)로부터 사용자 플레인 통신부(523) 경유로 세션 관리부(527)로 전달된다. 세션 관리부(527)는, 제어 데이터를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로 전달된다.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22)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로 전달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는, 제어 데이터를 세션 관리부(527)로 전달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는, NAS 시큐리티부(525-1), PDU 세션 컨트롤부(525-2), 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모빌리티 관리부(525-3) 등을 포함하고, 제어 플레인(이하, C-Plane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에 대한 처리 전반을 행한다. NAS 시큐리티부(525-1)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의 시큐리티 등을 행한다. PDU 세션 컨트롤부(525-2)는, 이동 단말(202)과 5GC부(214) 사이의 PDU 세션의 관리 등을 행한다.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525-3)는, 대기 상태(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RRC_IDLE 상태, 또는, 단순히 아이들이라고도 칭해짐)의 모빌리티 관리, 대기 상태 시의 페이징 신호의 생성 및 제어, 산하의 하나 혹은 복수의 이동 단말(202)의 트랙킹 에리어의 추가, 삭제, 갱신, 검색,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 관리 등을 행한다.
5GC부(214)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526)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526)는, 도 11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부(521~523, 525, 527)와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526)는, 상술한 이동 단말(202)의 제어부(310)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 또는, FPGA, ASIC, DSP 등의 전용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다음에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 서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UE)이 행하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까지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단말은, 셀 서치를 개시하면, 스텝 ST601에서, 주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1 동기 신호(P-SS), 및 제2 동기 신호(S-SS)를 이용하여, 슬롯 타이밍, 프레임 타이밍의 동기를 취한다.
P-SS와 S-SS를 합쳐,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SS)라고 한다. 동기 신호(SS)에는, 셀마다 할당된 PCI에 1대 1로 대응하는 동기화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PCI의 수는 504 종류가 검토되고 있다. 통신 단말은, 이 504 종류의 PCI를 이용하여 동기를 취하고, 또한, 동기가 취해진 셀의 PCI를 검출(특정)한다.
통신 단말은, 다음에 동기가 취해진 셀에 대해서, 스텝 ST6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셀마다 송신되는 참조 신호(레퍼런스 시그널:RS)인 셀 고유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CRS)를 검출하고, RS의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의 측정을 행한다. 참조 신호(RS)에는, PCI와 1대 1로 대응한 코드가 이용되고 있다. 그 코드로 상관을 취하는 것에 의해 다른 셀과 분리할 수 있다. 스텝 ST601에서 특정한 PCI로부터, 해당 셀의 RS용 코드를 도출하는 것에 의해, RS를 검출하고, RS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T603에서, 통신 단말은, 스텝 ST602까지에서 검출된 1개 이상의 셀 중에서, RS의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셀, 예를 들면, RS의 수신 전력이 가장 높은 셀, 즉 베스트 셀을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 ST604에서, 통신 단말은, 베스트 셀의 PBCH를 수신하여, 알림 정보인 BCCH를 얻는다. PBCH 상의 BCCH에는, 셀 구성 정보가 포함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매핑된다. 따라서, PBCH를 수신하여 BCCH를 얻는 것에 의해, MIB가 얻어진다. MIB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DL(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송신 대역폭 설정(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dl-bandwidth)이라고도 불림), 송신 안테나수, SFN(System Frame Number) 등이 있다.
다음에 스텝 ST605에서, 통신 단말은, MIB의 셀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해당 셀의 DL-SCH를 수신하여, 알림 정보 BCCH 중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을 얻는다. SIB1에는, 해당 셀로의 액세스에 관한 정보, 셀 선택에 관한 정보, 다른 SIB(SIBk;k≥2의 정수)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다. 또, SIB1에는, 트랙킹 에리어 코드(Tracking Area Code:TAC)가 포함된다.
다음에 스텝 ST606에서, 통신 단말은, 스텝 ST605에서 수신한 SIB1의 TAC와, 통신 단말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 내의 트랙킹 에리어 식별자(Tracking Area Identity:TAI)의 TAC 부분을 비교한다.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는, TAI 리스트(TAI list)로도 칭해진다. TAI는 트랙킹 에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며, MCC(Mobile Country Code)와, MNC(Mobile Network Code)와, TAC(Tracking Area Code)에 의해 구성된다. MCC는 국가 코드이다. MNC는 네트워크 코드이다. TAC는 트랙킹 에리어의 코드 번호이다.
통신 단말은, 스텝 ST606에서 비교한 결과, 스텝 ST605에서 수신한 TAC가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TAC와 동일하면, 해당 셀에서 대기 동작에 들어간다. 비교하여, 스텝 ST605에서 수신한 TAC가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해당 셀을 통해, MME 등이 포함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EPC)로, TAU(Tracking Area Update)를 행하기 위해 트랙킹 에리어의 변경을 요구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LTE 방식에 있어서의 셀 서치로부터 대기까지의 동작의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3에 있어서, 베스트 셀에 부가하여 베스트 빔을 선택해도 좋다. 또,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4에 있어서, 빔의 정보, 예를 들면, 빔의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또,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4에 있어서, 잔여 최소 SI(Remaining Minimum SI:RMSI)의 스케줄링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5에 있어서, RMSI를 수신한다고 해도 좋다.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이하 「코어 네트워크측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TAU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 단말로부터 보내져 오는 해당 통신 단말의 식별 번호(UE-ID 등)를 기초로,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의 갱신을 행한다. 코어 네트워크측 장치는, 통신 단말에 갱신 후의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를 송신한다. 통신 단말은, 수신한 트랙킹 에리어 리스트에 근거하여, 통신 단말이 보유하는 TAC 리스트를 재기록한다(갱신한다). 그 후, 통신 단말은, 해당 셀에서 대기 동작에 들어간다.
스마트폰 및 타블렛형 단말 장치의 보급에 의해, 셀룰러계 무선 통신에 의한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대하고 있고, 전 세계에서 무선 리소스의 부족이 염려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小)셀화하고, 공간 분리를 진행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종래의 셀의 구성에서는,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은, 비교적 넓은 범위의 커버리지를 갖는다. 종래는, 복수의 eNB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셀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커버리지에 의해, 임의의 에리어를 덮도록, 셀이 구성되어 있다.
소셀화된 경우,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은, 종래의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의 커버리지에 비해 범위가 좁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에리어를 덮기 위해서는, 종래의 eNB에 비해, 다수의 소셀화된 eNB가 필요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종래의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과 같이, 커버리지가 비교적 큰 셀을 「매크로 셀」이라고 하고, 매크로 셀을 구성하는 eNB를 「매크로 eNB」라고 한다. 또, 소셀화된 셀과 같이, 커버리지가 비교적 작은 셀을 「스몰 셀」이라고 하고, 스몰 셀을 구성하는 eNB를 「스몰 eNB」라고 한다.
매크로 eNB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7에 기재되는 「와이드 에리어 기지국(Wide Area Base Station)」이라도 좋다.
스몰 eNB는, 예를 들면, 로우 파워 노드, 로컬 에리어 노드, 핫 스폿 등이어도 좋다. 또, 스몰 eNB는, 피코셀을 구성하는 피코 eNB, 펨토셀을 구성하는 펨토 eNB, HeNB, RRH(Remote Radio Head), RRU(Remote Radio Unit), RRE(Remote Radio Equipment) 또는 RN(Relay Node)이라도 좋다. 또, 스몰 eNB는, 비특허문헌 7에 기재되는 「로컬 에리어 기지국(Local Area Base Station)」 또는 「홈 기지국(Home Base Station)」이라도 좋다.
도 13은, NR에 있어서의 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NR의 셀에서는, 좁은 빔을 형성하고, 방향을 바꾸어 송신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750)은, 임의의 시간에 있어서, 빔(751-1)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른 시간에 있어서, 기지국(750)은, 빔(751-2)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기지국(750)은 빔(751-3~751-8) 중 1개 혹은 복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750)은 광범위의 셀을 구성한다.
도 13에 있어서, 기지국(750)이 이용하는 빔의 수를 8로 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빔의 수는 8과는 달라도 좋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750)이 동시에 이용하는 빔의 수를 1개로 했지만, 복수여도 좋다.
3GPP에 있어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 V2V(Vehicle to Vehicle)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SL:Side Link)가 지원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6 참조). SL은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규정된다.
SL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비특허문헌 1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알림 채널(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은, 시스템과 동기로 관련하는 정보를 운반하고, UE로부터 송신된다.
물리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채널(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은, UE로부터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운반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은, 사이드링크 통신과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UE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운반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은, 사이드링크 통신과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UE로부터의 데이터를 운반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은, PSSCH 송신을 수신한 UE로부터, PSSCH를 송신한 UE에, 사이드링크 상에서의 HARQ 피드백을 운반한다.
SL에 이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비특허문헌 1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사이드링크 알림 채널(SL-BCH:Sidelink broadcast channel)은, 미리 결정된 트랜스포트 포맷을 갖고, 물리 채널인 PSB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채널(SL-DCH:Sidelink discovery channel)은, 고정 사이즈의 미리 결정된 포맷의 주기적 알림 송신을 갖는다. 또, SL-DCH는, UE 자동 리소스 선택(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과, eNB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 할당의 양쪽을 지원한다. UE 자동 리소스 선택에서는 충돌 리스크가 있고, UE가 eNB에 의해 개별 리소스를 할당받았을 때는, 충돌은 없다. 또, SL-DCH는, HARQ 결합을 지원하지만, HARQ 피드백은 지원하지 않는다. SL-DCH는 물리 채널인 PSD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SL-SCH:Sidelink shared channel)은, 알림 송신을 지원한다. SL-SCH는, UE 자동 리소스 선택(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과, eNB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 할당의 양쪽을 지원한다. UE 자동 리소스 선택에서는 충돌 리스크가 있고, UE가 eNB에 의해 개별 리소스를 할당받았을 때는, 충돌은 없다. 또, SL-SCH는, HARQ 결합을 지원하지만, HARQ 피드백은 지원하지 않는다. 또, SL-SCH는, 송신 전력, 변조, 코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동적 링크 적응을 지원한다. SL-SCH는 물리 채널인 PSSCH에 매핑된다.
SL에 이용되는 논리 채널(비특허문헌 1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사이드링크 알림 제어 채널(SBCCH:Sidelink Broadcast Control channel)은, 1개의 UE로부터 다른 UE에 사이드링크 시스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사이드링크용 채널이다. SB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SL-B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트래픽 채널(STCH:Sidelink Traffic channel)은, 1개의 UE로부터 다른 UE에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1대 다의 사이드링크용 트래픽 채널이다. STCH는,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갖는 UE와, V2X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갖는 UE에 의해서만 이용된다. 2개의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갖는 UE 사이의 1대 1 통신도 또한 STCH로 실현된다. ST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SL-S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SCCH:Sidelink Control channel)은, 1개의 UE로부터 다른 UE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사이드링크용 제어 채널이다. S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SL-SCH에 매핑된다.
3GPP에서는, NR에 있어서도 V2X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NR에 있어서의 V2X 통신의 검토가,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여 진행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으로부터의 변경 및 추가가 행해지고 있다.
LTE에서는 SL 통신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뿐이었다. NR에서는, SL 통신으로서, 브로드캐스트에 부가하여, 유니캐스트(unicast)와 그룹 캐스트(groupcast)의 지원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2(3GPP TS23.287) 참조).
유니캐스트 통신이나 그룹 캐스트 통신에서는, HARQ의 피드백(Ack/Nack), CSI 보고 등의 지원이 검토되고 있다.
SL 통신에서, 브로드캐스트에 부가하여, 유니캐스트와 그룹 캐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PC5-S 시그널링의 지원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2(3GPP TS23.287) 참조). 예를 들어, SL, 즉 PC5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PC5-S 시그널링이 실시된다. 해당 링크는 V2X 레이어에서 실시되고, 레이어 2 링크라고도 칭해진다.
또, SL 통신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의 지원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2(3GPP TS23.287) 참조). SL 통신에 있어서의 RRC 시그널링을, PC5 RRC 시그널링이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PC5 통신을 행하는 UE 사이에서, UE의 케이퍼빌리티를 통지하는 것이나, PC5 통신을 이용하여 V2X 통신을 행하기 위한 AS 레이어의 설정 등을 통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NR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PTM(Point to Multipoint)와 PTP(Point to Point)가 함께 이용되어도 좋다. PTM와 PTP에 있어서, 공통의 PDCP 엔티티가 이용되어도 좋다. PTM와 PTP가, 서로 다른 레그(RLC, 논리 채널의 조합)를 가져도 좋다.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PTM 레그와 PTP 레그가 동적으로 전환되면서 이용되어도 좋다. 동적인 전환에는, 예를 들면,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5G 방식의 기지국은,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IAB)(비특허문헌 16(TS38.300) 참조)을 지원 가능하다. IAB 기지국은, IAB 기능을 제공하는 IAB 도너로서 동작하는 기지국의 CU인 IAB 도너 CU, IAB 도너로서 동작하는 기지국의 DU인 IAB 도너 DU, 및, IAB 도너 DU와의 사이, UE와의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접속되는 IAB 노드에 의해 성립되어 있어도 좋다. IAB 노드는, IAB 도너 CU의 수하에 복수 존재해도 좋다. IAB 노드와 IAB 노드 사이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접속되어도 좋다. 즉, IAB 노드의 다단 접속이 행해져도 좋다. IAB 노드와 IAB 도너 CU 사이의 접속은, F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해진다(비특허문헌 16(TS38.300) 참조).
IAB 도너 DU와 IAB 노드 사이의 접속 및 IAB 노드 사이의 접속에 있어서, BAP(Backhaul Adaptation Protocol) 레이어가 마련된다. BAP 레이어는, 수신한 데이터의,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로의 라우팅, RLC 채널로의 매핑 등의 동작을 행한다(비특허문헌 36(TS38.340) 참조). 해당 라우팅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로 되는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다. BAP 어드레스는,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마다 할당되어도 좋다. BAP 어드레스의 할당을, IAB 도너 CU가 행해도 좋다. IAB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송신지의 IAB 노드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BA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해당 데이터에, 데이터의 경로를 식별하는 정보, 예를 들면, 패스 ID가 포함된다. 전술한 정보는, 예를 들면, BAP 헤더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해당 BAP 어드레스 및/또는 패스 ID를 이용하여, 전술한 라우팅을 행해도 좋다.
NR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IAB 기지국이 이용되어도 좋다.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IAB 도너 CU로부터 UE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존재하는 IAB 노드가, UE와의 통신에 있어서 자신의 노드의 하위의 접속처가 되는 다른 IAB 노드(이하, 자(子) IAB 노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송신을 행해도 좋고, UE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송신을 행해도 좋다.
멀티캐스트 송신을 행하는 IAB 도너 DU 및/ IAB 노드에 접속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자식 IAB 노드 중에, 멀티캐스트 송신의 대상으로 되는 자식 IAB 노드와 대상 외로 되는 자식 IAB 노드가 혼재해도 좋다.
그런데,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IAB 노드로의 멀티캐스트에 이용되는 BAP 어드레스에 관한 설정 방법이 상술한 각 비특허문헌 등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를 실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1개의 데이터에 대해 송신지 BAP 어드레스를 복수 설정 가능하게 한다. 목적지(Destination) BAP 어드레스가 복수 설정되어도 좋고, 다음 홉(Next-hop) BAP 어드레스(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가 복수 설정되어도 좋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는, 다른 패스 ID에 대해서 각각 다른 BAP 어드레스가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고, 동일한 패스 ID에 대해서 복수의 다른 BAP 어드레스가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대해서, 송신지 BAP 어드레스를 복수 설정해도 좋다. 해당 설정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5(TS38.473)에 개시된 BAP MAPPING CONFIGURATION이 이용되어도 좋고, 다른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복수의 송신지 BAP 어드레스의 설정은, 리스트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F1 시그널링에 있어서의 정보 요소의 하나인 BAP Routing ID(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의 리스트가 마련되어도 좋다. 다른 예로서, F1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가,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전술한 양쪽의 리스트가 마련되어도 좋다.
BA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도너 CU로부터 설정되는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의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자가 마련되어도 좋고, 복수의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1개의 식별자가 마련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1개 및/또는 복수의 패스 ID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마련되어도 좋다.
해당 식별자를, IAB 도너 CU가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대해서 통지해도 좋다. 해당 식별자의 통지는, IAB 도너 CU가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대한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의 설정의 통지, 예를 들면, 전술한 BAP MAPPING CONFIGURATION에 포함되어도 좋다.
BAP 헤더에, 전술한 식별자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식별자를 이용하여, 송신지 BAP 어드레스를 도출해도 좋고, 패스 ID를 도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BAP 헤더에, 복수의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복수의 패스 ID에 대응하는 각각 1개의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의 사이즈를 더 삭감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더 향상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식별자가, IAB 도너 CU의 수하에 있어 일의(一意)로 부여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식별자가, IAB 노드 및/또는 IAB 도너 DU와 자식 IAB 노드의 사이에서 일의로 부여된다고 해도 좋다.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패스 ID를 나타내는 식별자의 값을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노드는, 수신한 BAP 헤더에 포함되는 해당 식별자를 이용하여,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패스 ID를 도출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도출한 송신지 BAP 어드레스 및/또는 패스 ID에 대응하는, 자식 IAB 노드와의 사이의 통신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도출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수신한 BAP 헤더에 포함되는 식별자를, 도출한 식별자로 치환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도출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BAP 헤더를 이용하여 자식 IAB 노드로의 송신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해당 식별자의 비트폭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통신 효율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BAP 어드레스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BAP Routing ID의 정보 요소(IE:Information Element)에, 복수의 BAP 어드레스 및 1개의 패스 ID가 포함된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는, 목적지(Destination) BAP 어드레스여도 좋다.
BAP 어드레스의 리스트를 갖는 BAP Routing ID의 정보 요소는, 예를 들면, 백홀 라우팅 정보 추가 일람(BH Routing Information Added List)에 포함되어도 좋고, 백홀 라우팅 정보 삭제 일람(BH Routing Information Removed List)에 포함되어도 좋고, 전술한 양쪽에 포함되어도 좋다.
변경된 백홀 라우팅 정보에 관한 정보가 마련되어도 좋다. 해당 정보는, 예를 들면, 전술한 BAP MAPPING CONFIGURATION에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정보는 1개마련되어도 좋고,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해당 정보가, 예를 들면, 일람, 예를 들면, 백홀 라우팅 정보 변경 일람(BH Routing Information Modified List)으로서 마련되어도 좋다. 해당 일람에는, 예를 들면, BAP 어드레스, 패스 ID, 다음 홉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일람에 포함되는 해당 정보는, 예를 들면, 변경 후의 정보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라우팅 설정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변경 후의 BAP 어드레스는,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리스트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변경 후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도 마찬가지로, 리스트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다른 예로서, 해당 일람에는, 추가되는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추가되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삭제되는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삭제되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추가되는 패스 ID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삭제되는 패스 ID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전술한 복수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각 정보는, 1개 또는 복수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일람으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백홀 라우팅 정보의 변경에 관한 정보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로부터 IAB 도너 DU로의 설정에,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설정에, 복수의 TNL(Transport Network Layer) 어드레스(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가 포함되어도 좋다. TNL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해당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IPv4 어드레스여도 좋고, IPv6이어도 좋고, IPv6 프리픽스여도 좋다. TNL 어드레스 중에,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복수의 TNL 어드레스가 포함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로부터, UE와 직접 통신하는 IAB 노드(이하, 말단 IAB 노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의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말단 IAB 노드란, UE가 접속되고, 해당 UE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상태의 IAB 노드를 말한다. 말단 IAB 노드에는, 복수의 UE가 동시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 말단 IAB 노드에는, UE에 부가하여, 다른 IAB 노드(해당 말단 IAB 노드의 자식 IAB 노드에 상당)가 접속되는 경우도 있다.
IAB 도너 CU로부터 IAB 도너 DU로의 설정은, 예를 들면, IP로부터 레이어 2로의 트래픽 매핑 정보(IP to layer2 Traffic Mapping Info)(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의 정보 요소를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설정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로서, 이하 (1)~(5)를 개시한다.
(1) 단일의 IP 어드레스, 복수의 BAP 어드레스,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와 RLC 채널 식별자의 조합.
(2) 단일의 IP 어드레스, 복수의 BAP 어드레스,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 단일의 RLC 채널 식별자.
(3) 복수의, IP 어드레스와 BAP 어드레스의 조합,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와 RLC 채널 식별자의 조합.
(4) 복수의, IP 어드레스와 BAP 어드레스의 조합,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 단일의 RLC 채널 식별자.
(5) 전술한 (1)~(4)의 조합.
전술한 (1)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1)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2)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2)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3)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유니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3)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4)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유니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4)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로부터 IAB 노드로의 설정에,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RLC 채널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복수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와 RLC 채널 식별자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IAB 노드에 대해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와 단일의 RLC 채널 식별자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IAB 노드에 대해서 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BAP 헤더에 포함되어도 좋다. BAP 헤더에, 복수의 패스 ID가 포함되어도 좋다. BAP 헤더에,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복수의 패스 ID의 양쪽이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동일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지의 IAB 노드의 개수분만큼 송신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Uu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BAP 헤더가 단일의 헤더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고, 복수의 헤더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복수의 헤더에 의해 구성되는 예로서, 2개의 헤더로부터 BAP 헤더가 구성되어도 좋다. 2개의 해당 헤더 중, 한쪽의 헤더(이하, 기본 헤더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고정 사이즈여도 좋다. 다른 쪽의 헤더(이하, 확장 헤더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가변 사이즈여도 좋다. IAB 노드는, 기본 헤더를 먼저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헤더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BAP 헤더가 복수의 헤더에 의해 구성되는 다른 예로서, 복수의 기본 헤더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복수의 기본 헤더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 취득 처리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BA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로서, 이하의 (A)~(M)을 개시한다.
(A)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
(B) BAP 어드레스의 개수에 관한 정보.
(C) BAP 헤더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D) 1개 또는 복수의 패스 ID.
(E) 패스 ID의 개수에 관한 정보.
(F)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가 복수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G) 포함되는 패스 ID가 복수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H)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I) 후속 헤더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
(J) BAP 헤더를 구성하는 헤더의 개수에 관한 정보.
(K) 패딩.
(L) BAP 헤더의 종류에 관한 정보.
(M) 전술한 (A)~(L)의 조합.
