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385A -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 Google Patents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385A
KR20240014385A KR1020220092071A KR20220092071A KR20240014385A KR 20240014385 A KR20240014385 A KR 20240014385A KR 1020220092071 A KR1020220092071 A KR 1020220092071A KR 20220092071 A KR20220092071 A KR 20220092071A KR 20240014385 A KR20240014385 A KR 2024001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guide rod
plate
seat plate
sad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화
Original Assignee
(주)오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페스 filed Critical (주)오페스
Priority to KR102022009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385A/ko
Publication of KR2024001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3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안장본체; 안장판; 상기 안장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 일단은 상기 안장본체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판의 중간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안장본체와 가까운 상기 안장판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폴딩부; 및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안장판을 상기 가이드 로드 측으로 접히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안장판과 상기 가이드 로드 사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FOLDING TYPE FOOTREST AND CABIN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발 받침대는 책상 아래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을 받쳐 편안하게 지지해줌으로써, 피로누적, 관절염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이다.
종래의 발 받침대는 사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받쳐주기 위해 충분히 넓게 제작되기 때문에 책상 아래의 공간을 좁아지게 하거나 의자가 발 받침대에 걸려 의자의 이동에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발 받침대를 구비하지 않고 바닥에 발을 놓거나, 책상 또는 의자 다리에 발을 올려놓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발 받침대가 필요한 실상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117호(2015.12.15 등록, 고안의 명칭 : 발 거치대)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을 수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안장본체; 안장판; 상기 안장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 일단은 상기 안장본체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판의 중간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안장본체와 가까운 상기 안장판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폴딩부; 및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안장판을 상기 가이드 로드 측으로 접히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안장판과 상기 가이드 로드 사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가이드 로드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슬리브와, 상기 안장판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리브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푸싱부를 갖는 제2 슬리브와, 상기 제1 슬리브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제2 슬리브에 고정되는 래칫과,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심에 대해 편심 배치된 회전 샤프트에 의해 상기 메인 샤프트와 연결되고, 제1 결합 톱니와 제2 결합 톱니를 갖는 폴과, 상기 회전 샤프트에 의해 상기 메인 샤프트와 연결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래칫과 상기 폴이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톱니 및 상기 제2 결합 톱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래칫과 결합되고, 상기 푸싱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제1 결합 톱니와 상기 래칫이 맞물리는 제1 위치로 밀면, 상기 제2 슬리브는 일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푸싱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제2 결합 톱니와 상기 래칫이 맞물리는 제2 위치로 밀면, 상기 제2 슬리브는 타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내측면에 상기 폴과 맞물리는 기어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외측면에는 수용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폴과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수용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개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개구의 바닥면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분할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탄성부를 가지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어느 위치에서 상기 리브를 지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의 양단에는 푸싱면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상단에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장판이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푸싱부의 양단에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푸싱면과 맞닿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톱니는 상기 폴의 호면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 톱니는 상기 폴의 호면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은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핀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와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클램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안장본체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안장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나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기구는 상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나사에 대하여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발 받침대는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롤러는 나사봉을 통해 상기 안장본체의 바닥에 신축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장판은 바닥면에 마련되는 보호쉘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쉘은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안장판이 상기 가이드 로드를 향하여 접히면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장판의 바닥면에는 자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안장판에 가까운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에는 자성체가 마련되어, 상기 안장판과 상기 안장본체가 근접하면 상기 안장판의 자성체와 상기 안장본체의 자성체는 서로 끌어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고정 나사이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안장본체와 상기 캐비닛 본체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캐비닛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발 받침대는 상기 캐비닛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에 따르면, 안장판, 가이드 로드 및 지지봉 사이에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이나 생활에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에 따르면, 안장판이 가이드 로드를 향해 이동되면 접이식 발 받침대 전체를 접을 수 있어 점유 부피가 줄어들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에 따르면, 안장본체의 측벽에 설치부를 배치함으로써, 접이식 발 받침대 전체를 캐비닛 본체의 외측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립이 편리하며, 다양한 캐비닛에 적용할 수 있어, 설치 후 캐비닛은 작업이나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에 따르면, 설치 기구는 안장본체와 캐비닛 본체를 직접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가 펼쳐져 잠금 상태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의 메인 샤프트의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의 폴의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의 위치 결정 부재의 구조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의 탄성 부재의 구조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안장판의 구조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안장판이 가이드 로드에 대해 폴딩되었을 때의 잠금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가 계속 회전하여 잠금 해제된 도 15의 폴딩부의 상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폴딩부가 잠금 해제되었을 때의 각 구성요소의 방사상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폴딩부의 래칫 및 폴의 방사상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가이드 로드가 접힌 상태에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 및 잠금 상태에 대한 안장판의 상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폴딩부가 계속 회전하고 잠금 해제된 도 19의 폴딩부의 상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폴딩부가 잠금 해제되었을 때의 각 구성요소의 방사상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폴딩부의 래칫 휠과 폴이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방사상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가 반 접혔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의 접힌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가 고정되어 있는 캐비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300)은 캐비닛 본체(301)와 접이식 발 받침대(200)를 포함하며, 접이식 발 받침대(200)는 캐비닛 본체(301)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발 받침대(200)는 안장본체(210), 안장판(220), 가이드 로드(230), 지지봉(240), 설치부(250) 및 폴딩부(100)를 포함한다.