전술한 (A)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목적지 BAP 어드레스여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A)의 정보를 이용하여, 1개 또는 복수의 자식 IAB 노드로의 라우팅을 행해도 좋다. BAP 헤더 중에 BAP 어드레스가 1개 또는 복수 마련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복수의 자식 IAB 노드로의 라우팅을 신속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B)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의 개수여도 좋고, 해당 개수로부터 소정의 값, 예를 들면, 1을 줄인 값이어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B)의 값을 이용하여, 송신지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BAP 헤더에 기본 헤더와 확장 헤더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B)로서 BAP 헤더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의 개수로부터 1을 줄인 값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술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전술한 (C)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는, 비트 단위로 주어져도 좋고, 옥텟 단위로 주어져도 좋고, 복수 옥텟(예를 들면, 2 옥텟이라도 3 옥텟 이상이라도 좋다)의 단위로 주어져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C)의 정보를 이용하여, BAP 헤더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의한 BAP 헤더의 오취득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D)에 포함되는 패스 ID는, 예를 들면, IAB 도너 CU로부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패스 ID의 전부 혹은 일부라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D)의 정보를 이용하여, 1개 또는 복수의 자식 IAB 노드로의 라우팅을 행해도 좋다. BAP 헤더 안에 패스 ID가 복수 마련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복수의 자식 IAB 노드로의 라우팅을 신속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또,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로부터 송신하는 BAP-PDU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E)는, 예를 들면, BAP 헤더에 포함되는 패스 ID의 개수여도 좋고, 해당 개수로부터 소정의 값, 예를 들면, 1을 줄인 값이어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E)의 값을 이용하여, 패스 ID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패스 ID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BAP 헤더에 기본 헤더와 확장 헤더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E)로서 BAP 헤더에 포함되는 패스 ID의 개수로부터 1을 줄인 값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술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전술한 (F)는, 예를 들면, BAP 헤더가 복수의 BAP 어드레스를 갖는지 여부에 대해서, 옳음(是) 또는 그름(非)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나타나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BAP 어드레스 취득의 계속 유무를 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어드레스 취득 처리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G)는, 예를 들면, BAP 헤더가 복수의 패스 ID를 갖는지 여부에 대해서, 옳음 또는 그름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나타나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패스 ID 취득의 계속 유무를 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패스 ID 취득 처리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H)는, 예를 들면, BAP 헤더가 후속 헤더를 갖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다. 해당 정보는, 예를 들면, 옳음 또는 그름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표현되어도 좋다. 전술한 (H)의 정보를 포함하는 BAP 헤더는, 예를 들면, 기본 헤더여도 좋고, 확장 헤더여도 좋다. 기본 헤더의 후속 헤더는, 확장 헤더여도 좋다. 확장 헤더의 후속 헤더는, 다른 확장 헤더여도 좋다. 기본 헤더의 뒤에 확장 헤더가 계속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본 헤더와 확장 헤더의 사이즈는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기본 헤더의 뒤에 확장 헤더, 또 다른 확장 헤더가 계속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 헤더의 사이즈는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IAB 노드는, 예를 들면, 전술한 (H)의 정보가 옳음인 것을 이용하여, BAP 헤더 취득 처리를 계속해도 좋고, 전술한 (H)의 정보가 그름인 것을 이용하여, BAP 헤더 취득 처리를 종료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BAP 헤더 처리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I)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는, 비트 단위로 주어져도 좋고, 옥텟 단위로 주어져도 좋고, 복수 옥텟(예를 들면, 2 옥텟이라도 3 옥텟이라도 4 옥텟이라도 좋다)의 단위로 주어져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I)의 정보를 이용하여, 후속 헤더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의한 후속 헤더의 오취득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J)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당해 헤더를 포함하는 개수여도 좋고, 당해 헤더를 제외한 후속 헤더의 개수여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J)의 정보를 이용하여, 후속 헤더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의한 후속 헤더의 오취득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K)는, 예를 들면, BAP 헤더에 포함되는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의 각각의 뒤에 마련되어도 좋고, 1개 또는 복수의 패스 ID의 각각의 뒤에 마련되어도 좋고, 헤더의 선두 및/또는 말미에 마련되어도 좋다. 전술한 (K)는, 예를 들면, BAP 헤더의 사이즈가 1 옥텟 단위로 되도록 마련되어도 좋고, 2 옥텟의 단위로 되도록 마련되어도 좋고, 3 옥텟 이상의 단위로 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 취득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L)은, 예를 들면, 1개의 BAP 어드레스와 1개의 패스 ID가 포함되는 헤더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고,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포함되는 헤더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고,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1개의 패스 ID가 포함되는 헤더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고, 1개의 BAP 어드레스와 복수의 패스 ID가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고,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만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고, 1개 또는 복수의 패스 ID만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좋다. IAB 도너 DU는, 복수의 종류의 BAP 헤더를 이용하여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L)의 정보를 이용하여, 헤더의 종류를 판단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M)의 예로서, 복수 종류의 헤더의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포함되는 헤더와,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1개의 패스 ID가 포함되는 헤더의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BAP 헤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를 포함하는, 가변 길이 헤더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수(N)가 포함된다. 목적지(DESTINATION) BAP 어드레스와 패스(PATH)ID의 세트가 N개분, BAP 헤더에 포함된다. BAP 헤더의 말미에 있어서, BAP 헤더를 옥텟 단위로 하기 위한 패딩(Padding)이 포함된다.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N의 값을 이용하여,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을 취득한다.
도 15에 있어서, BAP 헤더에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수가 포함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BAP 헤더의 사이즈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헤더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순서대로 포함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모든 BAP 어드레스의 뒤에 모든 패스 ID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어드레스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있어서의 다른 예로서 모든 패스 ID의 뒤에 모든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패스 ID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를 포함하는, 고정 길이의 기본 헤더 및 가변 길이의 확장 헤더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 BAP 헤더 중 백색의 영역은 기본 헤더, 회색의 영역은 후속 헤더인 확장 헤더가 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기본 헤더에 있어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첫 번째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가 포함된다. IAB 노드는, 기본 헤더로부터, 첫 번째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 및 패스 ID를 취득하고, 또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Ext.)를 취득한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가 옳음인 것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를 취득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후속 헤더에 있어서,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의 개수(N), 및, 2개째 이후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포함된다. 또, 후속 헤더의 말미에 있어서, 후속 헤더를 옥텟 단위로 하기 위한 패딩이 포함된다. 후속 헤더에 포함되는 N의 값은, 기본 BAP 헤더에 포함되는 목적지 BAP 어드레스 및 패스 ID를 제외한 수여도 좋고, 포함한 수여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N의 값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에 포함되는 목적지 BAP 어드레스 및 패스 ID의 수를 파악해도 좋고, 후속 헤더의 사이즈를 파악해도 좋다. 후속 헤더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기본 헤더의 사이즈를 고정 길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 헤더의 취득이 신속히 가능하게 된다.
도 16에 있어서, BAP 헤더에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수가 포함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BAP 헤더의 사이즈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헤더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6의 확장 헤더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순서대로 포함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모든 BAP 어드레스의 뒤에 모든 패스 ID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어드레스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6의 확장 헤더에 있어서의 다른 예로서, 모든 패스 ID의 뒤에 모든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패스 ID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고정 길이의 기본 헤더 및 1개 또는 복수의 고정 길이의 확장 헤더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BAP 헤더 중 백색의 영역은 기본 헤더, 회색의 영역은 확장 헤더가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기본 헤더는, 도 16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복수의 확장 헤더의 각각에,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포함된다. IAB 노드는, 확장 헤더로부터, 목적지 BAP 어드레스 및 패스 ID를 취득하고, 또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가 옳음인 것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를 취득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헤더의 구성은, 기본 헤더와 동일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확장 헤더의 취득 및/또는 처리에 관한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마지막 확장 헤더에 있어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의 조합이 포함된다. IAB 노드는, 확장 헤더로부터, 목적지 BAP 어드레스 및 패스 ID를 취득하고, 또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IAB 노드는, 마지막 확장 헤더에 포함되는 해당 정보가 그름인 것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의 취득을 정지한다.
도 17의 확장 헤더에 있어서, 데이터 PDU/제어 PDU의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D/C)가 포함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 정보 대신에, 예약 비트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향후의 확장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헤더에 D/C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DU에 있어서의 헤더 생성 처리에 관한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IAB 노드는, 확장 헤더에 포함되는 D/C를 무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헤더 취득 처리를 신속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에 대해서, 동일한 패스 ID가 설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해지는 것과 동시에,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패스 ID의 사용 개수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1개의 패스 ID를 포함하는, 가변 길이 헤더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BAP 헤더에는, 목적지 BAP 어드레스의 수(N)가 포함된다. BAP 헤더의 말미에 있어서, BAP 헤더를 옥텟 단위로 하기 위한 패딩이 포함된다.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N의 값을 이용하여, 1개 또는 복수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1개의 패스 ID를 취득한다.
도 18에 있어서, BAP 헤더에 목적지 BAP 어드레스의 수가 포함되는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BAP 헤더의 사이즈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BAP 헤더를 신속히 취득 가능하게 된다.
도 18에 있어서, 두 번째 이후의 BAP 어드레스가 패스 ID의 뒤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 나타냈지만, 패스 ID가 마지막 BAP 어드레스의 뒤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 처리의 실장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와 1개의 패스 ID를 포함하는, 고정 길이의 기본 헤더 및 가변 길이의 확장 헤더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19에 있어서, BAP 헤더 중 백색의 영역은 기본 헤더, 회색의 영역은 확장 헤더가 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기본 헤더에 있어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첫 번째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와 패스 ID가 포함된다. IAB 노드는, 기본 헤더로부터, 첫 번째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 및 패스 ID를 취득하고, 또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가 옳음인 것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를 취득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후속 헤더에 있어서, 목적지 BAP 어드레스의 개수(N), 및, 2개째 이후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또, 후속 헤더의 말미에 있어서, 후속 헤더를 옥텟 단위로 하기 위한 패딩이 포함된다. 후속 헤더에 포함되는 N의 값은, 기본 BAP 헤더에 포함되는 목적지 BAP 어드레스를 제외한 수여도 좋고, 포함한 수여도 좋다. IAB 노드는, 전술한 N의 값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에 포함되는 목적지 BAP 어드레스의 수를 파악해도 좋고, 후속 헤더의 사이즈를 파악해도 좋다. 후속 헤더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기본 헤더의 사이즈를 고정 길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 헤더의 취득을 신속히 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BAP 헤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고정 길이의 기본 헤더 및 1개 또는 복수의 고정 길이의 확장 헤더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20에 있어서, BAP 헤더 중 백색의 영역은 기본 헤더, 회색의 영역은 확장 헤더가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기본 헤더는, 도 19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확장 헤더에 있어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목적지 BA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IAB 노드는, 확장 헤더로부터, 목적지 BA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또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가 옳음인 것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를 취득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마지막 확장 헤더에 있어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 및 목적지 BAP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IAB 노드는, 확장 헤더로부터, 목적지 BA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또한, 후속 헤더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IAB 노드는, 마지막 확장 헤더에 포함되는 해당 정보가 그름인 것을 이용하여, 후속 헤더의 취득을 정지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확장 헤더의 사이즈를 2 옥텟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냈지만, 기본 헤더와 동일한 3 옥텟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확장 헤더에 있어서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의 뒤의 10 비트가 패딩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BAP 헤더 취득 처리에 관한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IAB 노드는, BAP 헤더에 변경을 더해도 좋다. IAB 노드는, 예를 들면, BAP 헤더에 포함되는 일부의 정보를 삭제해도 좋다. 일부의 정보는, 예를 들면, 자식 노드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BAP 어드레스여도 좋고, 자식 노드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패스 ID여도 좋고, 전술한 조합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BAP 헤더의 삭제는, 송신 처리를 행하는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고, 수신 처리를 행하는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IAB 노드의 그루핑이 행해져도 좋다. 해당 그루핑에, BAP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마련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IAB 노드에, 해당 BAP 어드레스를 할당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자식 IAB 노드로의 멀티캐스트 송신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송신을 신속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의 서비스 혹은 컨텐츠마다 마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각 장치는 멀티캐스트와 관련되는 서비스 혹은 컨텐츠를 신속히 인식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는, BAP 어드레스로서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 중 소정의 범위에 대해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선두 4 비트가 모두 '1'인 BAP 어드레스의 범위가, 멀티캐스트용의 BAP 어드레스로서 마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각 장치는, BAP 어드레스가 멀티캐스트용인지 여부를 신속히 인식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는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대한 설정, 예를 들면, 라우팅에 관한 설정을,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해당 F1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BAP 매핑 설정(BAP MAPPING CONFIGURATION)의 시그널링(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이어도 좋고, 다른 시그널링이어도 좋다.
해당 설정에, BAP 레이어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가 해당 정보를 해당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해당 설정은, PTM 레그와 PTP 레그의 각각에 대해 행해져도 좋다. BAP 레이어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에는, 라우팅을 식별하는 정보, 예를 들면, 라우팅의 식별자가 포함되어도 좋고,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의 홉 목적지, 예를 들면, 자식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와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IAB 도너 CU로부터 UE까지의 경로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경로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UE까지의 라우팅을 원활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해당 설정에, BAP 레이어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가 복수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PTM 레그를 이용하는 송신에 있어서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와, PTP 레그를 이용하는 송신에 있어서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PTP 레그를 이용하는 송신에 있어서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가 복수 포함되어도 좋고, PTM 레그를 이용하는 송신에 있어서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가 복수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예를 들면, DESTINATION 및/또는 패스 ID의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 목적지를 전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라우팅 목적지의 동적인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설정에, 멀티캐스트를 송신 가능한 에리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의 데이터의 송신 범위가 해당 에리어에 들어가도록 빔 및/또는 송신 전력을 제어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송신 가능한 에리어 밖으로의 해당 멀티캐스트의 데이터의 송신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해당 설정에, 송신 방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정보에는, PTM 레그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PTP 레그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정보가, 송신지의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마다 마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로의 송신에 이용하는 레그를 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해당 송신에 이용하는 레그를 신속히 결정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로부터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로의 송신 방법에, 소정의 모드가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자식 IAB 노드에도 UE에도 PTM 레그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UE에 대해서 PTM 레그,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PTP 레그를 각각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UE에 대해서 PTP 레그,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PTM 레그를 각각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자식 IAB 노드에도 UE에도 PTP 레그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다. 다른 예로서, UE에 대해서 PTP 레그, PTM 레그의 양쪽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UE에 대해서 PTP 레그만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UE에 대해서 PTM 레그만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PTP 레그, PTM 레그의 양쪽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PTP 레그만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PTM 레그만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모드가 존재해도 좋고, 전술한 조합, 예를 들면, UE로의 송신에 대한 각 모드와 자식 IAB 노드로의 송신에 대한 각 모드가 조합되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모드가,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마다 설정 가능해도 좋다. 해당 모드를, IAB 도너 CU가 결정하여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통지해도 좋다. 해당 모드가, 전술한 해당 설정에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해당 모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로의 송신에 이용하는 레그를 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해당 송신에 이용하는 레그를 신속히 결정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로부터의 송신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IAB 노드를 이용한 라우팅에 있어서, PTM 레그를 이용하여 수신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PTP 레그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PTP 레그를 이용하여 수신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PTM 레그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PTM 레그를 이용하여 수신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PTM 레그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PTP 레그를 이용하여 수신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PTP 레그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BAP 레이어의 라우팅이, 멀티캐스트를 송신 가능한 에리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멀티캐스트의 라우팅을 행하는 IAB 노드는, 송신 범위가 해당 에리어에 포함되는 IAB 노드 중에서 결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송신 가능한 에리어 밖으로의 해당 멀티캐스트의 데이터의 송신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를 송신 가능한 에리어에 관한 정보를, 코어 NW 장치가 결정해도 좋다. 코어 NW 장치는 IAB 도너 CU에 대해서, 해당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다른 예로서, 코어 NW 장치가 IAB 도너 CU에 대해서, 해당 에리어에 속하는 IAB 노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IAB 도너 CU는 전술한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을 행하는 IAB 노드를 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는 멀티캐스트를 송신 가능한 에리어 내의 IAB 노드를 적절히 선택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에 할당하는 식별자를 결정해도 좋다. 해당 식별자는, 예를 들면, G-RNTI 및/또는 SC-RNTI(비특허문헌 34(TS36.321) 참조)라도 좋고, C-RNTI여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IAB 도너 CU에 대해, 해당 식별자를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와, 전술한 G-RNTI 및/또는 SC-RNTI 사이의 대응이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도너 CU는, 전술한 G-RNTI 및/또는 SC-RNTI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다음의 홉 목적지의 BAP 어드레스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되고 있는 데이터의 송신지를, 전술한 G-RNTI에 할당하고 있는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동일한 IAB 노드에 대해서,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도 좋다. IAB 노드에 할당되는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IAB 노드에 대해, 복수의 BAP 어드레스를 설정해도 좋다. 해당 설정에, 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예를 들면, RRC 재설정(RRCReconfiguration)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BAP 설정(bap-config)의 정보 요소에 있어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를 설정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IAB 도너 CU로부터 IAB 노드로의 해당 설정은, 해당 IAB 노드의 부모 IAB 노드를 경유하여 행해져도 좋다. 또한, 부모 IAB 노드는, 해당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IAB 노드이다. IAB 도너 CU는 부모 IAB 노드에 대해, 해당 IAB 노드에 통지하는 RRC 시그널링을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예를 들면, D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부모 IAB 노드는 해당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해당 IAB 노드에 송신하는 시그널링을 취득해도 좋다. 부모 IAB 노드는 해당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해당 IAB 노드에 설정되는 정보, 예를 들면, 해당 IAB 노드에 할당되는 BAP 어드레스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부모 IAB 노드는 해당 IAB 노드에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파악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는 IAB 노드에 대해, 해당 IAB 노드의 수하에 존재하는 IAB 노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고, RRC 시그널링, 예를 들면,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정보에는, 예를 들면, 수하의 IAB 노드에 할당되는 1개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수하의 IAB 노드에 할당된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라우팅 처리를 원활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해당 정보에, 수하의 IAB 노드의 계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계층은, 예를 들면, 자신의 IAB 노드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고, IAB 도너 CU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고, IAB 도너 DU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다.
계층에 관한 해당 정보의 다른 예로서, UE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다. 기준으로 한 UE를 식별하는 정보, 예를 들면, UE 식별자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에 대한 스케줄링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지연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계층에 관한 해당 정보에, 계층의 기준으로 한 장치(예, IAB 도너 CU, IAB 도너 DU, UE)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계층의 기준이 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송신 처리에 관한 오동작의 확률을 저감 가능하게 된다.
동일한 IAB 노드에 대해서, 1개 또는 복수의 TNL 어드레스(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가 할당되어도 좋다. TNL 어드레스의 할당은, 예를 들면, 말단 IAB 노드에 대해서 행해져도 좋다. TNL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IPv4 어드레스여도 좋고, IPv6이어도 좋고, IPv6 프리픽스여도 좋다. TNL 어드레스 중에,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목적지 BAP 어드레스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헤더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다음 홉 BAP 어드레스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CU로부터 IAB 노드에 대한 라우팅 설정의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유니캐스트용 BAP 어드레스, 즉, 통상의 BAP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IAB 노드에 대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유니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는 IAB 노드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유니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21 및 도 22는,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의 설정 시퀀스이다. 도 21은 시퀀스의 전반 부분을 나타내고, 도 22는 시퀀스의 후반 부분을 나타낸다. 즉,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의 설정에서는, 우선, 도 21에 나타내는 스텝 ST1510~스텝 ST1528이 실행되고, 다음에,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32~스텝 ST1594가 실행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는 IAB 노드#2, IAB 노드#1, IAB 도너 DU를 경유하여 IAB 도너 CU와 접속하고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는 미리 멀티캐스트에 관한 정보를 입수한 상태라고 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스텝 ST1510에 있어서, UE는 AMF에 대해서, PDU 세션 변경(modification) 요구를 행한다. 해당 요구는, NAS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요구에, UE가 수신하고 싶은 멀티캐스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12에 있어서, AMF는 SMF에 대해, PDU 세션 변경 요구가 있던 것을 통지한다. 해당 통지는, 예를 들면,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의 서비스 동작(비특허문헌 37(TS23.502) 참조)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통지에, UE가 수신하고 싶은 멀티캐스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14에 있어서, SMF는, UE의 해당 멀티캐스트의 수신 가부를 체크한다. 스텝 ST1516에 있어서, SMF는 통합 데이터 저장소(Unified Data Repository:UDR)(비특허문헌 21(TS23.501) 참조)에 대해, 해당 멀티캐스트에 관한 정보의 문의 및 UDR로부터의 해당 정보의 취득을 행한다. 스텝 ST1518에 있어서, SMF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용 SMF(MB-SMF)(비특허문헌 28(TR23.757) 참조)에 대해, 멀티캐스트의 QoS에 관한 정보를 요구한다. 스텝 ST1520에 있어서, MB-SMF는 SMF에 대해, 해당 요구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해당 응답에, 멀티캐스트의 QoS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도 21에 나타내는 스텝 ST1522에 있어서, SMF는 AMF에 대해, 기지국으로의 메시지의 송신을 요구한다. 해당 요구는,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의 서비스 동작(비특허문헌 37(TS23.502) 참조)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요구에는,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문맥의 생성의 요구가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24에 있어서, AMF는 IAB 도너 CU에 대해, PDU 세션의 변경을 요구한다. 해당 요구에는, 예를 들면, PDU Session Resource Modify Request의 시그널링(비특허문헌 38(TS38.413) 참조)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요구에, 멀티캐스트의 세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도 21에 나타내는 스텝 ST1526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노드#2에 대해, PDU 세션 변경 요구를 통지한다. 해당 요구에, 멀티캐스트의 세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통지는, IAB 도너 DU, IAB 노드#1을 경유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통지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DL RRC MESSAGE TRANSFER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스텝 ST1528에 있어서, IAB 노드#2는 UE에 대해, PDU 세션 변경 요구를 통지한다. UE는, 스텝 ST1528의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UE는, PDU 세션의 정보를 변경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32~스텝 ST1562에 있어서, IAB 기지국과 UE와의 사이에서 멀티캐스트의 송신에 관한 설정이 행해진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32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도너 DU에 대해, 라우팅에 관한 정보를 설정한다. IAB 도너 CU는, 스텝 ST1524의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서, 해당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도너 CU는, 스텝 ST1524에서 수신한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와 관련되는 PDU 세션, 라우팅에 이용되는 IAB 노드를 결정해도 좋다. 라우팅에 관한 정보에는, IAB 도너 DU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경로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UE에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 홉 목적지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이용하는 RLC 채널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정보에는, 해당 IAB 노드의 TNL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BA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여도 좋다. 해당 TNL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로서 주어져도 좋다. 스텝 ST1532에 있어서의 설정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시그널링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가 복수 주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BAP Routing ID의 정보 요소(IE)에,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 중에, 해당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시그널링에 있어서, TNL 어드레스가 복수 주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IP로부터 레이어 2로의 트래픽 매핑 정보(IP to layer2 Traffic Mapping Info)(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의 정보 요소에 있어서, 목적지 IAB TNL 어드레스가 복수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34에 있어서, IAB 도너 DU는 IAB 도너 CU에 대해서, 스텝 ST1532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긍정 응답이 통지된다. 스텝 ST1534의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 ACKNOWLEDGEMENT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36에 있어서, IAB 도너 DU는, 자식 IAB 노드,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IAB 노드#1에 할당하는 식별자를 IAB 도너 CU에 통지한다. 해당 식별자는, C-RNTI여도 좋고, G-RNTI여도 좋고, SC-RNTI여도 좋고, 전술 중 복수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IAB 도너 DU가 IAB 노드#1과의 사이의 통신에 이용하는 RR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는, 스텝 ST1532의 수신을 계기로서, 스텝 ST1536의 통지를 행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38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도너 DU에 대해서, IAB 노드#1과의 사이의 멀티캐스트 통신에 이용하는 RRC 설정을 통지한다. 해당 통지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D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40에 있어서, IAB 도너 DU는 IAB 노드#1에 대해, 멀티캐스트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 해당 설정에는, PTM 레그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좋고, PTP 레그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설정에는, 예를 들면,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40에는, IAB 노드#1의 식별자, 예를 들면, C-RNTI, G-RNTI, 및/또는 SC-RNTI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RL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MA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PHY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논리 채널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논리 채널의 식별에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BAP 어드레스에는, IAB 노드#1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의 홉 목적지, 예를 들면, IAB 노드#2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와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IAB 노드#2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1의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의 홉 목적지의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와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정보가, PTM 레그와 PTP 레그의 각각에 관한 정보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42에 있어서, IAB 노드#1은 IAB 도너 DU에 대해서, 멀티캐스트에 관한 설정의 완료를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예를 들면, RRC 재설정 완료(RRCReconfigurationComplete)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443에 있어서, IAB 도너 DU는 IAB 도너 CU에 대해서, IAB 노드#1의 RRC 재설정 완료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ST1543을 계기로서, IAB 노드#1에 대한 멀티캐스트 설정이 완료된 것을 인식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44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노드#1에 대해, 라우팅에 관한 정보를 설정한다. 라우팅에 관한 정보에는, IAB 노드#1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경로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UE에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 홉 목적지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이용하는 RLC 채널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BA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여도 좋다. 스텝 ST1544에 있어서의 설정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시그널링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가 복수 주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BAP Routing ID의 정보 요소(IE)에,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 중에, 해당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46에 있어서, IAB 노드#1은 IAB 도너 CU에 대해서, 스텝 ST1544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긍정 응답이 통지된다. 스텝 ST1546의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 ACKNOWLEDGEMENT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48에 있어서, IAB 노드#1은, 자식 IAB 노드,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IAB 도너#2에 할당하는 식별자를 IAB 도너 CU에 통지한다. 해당 식별자는, C-RNTI여도 좋고, G-RNTI여도 좋고, SC-RNTI여도 좋고, 전술 중 복수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IAB 노드#1이 IAB 노드#2와의 사이의 통신에 이용하는 RR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1은, 스텝 ST1540의 수신을 계기로서, 스텝 ST1548의 통지를 행해도 좋고, 스텝 ST1544의 수신을 계기로서, 스텝 ST1548의 통지를 행해도 좋고, 스텝 ST1540 및 스텝 ST1544의 양쪽의 수신을 계기로서, 스텝 ST1548의 통지를 행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50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노드#1에 대해서, IAB 노드#2와의 사이의 멀티캐스트 통신에 이용하는 RRC 설정을 통지한다. 해당 통지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D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52에 있어서, IAB 노드#1은 IAB 노드#2에 대해, 멀티캐스트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 해당 설정에는, PTM 레그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좋고, PTP 레그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설정에는, 예를 들면,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52에는, IAB 노드#2의 식별자, 예를 들면, C-RNTI, G-RNTI, 및/또는 SC-RNTI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RL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MA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PHY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논리 채널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논리 채널의 식별에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BAP 어드레스에는, IAB 노드#2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의 홉 목적지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와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2의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고, 다음의 홉 목적지의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와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정보가, PTM 레그와 PTP 레그의 각각에 관한 정보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54에 있어서, IAB 노드#2는 IAB 노드#1에 대해서, 멀티캐스트에 관한 설정의 완료를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예를 들면, RRC 재설정 완료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55에 있어서, IAB 노드#1은 IAB 도너 CU에 대해서, IAB 노드#2의 RRC 재설정 완료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스텝 ST1555를 계기로서, IAB 노드#2에 대한 멀티캐스트 설정이 완료된 것을 인식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55A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노드#2에 대해, 라우팅에 관한 정보를 설정한다. 라우팅에 관한 정보에는, IAB 노드#2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경로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IAB 노드#2가 말단 IAB 노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이용하는 RLC 채널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BA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여도 좋다. 스텝 ST1555A에 있어서의 설정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시그널링에 있어서, BAP 어드레스가 복수 주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BAP Routing ID의 정보 요소(IE)에, 복수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복수의 BAP 어드레스 중에, 해당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55B에 있어서, IAB 노드#2는 IAB 도너 CU에 대해서, 스텝 ST1555A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긍정 응답이 통지된다. 스텝 ST1555B의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BAP MAPPING CONFIGURATION ACKNOWLEDGEMENT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56에 있어서, IAB 노드#2는, UE에 할당하는 식별자를 IAB 도너 CU에 통지한다. 해당 식별자는, C-RNTI여도 좋고, G-RNTI여도 좋고, SC-RNTI여도 좋고, 전술 중 복수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IAB 노드#2가 UE와의 사이의 통신에 이용하는 RR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2는, 스텝 ST1554의 수신을 계기로서, 스텝 ST1556의 통지를 행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58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노드#2에 대해서, UE와의 사이의 멀티캐스트 통신에 이용하는 RRC 설정을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D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60에 있어서, IAB 노드#2는 UE에 대해, 멀티캐스트에 관한 설정을 행한다. 해당 설정에는, PTM 레그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좋고, PTP 레그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설정에는, 예를 들면,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60에는, UE의 식별자, 예를 들면, C-RNTI, G-RNTI, 및/또는 SC-RNTI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RL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MAC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PHY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논리 채널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논리 채널의 식별에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정보가, PTM 레그와 PTP 레그의 각각에 관한 정보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62에 있어서, UE는 IAB 노드#2에 대해서, 멀티캐스트에 관한 설정의 완료를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예를 들면, RRC 재설정 완료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스텝 ST1563에 있어서, IAB 노드#2는 IAB 도너 CU에 대해서, UE의 RRC 재설정 완료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스텝 ST1563을 계기로서, UE에 대한 멀티캐스트 설정이 완료된 것을 인식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72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AMF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전달을 요구한다. 해당 요구에는, UE를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를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스텝 ST1574에 있어서, AMF는 MB-SMF에 대해, 멀티캐스트 전달을 요구한다. 스텝 ST1576에 있어서, MB-SMF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용 UPF(MB-UPF)(비특허문헌 28(TR23.757) 참조) 사이에서, 멀티캐스트 전달과 관련되는 세션 정보의 변경(Modification)이 행해진다. 스텝 ST1578에 있어서, MB-SMF는 AMF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전달 요구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스텝 ST1580에 있어서, AMF는 IAB 도너 CU에 대해, 멀티캐스트 전달 요구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82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AMF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전달과 관련되는 세션 정보의 변경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스텝 ST1584에 있어서, AMF는 SMF에 대해, 세션 정보의 변경에 대한 응답을 통지한다. 해당 통지에는, 예를 들면,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비특허문헌 37(TS23.502) 참조)의 처리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 22에 나타내는 스텝 ST1586에 있어서, MB-UPF는 IAB 도너 CU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텝 ST1588에 있어서, IAB 도너 CU는 IAB 도너 DU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텝 ST1590에 있어서, IAB 도너 DU는 IAB 노드#1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텝 ST1592에 있어서, IAB 노드#1은 IAB 노드#2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텝 ST1594에 있어서, IAB 노드#2는 UE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텝 ST1590~스텝 ST1594에 있어서, PTP 레그가 이용되어도 좋고, PTM 레그가 이용되어도 좋고, 전술한 양쪽이 이용되어도 좋다.
도 21, 도 22에 있어서, IAB 도너 CU가 1개인 경우에 대해 나타냈지만, IAB 도너 CU가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C 플레인(C-Plane)용의 IAB 도너 CU(IAB 도너 CU-CP)와 U 플레인(U-Plane)용의 IAB 도너 CU(IAB 도너 CU-UP)가 마련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UP는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에 있어서의 처리량 분산에 의한 부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C 플레인용의 IAB 도너 DU 및/ IAB 노드가 마련되어도 좋고, U 플레인용의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마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IAB 도너 CU-CP에도 IAB 도너 CU-UP에도 접속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CP는 IAB 도너 CU-UP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IAB 도너 DU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 말단 IAB 노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통지는, CU-CP와 CU-UP 사이의 시그널링(예, E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IAB 도너 CU-UP는, 해당 통지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신지의 IAB 도너 DU에 대한 라우팅을 행해도 좋고, 해당 IAB 도너 DU에 대해서 해당 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UP로부터 IAB 도너 DU로의 데이터 송신에 관한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C 플레인용의 IAB 도너 DU 및/IAB 노드가 마련되어도 좋고, U 플레인용의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마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IAB 도너 CU-CP에도 IAB 도너 CU-UP에도 접속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21, 도 22에 있어서의, IAB 도너 CU와,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시그널링에 대해, IAB 도너 CU가 IAB 도너 CU-CP로 치환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IAB 도너 CU와 UE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시그널링에 대해, IAB 도너 CU가 IAB 도너 CU-CP로 치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설정 시퀀스가, 멀티캐스트의 경로의 변경에 이용되어도 좋다. 경로의 변경은,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의 추가 및/또는 삭제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고, IAB 노드 사이의 통신 경로가 장애물 등으로 차폐된 경우에 행해져도 좋고, 해당 통신 경로가 해당 차폐로부터 복구한 경우에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를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경로 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의 경로의 변경에 있어서, 변경과 관련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가, 백홀 라우팅 정보 추가 일람(BH Routing Information Added List)에 포함되어도 좋고, 백홀 라우팅 정보 삭제 일람(BH Routing Information Removed List)에 포함되어도 좋고, 백홀 라우팅 정보 변경 일람(BH Routing Information Modified List)으로서 포함되어도 좋고, 전술 중 복수에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백홀 라우팅 정보 변경 일람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멀티캐스트의 경로의 변경과 관련되는 F1 시그널링량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로부터 IAB 도너 DU로의 설정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IP로부터 레이어 2로의 트래픽 매핑 정보(IP to layer2 Traffic Mapping Info)(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의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이용한 해당 설정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로서, 이하 (a)~(e)를 개시한다.
(a) 단일의 I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 복수의 RLC 채널 식별자.
(b) 단일의 I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 단일의 RLC 채널 식별자.
(c) 복수의 I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 복수의 RLC 채널 식별자.
(d) 복수의 I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BAP 어드레스, 단일 또는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 단일의 RLC 채널 식별자.
(e) 전술한 (a)~(d)의 조합.
전술한 (a)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a)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a)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b)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b)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b)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c)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유니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c)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c)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d)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는, 유니캐스트 IP 어드레스여도 좋다. 전술한 (d)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전술한 (d)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대해서 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로부터 IAB 노드로의 설정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다음 홉 BAP 어드레스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단일 또는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와 복수의 RLC 채널 식별자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IAB 노드에 대해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단일 또는 복수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와 단일의 RLC 채널 식별자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IAB 노드에 대해서 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IAB 노드로의 할당 방법의 예로서, 이하 (가)~(사)를 개시한다.
(가) 말단 IAB 노드에 할당한다.
(나) 부모 IAB 노드마다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할당한다.
(다) BAP 어드레스의 각 비트에 각 IAB 노드를 할당한다.
(라)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에 할당한다.
(마) 소정의 계층 이하의 IAB 노드에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바) IAB 도너 CU로부터 UE까지의 경로로 되는 IAB 노드에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사) 전술한 (가)~(바)의 조합.
전술한 (가)의 방법으로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말단 IAB 노드에 대해서 할당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말단 IAB 노드에,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는 말단 IAB 노드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많은 IAB 노드로의 멀티캐스트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해당 말단 IAB 노드는, 자식 IAB 노드와 접속하지 않는 말단 IAB 노드만이라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말단 IAB 노드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처리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도 23은,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는 부모 IAB 노드로서의 말단 IAB 노드에도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3에 있어서, UE#1~#6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 해칭 없는 IAB 노드#2~#5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IAB 노드, 해칭 있는 IAB 노드#1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IAB 노드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IAB 노드#2~#5는 모두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에 접속되어 있는 말단 IAB 노드이다. 따라서, IAB 노드#2~#5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즉, IAB 노드#5의 부모 IAB 노드인 IAB 노드#3에도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IAB 노드#3에는, UE#2와, 자식 IAB 노드로서 IAB 노드#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형태의 경우, IAB 노드#3은, UE#2로부터 본 말단 IAB 노드, IAB 노드#5로부터 본 부모 IAB 노드가 된다.
도 24는,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자식 IAB 노드가 접속되지 않는 말단 IAB 노드에만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4에 있어서, UE#1~#6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 해칭 없는 IAB 노드#2, #4, #5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IAB 노드, 해칭 있는 IAB 노드#1, #3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IAB 노드를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IAB 노드#2~#5는 모두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에 접속되어 있지만, IAB 노드#3은 자식 IAB 노드가 되는 IAB 노드#5에도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IAB 노드#3에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고, IAB 노드#2, #4, #5에 대해,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UE가 접속되고, 또한 다른 IAB 노드(자식 IAB 노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IAB 노드에 대해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전술한 (나)의 방법으로서, 부모 IAB 노드마다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할당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로부터 부모 IAB 노드에 대한 다음 홉 BAP 어드레스의 설정을, 적은 BA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설정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IAB 도너 CU와 부모 IAB 노드의 사이의 F1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25는,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동일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동일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5에 있어서, UE#1~#7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 도트 모양의 해칭이 있는 IAB 노드#7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IAB 노드를 나타낸다. 도 25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선의 해칭,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선의 해칭, 간격의 좁은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선의 해칭이 있는 IAB 노드는, 각각 다른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 IAB 노드를 나타낸다. 환언하면, IAB 노드#1~#6 중, 동일한 모양의 해칭이 있는 IAB 노드에는 동일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멀티캐스트의 컨텐츠 사이에서,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이용하는 BAP 어드레스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AB 노드의 수용수를 증가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마다, 다른 RLC 채널이 이용되어도 좋다. 다른 RLC 채널의 사용은,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의 컨텐츠 사이에서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경우에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이용하는 BAP 어드레스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하면서,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를 식별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의 컨텐츠 사이에서, 동일한 패스 ID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이용하는 패스 ID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IAB 노드의 수용수를 증가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마다, 다른 RLC 채널이 이용되어도 좋다. 다른 RLC 채널의 사용은,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의 컨텐츠 사이에서 동일한 패스 ID가 할당되는 경우에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이용하는 패스 ID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하면서,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를 식별 가능하게 된다.
상이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다른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송신 대상의 IAB 노드를 신속히 판별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이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동일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예를 들면, 다음 홉 BAP 어드레스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다음 홉 BAP 어드레스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다음 홉 BAP 어드레스의 값을 규격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로부터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로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다음 홉 BAP 어드레스로서의 설정이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F1 시그널링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다)의 방법으로서, BAP 어드레스의 각 비트에 각 IAB 노드를 할당해도 좋다. IAB 도너 CU는 IAB 노드에 대해, 해당 IAB 노드에 할당하는 BAP 어드레스의 비트 위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IAB 노드에 할당되는 비트 위치를 인식해도 좋다. IAB 노드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BAP 어드레스의 당해 비트의 값을 이용하여, 자신의 IAB 노드가 목적지에 포함될지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자신의 IAB 노드가 목적지에 포함될지 여부를 신속히 판단 가능하게 된다.
도 26은,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해칭 없는 UE#1, #4~#7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 해칭 있는 UE#2, #3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지 않는 UE인 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2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와 접속하는 말단 IAB 노드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도 26에 있어서, 해칭 있는 IAB 노드#1~#3, #5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IAB 노드, 해칭 없는 IAB 노드#4, #6, #7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IAB 노드를 나타낸다.
도 27은, 도 26에 대해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비트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예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는, 비트 0~비트 9의 10 비트로 구성된다. 도 2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비트 0(LSB)은 IAB 도너 DU에, 비트 1~7은 각각 IAB 노드#1~#7에 할당되어 있다. 비트 8, 9는 빈 비트이다. 당해 비트는 예약 비트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향후의 확장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26에 있어서, IAB 노드#4, #6, #7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27에 있어서의 비트 4, 6, 7에 '1'이 할당되고, 나머지의 비트에는 '0'이 할당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1'이 할당되는 비트에 해칭을 부가하고 있다. 따라서, 도 26, 도 27의 예에 있어서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는, 2 진수 표기로 "0011010000"이 된다.
도 27에 있어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10 비트인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소정의 비트수여도 좋다. 소정의 해당 비트수는, 10 비트와 다른 비트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도 27에 있어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상위 2 비트가 빈 비트인 예에 대해 나타냈지만, 소정의 비트 패턴이 할당되어도 좋다. 해당 비트 패턴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인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비트 패턴이어도 좋다. 해당 비트 패턴은, 2 비트와 다른 비트수여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BAP 어드레스의 소정의 비트 위치의 값이 해당 비트 패턴에 일치하는 것을 계기로서, 해당 BAP 어드레스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라고 판단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동일한 목적지 BAP 어드레스에 대해, 상이한 패스 ID가 할당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말단 IAB 노드까지의 경로의 각각에 대해 다른 패스 ID가 할당되어도 좋다. 다른 예로서, 상이한 멀티캐스트의 컨텐츠의 각각에 대해, 상이한 패스 ID가 할당되어도 좋다. 패스 ID를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마다 할당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를 신속히 식별 가능하게 된다.
상이한 목적지 BAP 어드레스에 대해서, 동일한 패스 ID가 할당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이용하는 패스 ID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마다, 상이한 RLC 채널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이용하는 패스 ID의 수를 삭감 가능하게 하면서, 멀티캐스트의 컨텐츠를 식별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다)의 방법이, 유니캐스트에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유니캐스트에 있어서도 IAB 노드는 자신의 IAB 노드가 목적지인 것을 신속히 판단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라)의 방법으로서,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에 할당되어도 좋다. 전술한 계층은, IAB 도너 CU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다.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에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다음 홉 BAP 어드레스로서 설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라우팅 처리를 신속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에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송신지 BAP 어드레스로서 설정되어도 좋다. 송신지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해당 BAP 어드레스가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말단 IAB 노드의 계층이 각각 다른 경우에 있어서, 송신지 BAP 어드레스로서 복수의 해당 BAP 어드레스가 설정되어도 좋다. 복수의 해당 BAP 어드레스가, BAP 헤더에 포함되어도 좋다. IAB 노드 및/또는 IAB 도너 DU는, BAP 헤더에 포함되는 복수의 해당 BA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노드가 말단 IAB 노드이며, 또한, 자식 IAB 노드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IAB 노드는 자식 IAB 노드로의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UE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소정의 해당 시간은, 목적지 BAP 헤더에 포함되는 해당 BAP 어드레스의 대상으로 되는 IAB 노드의 계층을 이용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동일한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해, 상이한 계층의 말단 IAB 노드에 접속하는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수신 시간차를 저감 가능하게 된다.
상이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BAP 어드레스의 사용수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해당 계층을 나타내는 소정의 BAP 어드레스가 마련되어도 좋다. 해당 BAP 어드레스는, 미리 규격으로 결정되어도 좋고, IAB 도너 CU가 결정하여도 좋다. 소정의 해당 BAP 어드레스에, 1개 또는 복수의 IAB 노드가 대응되어도 좋다. 1개 또는 복수의 IAB 노드는, 서로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여도 좋다.
전술한 대응을, IAB 도너 CU가 결정하여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 해당 BAP 어드레스와, 대상으로 되는 IAB 노드의 BAP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통지가, F1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5(TS38.473)에 개시된 BAP MAPPING CONFIGURATION의 시그널링에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통지에, 해당 BAP 어드레스를 대신하여 계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해당 BAP 어드레스와 계층에 관한 정보의 양쪽이 포함되어도 좋다. 해당 통지에, 해당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의 계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의 라우팅 처리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대응을,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자율적으로 행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자신의 계층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하의 IAB 노드의 계층을 도출해도 좋다. 자신의 계층에 관한 정보를, IAB 도너 CU가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통지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라우팅 처리를 신속히 실행 가능하게 된다.
도 28은, IAB 기지국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의 할당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에 대해서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8에 있어서의 계층은, IAB 도너 DU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다. 도 28에 있어서, UE#1~#7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 도트 모양의 해칭이 있는 IAB 노드#7은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IAB 노드를 나타낸다. 도 28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선이 들어간 IAB 노드,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선이 들어간 IAB 노드는, 각각 제1 계층, 제2 계층의 IAB 노드를 나타낸다.
상이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상이한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라) 외의 방법으로서, 전술한 계층은, UE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다. 동일한 IAB 노드가 복수의 계층에 대응하는 BAP 어드레스를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UE가 각각 IAB 도너 CU를 기준으로서 상이한 계층에 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IAB 노드가 복수의 계층에 대응하는 BAP 어드레스를 가져도 좋다.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동일한 계층의 IAB 노드에 할당되어도 좋다. 다른 예로서, IAB 노드는, 수하의 하나 또는 복수의 UE를 기준으로 한 계층 중, 제일 깊은 계층에 대응하는 BAP 어드레스를 가져도 좋다. IAB 노드는, 스케줄링에 있어서 해당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로부터 UE까지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지연을 저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IAB 노드는, 수하의 하나 또는 복수의 UE를 기준으로 한 계층 중, 제일 얕은 계층에 대응하는 BAP 어드레스를 가져도 좋다.
전술한 (마)의 방법으로서, 소정의 계층 이하의 IAB 노드에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소정의 계층보다 앞의 IAB 노드에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해당 계층은, IAB 도너 CU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해당 계층은, UE를 기준으로 한 계층이라도 좋다.