지지봉(240)의 일단은 안장본체(210)의 일측 하단에 회동축(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안장판(220)의 중앙에 회동축(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 로드(230)는 안장판(2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안장본체(210)의 가이드 슬리브(미도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폴딩부(100)는 안장본체(210)와 가까운 안장판(220)의 일단부와 가이드 로드(23O)의 일단부에 사이에 결합되고, 안장판(220)은 폴딩부(100)를 회동축으로 하여 가이드 로드(2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폴딩부(100)는 제1 슬리브(1)와 제2 슬리브(2)를 가질 수 있다. 제1 슬리브(1)는 가이드 로드(23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슬리브(2)는 안장판(2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장판(220)이 폴딩부(100)를 중심으로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회동되면서, 안장판(220)은 가이드 로드(230) 측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어, 안장판(220)과 가이드 로드(230) 사이의 상대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설치부(250)는 안장판(220)으로부터 멀어지는 안장본체(230) 측에 배치되어, 접이식 발 지지대(200)를 캐비넷 본체(301)의 외측에 설치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부(250)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252)를 포함하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252)는 서로 대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둘 사이의 클램핑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51) 및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252)는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클램핑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200)는 상이한 높이의 캐비닛(300)을 설치하는 데 적합하여 적용 가능한 조립 범위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는 안장본체(210)의 상단에 배치되며,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252)는 안장본체(2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안장본체(21)는 가이드 부재(211)가 구비된다.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의 하단은 가이드 부재(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는 장홀(251a)을 가지고 있어, 안장본체(210)와 나사(210a)로 연결된다.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가 장홀(251a)을 활주하여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252)와의 거리를 조정하고 나사(210a)를 체결하여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를 안장본체(21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장홀(251a)과 나사(210a)를 결합하여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가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251)에 대해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적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설치부(250)는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의 측면과 안장본체(21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가 나사(210a)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편(253)을 더 포함한다.
탄성편(253)은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와 나사(210a)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251)를 승강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고정 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접이식 발 받침대(200)는 지지 롤러(260)를 더 포함하고, 지지 롤러(260)는 나사 봉을 통해 안장본체(210)의 바닥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지지 롤러(260)를 배치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접이식 발 받침대(20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어, 다양한 설치 높이에 적합하고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장판(220)은 하단면에 수용홈(221a)을 가지는 보호쉘(221)을 포함한다. 안장판(220)과 가이드 로드(230)가 접힐 때 가이드 로드(230)가 수용홈(221a)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로드(230)는 차폐되어 제품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이드 로드(230)를 보호할 수 있으며, 가이드 로드(230)와 가이드 슬리브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안장본체(210)는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홈(212)은 지지봉(240)을 수용할 수 있어, 접힌 후에 전체 접는 발 받침대(200)의 구조를 더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안장본체(210)는 자석 또는 자성체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안장판(220)은 자석 또는 자성체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될 수 있어, 안장본체(210)와 안장판(220)은 서로 밀착된 후 끌어당길 수 있다. 자성체는 자석일 수 있고, 자석에 끌릴 수 있는 철과 같은 금속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장판(220)에 자석(222)이 설치되어 있고, 안장본체(210)에도 자석(213)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자석은 서로 반대 극을 가진다.
자석을 배치함으로써, 안장판(220)과 안장본체(210)는 접힌 후 우발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길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폴딩부(100)는 제1 슬리브(1), 제2 슬리브(2), 메인 샤프트(3), 래칫(4), 폴(5), 위치 결정 부재(6) 및 탄성 부재(7)를 포함한다.
제1 슬리브(1)는 일단은 제2 슬리브(2)와 회동축(C)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 로드(230)의 중심축과 수직되게 가이드 로드(230)와 고정 결합된다.
제2 슬리브(2)는 보호 쉘(221)과 일체로 연결되고, 메인 샤프트(3)는 제1 슬리브(1)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래칫(4)은 제2 슬리브(2)의 내부에서 메인 샤프트(3)의 외부에 끼워져 있다.