전술한 (바)의 방법으로서, IAB 도너 CU로부터 UE까지의 경로가 되는 IAB 노드에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29는, IAB 도너 CU로부터 UE까지의 경로가 되는 IAB 노드에 동일한 BA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예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UE#5까지의 경로가 되는 IAB 노드#1, #3, #5에 대해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9에 있어서, UE#1~#6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 해칭 있는 IAB 노드#2, #4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IAB 노드, 해칭 없는 IAB 노드#1, #3, #5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IAB 노드를 나타낸다. IAB 노드#1, #3, #5에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로서 동일한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전술한 (사)의 예로서, (가)와 (나)의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목적지 BAP 어드레스에, 전술한 (가)의, 말단 IAB 노드에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다음 홉 BAP 어드레스에, 전술한 (나)의, 자식 IAB 노드에 할당되는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를, 각각 이용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송신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도 30은, 말단 IAB 노드, 및, 동일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있어서, UE#1~#7은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UE를 나타낸다. 도 30에 있어서, 가로선이 들어간 IAB 노드#4~#7은, 말단 IAB 노드용의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선이 들어간 IAB 노드#1, #2,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선이 들어간 IAB 노드#3, #4, 및, 세로선이 들어간 IAB 노드#5, #6은, 동일한 부모 IAB 노드에 접속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할당되는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도 30에 있어서, IAB 노드#4~#6에는, 전술한 양쪽의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상세하게는, IAB 노드#4에는, 말단 IAB 노드용의 BAP 어드레스와, IAB 노드#1을 부모 IAB 노드로 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할당되는 BA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IAB 노드#5 및 #6에는, 말단 IAB 노드용의 BAP 어드레스와, IAB 노드#2를 부모 IAB 노드로 하는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할당되는 BAP 어드레스를 할당된다.
IAB 노드는, 부모 IAB 노드로부터 수신한 BAP-PDU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해도 좋다. 해당 동작은, 예를 들면, 해당 IAB 노드에 자식 IAB 노드가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목적지 BAP 어드레스에 자신의 IAB 노드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식 IAB 노드로의 멀티캐스트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IAB 노드는, 부모 IAB 노드로부터 수신한 BAP-PDU를 상위 레이어에 전송해도 좋다. IAB 노드는, BAP-PDU로부터 BAP 헤더를 삭제해도 좋다. 해당 동작은, 예를 들면, 해당 IAB 노드가 말단 IAB 노드인 경우에 행해진다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UE로의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IAB 노드는, 전술한 양쪽의 동작을 행해도 좋다. 전술한 양쪽의 동작은, 예를 들면, 해당 IAB 노드가 말단 IAB 노드이며, 즉, UE에 접속하고, 또한, 자식 IAB 노드에도 접속하는 경우에 행해져도 좋다. IAB 노드는, 실시의 형태 2에 개시하는 BAP-PDU의 복제를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로부터 자식 IAB 노드 및 UE로의 멀티캐스트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IAB 기지국으로부터의 멀티캐스트 송신에 있어서, PTM 레그와 PTP 레그의 사이의 전환이 행해져도 좋다. 해당 전환을, IAB 도너 CU가 판단해도 좋고, UE와 직접 접속하는 IAB 노드가 판단해도 좋다. IAB 도너 CU 및/또는 해당 IAB 노드는, PDCP SN(Sequence Number)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UE에 대해서 송달 확인이 취해진 PDCP SN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판단을 행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해당 판단의 결과를 IAB 도너 CU에 통지해도 좋다. IAB 도너 CU는, 자신의 CU 및/또는 해당 IAB 노드에 의한 판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에 대해 이용하는 레그를 결정해도 좋다.
해당 전환에 관한 다른 예로서, 해당 전환을, IAB 도너 DU가 판단해도 좋고, UE까지의 경로의 도중에 있는 IAB 노드가 판단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해당 IAB 노드는, RLC SN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UE에 대해서 송달 확인이 취해진 RLC SN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판단을 행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해당 IAB 노드는, 해당 판단의 결과를 IAB 도너 CU에 통지해도 좋다. IAB 도너 CU는, 자신의 CU 및/또는 해당 IAB 노드에 의한 판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이용하는 레그를 결정해도 좋다.
해당 교체에 관한 다른 예로서, 해당 전환을 UE가 판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멀티캐스트의 수신 상황(예, PDCP SN, RLC SN)을 이용하여, 해당 판단을 행해도 좋다. UE는 기지국에 대해, 해당 전환의 요구를 통지해도 좋고, 멀티캐스트의 수신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UE는 기지국에 대해서 자율적으로 해당 통지를 송신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PDCP 스테이터스 리포트(비특허문헌 39(TS38.323) 참조)가 이용되어도 좋다. IAB 도너 CU는, UE로부터 수신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PTM/PTP의 전환을 행해도 좋다.
다른 예로서, UE는 해당 통지에 PRACH를 이용하여도 좋고,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UE와 직접 통신하는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IAB 도너 CU에 대해, UE로부터의 해당 통지를 전송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해당 전송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UE로부터의 PTM/PTP 전환 요구를 IAB 도너 CU에 통지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는,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로부터 전송된 해당 통지를 이용하여, PTM/PTP의 전환을 행해도 좋다.
전술한 F1 시그널링에는, 예를 들면, UL RRC MESSAGE TRANSFER(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의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고, 새로운 시그널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새로운 시그널링에는, 예를 들면, UE로부터 PTM/PTP 전환 요구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전환 전의 레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전환 후의 레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레그에 관한 UE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의 수신 상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고, 전술 중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멀티캐스트의 수신 상황에 관한 정보의 예로서, PDCP 레이어에 있어서 이용되는 타이머(예, 비특허문헌 39에 기재된 t-reordering)의 만료에 관한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와 관련되는 PDCP SDU(Service Data Unit) 및/또는 PDCP PDU의 결핍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고, RLC 레이어에 있어서 이용되는 타이머(예, 비특허문헌 40에 기재된 t-reassembly)의 만료에 관한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고, 멀티캐스트와 관련되는 RLC SDU(Service Data Unit) 및/또는 RLC PDU의 결핍수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전술한 소정의 정보는, 미리 규격에서 결정되어도 좋고, IAB 도너 CU가 결정하여 UE에 통지 혹은 알려도 좋다. 전술에 있어서의, PDCP 레이어에 있어서 이용되는 타이머로서, 새로운 타이머가 마련되어도 좋다. 전술에 있어서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 이용되는 타이머로서, 새로운 타이머가 마련되어도 좋다. 전술한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F1 시그널링에 있어서, 이유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의 수신 상황에 관한 정보가, UE로부터의 PTM/PTP 레그 전환 요구의 이유로서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도너 CU는, UE의 상세한 상황을 취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RRC 시그널링에 있어서도, 전술한 F1 시그널링과 마찬가지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전술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IAB 도너 CU는, 레그의 액티베이션/디액티베이션에 관한 정보를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에는, F1 시그널링,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5(TS38.473)에 개시된 UE CONTEXT SETUP REQUEST가 이용되어도 좋고, UE CONTEXT MODIFICATION REQUEST가 이용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에 대해서, 레그의 액티베이션/디액티베이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는, 예를 들면,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자식 IAB 노드 및/또는 UE에 대한 해당 정보를 신속히 통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IAB 노드간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IAB 노드간에 있어서의 PTM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개시한 해결책의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를 갖는 BAP 헤더에 있어서,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고, IAB 도너 CU로부터 설정되는 복수의 목적지 BAP 어드레스에, 멀티캐스트용 BA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송신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의해, IAB 노드 사이의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BAP 어드레스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2.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데이터의 복제가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UE 및 자식 IAB 노드에 대해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의 복제가 행해져도 좋다.
그런데, 데이터의 복제를 행하는 주체에 대해 상술한 각 비특허문헌 등에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장치 간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IAB 도너 CU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복제한다. 해당 복제가 PDC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IAB 도너 CU는, PDCP 레이어에 있어서 복제한 데이터를 각 UE에 대해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이용되어도 좋다.
다른 해결책을 개시한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복제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는, BAP 레이어에 있어서 해당 복제를 행해도 좋다.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해당 복제가, 송신측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PT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송신측의 BAP 레이어에 의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메모리 버퍼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31은,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복수의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IAB 노드에 있어서의 BAP 레이어 동작의 일례이다. 도 31에 나타내는 BAP 레이어는, 수신측 BAP 레이어 및 송신측 BAP 레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도 31에 있어서,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가 송신측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31에 있어서, 수신한 BAP-PDU(3110)는, 입력측 BH RLC 채널로부터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다. 수신측 BAP에 포함되는 기능부(3115)에 있어서, 상위 레이어에 전송될지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될지가 판단된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BAP-PDU(3110)는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된다.
도 31에 있어서, 송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 BAP-PDU(3110)는, 라우팅 기능부(3125)에 입력된다. 라우팅 기능부(3125)에 있어서, 송신지의 자식 IAB 노드가 결정되고, 또한, BAP-PDU(3110)의 복제가 행해지고, 복수의 BAP-PDU(3130)가 생성된다. 생성된 BAP-PDU(3130)는, 출력측 BH RLC 채널에 매핑된다. 생성된 BAP-PDU(3130)의 각각은, 각각 다른 IAB 노드에 송신되어도 좋다.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해당 복제가, 수신측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 수신측의 BAP 레이어에 의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신 처리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말단 IAB 노드로부터 UE로의 PTP 송신에 있어서, 수신측의 BAP 레이어에 의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설계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도 32는,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의 BAP 레이어 동작의 일례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BAP 레이어는, 수신측 BAP 레이어 및 송신측 BAP 레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도 32에 있어서,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가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32에 있어서, 수신한 BAP-PDU(3110)는, 입력측 BH RLC 채널로부터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다. 수신측 BAP에 포함되는 기능부(3215)에 있어서, 상위 레이어에 전송될지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될지가 판단된다. 필요하면, BAP 레이어에 있어서 BAP-PDU(3110)의 복제가 행해진다. 도 3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BAP-PDU(3110)는,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되는 BAP-PDU(3220)와 상위 레이어에 전송되는 BAP-PDU(3221)에 복제된다.
도 32에 있어서, 송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 BAP-PDU(3220)는, 라우팅을 거쳐, 출력측 BH RLC 채널에 매핑된다.
도 33은,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복수의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의 BAP 레이어 동작의 일례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BAP 레이어는, 수신측 BAP 레이어 및 송신측 BAP 레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도 33에 있어서,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가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33에 있어서, 수신한 BAP-PDU(3110)는, 입력측 BH RLC 채널로부터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다. 수신측 BAP에 포함되는 기능부(3215)에 있어서, 상위 레이어에 전송될지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될지가 판단된다. 필요하면, BAP 레이어에 있어서 BAP-PDU(3110)의 복제가 행해진다. 도 3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BAP-PDU(3110)의 복제가 행해지고,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되는 복수의 BAP-PDU(3320)와 상위 레이어에 전송되는 BAP-PDU(3221)가 생성된다. 기능부(3215)는, 송신측 BAP 레이어의 라우팅 기능부가 갖는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복제를 행해도 좋고, 송신측 BAP 레이어의 라우팅 기능부가 갖는 라우팅 정보와 마찬가지의 라우팅 정보를 가져도 좋다.
도 33에 있어서, 송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 복수의 BAP-PDU(3320)는, 라우팅을 거쳐, 출력측 BH RLC 채널에 매핑된다.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해당 복제가, 송신측과 수신측의 양쪽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양쪽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측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에 의해, 자식 IAB 노드 전용의 BAP-PDU와 UE 전용의 BAP-PDU가 생성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송신측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에 의해, 복수의 자식 IAB 노드 전용의 BAP-PDU의 복제가 행해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메모리 버퍼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34는,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복수의 자식 IAB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의 BAP 레이어 동작의 일례이다. 도 34에 나타내는 BAP 레이어는, 수신측 BAP 레이어 및 송신측 BAP 레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도 34에 있어서,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가 송신측 BAP 레이어 및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예를 나타낸다.
도 34에 있어서, 수신한 BAP-PDU(3110)는, 입력측 BH RLC 채널로부터 수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다. 수신측 BAP에 포함되는 기능부(3215)에 있어서, 상위 레이어에 전송될지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될지가 판단된다. 필요하면, BAP 레이어에 있어서 BAP-PDU(3110)의 복제가 행해진다. 도 3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BAP-PDU(3110)는, 송신측 BAP 레이어에 전송되는 BAP-PDU(3220)와 상위 레이어에 전송되는 BAP-PDU(3221)에 복제된다.
도 34에 있어서, 송신측 BAP 레이어에 입력된 BAP-PDU(3220)는, 라우팅 기능부(3125)에 입력된다. 라우팅 기능부(3125)에 있어서, 송신지의 자식 IAB 노드가 결정되고, 또한, BAP-PDU(3220)의 복제가 행해지고, 복수의 BAP-PDU(3130)가 생성된다. 생성된 BAP-PDU(3130)는, 출력측 BH RLC 채널에 매핑된다.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해당 복제가, 송신측과 수신측의 양쪽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복수의 자식 IAB 노드와 복수의 UE가 접속하고 있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양쪽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측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에 의해, 자식 IAB 노드 전용의 BAP-PDU와 복수의 UE 전용의 복수의 BAP-PDU가 생성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송신측의 BAP 레이어에 있어서의 복제에 의해, 복수의 자식 IAB 노드 전용의 BAP-PDU의 복제가 행해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상위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면, I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메모리 버퍼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UDP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메모리 버퍼 사용량을 더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GTP-u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메모리 버퍼 사용량을 더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IAB 노드의 수신측의 GTP-u 레이어로부터, 해당 IAB 노드의 송신측의 RLC 레이어에 전송될 때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메모리 버퍼 사용량을 더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35는, 말단 IAB 노드의 수신측과 송신측의 사이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행해지는 동작의 예를, IAB 도너 CU로부터 IAB 도너 DU, 중간 IAB 노드, 말단 IAB 노드를 거쳐 UE에 이를 때까지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말단 IAB 노드의 수신측의 GTP-u 처리 후에 복제되고, 송신측의 RLC 레이어에 입력된다.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를 행하는 새로운 레이어가 마련되어도 좋다. 해당 레이어가, 예를 들면, 말단 IAB 노드의 GTP-u 레이어의 상위에 마련되어도 좋고, 말단 IAB 노드의 도중의 IAB 노드의 BAP 레이어의 상위에 마련되어도 좋고, IAB 도너 DU의 IP 레이어의 상위에 마련되어도 좋다. IAB 도너 DU 및/또는 IAB 노드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복제가 해당 레이어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의해,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장치 사이의 어긋남을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3.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의 경로가 도중에 합류해도 좋다. 경로의 합류는,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고, 말단 IAB 노드가 아닌 IAB 노드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도 36은, 데이터의 복수의 경로가 도중에 합류하는 예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에 있어서, 말단 IAB 노드가 아닌 IAB 노드#4에 있어서, IAB 노드#2로부터의 경로와 IAB 노드#3으로부터의 경로가 합류한다.
그런데, 말단 IAB 노드가 아닌 IAB 노드#4는, PDCP 헤더를 참조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경로의 합류가 행해지는 노드가 말단 IAB 노드가 아닌 IAB 노드인 경우에 있어서, 해당 IAB 노드는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동일성을 판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효율성 향상으로서, 패킷 복제(비특허문헌 39(TS38.323) 참조)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무선 리소스를 압박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1개의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만이 자식 IAB 노드에 송신된다. IAB 노드는, 다른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파기해도 좋다.
해당 파기는, 해당 1개의 경로로부터의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에 행해진다고 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해당 1개의 경로로부터의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 다른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유지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예를 들면, 해당 1개의 경로로부터의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소정의 시간 도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송신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IAB 도너 CU는 해당 IAB 노드에 대해, PDCP 설정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해당 정보는, 예를 들면, 베어러 식별자를 포함해도 좋고, RLC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정보의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 예를 들면, RRC 재설정(RRCReconfiguration)이 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통지는, 해당 IAB 노드의 각 경로에 관한 부모 IAB 노드를 경유하여 행해져도 좋다. 해당 IAB 노드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PDCP 설정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복수의 경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동일한 멀티캐스트 컨텐츠의 데이터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이전 홉 BAP 어드레스(Prior-Hop BAP Address: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가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입력측 백홀 RLC 채널 식별자(Ingress Backhaul RLC Channel ID:비특허문헌 35(TS38.473) 참조)가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1개의 이전 홉 BAP 어드레스와, 1개 또는 복수의 입력측 백홀 RLC 채널 식별자의 조합이 복수 마련되어도 좋다. 복수의 이전 홉 BAP 어드레스 및/또는 복수의 입력측 백홀 RLC 채널 식별자는, 1개의 매핑 정보에 대해서 마련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는 복수의 경로로부터 수신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동일한 멀티캐스트 컨텐츠의 데이터인 것을 신속히 인식 가능하게 된다.
IAB 노드에 있어서 어느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할지를, IAB 도너 CU가 결정해도 좋다. IAB 도너 CU는 해당 IAB 노드에 대해, 어느 경로로부터 송신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할지의 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해당 통지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고,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해져도 좋다.
다른 예로서, IAB 노드에 있어서 어느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할지를, 해당 IAB 노드가 결정해도 좋고, UE가 결정해도 좋다. 해당 IAB 노드 및/또는 UE는 IAB 도너 CU에 대해, 어느 경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할지를 통지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AB 노드 및/또는 UE까지의 수신 환경을 기초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경로를 결정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품질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전술의, 복수의 이전 홉 BAP 어드레스 및/또는 복수의 입력측 백홀 RLC 채널 식별자 중, 유효로 되는 이전 홉 BAP 어드레스 및/또는 입력측 백홀 RLC 채널 식별자가 설정되어도 좋다. 해당 설정은, IAB 도너 CU가 행해도 좋고, 해당 IAB 노드 자신이 행해도 좋고, UE가 행해도 좋다. 해당 설정을 IAB 도너 CU가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통지가 이용되어도 좋다. IAB 노드는, 유효로 되는 이전 홉 BAP 어드레스 및/또는 입력측 백홀 RLC 채널 식별자로부터의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자식 IAB 노드에 송신한다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의 경로 선택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2개 이상의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자식 IAB 노드에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어느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자식 IAB 노드에 송신될지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의 사용량을 삭감하면서, 멀티캐스트 송신의 용장성을 확보 가능하게 된다.
자식 IAB 노드에 송신되는, 1개 혹은 복수의 경로로부터 도착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는, IAB 노드에 먼저 도착한 경로의 데이터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의 신속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복수의 경로로부터의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그대로 자식 IAB 노드에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용장성을 확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멀티캐스트의 송신 경로의 합류가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말단 IAB 노드 이외의 IAB 노드에 있어서 합류가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고, 말단 IAB 노드에 있어서 합류가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고, 전술한 양쪽에 대해 합류가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 의해,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4.
3GPP에서는, SL 통신을 이용한 다종의 서비스를, EPS에 있어서도, 5G 코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지원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16, 20, 21, 22, 23 참조). SL 통신에서는 단말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또, SL 통신에 있어서는, 단말간의 직접 통신뿐만이 아니라, 릴레이(relay)를 거친 UE와 NW 사이의 통신이 제안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0(3GPP TR23.703), 비특허문헌 23(3GPP TS23.303), 비특허문헌 27(3GPP TR38.836) 참조). UE와 NW 사이의 릴레이를, UE-to-NW 릴레이, 혹은, UE-NW간 릴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에서는, UE와 NW 사이의 릴레이를 실시하는 UE를, 릴레이 U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예를 들어 gNB)의 커버리지 내의 UE뿐만이 아니라, 보다 먼 곳의 UE와 RAN 노드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필요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UE-NW간 릴레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gNB와 UE(리모트 U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사이의 통신을, 릴레이 UE를 거쳐 행한다. gNB와 릴레이 UE 사이의 통신을 Uu로 행하고,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통신을 PC5로 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UE를 거쳐 NW와 접속하는 UE를 리모트 UE라고 칭한다.
이러한 릴레이를 거친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UE와 NW 사이의 통신 품질을 어떻게 향상시킬지가 문제가 된다. 종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UE가 2개의 기지국과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이중 접속(DC:Dual Connectivity)이라고 하는 방법이 있다(비특허문헌 12(TS37.340) 참조). 그러나, 종래의 DC의 방법은, UE가 기지국과 직접 접속하는 경우밖에 개시되어 있지 않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서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직접 통신과는 달리, Uu뿐만이 아니라 PC5 상에서의 통신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직접 통신에서의 방법을 단지 이용한 것만으로는,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의 이중 접속의 방법은, 지금까지 책정된 규격 등에 있어서, 조금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과 접속한다. 해당 복수는 예를 들어 2개라도 좋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기지국과 접속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 혹은 리모트 UE가, 2개의 기지국과 접속하는 방법을, 단지 D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해당 2개의 기지국을, 이후, MN(Master Node), SN(Secondary Node)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MN은, CN(Core Network)과의 C-Plane(Control Plane) 접속을 갖는다. MN은 MCG(Master Cell Group)라도 좋다. 예를 들어, MN이 구성하는 셀 그룹이어도 좋다. SN은 SCG(Secondary Cell Group)라도 좋다. 예를 들어, SN이 구성하는 셀 그룹이어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을 위한 무선 베어러(RB:Radio Bearer)에 대해서, 릴레이 UE는 복수의 gNB와 접속한다. 해당 무선 베어러는, 예를 들어, SRB(Signaling Radio Bearer)라도 좋다. 예를 들어, 해당 SRB는 복수의 SRB0~SRB2 중의 SRB2여도 좋다. SRB0, SRB1은 하나의 gNB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에 의해, 통신의 확립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무선 베어러는, 예를 들어, DRB(Data Radio Bearer)라도 좋다. 데이터 통신용의 베어러의 통신 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37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 3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릴레이 UE와 MgNB(Master gNB) 사이와, 릴레이 UE와 SgNB(Secondary gNB) 사이는 Uu 인터페이스로 접속되고,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간은 PC5로 접속된다. 또한, MgNB는 상술한 MN에 대응하고, SgNB는 상술한 SN에 대응한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를 거쳐, MgNB 및/또는 SgNB와 접속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와 MgNB간 및/또는 SgNB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을 개시한다. 도 38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U-Plane(User 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과 SN은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도 38에서는, DC용의 베어러로서, MN 종단 베어러 및 SN 종단 베어러의 양쪽과, MCG 베어러, SCG 베어러 및 스플리트 베어러에 대해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DC의 설정에 있어서 이러한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는, MN용과 SN용의 2개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MN용의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SN용의 베어러는,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릴레이 UE에서 MN 및/또는 SN 사이의 DC가 종단된다.
릴레이 UE와 리모트 UE는, PC5(SL라고도 칭함)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SDAP(SL SDAP), PC5 PDCP(SL PDCP), PC5 RLC(SL RLC), PC5 MAC(SL MAC), PC5 PHY(SL PHY)이다.
PDU 레이어는, UPF, 릴레이 UE, 리모트 UE 사이에서 구성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MN 및/또는 SN과 릴레이 UE 사이에서 DC용 베어러가 설정되고,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1개의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또한, SL 베어러는 PC5 베어러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DC용 베어러로서, PDCP에서 종단되는 것을, MN의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라고 칭하고, SN의 경우는 SN 종단 베어러라고 칭한다. DC용 베어러로서, MN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를 MCG 베어러라고 칭하고, SN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를 SCG 베어러라고 칭하고, MN과 SN의 양쪽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를 스플리트 베어러라고 칭한다. MN과 릴레이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되고,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SL 베어러가 설정되어도 좋다. 해당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RB에 있어서, MN 및/또는 SN과 릴레이 UE 사이에서 DC용 베어러가 설정되어도 좋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데이터는, MN 및/또는 SN으로 Uu의 베어러에 매핑되고, SDAP, PDCP의 처리가 행해진다. Uu의 SDAP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에 매핑되고, PDCP에 입력된다. PDCP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각 베어러에 대응하는 RLC 베어러에 매핑되고, RLC, MAC, PHY의 프로토콜을 통해 릴레이 UE에 송신된다. 릴레이 UE에서, MN 및/또는 SN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각 베어러에 대응한 Uu의 프로토콜을 통해 PDU 레이어에 전송된다. 릴레이 UE가, DC용 베어러로서 어느 베어러에서 실시하는지, 예를 들어, MN 종단 베어러인지 SN 종단 베어러인지, MCG 베어러나 SCG 베어러인지 스플리트 베어러인지가 설정된다. PDU 레이어에서 데이터는 SL 베어러에 매핑되고, PC5의 프로토콜을 통해 리모트 UE에 송신된다. 리모트 UE에서, 릴레이 UE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PC5의 프로토콜을 통해 PDU 레이어에 전송된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데이터는, 리모트 UE에서 PC5의 프로토콜을 통해 릴레이 UE에 송신된다. 릴레이 UE에서, 리모트 UE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PC5의 프로토콜을 통해 PDU 레이어에 전송되고, PDU 레이어에서 Uu의 베어러에 매핑되고, SDAP, PDCP의 처리가 행해진다. Uu의 SDAP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에 매핑되고, PDCP에 입력된다. Uu의 SDAP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PDCP에 입력되고, PDCP에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에 매핑되어도 좋다. PDCP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각 베어러에 대응하는 RLC 베어러에 매핑되고, RLC, MAC, PHY의 프로토콜을 통해 MN 및/또는 SN에 송신된다. MN 및/또는 SN에서, 릴레이 UE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각 베어러에 대응한 Uu의 프로토콜을 통해 PDU 레이어에 전송된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릴레이 UE,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SL SDAP 대신에, 각각 RRC, SL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 SL SRB에 대응한 SL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gNB와 접속한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의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도 39는,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38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MN과 SN은, 도 38의 예와 마찬가지로,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도 38의 예에서 나타낸 구성에 부가하여, RLC와 PDCP의 사이에 적응 프로토콜(ADP)을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릴레이 UE는, MN용과 SN용의 2개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ADP, RLC, MAC, PHY이다.
릴레이 UE는, 리모트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 기능을 가지면 좋다. PC5 ADP는 PC5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이 1대 1로 한정되는 경우, PC5 ADP를 갖지 않아도 좋다. 프로토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ADP(SL ADP),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릴레이 UE와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MN 및/또는 SN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이다. 리모트 UE에서, PC5의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PC5의 ADP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는, PC5의 RLC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MN 및/또는 SN과 릴레이 UE 사이에서 DC용 베어러가 설정된다. 릴레이 UE에서는, 해당 DC용 베어러로서 RLC 베어러가 설정되면 된다. RLC 채널이 설정되어도 좋다.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1개의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SL RLC 베어러는 PC5 RLC 베어러라고도 칭한다. SL RLC 채널은 PC5 RLC 채널이라고도 칭한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MN과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릴레이 UE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과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RB 식별자:RB ID)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가,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과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 SN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 SN의 ADP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MN, S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리모트 UE로의 PC5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PC5의 RLC 베어러와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 S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 S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와 기지국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은 복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하는 경우에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기지국의 식별자로서, MN 및/또는 SN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또는 SN이, 예를 들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또는 S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리모트 UE에 구성되는 SL의 ADP가 가져도 좋다. SL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리모트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PC5의 RLC 베어러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의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기지국으로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과 SN이, 송신원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릴레이 UE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과 SN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릴레이 UE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릴레이 UE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해도 좋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 또는 릴레이 UE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과 SN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의 PDCP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gNB와 접속한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의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도 40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39와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MN과 SN은, 도 39의 예와 마찬가지로,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릴레이 UE는, 도 39의 예와 마찬가지로, MN용과 SN용의 2개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또, 릴레이 UE는 리모트 UE 사이에 2개의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MN용과 SN용의 PC5의 프로토콜이다. DC용이라고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 사이에 2개의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MN용과 SN용의 PC5의 프로토콜이다. DC용이라고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MN 및/또는 SN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PC5 SDAP, PC5 PDCP이다. 리모트 UE에서, PC5의 PDCP 혹은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MN 및/또는 SN과 릴레이 UE 사이에서 DC용 베어러가 설정된다.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DC용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도 39의 예에서 개시한 베어러 매핑의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주로 도 39의 예에서 개시한 방법과 다른 점에 대해 개시한다.
릴레이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한다. S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한다. 해당 매핑에, MN, SN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 SN의 ADP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MN, S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리모트 UE로의 PC5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 SN의 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 S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도 39의 예에서 개시한 베어러 매핑의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주로 도 39의 예에서 개시한 방법과 다른 점에 대해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와 기지국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은 복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기지국의 식별자로서, MN 및/또는 SN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또는 SN은,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리모트 UE에 구성되는 SL의 ADP가 가져도 좋다. SL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리모트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한다.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S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한다. PC5의 MCG 베어러를 Uu의 MCG 베어러에 매핑한다. PC5의 SCG 베어러를 Uu의 SCG 베어러에 매핑한다. PC5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Uu의 스플리트 베어러에 매핑한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의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의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기지국으로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gNB와 접속한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릴레이 UE가 복수의 gNB와 접속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릴레이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여도 좋다. SRB로서 SRB2여도 좋다. 해당 RB는, 릴레이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레이어 3의 UE-NW간 릴레이에 적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Uu의 DC 설정을 행한다. 릴레이 UE가 DC의 종단이 된다. DC가 설정된 릴레이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또, MN은, 릴레이 UE가 MN과 RRC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개시한다고 해도 좋다. DC가 설정된 릴레이 UE는 C-plane에 대해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릴레이 UE와 MN 사이의 RB에 대한 SN의 추가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17개 개시한다.
(1) 릴레이 UE에 관한 정보.
(2) 리모트 UE에 관한 정보.
(3)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RC 설정 정보.
(4)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RRC 설정 정보.
(5)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RRC 설정 정보.
(6)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 정보.
(7)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RB 정보.
(8)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 정보.
(9) 릴레이 UE와 CN 간의 PDU에 관한 정보.
(10) 리모트 UE와 CN 간의 PDU에 관한 정보.
(11) SN에 요구하는 베어러 종단을 나타내는 정보.
(12) SN에 요구하는 베어러 종류 정보.
(13) MN의 식별자.
(14) 통신에 요구되는 QoS에 관한 정보.
(15)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관한 정보.
(16) 트레이스에 관한 정보.
(17) (1)~(16)의 조합.
(1)은, DC를 설정하는 릴레이 UE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의 식별자라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의 케이퍼빌리티라도 좋다. (2)는, NW와 통신을 행하는 리모트 UE에 관한 정보이다. 리모트 UE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리모트 UE의 식별자라도 좋다. 예를 들어, 리모트 UE의 케이퍼빌리티라도 좋다.
(3)은, 예를 들어, MN이 리모트 UE에 설정하는 셀 그룹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4)는, 예를 들어, MN이 릴레이 UE에 설정하는 셀 그룹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5)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의 RRC 설정 정보이다. 예를 들어, 리모트 UE로부터 릴레이 UE에 및/또는 릴레이 UE로부터 리모트 UE에 설정하는 RRC 정보라도 좋다.
(6)은, DC를 설정하는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DC를 설정하는 RB가 SRB이면, 해당 S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이면, 해당 DRB의 식별자여도 좋다. DC를 설정하는 RB를 특정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PDCP의 구성 정보여도 좋다. 예를 들어,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이면, SDAP의 구성 정보여도 좋다. (7)은, DC를 설정하는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RB에 관한 정보이다. RB에 관한 정보의 예로서는 (6)과 마찬가지이다.
(8)은,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의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SL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SL 베어러는 SL RB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RB로서 SL SRB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SL S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RB로서 SL DRB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SL D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PDCP의 구성 정보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RB로서 SL DRB가 설정되어 있으면, SL SDAP의 구성 정보여도 좋다.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RLC 베어러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 RLC, SL MAC, 및/또는 SL PHY의 구성 정보여도 좋다. 예를 들어, SL의 로직 채널의 구성 정보여도 좋다.
(9)는,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릴레이 UE와 CN 간의 PDU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PDU 세션의 식별자라도 좋다. 예를 들어, PDU 세션에 요구되는 QoS에 관한 정보여도 좋다. (10)은,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리모트 UE와 CN 간의 PDU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PDU 세션의 식별자라도 좋다. 예를 들어, PDU 세션에 요구되는 QoS에 관한 정보여도 좋다.
(11)은, DC용의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MN 종단 베어러인지 SN 종단 베어러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해도 좋다. (12)는, DC용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MCG 베어러, SCG 베어러, 스플리트 베어러 등이다. (13)은, 릴레이 UE가 접속하는 MN의 식별자이다. PCell의 식별자여도 좋다. SN의 추가 요구의 송신원인 MN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4)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요구되는 QoS에 관한 정보이다. 또는, 릴레이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요구되는 QoS에 관한 정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통신에 요구되는 QoS에 관한 정보라고 해도 좋다. QoS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통신에 요구되는 리소스 타입, 패킷 로스율, 허용 지연, 우선 순위 등이 있다. (15)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식별자 등이다. (16)은, 트레이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트레이스 기능을 실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트레이스한 정보를 수집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 수집하는 정보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s)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트레이스 기능으로서, 릴레이 UE를 거쳐 리모트 UE가 NW와 간접 접속하는 경우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어, 트레이스 기능으로서, 리모트 UE가 어느 기지국과 접속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리모트 UE가 접속하는 릴레이 UE의 정보, 릴레이 UE가 어느 기지국과 접속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RLF 정보, 릴레이 UE와 기지국 사이의 RLF 정보, 리모트 UE의 MDT에 관한 정보, 릴레이 UE의 MDT에 관한 정보 등의 수집을 실시해도 좋다. 이러한 정보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 리모트 UE와 기지국 사이, 릴레이 UE와 기지국 사이, MN과 SN 사이 등의 기지국 사이, 전에 접속하고 있던 기지국과 새롭게 접속하는 기지국 사이, 기지국과 트레이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노드 사이에서 통신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SN에 대해서, DC용으로 SN 추가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SN은,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릴레이 UE에 대한 DC인지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 설정을 행한다. SN은, 릴레이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SN 추가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DC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에 대한 SN과의 사이의 DC 설정으로서, 후술하는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에 나타내는 설정을 행해도 좋다. 후술하는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 중, SN에 관한 정보를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RRC 설정이어도 좋다. RRC 설정은, 예를 들어,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RLC 베어러에 관한 설정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셀 그룹의 설정이어도 좋다.
SN은 MN에 대해서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N이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메시지에, 릴레이 UE에 대한 DC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해당 DC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셀 그룹의 설정 정보여도 좋다. 또, 해당 메시지에,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예의 일부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에 관한 정보, 릴레이 UE와 CN 간의 PDU에 관한 정보, 리모트 UE와 CN 간의 PDU에 관한 정보, 베어러 종단을 나타내는 정보, 베어러 종류 정보 등이다.
SN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SL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SN은, DC이기 때문에,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SL의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SN 추가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SL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 설정으로서, 후술하는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후술하는 SL 베어러의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 중, SN에 관한 정보를 설정해도 좋다. 해당 SL의 설정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의 RRC 설정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리모트 UE로부터 릴레이 UE로의 및/또는 릴레이 UE로부터 리모트 UE로의 SL RRC 설정이라도 좋다. SL RRC 설정은, 예를 들어,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설정이어도 좋다.
SN으로부터 MN에 대해서 송신하는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에,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SL의 설정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의 RRC 설정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MN은, SN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의 설정을 수정해도 좋다. MN은, SN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SN의 설정 정보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N의 전파(電波)의 전파(傳播) 환경이나, 부하 상황을 고려할 수 있고,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메시지에, 예를 들어, 릴레이 UE에 관한 정보, 이유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4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1)~(3)의 조합.
(1)의 RB에 관한 정보는, RB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다. RB의 설정에 관한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1) 설정하는 SRB에 관한 정보.
(1-2) 설정하는 DRB에 관한 정보.
(1-3) SDAP 설정에 관한 정보.
(1-4) PDCP 설정에 관한 정보.
(1-5) (1-1)~(1-4)의 조합.
(1-1)은, 예를 들어, 설정하는 S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해당 SRB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1-2)는, 예를 들어, 설정하는 D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해당 DRB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1-3)은, 예를 들어, 설정하는 RB가 DRB인 경우에 설정되어도 좋다. DRB 식별자와 관련시켜도 좋다. (1-4)는, 예를 들어, 설정하는 RB가 SRB 및/또는 DRB인 경우에 설정되어도 좋다. SRB 식별자 및/또는 DRB 식별자와 관련시켜도 좋다. PDCP 설정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접속하는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식별자라도 좋다. 예를 들어, DC용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셀 그룹에 관한 정보라도 좋다.
(1)의 RB에 관한 정보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RB 설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RB 설정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RB 설정의 수정이어도 좋다. 이미 설정되어 있는 RB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RB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RB의 식별자여도 좋다. RB로서, 예를 들어 SRB이면 SRB의 식별자, 예를 들어 DRB이면 DRB의 식별자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RB 설정을 송신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RB 설정을,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해도 좋다.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RadioBearerConfig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2)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는, DC용의 Uu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라고 해도 좋다. Uu RLC 베어러 설정은 아니고, Uu RLC channel의 설정이라고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Uu RLC 베어러의 설정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DC용의 Uu RLC 베어러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7개 개시한다.
(2-1) 대응하는 RB의 식별자.
(2-2) MCG용 Uu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
(2-3) SCG용 Uu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
(2-4) 베어러 종단을 나타내는 정보.
(2-5)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2-6) Uu RLC 베어러의 식별자.
(2-7) (2-1)~(2-6)의 조합.
(2-1)은, DC용으로 설정을 행하는 Uu의 RLC 베어러에 대응하는 RB의 식별자로 하면 좋다. (2-2)는, 예를 들어, RLC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식별자라도 좋다. MCG용 Uu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MCG의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2-3)은, 예를 들어, RLC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식별자라도 좋다. SCG용 Uu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SCG의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2-4)는, 예를 들어, MN 종단 베어러인지 SN 종단 베어러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해도 좋다. (2-5)는, 예를 들어, MCG 베어러인지 SCG 베어러인지 스플리트 베어러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라고 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Uu RLC 베어러 설정을 송신한다. Uu RLC 베어러 설정에, RRCReconfiguration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설정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Uu RLC 베어러 설정의 수정이어도 좋다. 송신하는 해당 메시지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Uu RLC 베어러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는 DC를 설정하지 않는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의 DC 설정에 관해서 인식하지 않아도 된다.
DC 설정의 종류가 SN 종단인 경우, PDU 세션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수정에서는, MN과 CN 사이에서 PDU 세션 수정 처리가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은,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인 경우로 해도 좋다. L3 릴레이의 경우, 릴레이 UE와 NW 사이의 PDU 세션의 수정이 행해진다. L2 릴레이의 경우,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PDU 세션의 수정이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 처리에 있어서, DRB 설정에 있어서 통지하는 PDU 세션 ID를 이용하여도 좋다. SDAP 설정에 있어서 통지하는 PDU 세션 ID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MN, CN의 노드는, 수정을 행하는 PDU 세션을 특정할 수 있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MN/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 베어러(RLC 베어러)를 거쳐 행해진다.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SL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전술에 개시한 DC의 설정 방법은, 릴레이 UE에서 DC가 종단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38에서 개시한 프로토콜예에 적용해도 좋다.
도 41은,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해당 DC에서는, 릴레이 UE를 거쳐 리모트 UE와 NW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스텝 ST4401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행해진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를 설정하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는 주변 gNB의 메저먼트를 행하고 MN에 대해서 메저먼트 결과를 보고한다. MN은 해당 메저먼트 결과로부터 DC에 이용하는 SN을 결정한다. 스텝 ST4402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릴레이 UE에 대한 DC를 위한 SN으로서의 추가를 요구한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에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SN은, SN 추가 요구의 정보로부터, DC 설정을 행하는 릴레이 UE,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관한 정보, 요구되는 베어러 종단, 요구되는 DC용 베어러 종류 등을 인식하고,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DC용의 설정은, 예를 들어,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RRC 설정이어도 좋다. 스텝 ST4403에서, SN은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을 송신한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RRC 설정을 포함해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N은,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행한 것을 인식한다. 또, MN은,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RRC 설정을 인식한다.
스텝 ST4404에서, MN은 SN에 대해서 Xn-U 어드레스 표시 메시지를 통지한다. 예를 들어, MN은, MN과 SN 사이의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스텝 ST4404에서 SN에 대해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SN 사이에서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공유하고, MN과 SN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 ST4405에서,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설정을 행해도 좋다. DC용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DC용 설정의 정보의 SCG에 관한 설정으로서, SN으로부터 수신한 RRC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는 MN으로부터 DC용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SN의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MN과 SN의 DC 설정을 행한 릴레이 UE는, 스텝 ST4406에서, MN에 대해서, DC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으로 한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응답을 수신한 MN은, 릴레이 UE가 MN과 SN을 이용한 DC의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7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설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해당 송신에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S-Node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다. SN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 및 릴레이 UE가 DC용의 SN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8에서, 릴레이 UE는 MN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로 SN에 대해서 RA 처리를 개시하고 통신을 행한다.
스텝 ST4409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상태 전송을 행하고, 스텝 ST4410에서 UPF로부터의 데이터를 SN에 전송한다. SN 종단 베어러의 경우, UPF와 gNB 사이의 패스를 MN으로부터 SN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스텝 ST4420의 패스 업데이트 처리를 실시한다. 패스 업데이트 처리에서는, MN, UPF, AMF, SN 사이에서 스텝 ST4411의 PDU 세션 수정 표시 메시지 송신, 스텝 ST4412의 베어러 수정 메시지 송신, 스텝 ST4413의 엔드 마커 패킷 송신, 스텝 ST4414의 PDU 세션 수정 완료 메시지 송신을 실시하고, U-Plnae의 패스를 MN으로부터 SN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SN 사이에서 DC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릴레이 UE,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릴레이 UE는 리모트 UE와 PC5 접속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S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스텝 ST4415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 S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 SN,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M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 MN,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 SN,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 MN,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하는 경우, MN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베어러의 수정을 통지한다. SL 베어러의 수정은, 릴레이 UE로의 DC 설정 처리 중에 행해져도 좋고, DC 설정 처리 후에 행해져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 RB에 관한 정보.
(2)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1)의 SL RB에 관한 정보는, SL RB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다. SL RB의 설정에 관한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1) 설정하는 SL SRB에 관한 정보.
(1-2) 설정하는 SL DRB에 관한 정보.
(1-3) SL SDAP 설정에 관한 정보.
(1-4) SL PDCP 설정에 관한 정보.
(1-5) (1-1)~(1-4)의 조합.
(1-1)은, 예를 들어, 설정하는 SL S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해당 SL SRB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1-2)는, 예를 들어, 설정하는 SL DRB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해당 SL DRB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1-3)은, 예를 들어, 설정하는 SL RB가 SL DRB의 경우에 설정되어도 좋다. SL DRB 식별자와 관련시켜도 좋다. (1-4)는, 예를 들어, 설정하는 SL RB가 SL SRB 및/또는 SL DRB의 경우에 설정되어도 좋다. SL SRB 식별자 및/또는 SL DRB 식별자와 관련시켜도 좋다. SL PDCP 설정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접속하는 SL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SL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식별자라도 좋다. 예를 들어, DC용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셀 그룹에 관한 정보라도 좋다.
(1)의 SL RB에 관한 정보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B 설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SL RB 설정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B 설정의 수정이어도 좋다.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B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SL RB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SL RB의 식별자여도 좋다. SL RB로서, 예를 들어 SL SRB이면 SL SRB의 식별자, 예를 들어 SL DRB이면 SL DRB의 식별자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 RB 설정을 송신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 RB 설정을,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해도 좋다.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SL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RRCReconfigurationSidelink)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SL의 RadioBearerConfig 정보(SL-RadioBearerConfig)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2)는, SL RLC 베어러 설정이 아니라, SL RLC channel의 설정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SL RLC 베어러의 설정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SL의 RLC 베어러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4개 개시한다.
(2-1) 대응하는 RB의 식별자.
(2-2) SL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
(2-3) SL RLC 베어러의 식별자.
(2-4) (2-1)~(2-3)의 조합.
(2-1)은, SL의 RLC 베어러에 대응하는 RB의 식별자로 하면 좋다. (2-2)는, 예를 들어, RLC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설정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의 식별자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 RLC 베어러 설정을 송신한다. SL RLC 베어러 설정의 송신에, RRCReconfiguration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설정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LC 베어러 설정의 수정이어도 좋다. 송신하는 해당 메시지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LC 베어러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Uu의 RB 설정 및/또는 Uu의 RLC 베어러 설정을, 송신하는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고, 다른 RRC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 설정을 송신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 설정을,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설정을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SL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SL의 RadioBearerConfig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LC 베어러 설정을 송신한다. SL RLC 베어러 설정의 송신에, RRCReconfiguration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설정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LC 베어러 설정의 수정이어도 좋다. 이미 설정되어 있는 SL RLC 베어러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의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이용하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에 따라,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 설정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에 적절한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DC에 의한 릴레이 UE와 NW 사이의 통신 용량의 증대에 적절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고 해도 좋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 용량을 증대 가능하게 된다.