폴(5) 및 위치 결정 부재(6)는 메인 샤프트(3)의 중심에 대해 편심 배치된 회전 샤프트(8)에 의해 메인 샤프트(3)와 연결된다. 탄성 부재(7)는 폴(5)과 위치 결정 부재(6) 사이에 설치되어 폴(5)이 래칫(4)에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폴(5)은 제1 결합 톱니(51) 및 제2 결합 톱니(52)를 가지며, 제1 결합 톱니(51) 및 제2 결합 톱니(52) 중 어느 하나는 래칫(4)과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슬리브(2)는 푸싱부(21)를 갖고, 푸싱부(21)는 위치 결정 부재(6)를 밀어 제1 위치로 회전시키면 탄성 부재(7)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결합 톱니(51)가 래칫(4)과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슬리브(2)는 정방향으로는 고정될 수 있고, 역방향으로는 메인 샤프트(3)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푸싱부(21)는 위치 결정 부재(6)를 밀어 제2 위치로 회전시키면, 탄성 부재(7)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결합 톱니(52)가 래칫(4)과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슬리브(2)는 역방향으로는 고정되며, 정방향으로는 회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래칫(4)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내벽 둘레 방향으로 폴(5)과 맞물리는 기어 톱니가 제공된다.
제1 슬리브(1) 및 제2 슬리브(2)는 메인 샤프트(3), 래칫(4), 폴(5), 위치 결정 부재(6) 및 탄성 부재(7)를 제1 슬리브(1) 및 제2 슬리브(2)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 안장판(22) 및 가이드 로드(2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부품들을 숨길 수 있어 제품의 구조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7을 참조하면, 메인 샤프트(3)의 외측면에는 수용 개구(31)가 구비되고, 회전 샤프트(8), 폴(5) 및 위치 결정 부재(6)는 수용 개구(31)에 배치된다.
수용 개구(31)의 바닥면에는 메인 샤프트(3)의 중심축 방향으로 따라 리브(32)가 설치되고, 리브(32)는 수용 개구(31)의 바닥면을 제1 위치(33)와 제2 위치(34)로 분할한다.
리브(32)는 위치 결정 부재(6)를 제1 위치(33) 또는 제2 위치(34)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5)이 래칫(4)에 안정적으로 맞물려 어느 방향이든 안정적인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6)의 하단에는 탄성부(61) 및 관통공(6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 부재(6)가 푸싱부(21)에 의해 밀려 제1 위치(33) 또는 제2 위치(34) 중 어느 위치에서 제1 위치(33) 또는 제2 위치(34) 중 다른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부(61)가 리브(32)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위치 결정 부재(6)의 이동이 완료되면 탄성부(61)는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고, 리브(32)에 의해 원래 위치로 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 결정 부재(6)는 탄성부(6)가 형성됨으로써, 제1 위치(33) 및 제2 위치(34)로의 이동이 용이하고, 현재의 위치에 효과적으로 위치될 수 있어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푸싱부(21)는 제2 슬리브(2)에 배치된다. 푸싱부(21)는 호 형상이고, 제2 슬리브(2)로부터 돌출된다. 푸싱부(21)의 중심각의 크기는 안장판(220)의 회동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안장판(220)이 최소 또는 최대 각도로 회동할 때 푸싱부(21)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 부재(6)의 방향과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싱부(21)의 양단에는 푸싱면(21a)이 구비되고, 위치 결정 부재(6)의 상단에는 접촉부재(63)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제1 상태로 회전하면, 접촉부재(63)의 접촉면(63a)은 푸싱부(21)의 양단에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푸싱면(21a)과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제2 상태로 회전하면, 접촉부재(63)는 푸싱부(21)의 양단에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푸싱면(21a)과 맞닿을 수 있다.
이처럼, 안장판(220)이 회동될 때 접촉부재(63)도 밀려 회동되면서 위치 결정 부재(6)는 제1 위치(33) 및 제2 위치(34)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싱면(21a)을 배치함으로써,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최대 각도 또는 최소 각도로 회전될 때, 위치 결정 부재(6)는 다른 위치로 이동되도록 푸시될 수 있으므로, 래칫(4)과 폴(5)의 잠금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조정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폴(5)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의 호면의 일단부에 제1 결합 톱니(51)가 배치되고, 제1 결합 톱니(51)로부터 떨어진 호면의 타단부에 제2 결합 톱니(52)가 배치된다.