도 42는,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SL 베어러 설정의 수정이, 릴레이 UE로의 DC 설정 처리 중에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42에 있어서, 도 41과 공통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MN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T4405에서,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MN으로부터 릴레이 UE로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도 41에서 개시한, MN으로부터 릴레이 UE로의 DC 설정과 함께, 혹은 DC 설정에 포함되어, 송신되어도 좋다. 혹은, 별도로 행해져도 좋다. 본 예에서는, DC 설정과 함께, 혹은 DC 설정에 포함되어, 동일한 RRC 메시지로 송신된다.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한 릴레이 UE는, 리모트 UE 사이의 SL 통신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 ST4406에서, 릴레이 UE는 MN에 대해서, 리모트 UE 사이의 SL 베어러 설정의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릴레이 UE로부터 MN으로의 SL 베어러 설정의 완료는, 도 41에서 개시한, 릴레이 UE로부터 MN으로의 DC 설정 완료와 함께, 혹은 DC 설정 완료에 포함되어, 송신되어도 좋다. 혹은, 별도로 행해져도 좋다. 본 예에서는, DC 설정 완료와 함께, 혹은 DC 설정 완료에 포함되어, 동일한 RRC 메시지로 송신된다.
상기의 스텝 ST4405에 계속되는 스텝 ST4501에서,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MN으로부터 리모트 UE로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된다.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 사이의 SL 통신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T4502에서, 리모트 UE는 MN에 대해서,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 설정의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리모트 UE로부터 MN으로의 SL 베어러 설정의 완료는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된다. 해당 송신에서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와 MN, SN 간의 DC 설정에 의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 설정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도 42의 처리를 행하면 된다. DC 설정에 적절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MN은 릴레이 UE 및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여도 좋다.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릴레이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있어서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SN의 추가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본 DC의 설정 방법의 예에 있어서의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SN은 MN에 대해서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N이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M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할 때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전술한 4개의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1)은,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으로서 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SRB인 경우도 S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인 경우도 D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1)의 RB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RB의 식별자만으로 해도 좋다.
(4)는, RLC와 PDCP의 사이에 구성되는 ADP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다. ADP 설정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ADP에서의 매핑 기능에 관한 정보, 설정하는 RB에 관한 정보, 접속하는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ADP의 설정에 관한 정보는,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ADP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에 포함하는 것으로,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ADP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고,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해당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M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할 때 이용하는, 전술한 「(2)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해당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는, PC5 RLC와 PC5 PDCP의 사이에 구성되는 PC5 ADP의 설정에 관한 정보이다. PC5 ADP가 구성되는 경우에 설정되면 된다. ADP 설정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ADP에서의 매핑 기능에 관한 정보, 설정하는 RB에 관한 정보, 접속하는 SL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PC5 ADP의 설정에 관한 정보는,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PC5 ADP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에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의 ADP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1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RB에 관한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M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전술한 「(1) RB에 관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RB 설정을 송신한다.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해도 좋다.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RadioBearerConfig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고,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C 설정의 종류가 SN 종단인 경우, PDU 세션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수정에서는, MN과 CN 사이에서 PDU 세션 수정 처리가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은,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MN/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 베어러(RLC 베어러) 및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SL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전술에 개시한 DC의 설정 방법은, 릴레이 UE에서 DC용 RLC 베어러와 SL 베어러가 매핑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9에서 개시한 프로토콜예에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시퀀스예로서, 전술한 도 42에서 개시한 시퀀스예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MN은 릴레이 UE 및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여도 좋다.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DC용의 SL 베어러는 2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2개의 SL 베어러는, MN용의 SL 베어러와 S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있어서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SN의 추가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본 DC의 설정 방법의 예에 있어서의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SN은 MN에 대해서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N이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고,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L의 RLC 베어러는 하나로 해도 좋다. 혹은, 복수의 SL의 RLC 베어러로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2개의 SL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그 경우, DC용으로서 2개의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로 하면 좋다. DC용의 2개의 SL의 RLC 베어러는 MN용의 SL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SL의 RLC 베어러로 해도 좋다.
SL ADP는 하나로 해도 좋다. 혹은, 복수의 SL ADP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2개의 SL ADP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그 경우, DC용으로서 2개의 SL ADP 설정에 관한 정보로 하면 좋다. DC용의 2개의 SL ADP는 MN용의 SL ADP와 SN용의 SL ADP라고 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DC용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2개의 SL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고,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L의 RLC 베어러는 하나로 해도 좋다. 혹은, 복수의 SL의 RLC 베어러로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2개의 SL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그 경우, DC용으로서 2개의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로 하면 좋다. DC용의 2개의 SL의 RLC 베어러는 MN용의 SL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SL의 RLC 베어러로 해도 좋다.
SL ADP는 하나로 해도 좋다. 혹은, 복수의 SL ADP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2개의 SL ADP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그 경우, DC용으로서 2개의 SL ADP 설정에 관한 정보로 하면 좋다. DC용의 2개의 SL ADP는 MN용의 SL ADP와 SN용의 SL ADP라고 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DC용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2개의 SL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C 설정의 종류가 SN 종단인 경우, PDU 세션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수정에서는, MN과 CN 사이에서 PDU 세션 수정 처리가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은,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MN/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 베어러(RLC 베어러) 및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2개의 SL RLC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전술에 개시한 DC의 설정 방법은,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40에서 개시한 프로토콜예에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시퀀스예로서, 전술한 도 42에서 개시한 시퀀스예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릴레이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과, 리모트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1개 이상의 DC용 베어러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하나의 SL 베어러에 매핑된다. 다음에,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또, MN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2개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MN 및 SN의 RLC 베어러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MN 및 SN의 SL RLC 베어러에 매핑된다. 릴레이 UE는 PDU 레이어에서 해당 매핑을 행해도 좋다.
MN으로부터 리모트 UE에 대해서, RB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RB의 설정을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RB를, 스플리트 베어러로 수정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RB의 설정을 실시해도 좋다. PDCP 설정을 스플리트 베어러용으로 수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MN/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 베어러(RLC 베어러) 및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2개의 SL RLC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릴레이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릴레이 UE에서 DC용 RLC 베어러와 SL 베어러가 매핑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과, 리모트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1개 이상의 DC용의 RLC 베어러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하나의 SL RLC 베어러에 매핑된다. 다음에,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또, MN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2개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MN 및 SN의 RLC 베어러가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MN 및 SN의 SL RLC 베어러에 매핑된다. 릴레이 UE는 ADP 레이어에서 해당 매핑을 행해도 좋다.
MN으로부터 리모트 UE에 대해서, RB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RB의 설정을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RB를, 스플리트 베어러로 수정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RB의 설정을 실시해도 좋다. PDCP 설정을 스플리트 베어러용으로 수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MN/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 베어러(RLC 베어러) 및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2개의 SL RLC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릴레이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과, 리모트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을 조합한 경우, 혹은, 릴레이 UE에서 DC용 RLC 베어러와 SL 베어러가 매핑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과, 리모트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을 조합한 경우의 예에 있어서의 시퀀스예로서, 전술한 도 41에서 개시한 시퀀스예와 도 42에서 개시한 시퀀스예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과, 리모트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 방법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유연한 DC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와 리모트 UE 사이의 PC5 통신에 있어서 부하가 높은 경우는 릴레이 UE가 DC의 종단이 되는 경우의 DC 설정을 행하는 것 등으로 하면 좋다. 유연한 DC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간접 통신에 대해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간접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gNB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고속 대용량화, 저지연화, 고신뢰성화 등의, 성능 개선이 도모된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실시의 형태 4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는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복수의 기지국과 접속한다. 해당 복수는 예를 들어 2개라도 좋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기지국과 접속한다. 리모트 UE가, 해당 2개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의 DC가 설정되어도 좋다. 리모트 UE와 기지국의 접속은, 직접 접속이어도 좋고, 릴레이 UE를 거친 간접 접속이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UE를 거친 간접 접속을 포함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을 위한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 리모트 UE는 복수의 gNB와 접속한다. 해당 무선 베어러는, 예를 들어, SRB여도 좋다. 예를 들어, SRB2여도 좋다. SRB0, SRB1은 하나의 gNB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에 의해, 통신의 확립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무선 베어러는, 예를 들어, DRB여도 좋다. 데이터 통신용의 베어러의 통신 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43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SgNB와 직접 접속한다. MgNB와 릴레이 UE#1 사이는 Uu로 접속되고,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는 PC5로 접속된다. SgNB와 리모트 UE 사이는 Uu로 접속된다. MgNB와 SgNB는 Xn으로 접속된다. 리모트 UE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1은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도 44는,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모트 UE는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한다. MgNB와 리모트 UE 사이는 Uu로 접속된다. SgNB와 릴레이 UE#2 사이는 Uu로 접속되고,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는 PC5로 접속된다. MgNB와 SgNB는 Xn으로 접속된다. 리모트 UE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2는 S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도 45는,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한다. MgNB와 릴레이 UE#1 사이는 Uu로 접속되고,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는 PC5로 접속된다. SgNB와 릴레이 UE#2 사이는 Uu로 접속되고,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는 PC5로 접속된다. MgNB와 SgNB는 Xn으로 접속된다. 리모트 UE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1은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2는 S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을 개시한다. 도 46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SgNB와 직접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과 SN은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MN용의 Uu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RLC와 PDCP의 사이에 ADP를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 4와 마찬가지로, 도 46에서는, DC용의 베어러로서, MN 종단 베어러 및 SN 종단 베어러의 양쪽과, MCG 베어러, SCG 베어러 및 스플리트 베어러에 대해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DC의 설정에 있어서 이러한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1은, MN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RLC, MAC, PHY이다. MN용의 Uu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RLC와 PDCP의 사이에 ADP를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MN용의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MN용으로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SL RLC)의 상위에 PC5 ADP(SL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 기능을 가지면 좋다. PC5 ADP는 PC5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M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1과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SN과의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RLC, MAC, PHY이다. SN용의 베어러는,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또, 리모트 UE는, MN 및/또는 SN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DC용의 SDAP, PDCP이다. 리모트 UE에서, MN용의 PC5의 PDCP 혹은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되고, SN용의 Uu의 RLC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MN과 릴레이 UE#1 사이에서 MN용의 베어러가 설정된다. MN용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해당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1개의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MN용의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SN용의 베어러가 설정된다. SN용의 베어러는,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해당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MN과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MN에 있어서,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M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이,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M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에서, MN용의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1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1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리모트 UE로의 PC5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와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는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이다.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SN용의 Uu의 RLC 베어러이다. SN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와 기지국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은 복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기지국의 식별자로서, MN 및/또는 SN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또는 S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리모트 UE에 구성되는 SL의 ADP가 가져도 좋다. SL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리모트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PC5의 MCG 베어러를 Uu의 MCG 베어러에 매핑한다. PC5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Uu의 스플리트 베어러에 매핑한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의 식별자, RB 식별자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1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1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MN으로의 Uu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이, 송신원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릴레이 UE#1에 구성되는 MN용의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과 SN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해도 좋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 또는 릴레이 UE#1의 MN용의 Uu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과 SN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의 PDCP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gNB와 접속한 리모트 UE가, 릴레이 UE를 거쳐 NW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복수의 gNB와 접속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SgNB와 직접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라도 좋다.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SN과의 사이의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MN과 릴레이 UE#1과의 사이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대한 DC 설정에 이용한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기존의 Uu의 RLC 베어러로부터 수정이 없으면, 새로운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M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릴레이 UE#1은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또, MN은, 리모트 UE가 MN과 RRC 접속 상태에 있어서,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개시한다고 해도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있어서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SN의 추가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해당 정보예에 있어서의 릴레이 UE를 릴레이 UE#1로 대체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SN에 대해서, DC용으로 SN 추가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SN은,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리모트 UE에 대한 DC인지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에 대해서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N이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실시의 형태 4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1)은,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DC의 설정으로서 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SRB인 경우도 SRB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인 경우도 D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1)의 RB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RB의 식별자만이라고 해도 좋다.
(2)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SCG용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본 예의 DC에 있어서 릴레이 UE#1은 SN과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UE#1은 SCG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SN의 식별자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본 예의 DC에 있어서 릴레이 UE#1은 SN과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UE#1은 SN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고,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M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2)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MCG용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DC에 있어서 리모트 UE는 MN과 릴레이 UE#1을 거쳐 접속하기 때문에, 리모트 UE는 MCG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고,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L의 RLC 베어러는 1개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MN용의 SL의 RLC 베어러를 설정해도 좋다.
SL의 ADP 설정은 1개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의 ADP 설정으로서, MN용의 SL의 ADP를 설정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DC용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M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C 설정의 종류가 SN 종단인 경우, PDU 세션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수정에서는, MN과 CN 사이에서 PDU 세션 수정 처리가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은,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릴레이 UE#1을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MCG 베어러,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SCG 베어러, 릴레이 UE#1을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와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47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SgNB와 직접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47에 있어서, 도 41과 공통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5001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1, M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를 설정하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주변 gNB의 메저먼트를 설정한다. 리모트 UE는 설정된 메저먼트를 행하고 MN에 대해서 메저먼트 결과를 보고한다. 아울러,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주변 릴레이 UE의 메저먼트를 설정해도 좋다. 리모트 UE는 설정된 메저먼트를 행하고 MN에 대해서 메저먼트 결과를 보고해도 좋다. MN은 해당 메저먼트 결과로부터 DC에 이용하는 SN을 결정한다.
스텝 ST4402에서, MN은, DC에 이용하기로 결정한 S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에 대한 DC를 위한 SN으로서의 추가를 요구한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에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SN은, SN 추가 요구의 정보로부터,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관한 정보, 요구되는 베어러 종단, 요구되는 DC용 베어러 종류 등을 인식하고,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DC용의 설정은, 예를 들어, SN과 리모트 UE 사이의 RRC 설정이어도 좋다. 스텝 ST4403에서, SN은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을 송신한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SN과 리모트 UE 사이의 RRC 설정을 포함해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N은, SN이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행한 것을 인식한다. 또, MN은, SN과 리모트 UE 사이의 RRC 설정을 인식한다.
스텝 ST4404에서, MN은 SN에 대해서 Xn-U 어드레스 표시 메시지를 통지한다. 예를 들어, MN은, MN과 SN 사이의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스텝 ST4404에서 SN에 대해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SN 사이에서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공유하고, MN과 SN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 ST5005에서,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과 함께 송신해도 좋고,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설정을 행해도 좋다. DC용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릴레이 UE#1은 MN으로부터 DC용 설정과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1간의 DC용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설정은 수정이라도 좋다.
이러한 설정을 행한 릴레이 UE#1은, 스텝 ST5007에서, MN에 대해서,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으로 한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한 MN은, 릴레이 UE#1이 DC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상기의 스텝 ST5005에 계속되는 스텝 ST5006에서,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과 함께 송신해도 좋고,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용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DC용 설정의 정보의 SCG에 관한 설정으로서, SN으로부터 수신한 RRC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리모트 UE는 MN으로부터 DC용 설정과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설정은 수정이어도 좋다.
이러한 설정을 행한 리모트 UE는, 스텝 ST5008에서, MN에 대해서,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으로 한다. 해당 송신에서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한 MN은, 리모트 UE가 DC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7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설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해당 송신에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S-Node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다. SN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 및 리모트 UE가 DC용의 SN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8에서, 리모트 UE는 MN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로 SN에 대해서 RA 처리를 개시하여 통신을 행한다.
스텝 ST4409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상태 전송을 행하고, 스텝 ST4410에서 UPF로부터의 데이터를 SN에 전송한다. SN 종단 베어러의 경우, UPF와 gNB 사이의 패스를 MN으로부터 SN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스텝 ST4420의 패스 업데이트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결과, 스텝 ST5015에서, 리모트 UE, S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SN 사이에서 DC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SN, 릴레이 UE#1을 거친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M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SN, 릴레이 UE를 거친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RC 시그널링을 행해도 좋다. 해당 RRC 시그널링에 SRB3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스텝 ST4408에서 리모트 UE와 SN에서 통신 개시 후, SRB3을 이용하여 리모트 UE는 SN에, SN은 리모트 UE에 RRC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다. SRB3을 이용하는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SN에 관한 메시지여도 좋다. 예를 들어, SCG 베어러의 설정 변경, SN 메저먼트 보고, SCG 베어러의 파일러에 관한 정보 송신, 등의 메시지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을 거치지 않고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직접 RRC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량의 삭감, 저지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SgNB와 직접 접속하는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의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도 48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모트 UE가,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과 SN은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SN용의 Uu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RLC와 PDCP의 사이에 ADP를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도 48에서는, DC용의 베어러로서, MN 종단 베어러, SN 종단 베어러의 양쪽을 나타내고 있다. 또, MCG 베어러, SCG 베어러 및 스플리트 베어러에 대해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DC의 설정에 있어서 이러한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2는, SN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RLC, MAC, PHY이다. SN용의 Uu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RLC와 PDCP의 사이에 ADP를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MN용의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 기능을 가지면 좋다. PC5 ADP는 PC5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2와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MN과의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RLC, MAC, PHY이다. MN용으로서,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용이다. 또, 리모트 UE는, MN 및/또는 SN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DC용의 SDAP, PDCP이다. 리모트 UE에서, SN용의 PC5의 PDCP 혹은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되고, MN용의 Uu의 RLC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SN과 릴레이 UE#2 사이에서 SN용의 베어러가 설정된다. SN용의 베어러는,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해당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1개의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SN용의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MN용 베어러가 설정된다. MN용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해당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MN과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2가,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2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2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S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SN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S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2에서, SN용의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2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2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2는,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S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리모트 UE로의 PC5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S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S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이다.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해당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는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이다.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서,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와 기지국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은 복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기지국의 식별자로서, MN 및/또는 SN의 식별자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또는 S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리모트 UE에 구성되는 SL의 ADP가 가져도 좋다. SL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리모트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S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SN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PC5의 SCG 베어러를 Uu의 SCG 베어러에 매핑한다. PC5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Uu의 스플리트 베어러에 매핑한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의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2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2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2는,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SN에의 Uu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SN이, 송신원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릴레이 UE#2에 구성되는 SN용의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2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과 SN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해도 좋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 또는 릴레이 UE#2의 SN용의 Uu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과 SN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의 PDCP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gNB와 접속한 리모트 UE가, 릴레이 UE를 거쳐 NW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복수의 gNB와 접속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리모트 UE가,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라도 좋다.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MN과의 사이의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SN과 릴레이 UE#2와의 사이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대한 DC 설정에 이용한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기존의 Uu의 RLC 베어러로부터 수정이 없으면, 새로운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MN은,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릴레이 UE#2는 S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또, MN은, 리모트 UE가 MN과 RRC 접속 상태에 있어서,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개시한다고 해도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있어서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SN의 추가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해당 정보예에 있어서의 릴레이 UE를 릴레이 UE#2로 대체하면 좋다.
다만, MN과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를 거치지 않고 접속되기 때문에, MN과 릴레이 UE#2 사이의 설정 정보는 없어도 좋다. 예를 들어, MN은 SN에 대해서,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 중, (4), (7), (9)를 송신하지 않는다.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 중, (1)의 릴레이 UE에 관한 정보는, SN이, 리모트 UE와 DC 설정을 행하기 위해, 어느 릴레이 UE를 거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해당 릴레이 UE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리모트 UE에 의한 릴레이 UE#2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릴레이 UE#2에 의한 SN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SN에 대해서, DC용으로 SN 추가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SN은,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리모트 UE에 대한 DC인지, 어느 릴레이 UE를 거쳐 리모트 UE와 접속하는지,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은,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의 설정이라고 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에 대해서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N이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1)은,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관한 정보이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DC의 설정으로서 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SRB인 경우도 SRB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인 경우도 D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1)의 RB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RB의 식별자만이라고 해도 좋다.
(2)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MCG용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본 예의 DC에 있어서 릴레이 UE#2는 MN과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UE#2는 MCG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에서 기존의 SL 베어러가 있는 경우는, 해당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S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2)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CG용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DC에 있어서 리모트 UE는 SN과 릴레이 UE#2를 거쳐 접속하기 때문에, 리모트 UE는 SCG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에서 기존의 SL 베어러가 있는 경우는, 해당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L의 RLC 베어러는 1개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SN용의 SL의 RLC 베어러를 설정해도 좋다.
SL의 ADP 설정은 1개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의 ADP 설정으로서, SN용의 SL의 ADP를 설정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DC용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M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2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에 대해서는, SN이 릴레이 UE#2에 송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에 있어서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동일해지고, SL 통신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저감할 수 있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릴레이 UE#2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릴레이 UE#2에 관한 정보를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릴레이 UE#2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릴레이 UE#2의 식별자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2가 접속하는 SN의 식별자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는 ㅂDC를 위해 접속하는 릴레이 UE#2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으로부터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와의 PC5 접속을 확립한다. 릴레이 UE#2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DC 설정의 종류가 SN 종단인 경우, PDU 세션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CN 사이에서 PDU 세션 수정 처리가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은,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MCG 베어러, 릴레이 UE#2를 거친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SCG 베어러, 리모트 UE와 MN 사이와 릴레이 UE#2를 거친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49는,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리모트 UE가,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49에 있어서, 도 41과 공통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5201에서, 리모트 UE,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를 설정하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주변 gNB의 메저먼트를 설정한다. 리모트 UE는 설정된 메저먼트를 행하고 MN에 대해서 메저먼트 결과를 보고한다. 아울러,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주변 릴레이 UE의 메저먼트를 설정해도 좋다. 리모트 UE는 설정된 메저먼트를 행하고 MN에 대해서 메저먼트 결과를 보고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의 메저먼트 결과의 보고에, 해당 릴레이 UE가 접속하는 gNB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어, gNB의 식별자를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로부터 릴레이 UE의 메저먼트 결과의 보고를 수신한 MN이, 릴레이 UE와 접속하는 gN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gNB는, 주변 gNB에 대해서, 자신의 gNB가 접속하는 릴레이 UE의 식별자를 송신해도 좋다. gNB는, 주변 gNB가 접속하는 릴레이 UE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로부터 릴레이 UE의 메저먼트 결과의 보고를 수신한 MN은, 릴레이 UE와 접속하는 gN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로부터의 메저먼트 결과를 이용하여, DC에 이용하는 SN을 결정한다.
스텝 ST4402에서, MN은, DC에 이용하기로 결정한 S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에 대한 DC를 위한 SN으로서의 추가를 요구한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메시지에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SN은, SN 추가 요구의 정보로부터,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관한 정보, 요구되는 베어러 종단, 요구되는 DC용 베어러 종류 등을 인식하고, 릴레이 UE#2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T5202에서,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과 함께 송신해도 좋고,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설정의 송신에서는 Relay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용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릴레이 UE#2는 SN으로부터 DC용 설정과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SN과 릴레이 UE#2 사이의 DC용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설정은 수정이어도 좋다.
이러한 설정을 행한 릴레이 UE#2는, 스텝 ST5203에서, SN에 대해서,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으로 한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송신하는 긍정 응답을 Relay request Ack 메시지로 해도 좋다.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한 SN은, 릴레이 UE#2가 DC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3에서, SN은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을 송신한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SN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 설정 및/또는 SL 베어러 설정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일부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N은, SN이 리모트 UE#2를 거쳐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행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4에서, MN은 SN에 대해서 Xn-U 어드레스 표시 메시지를 통지한다. 예를 들어, MN은, MN과 SN 사이의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스텝 ST4404에서 SN에 대해서 해당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SN 사이에서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공유하고, MN과 SN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 ST5206에서,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과 함께 송신해도 좋고,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송신에서는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용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의 SCG에 관한 설정으로서, SN으로부터 수신한 DC용 설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SL 베어러 설정의 SCG에 관한 설정으로서, SN으로부터 수신한 SL 베어러 설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MN으로부터 DC용 설정과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을 행한 리모트 UE는, 스텝 ST5208에서, MN에 대해서,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으로 한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긍정 응답의 송신에서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한 MN은, 리모트 UE가 DC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리모트 UE는, MN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로, 스텝 ST5210에서 릴레이 UE#2에 대해서 PC5 접속을 확립한다. 해당 PC5 접속의 확립에서는 PC5-S 시그널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PC5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M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2와의 SL 베어러 설정을 이용하여 PC5 접속을 확립한다. 이것에 의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리모트 UE는, 스텝 ST5208의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먼저 송신한 다음에, 릴레이 UE#2에 대해서 PC5 접속을 확립해도 좋다. MN, SN, UPF 사이에서의 DC용의 처리를 조기에 실시 가능하게 된다.
스텝 ST4407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설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해당 송신에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송신에서는 S-Node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은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 및 리모트 UE가 DC용의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4409에서 MN은 SN에 대해서 SN 상태 전송을 행하고, 스텝 ST4410에서 UPF로부터의 데이터를 SN에 전송한다. SN 종단 베어러의 경우, UPF와 gNB 사이의 패스를 MN으로부터 SN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스텝 ST4420의 패스 업데이트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결과, 스텝 ST5215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2, S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 MN, 릴레이 UE#2를 거친 SN 사이에서 DC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2를 거친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2를 거친 SN, M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M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MN, 릴레이 UE#2를 거친 S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2를 거친 SN, M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MN, 릴레이 UE#2를 거친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릴레이 UE#2를 거쳐,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RC 시그널링을 행해도 좋다. 해당 RRC 시그널링에 SRB3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스텝 ST5210에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에서 통신 개시 후, SRB3을 이용하여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를 거쳐 SN에, SN은 릴레이 UE#2를 거쳐 리모트 UE에 RRC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다. SRB3을 이용하는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SN에 관한 메시지여도 좋다. 예를 들어, SCG 베어러의 설정 변경, SN 메저먼트 보고, SCG 베어러의 파일러에 관한 정보 송신, 등의 메시지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변경, 릴레이 UE의 메저먼트 보고, SL 베어러의 파일러에 관한 정보 송신, 등의 메시지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을 거치지 않고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직접 RRC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량의 삭감, 저지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의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도 50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과 SN은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MN용의 Uu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RLC와 PDCP의 사이에 ADP를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도 50에서는, DC용의 베어러로서, MN 종단 베어러 및 SN 종단 베어러의 양쪽과, MCG 베어러, SCG 베어러 및 스플리트 베어러에 대해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베어러에 대응한 프로토콜이 구성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DC의 설정에 있어서 이러한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1은, MN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도 46의 예에서 개시한 릴레이 UE#1의 프로토콜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도 46의 예에서 개시한 릴레이 UE#1의 프로토콜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릴레이 UE#2는, SN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도 48의 예에서 개시한 릴레이 UE#2의 프로토콜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도 48의 예에서 개시한 릴레이 UE#2의 프로토콜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M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1과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리모트 UE는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2와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MN 및/또는 SN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DC용의 SDAP, PDCP이다. 리모트 UE에서, MN용과 SN용의 PC5의 PDCP 혹은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PDCP는, M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SN 종단 베어러용으로 1개 구성되어도 좋다.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MN과 릴레이 UE#1 사이, SN과 릴레이 UE#2 사이에서 릴레이용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릴레이용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DC용 베어러가 설정된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MN과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1 및 #2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릴레이 UE#1 및 #2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이,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M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2가,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S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2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6의 예에서 개시한 매핑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릴레이 UE#2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S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8의 예에서 개시한 매핑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S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매핑에, SN에서 부가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2개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는 MN용과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이다.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서,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와 기지국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은 복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가해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기지국의 식별자로서, MN 및/또는 SN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가 복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 MN 또는 S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리모트 UE에 구성되는 SL의 ADP가 가져도 좋다. SL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리모트 UE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6의 예에서 개시한 매핑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S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8의 예에서 개시한 매핑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과 SN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릴레이 UE#1과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릴레이 UE#1과 릴레이 UE#2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해도 좋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 또는 릴레이 UE#1의 MN용의 Uu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과, 리모트 UE 또는 릴레이 UE#2의 SN용의 Uu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과 SN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의 PDCP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S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2개의 gNB와 접속한 리모트 UE가, 릴레이 UE를 거쳐 NW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복수의 gNB와 접속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라도 좋다.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MN과 릴레이 UE#1 사이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대한 DC 설정에 이용한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기존의 Uu의 RLC 베어러로부터 수정이 없으면, 새로운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MN은, SN과 릴레이 UE#2 사이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대한 DC 설정에 이용한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기존의 Uu의 RLC 베어러로부터 수정이 없으면, 새로운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M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릴레이 UE#1은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2는 S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또, MN은, 리모트 UE가 MN과 RRC 접속 상태에 있어서,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개시한다고 해도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대해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SN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SN의 추가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해당 정보예에 있어서의 릴레이 UE를 릴레이 UE#1과 릴레이 UE#2로 대체하면 좋다.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 중, (1)의 릴레이 UE에 관한 정보는, 릴레이 UE#1에 관한 정보와 릴레이 UE#2에 관한 정보이다. 릴레이 UE#2에 관한 정보에, SN이, 리모트 UE와 DC 설정을 행하기 위해, 어느 릴레이 UE를 거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해당 릴레이 UE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리모트 UE에 의한 릴레이 UE#2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릴레이 UE#2에 의한 SN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SN에 대해서, DC용으로 SN 추가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SN은, MN으로부터 SN 추가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리모트 UE에 대한 DC인지, 어느 릴레이 UE를 거쳐 리모트 UE와 접속하는지,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SN은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은, SN과 릴레이 UE 사이의 DC용의 설정이라고 해도 좋다.
SN은 릴레이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SN은 MN에 대해서 SN의 추가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SN이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이 릴레이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SN 추가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SN과 릴레이 UE#2 사이의 DC용의 설정 및/또는 릴레이 UE#2와 리모트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N은 릴레이 UE#2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1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RB에 관한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RB 설정을 송신한다. RRC 시그널링으로 송신해도 좋다.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RadioBearerConfig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N의 식별자를 송신해도 좋다. DC에 의해 릴레이 UE#2를 거쳐 접속하는 SN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이러한 설정에 관해서는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2와 SN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에 대해서는, SN이 릴레이 UE#2에 송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에 있어서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동일해지고, SL 통신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저감할 수 있다.
MN으로부터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와의 PC5 접속을 확립한다. 릴레이 UE#2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릴레이 UE#2는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DC 설정의 종류가 SN 종단인 경우, PDU 세션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이 경우, MN과 CN 사이에서 PDU 세션 수정 처리가 행해진다. PDU 세션의 수정은, 전술에 개시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릴레이 UE#1을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MCG 베어러, 릴레이 UE#2를 거친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SCG 베어러, 릴레이 UE#1을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와 릴레이 UE#2를 거친 리모트 UE와 SN 사이의 스플리트 베어러에 의해 행해진다.
도 51은,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리모트 UE가 2개의 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51에 있어서, 도 41, 도 47, 도 49와 공통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5001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1,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MN은 리모트 UE로부터의 메저먼트 결과를 이용하여, DC에 이용하는 SN을 결정한다.
스텝 ST4402~스텝 ST4420에서, 리모트 UE에 대해서, 릴레이 UE#1을 거친 MN과 릴레이 UE#2를 거친 SN을 이용한 DC의 설정이 행해진다. 이 결과, 스텝 ST5401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2,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도 51과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릴레이 UE#2를 거친 SN 사이에서 DC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2를 거친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2를 거친 SN, 릴레이 UE#1을 거친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M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릴레이 UE#2를 거친 S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2를 거친 SN, 릴레이 UE#1을 거친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S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릴레이 UE#2를 거친 S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릴레이 UE#2를 거쳐,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RC 시그널링을 실시해도 좋다. 해당 RRC 시그널링에 SRB3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스텝 ST5210에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에서 통신 개시 후, SRB3을 이용하여 리모트 UE는 릴레이 UE#2를 거쳐 SN에, SN은 릴레이 UE#2를 거쳐 리모트 UE에 RRC 메시지를 송신해도 좋다. SRB3을 이용하는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SN에 관한 메시지여도 좋다. 예를 들어, SCG 베어러의 설정 변경, SN 메저먼트 보고, SCG 베어러의 파일러에 관한 정보 송신, 등의 메시지여도 좋다. 예를 들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2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변경, 릴레이 UE의 메저먼트 보고, SL 베어러의 파일러에 관한 정보 송신, 등의 메시지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을 거치지 않고 S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직접 RRC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량의 삭감, 저지연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릴레이 UE#2를 거쳐 SgNB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간접 통신에 있어서 DC가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간접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gNB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고속 대용량화, 저지연화, 고신뢰성화 등의, 성능 개선이 도모된다. 또, 리모트 UE에 대한 DC이기 때문에, 릴레이 UE가 복수의 gNB와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의 구성에 있어서 DC에 의한 복잡화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6.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실시의 형태 4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는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복수의 패스로 하나의 기지국과 접속한다. 해당 복수는 예를 들어 2개라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패스로, 리모트 UE와 기지국이 릴레이 UE를 거쳐 접속된다.
리모트 UE가 복수의 패스로 하나의 기지국과 접속하는 구성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의 DC가 설정되어도 좋다. 릴레이 UE를 SN의 대체로서 DC가 설정되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SN의 대체가 되는 릴레이 UE를 릴레이 UE#S라고 칭한다. 릴레이 UE#S는, DC용의 SN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다. 리모트 UE는 DC이기 때문에, MN 및 릴레이 UE#S와 접속한다. 리모트 UE와 MN과의 접속은 직접 접속이어도 좋고, 릴레이 UE를 거친 간접 접속이어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을 위한 무선 베어러에 대해서, 리모트 UE는 1개의 gNB와 복수의 패스로 접속한다. 해당 무선 베어러는, 예를 들어, SRB여도 좋다. 예를 들어, SRB2여도 좋다. SRB0, SRB1은 하나의 gNB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에 의해, 통신의 확립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무선 베어러는, 예를 들어, DRB여도 좋다. 이 경우, 데이터 통신용의 베어러의 통신 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52는,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는,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된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한다. 리모트 UE와 MgNB의 직접 접속은 Uu로 행해진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는 PC5로 접속된다. 릴레이 UE#S와 MgNB간은 Xn으로 접속된다. 릴레이 UE#S와 MgNB 사이는 무선 접속이어도 좋다. Uu를 이용하여 Xn의 접속이 이루어져도 좋다. 리모트 UE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S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S와 MgNB가 무선 접속으로 Uu를 이용하여 Xn의 접속이 행해지는 경우에 RRC 접속 상태라고 해도 좋다.
도 53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는,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된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는 PC5로 접속되고, 릴레이 UE#1과 MgNB 사이는 Uu로 접속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는 PC5로 접속된다. 릴레이 UE#S와 MgNB 사이는 Xn으로 접속된다. 릴레이 UE#S와 MgNB 사이는 F1로 접속되어도 좋다. 릴레이 UE#S와 MgNB 사이는 무선 접속이어도 좋다. Uu를 이용하여 Xn 혹은 F1의 접속이 이루어져도 좋다. 리모트 UE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1은 MgNB와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S는 MgNB와 RRC 접속 상태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S와 MgNB가 무선 접속으로 Uu를 이용하여 Xn 혹은 F1의 접속이 행해지는 경우에 RRC 접속 상태라고 해도 좋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을 개시한다. 도 54는,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은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MN용이라고 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DC용의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PC5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 기능을 가지면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도 54에서는, MCG 베어러, SCG 베어러, 스플리트 베어러에 대해 함께 나타내고 있다. DC의 설정에 있어서 이러한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S와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ADP,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SN용의 베어러는,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또, 리모트 UE는 MN과의 사이에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MN용의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리모트 UE에서, SN용의 PC5의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되고, MN용의 Uu의 RLC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DC용의 베어러가 설정된다. DC용의 베어러로서, MN의 PDCP에서 종단되는 MN 종단 베어러가 설정된다. DC용의 베어러로서, MN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 혹은, MN과 릴레이 UE#S의 양쪽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가 설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MN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를 MCG 베어러라고 칭하고, 릴레이 UE#S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를 SCG 베어러라고 칭하고, MN과 릴레이 UE#S의 양쪽의 RLC 베어러를 갖는 베어러를 스플리트 베어러라고 칭한다.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DC용 베어러가 설정된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S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RB 식별자:RB ID)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S 또는 리모트 UE가,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S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S에 구성되는 PC5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릴레이 UE#S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S는,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리모트 UE로의 PC5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릴레이 UE#S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RLC 베어러로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가 있다. 해당 DC용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S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기지국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S 또는 MN이,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S 또는 M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한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S에 구성되는 PC5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릴레이 UE#S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S는, 1개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할 때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1개 또는 복수의 RB에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이,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 또는 릴레이 UE#S의 ADP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도 55는,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MN과 릴레이 UE#S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릴레이 UE#S와 MgNB 사이가 Uu를 이용하여 Xn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은 릴레이 UE#S와의 사이의 Xn 혹은 F1 접속을 위해, GTP-U, UDP, IP, RLC, MAC, PHY를 갖는다.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인 PDCP와, GTP-U가 접속된다. 릴레이 UE#S용의 PDCP PDU가 GTP-U에 입력된다. GTP-U, UDP, IP에서 처리를 행하고, IP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릴레이 UE#S와의 무선 접속용의 Uu의 프로토콜 RLC에 입력된다. RLC에 입력된 데이터는, MAC, PHY의 처리가 행해지고, 릴레이 UE#S에 송신된다.
릴레이 UE#S는 MN과의 사이의 Xn 접속을 위해, GTP-U, UDP, IP, RLC, MAC, PHY를 갖는다. MN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MN과의 무선 접속용의 Uu의 프로토콜 PHY에 입력된다. PHY에 입력된 데이터는, MAC, RLC의 처리가 행해지고, IP에 입력된다. IP에 입력된 데이터는, UDP, GTP-U에서 처리가 행해지고, 데이터가 출력된다. 해당 데이터는, PDCP PDU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MN과 릴레이 UE#S 사이는, IP, UDP, GTP-U가 서로 종단된다.
GTP-U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릴레이 UE#S의 SN용 SL 베어러에 매핑된다. SL 베어러에 매핑된 데이터는, SL ADP에 입력되고, SL RLC, SL MAC, SL PHY에서 처리가 행해지고, 리모트 UE에 송신된다.
MN으로부터 릴레이 UE#S를 거친 리모트 UE로의 통신 방향에 대해 개시했다. 리모트 UE로부터 릴레이 UE#S를 거친 MN으로의 통신 방향에 대해서는, 전술에 개시한 것의 반대의 처리가 행해진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릴레이 UE#S에 있어서의 UDP와 DTP-U 대신에, SCTP만을 마련하면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한 리모트 UE가, 릴레이 UE를 거쳐 NW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가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가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가 M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라도 좋다. 예를 들어,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MN과의 사이의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MN과의 사이의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릴레이 UE#S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또, MN은, 리모트 UE가 MN과 RRC 접속 상태에 있어서,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개시한다고 해도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대해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DC의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DC의 설정 요구는 SN으로서의 기능의 추가 요구라도 좋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새로운 메시지를 마련하고, 해당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해당 메시지는, 예를 들어, Relay(DC) request 메시지로 해도 좋다.
DC의 설정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해당 정보예에 있어서의 SN을 릴레이 UE#S로 대체하면 좋다.
다만, MN과 리모트 UE는 릴레이 UE를 거치지 않고 접속되기 때문에, MN과 릴레이 UE 사이의 설정 정보는 없어도 좋다. 예를 들어,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 중, (4), (7), (9)를 송신하지 않는다.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 중, (1), (5), (8)에 있어서의 릴레이 UE는, 릴레이 UE#S로 대체하면 좋다. SN으로서 기능하는 릴레이#S가, 리모트 UE와 DC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1)의 릴레이 UE#S에 관한 정보에, 리모트 UE에 의한 릴레이 UE#S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릴레이 UE#S에 의한 MN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DC 설정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리모트 UE에 대한 DC인지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SN으로서의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로서, SN으로서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 하면 좋다.
다만, (1)은,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의 설정으로서 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SRB인 경우도 SRB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DC를 설정하는 RB가 DRB인 경우도 DRB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1)의 RB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RB의 식별자만이라고 해도 좋다.
다만, (2)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로서, Xn 혹은 F1용의 Uu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로 하면 좋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Xn 혹은 F1용의 Uu RLC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Xn 혹은 F1용의 Uu RLC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의 사이에서 Xn 시그널링 혹은 F1 시그널링용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3)의 SN의 식별자는 없어도 좋다. SN의 식별자로서, 릴레이 UE#S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간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간에 기존의 SL 베어러가 있는 경우는, 해당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S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SN으로서의 릴레이 UE#S에 대해서 SN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서 Xn 혹은 F1 접속이 행해진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해당 접속에 이용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해당 설정 정보로서, 예를 들어, GTP-u TEID나 TNL 어드레스(IP 어드레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서, Uu가 아니라, Xn 혹은 F1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에 대한 DC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에 대해서 릴레이 UE#S와의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수신한 DC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DC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리모트 UE에 대한 DC 설정으로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간의 SL RRC 설정이어도 좋다. SL RRC 설정은, 예를 들어, SL RLC 베어러의 설정이어도 좋다.
릴레이 UE#S는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릴레이 UE#S가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혹은, 새로운 메시지를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어, Relay(DC)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로 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S가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혹은, 새로운 메시지를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어, Relay(DC) request reject 메시지로 해도 좋다. 해당 메시지에, 예를 들어, 리모트 UE에 관한 정보, 이유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4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1)~(3)의 조합.
이것들 4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2)는,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이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CG용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DC에 있어서 리모트 UE는 SN으로서의 릴레이 UE#S와 접속하기 때문에, 리모트 UE는 SCG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3)의 SN의 식별자는 없어도 좋다. SN의 식별자로서, 릴레이 UE#S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릴레이 UE#S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에서 기존의 SL 베어러가 있는 경우는, 해당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SL의 RLC 베어러는 1개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SN용의 SL의 RLC 베어러를 설정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N으로서의 릴레이 UE#S간의 SL RLC 베어러를 설정해도 좋다.
SL의 ADP 설정은 1개라고 해도 좋다. DC용의 SL의 ADP 설정으로서, SN용의 SL의 ADP를 설정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SN으로서의 릴레이 UE#S간의 SL의 ADP를 설정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DC용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1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M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릴레이 UE#S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의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에 대해서는, 릴레이 UE#S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에 있어서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동일해지고, SL 통신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저감할 수 있다.
MN으로부터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의 PC5 접속을 확립한다. 릴레이 UE#S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MCG 베어러, 릴레이 UE#S를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SCG 베어러, 리모트 UE와 MN 사이와 릴레이 UE#S를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56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56에 있어서, 도 49와 공통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5201에서, 리모트 UE,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를 설정하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의 메저먼트 결과로부터 DC에 이용하는 릴레이 UE#S를 결정한다.
스텝 ST5901에서, MN은, DC에 이용하는 것으로 결정한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리모트 UE에 대한 DC의 SN으로서의 기능의 추가를 요구한다. DC 설정 요구 메시지는, 예를 들어 Xn 혹은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DC 설정 요구 메시지로서 Relay(DC)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요구 메시지에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의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MN으로부터 DC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UE#S는, DC 설정 요구의 정보로부터,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 DC 설정을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관한 정보, 요구되는 베어러 종단, 요구되는 DC용 베어러 종류 등을 인식하고,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DC용의 설정은, 예를 들어, SN과 리모트 UE 사이의 RRC 설정이어도 좋다. 스텝 ST5902에서, 릴레이 UE#S는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을 송신한다. DC 설정 요구 응답 메시지로서 Relay(DC) request Ack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요구 응답 메시지에,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의 SL RRC 설정을 포함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N은, 릴레이 UE#S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실시한 것을 인식한다. 또, MN은,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의 RRC 설정을 인식한다.
스텝 ST5903에서,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Xn-U 어드레스 표시 메시지를 통지한다. F1-U 어드레스 표시 메시지를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어, MN은, MN과 SN 사이의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해당 어드레스를 스텝 ST5903에서 릴레이 UE#S에 대해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S 사이에서 DC에 이용하는 어드레스를 공유하고, MN과 릴레이 UE#S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스텝 ST5206에서,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송신한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과 함께 송신해도 좋고,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의 설정에 포함하여 송신해도 좋다. 혹은, DC용의 설정과 SL 베어러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좋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송신에서는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용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포함하면 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의 SCG에 관한 설정으로서, SN으로부터 수신한 DC용 설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에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면 된다. SL 베어러 설정의 SCG에 관한 설정으로서, SN으로부터 수신한 SL 베어러 설정을 이용하여도 좋다. SL 베어러 설정의 정보에 관한 설정으로서, 릴레이 UE#S로부터 수신한 RRC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MN으로부터 DC용 설정과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간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을 행한 리모트 UE는, 스텝 ST5208에서, MN에 대해서,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에서는 긍정 응답으로 한다. 해당 송신에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긍정 응답의 송신에서는 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을 수신한 MN은, 리모트 UE가 DC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T5904에서,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 설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해당 송신에는 Xn 혹은 F1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해당 송신에서는 Relay(D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릴레이 UE#S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 및 리모트 UE가 DC용의 설정을 완료한 것을 인식한다.
리모트 UE는, MN과의 통신을 유지한 채로, 스텝 ST5905에서 릴레이 UE#S에 대해서 PC5 접속을 확립한다. 해당 PC5 접속의 확립에서는 PC5-S 시그널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PC5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M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S와의 SL 베어러 설정을 이용하여 PC5 접속을 확립한다. 이것에 의해,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T5906에서,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SN 상태 전송을 행해도 좋다. 해당 SN 상태 전송은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스텝 ST5907에서, MN은 UPF로부터의 데이터를 릴레이 UE#S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 MN, 릴레이 UE#S 사이에서 DC가 행해진다. 설정 가능한 DC는 MN 종단 베어러만이라고 해도 좋다. 릴레이 UE#S가 직접 CN과 접속하는 일 없이, 릴레이 UE#S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M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S,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S,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MgNB와 릴레이 UE#S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경우의 프로토콜 구성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도 57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의 프로토콜 스택의 다른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U-Plane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MN은 DC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SDAP, PDCP, RLC, MAC, PHY이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에 있어서, RLC와 PDCP의 사이에 ADP를 구성한다. ADP는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MN용이라고 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DC용의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 기능을 가지면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도 57에서는, MCG 베어러, SCG 베어러, 스플리트 베어러에 대해 함께 나타내고 있다. DC의 설정에 있어서 이러한 베어러의 설정을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1은, MN용의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RLC, MAC,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PC5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MN용의 베어러는,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MN용으로 해도 좋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RLC의 상위에 PC5 ADP가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PC5 RLC의 서브레이어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PC5 ADP는, 예를 들어 Uu의 베어러와 PC5의 베어러 사이의 매핑 기능을 가지면 좋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S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S와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ADP,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과의 사이에 PC5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PC5의 프로토콜을 MN용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1과 마찬가지로, 해당 PC5의 프로토콜은 PC5 ADP, PC5 RLC, PC5 MAC, PC5 PHY이다. PC5 SDAP, PC5 PDCP는 없어도 좋다. 또, 리모트 UE는, MN과의 사이에 Uu의 프로토콜을 갖는다. 해당 Uu의 프로토콜은, DC용의 SDAP, PDCP이다. 리모트 UE에서, MN용의 PC5의 ADP와 Uu의 PDCP가 접속된다. 리모트 UE에서 DC가 종단된다.
베어러에 대해 개시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RB가 설정된다. 해당 RB에 있어서, MN과 릴레이 UE#1 사이에서 MN용의 베어러가 설정된다. MN용의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용이다. 해당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1개의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해당 SL 베어러는, MN용의 SL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SL RLC 채널이어도 좋다.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에서 SN용의 SL 베어러가 설정된다. SN용의 베어러는,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이다. 해당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는 RLC 베어러로 하면 좋다. RLC 채널이어도 좋다.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해당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서,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리모트 UE의 RB 및/또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MN과 S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 릴레이 UE#S, 또는 리모트 UE가, 송신지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MN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 릴레이 UE#S 또는 리모트 UE가,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M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1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부가 기능만을 MN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MN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에서, MN용의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1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1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에 매핑할 때에, MN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를, DC용의 PC5의 RLC 베어러에 매핑해도 좋다. 도 54의 예에서 개시한 매핑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MN 또는 릴레이 UE#S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의 베어러 매핑에 관해서 개시한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를, DC용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DC용의 RLC 베어러로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가 있다. 해당 DC용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S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기지국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해당 기지국이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해당 기지국의 식별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 릴레이 UE#S 또는 MN이, 송신지의 기지국,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는,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1, 릴레이 UE#S 또는 M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해당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M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가 있다. 릴레이 UE#1에 접속되는 리모트 UE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릴레이 UE#1에 구성되는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1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에 매핑할 때에, 리모트 UE에서 부가된 기지국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도 좋다. MN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의 매핑에 있어서, 해당 식별자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가하지 않아도 된다.
릴레이 UE#1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의 식별자와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RB의 식별자를 부가해도 좋다. RB ID는, RB가 SRB인 경우, SRB ID여도 좋다. RB ID는, RB가 DRB인 경우, DRB ID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이, 송신원의 리모트 UE,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를 인식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가 기능은, 릴레이 UE#1에 구성되는 MN용의 Uu의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이 경우, 릴레이 UE#1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릴레이 UE#1은, NW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에 있어서,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부가해도 좋다.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베어러의 종단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베어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또는 MN용인지 SN용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이,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의 종단이나 종류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에 있어서,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에 매핑한다. 도 54의 예에서 개시한 매핑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로부터 NW로의 통신에 있어서, MN용의 Uu의 RLC 베어러와 SN용의 PC5의 RLC 베어러를 NW와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매핑하는 기능을 갖는다. 해당 매핑에, 리모트 UE, 릴레이 UE#1 또는 릴레이 UE#S에서 부가된 리모트 UE 식별자, RB 식별자, DC에 이용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전술한 기능은, MN 또는 릴레이 UE#S에 구성되는 ADP가 가져도 좋다. ADP에, DC가 설정되는 경우와 설정되지 않는 경우의 기능을 집약해도 좋다. MN 또는 릴레이 UE#S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에서, DC용의 MCG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 혹은 스플리트 베어러를, 리모트 UE와 NW간 통신용의 RB에 매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Plane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MN, 리모트 UE에 있어서의 SDAP 대신에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대응한 RRC를 마련하면 좋다. SRB에 DC가 설정되는 경우는 MN 종단 베어러만이 설정되어도 좋다. SRB의 DC가 가능하게 된다.
MN과 릴레이 UE#S간의 프로토콜 스택은, 도 55에 개시한 구성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한 리모트 UE가, 릴레이 UE를 거쳐 NW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릴레이 UE를 거쳐 행하는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리모트 UE와의 사이의 RB에 대해서 DC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RB는,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통신용이어도 좋다. 해당 RB는, SRB 및/또는 DRB라도 좋다. 예를 들어, SRB로서 SRB2여도 좋다.
MN은, MN과 릴레이 UE#1 사이의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RB에 대한 DC 설정에 이용한다.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로서, 기존의 Uu의 RLC 베어러로부터 수정이 없으면, 새로운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M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용의 Uu의 RLC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해당 DC용의 Uu의 RLC 베어러는, MN과의 사이의 RLC 베어러라도 좋다.
MN은,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의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해당 DC용의 SL 베어러는 1개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해당 SL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라도 좋다.
릴레이 UE#1은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릴레이 UE#S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리모트 UE는 MN과 RRC 접속 상태로 하면 좋다. 또, MN은, 리모트 UE가 MN과 RRC 접속 상태에 있어서, 리모트 UE에 대해서 DC 설정을 개시한다고 해도 좋다. DC가 설정된 리모트 UE는 C-plane에 대해 MN을 거쳐 CN에 접속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MN간 통신용의 RB에 대한 DC의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해당 DC의 설정 요구는 SN으로서의 기능의 추가 요구라도 좋다. 해당 추가 요구는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S-Nod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DC의 설정 요구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해당 정보예에 있어서의 SN을 릴레이 UE#S로 대체하면 좋다. 해당 정보예에 있어서의 릴레이 UE를 릴레이 UE#1 및/또는 릴레이 UE#S로 대체하면 좋다. 릴레이 UE를 릴레이 UE#S로 하는 경우, SN으로서 기능하는 릴레이#S가, 리모트 UE와 DC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로 해도 좋다.
또, 전술에 개시한 SN의 추가 요구에 포함하는 17개의 정보예 중, (1)의 릴레이 UE#1 및/또는 릴레이 UE#S에 관한 정보에, 리모트 UE에 의한 릴레이 UE#1 및/또는 릴레이 UE#S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또, 릴레이 UE#1 및/또는 릴레이 UE#S에 의한 MN의 메저먼트 결과를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DC 설정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리모트 UE에 대한 DC인지 등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SN으로서의 DC용의 설정을 행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은, 전술한,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MN으로부터 릴레이 UE#S로의 DC용 설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에서 기존의 SL 베어러가 있는 경우는, 해당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전술한,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MgNB와 직접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의, MN으로부터 릴레이 UE#S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서 Xn 혹은 F1 접속이 행해진다. MN은 릴레이 UE#S에 대해서, 해당 접속에 이용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해당 설정 정보로서, 예를 들어, GTP-u TEID나 TNL 어드레스(IP 어드레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MN은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서, Uu가 아니라, Xn 혹은 F1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에 대한 DC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에 대해서 릴레이 UE#S와의 사이의 DC를 위한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MN으로부터 수신한 DC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DC 설정을 행해도 좋다. 리모트 UE에 대한 DC 설정으로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RRC 설정이어도 좋다. SL RRC 설정은, 예를 들어, SL RLC 베어러 설정이어도 좋다.
릴레이 UE#S는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릴레이 UE#S가 DC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긍정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혹은, 새로운 메시지를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어, Relay(DC)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로 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N 추가 요구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를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릴레이 UE#S가 DC 설정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경우, MN에 대해서 DC 설정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Xn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하면 좋다. F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DC 설정 요구 거부 응답 메시지로서 S-Node addition request reject 메시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혹은, 새로운 메시지를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어, Relay(DC) request reject 메시지로 해도 좋다. 해당 메시지에, 예를 들어, 리모트 UE에 관한 정보, 이유 정보를 포함하여 통지해도 좋다.
MN은 릴레이 UE#1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의 설정은, 실시의 형태 5에서 개시한, MN으로부터 릴레이 UE#1로의 DC용의 설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의 설정을 송신한다.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5개 개시한다.
(1) RB에 관한 정보.
(2)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3) SN의 식별자.
(4) ADP 설정에 관한 정보.
(5) (1)~(4)의 조합.
이것들 5개의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DC용 설정에 포함하는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다만, (2)의 Uu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는 없어도 좋다.
다만, (3)의 SN의 식별자는 없어도 좋다. SN의 식별자로서, 릴레이 UE#S의 식별자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한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에 기존의 SL 베어러가 있는 경우는, 해당 SL 베어러의 수정을 행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은, SL 베어러의 수정을 위한 설정이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로서 3개 개시한다.
(1) SL의 RLC 베어러에 관한 정보.
(2) SL의 ADP 설정에 관한 정보.
(3) (1)과 (2)의 조합.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는, 전술에 개시한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예를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으로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는 M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는, SN용의 SL 베어러로 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을 DC용 설정에 포함해도 좋다.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DC용 설정 정보에 포함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B의 설정은 행하지 않아도 좋다. SL RB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SL PDCP, SL SDAP의 설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용으로서 2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해도 좋다. 해당 DC용의 2개의 SL 베어러의 설정은, MN용의 SL 베어러와 SN용의 SL 베어러의 설정이라도 좋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한 DC용의 설정 및/또는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SN으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UE#S와 리모트 UE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SN에 있어서의 부하 상황 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에 대해서는, 릴레이 UE#S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에 있어서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동일해지고, SL 통신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저감할 수 있다.
MN으로부터 DC용의 SL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의 PC5 접속을 확립한다. 릴레이 UE#S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와 PC5 접속을 확립한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와의 사이에서 DC용의 SL 베어러를 설정한다.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릴레이 UE#S는 리모트 UE에 대해서 SL RRC 설정을 통지해도 좋다.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릴레이 UE#1을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MCG 베어러, 혹은, 릴레이 UE#S를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SCG 베어러, 혹은, 릴레이 UE#1을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와 릴레이 UE#S를 거친 리모트 UE와 MN 사이의 스플리트 베어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58은,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리모트 UE가 1개의 gNB와 2개의 패스로 접속하는 DC의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리모트 UE가, MN과, SN의 대체로 하는 릴레이 UE#S를 이용하여 DC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1을 거쳐 MgNB와 접속하고, 다른 1개의 패스로 리모트 UE는 릴레이 UE#S와 접속하고, 릴레이 UE#S는 MgNB와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도 58에 있어서, 도 47, 도 56과 공통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5001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1,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MN은 리모트 UE에 대해서 DC를 설정하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MN은 리모트 UE의 메저먼트 결과로부터 DC에 이용하는 릴레이 UE#S를 결정한다.
스텝 ST5901, 스텝 ST5902에서, MN과 릴레이 UE#S 사이에서 DC 설정 요구 및 DC 설정 요구 응답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 UE#S에서 리모트 UE로의 DC 설정이 행해진다.
스텝 ST5005, 스텝 ST5007에서, MN과 릴레이 UE#1 사이에서, DC용의 설정 및 SL 베어러의 설정의 송수신,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릴레이 UE#1은 MN으로부터 DC용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릴레이 UE#1 사이의 DC용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T5006, 스텝 ST5008에서, MN과 리모트 UE 사이에서, DC용의 설정 및 SL 베어러의 설정의 송수신, DC 설정 응답 및 SL 베어러 설정 응답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SL 베어러 설정의 정보에 관한 설정으로서, 릴레이 UE#S로부터 수신한 RRC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모트 UE는 MN으로부터 DC용 설정 및 SL 베어러 설정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MN과 리모트 UE 사이의 DC용 설정, 리모트 UE와 릴레이 UE#1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 및, 리모트 UE와 릴레이 UE#S 사이의 SL 베어러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 릴레이 UE#1을 거친 MN, 릴레이 UE#S 사이에서 DC가 행해진다. 즉, 스텝 ST6110에서, 리모트 UE, 릴레이 UE#1, 릴레이 UE#S,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설정 가능한 DC는 MN 종단 베어러만으로 해도 좋다. 릴레이 UE#S가 직접 CN과 접속하는 일 없이, 릴레이 UE#S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MN 종단 SCG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S, 릴레이 UE#1을 거친 MN, UPF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MN 종단 스플리트 베어러의 경우, 리모트 UE, 릴레이 UE#S, 릴레이 UE#1을 거친 MN, UPF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리모트 UE가, MgNB와 릴레이 UE#S와 접속하는 DC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간접 통신에 있어서 DC가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고속 대용량화, 저지연화, 고신뢰성화 등의, 성능 개선이 도모된다. 또,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NW 사이의 간접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RAN 노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DC가 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UE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복수의 RAN 노드와 접속할 수 없는 것 같은 상황의 경우에도 DC가 가능하게 된다. 또, 리모트 UE에 대한 DC이기 때문에, 릴레이 UE가 복수의 RAN 노드와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의 동작이,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gNB 사이의 통신, 예를 들면, 릴레이 UE를 거친, gNB로부터 리모트 UE로의 멀티캐스트에 적용되어도 좋다. BAP 레이어의 동작이, 예를 들면, 적응 프로토콜에 있어서 행해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gNB로부터 리모트 UE로의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의 동작, 및, 릴레이 UE를 거친 리모트 UE와 gNB 사이의 통신, 예를 들면, 릴레이 UE를 거친, gNB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의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 가능하게 된다. gNB로부터 리모트 UE로의 통신은, 브로드캐스트여도 좋고, 그룹 캐스트여도 좋고, 유니캐스트여도 좋다. 예를 들면, IAB 기지국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와 gNB로부터 리모트 UE로의 그룹 캐스트의 조합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효율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gNB 혹은 셀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gNB여도 좋고 셀이어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 예의 임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은, 제5세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의 시간 단위의 일례이다.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단위여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단위로서 기재하고 있는 처리를, TTI 단위, 슬롯 단위, 서브 슬롯 단위, 미니 슬롯 단위로서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개시한 방법은, V2X(Vehicle-to-everything) 서비스에 한정하지 않고 SL 통신이 이용되는 서비스에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프록시미티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퍼블릭 세이프티(Public Safety), 웨어러블 단말간 통신, 공장에 있어서의 기기간 통신 등, 다종의 서비스로 이용되는 SL 통신에 적용해도 좋다.
본 개시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00, 210 통신 시스템, 202 통신 단말 장치(이동 단말), 203, 207, 213, 217, 223-1, 224-1, 224-2, 226-1, 226-2, 750 기지국 장치(기지국), 204 MME/S-GW부(MME부), 204a MME, 214 AMF/SMF/UPF부(5GC부), 218 중앙 유닛, 219 분산 유닛, 301, 403 프로토콜 처리부, 302 애플리케이션부, 303, 404 송신 데이터 버퍼부, 304, 405 인코더부, 305, 406 변조부, 306, 407 주파수 변환부, 307-1~307-4, 408-1~408-4 안테나, 308, 409 복조부, 309, 410 디코더부, 310, 411, 506, 526 제어부, 401 EPC 통신부, 402 타 기지국 통신부, 412 5GC 통신부, 501 PDN GW 통신부, 502, 522 기지국 통신부, 503, 523 사용자 플레인 통신부, 504 HeNBGW 통신부, 505, 525 제어 플레인 제어부, 505-1, 525-1 NAS 시큐리티부, 505-2 SAE 베어러 컨트롤부, 505-3, 525-3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 521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부, 525-2 PDU 세션 컨트롤부, 527 세션 관리부, 751-1~751-8 빔, 3110, 3130, 3220, 3221, 3320 BAP-PDU, 3115, 3215 기능부, 3125 라우팅 기능부.

Claims (18)

  1.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으로 구성되고, 액세스 백홀 통합의 도너로서 동작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액세스 백홀 통합의 노드로서 동작하는 1개 이상의 제2 기지국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유닛이 상기 분산 유닛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서, 통신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행하는 백홀 적응 레이어(backhaul adaptation layer)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을 향해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은, 통신 단말이 접속된 상태의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은, 통신 단말이 접속된 상태의 상기 제2 기지국 중, 다른 제2 기지국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은, 접속처가 동일한 복수의 상기 제2 기지국의 각각에 대해,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로서 동일한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이 접속된 상태의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은, 상기 분산 유닛 또는 통신 단말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계층이 동일한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로서 동일한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닛은,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송신지의 통신 단말까지의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로서 동일한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로서 동일한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조건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앙 유닛은, 2개 이상의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만족시키고 있는 상기 조건의 각각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송신의 대상 데이터의 복제를 상기 중앙 유닛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송신지의 통신 단말이 동일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이한 경로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경로로부터 수신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전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5세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단말끼리 직접 통신하는 단말간 통신을 상기 제1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실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는 제2 통신 단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5세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단말끼리 직접 통신하는 단말간 통신을 상기 제1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실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2 통신 단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직접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이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3 통신 단말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은, 상기 단말간 통신을 상기 제3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실시하고, 상기 제3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5세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1 통신 단말과,
    통신 단말끼리 직접 통신하는 단말간 통신을 상기 제1 통신 단말과의 사이에서 실시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치지 않고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2 통신 단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기지국에 직접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제3 통신 단말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은, 상기 제1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제3 통신 단말을 거쳐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으로 구성되고, 액세스 백홀 통합의 도너로서 동작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액세스 백홀 통합의 노드로서 동작하는 1개 이상의 다른 기지국에 대해서, 통신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행하는 백홀 적응 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을 향해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37039728A 2021-06-02 2022-05-20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KR20240014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2762 2021-06-02
JPJP-P-2021-092762 2021-06-02
PCT/JP2022/021015 WO2022255133A1 (ja) 2021-06-02 2022-05-20 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466A true KR20240014466A (ko) 2024-02-01

Family

ID=8432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728A KR20240014466A (ko) 2021-06-02 2022-05-20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1191A1 (ko)
JP (1) JPWO2022255133A1 (ko)
KR (1) KR20240014466A (ko)
CN (1) CN117356118A (ko)
WO (1) WO20222551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0239A1 (en) * 2017-06-15 2021-08-04 BlackBerry Limited Configuring sidelink communications
WO2020027713A1 (en) * 2018-07-30 2020-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ab nodes with multiple mts – multi-path connectivity
US11166335B2 (en) * 2019-02-1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ackhaul link fail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16.5.0
[비특허문헌 10] 3GPP TR 38.912 V16.0.0
[비특허문헌 11] 3GPP RP-172115
[비특허문헌 12] 3GPP TS 37.340 V16.5.0
[비특허문헌 13] 3GPP TS 38.211 V16.5.0
[비특허문헌 14] 3GPP TS 38.213 V16.5.0
[비특허문헌 15] 3GPP TS 38.214 V16.5.0
[비특허문헌 16] 3GPP TS 38.300 V16.5.0
[비특허문헌 17] 3GPP TS 38.321 V16.4.0
[비특허문헌 18] 3GPP TS 38.212 V16.5.0
[비특허문헌 19] 3GPP TS 38.331 V16.4.1
[비특허문헌 2] 3GPP S1-083461
[비특허문헌 20] 3GPP TR 23.703 V12.0.0
[비특허문헌 21] 3GPP TS 23.501 V17.0.0
[비특허문헌 22] 3GPP TS 23.287 V16.5.0
[비특허문헌 23] 3GPP TS 23.303 V16.0.0
[비특허문헌 24] 3GPP TS 38.305 V16.4.0
[비특허문헌 25] 3GPP TS 23.273 V17.0.0
[비특허문헌 26] 3GPP R2-2009145
[비특허문헌 27] 3GPP TR 38.836 V17.0.0
[비특허문헌 28] 3GPP TR 23.757 V17.0.0
[비특허문헌 29] 3GPP RP-201038
[비특허문헌 3] 3GPP TR 36.814 V9.2.0
[비특허문헌 30] 3GPP R2-2009337
[비특허문헌 31] 3GPP R3-211029
[비특허문헌 32] 3GPP RP-201293
[비특허문헌 33] 3GPP TS 38.401 V16.5.0
[비특허문헌 34] 3GPP TS 36.321 V16.4.0
[비특허문헌 35] 3GPP TS 38.473 V16.5.0
[비특허문헌 36] 3GPP TS 38.340 V16.4.0
[비특허문헌 37] 3GPP TS 23.502 V17.0.0
[비특허문헌 38] 3GPP TS 38.413 V16.5.0
[비특허문헌 39] 3GPP TS 38.323 V16.3.0
[비특허문헌 4] 3GPP TR 36.912 V16.0.0
[비특허문헌 40] 3GPP TS 38.322 V16.2.0
[비특허문헌 41] 3GPP R3-210017
[비특허문헌 5] "Scenarios, requirements and KPIs for 5G mobile and wireless system", ICT-317669-METIS/D1.1
[비특허문헌 6] 3GPP TR 23.799 V14.0.0
[비특허문헌 7] 3GPP TR 38.801 V14.0.0
[비특허문헌 8] 3GPP TR 38.802 V14.2.0
[비특허문헌 9] 3GPP TR 38.804 V14.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133A1 (ja) 2022-12-08
JPWO2022255133A1 (ko) 2022-12-08
EP4351191A1 (en) 2024-04-10
CN117356118A (zh)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3281B2 (ja) 通信システム
WO2018124259A1 (ja) 通信システム
JPWO2020031884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WO2021106761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WO2019131985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EP413546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23145753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JPWO2020090920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側装置
WO2022113875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JP2023179745A (ja) 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WO2022030520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WO2021106769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WO2022255133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JP2018011209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2210184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EP4301004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WO2023095804A1 (ja) 通信システム
US20240137826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WO2021251210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管理装置
WO2022181526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WO2023054394A1 (ja) 通信システム
KR20240068652A (ko) 통신 시스템
KR20240036008A (ko) 통신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