폴(5)은 메인 샤프트(3)에 편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결합 톱니(51)가 래칫(4)에 결합된 후 래칫(4)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4)은 걸림상태가 될 수 있고, 이때, 래칫(4)은 다른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부재(7)의 탄성력이 걸림핀(53)에 작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폴(5)이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7)의 일단에는 고정링(71)이 설치되고, 위치 설정 부재(6)의 전단에는 위치링(64)이 설치되며, 고정링(71)은 위치링(64)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고정링(71)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탄성다리(72)가 각각 걸림핀(53)의 양측에 배치되어 걸림핀(53)을 탄성적으로 클램핑한다. 그리고, 탄성다리(72)는 폴(5)이 회동할 때,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폴(5)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메인 샤프트(3)에 폴(5)과 위치 결정 부재(6)를 회전 샤프트(8)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회전 샤프트(8)는 메인 샤프트(3)에 대해 편심 배치될 수 있고,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회동할 때, 제1 결합 톱니(51) 및 제2 결합 톱니(52) 중 어느 하나는 래치(4)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래치(4)와 폴(5)의 결합을 이용하여 일방향 조정이 가능한 원리를 구현함으로써, 안장판(220)은 메인 샤프트(3)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6)는 안장판(220)의 푸싱부(21)에 밀려 회동하게 되면서 폴(5)과 래치(4)의 걸림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안장판(330)이 가이드 로드(230)의 어느 한방향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동 및 위치 설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안장판(220)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조정 및 잠금이 가능하며, 최대각도 또는 최소각도로 조정 시 자동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반복조절이 가능하여 조작이 편리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딩부(100)의 작동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접힌 상태, 즉 제1 상태인 경우, 안장판(2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푸싱부(21)는 접촉부재(63)의 접촉면(63a) 중 어느 하나를 밀고, 이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6)가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61)는 제1 위치(33)에서 리브(32)를 통과하여 제2 위치(34)로 위치될 수 있다. 동시에, 폴(5)은 탄성 부재(7)에 의해 구동하는 위치 결정 부재(6)를 따라 회동되면서 폴(5)의 제1 결합 톱니(51)는 래칫(4)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결합 톱니(52)가 래칫(4)에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안장판(220)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잠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어떠한 각도에서도 안장판(220)은 시계 방향으로는 잠금상태이며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장판(220)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에 대해 완전히 펼쳐진 상태, 즉 제2 상태인 경우, 안장판(220)을 접기 위해서 안장판(2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안장판(220)의 푸싱부(21)의 푸싱면(21a)은 접촉부재(63)의 접촉면(63a) 중 다른 하나를 밀고, 이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6)가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61)는 제2 위치(34)에서 리브(32)를 통과하여 제1 위치(33)로 위치될 수 있다. 동시에, 폴(5)은 탄성 부재(7)에 의해 구동하는 위치 결정 부재(6)를 따라 회동되면서 폴(5)의 제2 결합 톱니(52)는 래칫(4)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결합 톱니(52)가 래칫(4)에 맞물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장판(2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잠기고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안장판(220)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안장판(220)과 가이드 로드(230)의 상대 각도가 반복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접이식 발 받침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안장판(220)은 가이드 로드(230)에 대하여 수직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안장판(220)을 사용할 수 있다.
접이식 발 받침대(200)를 접을 때에는, 안장판(220)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폴딩부(100)가 회동축(C)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하고, 가이드 로드(230)는 가이드 슬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안장판(220)과 가이드 로드(23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봉(240)은 회동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안장판(220)과 지지봉(240)이 가이드 로드(240)를 향하여 접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안장판(220)과 지지봉(240)이 완전히 접히게 되면, 지지봉(240)은 안장본체(210)의 홈(212)에 안착되고 가이드 로드(230)는 보호쉘(221)의 수용홈(221a)에 안착되어, 안장판(220)과 지지봉(240)은 캐비닛 본체(301)의 외측벽에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접이식 발 받침대(200)를 펼쳐야 하는 경우, 폴딩부(100)가 안장판(220)과 가이드 로드(23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안장판(220)을 회동축(C)을 중심으로 계속 회동시키면, 가이드 로드(230)가 안장본체(21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안장판(220)이 수평상태로 펼쳐지면서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봉(240)이 구비되어 지지봉(240)의 양단이 각각 안장본체(210)와 안장판(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장본체(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안장본체(210)와 가까운 상기 안장판(220)의 일단부와 가이드 로드(230)의 일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폴딩부(1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장판(220), 가이드 로드(230) 및 지지봉(240) 사이에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이나 생활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안장판(220)이 가이드 로드(230)를 향해 이동되면 접이식 발 받침대(200) 전체를 접을 수 있어 점유 부피가 줄어들고 사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200)는 안장본체(210)의 측벽에 설치부(250)를 배치함으로써, 접이식 발 받침대(200) 전체를 캐비닛 본체(301)의 외측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립이 편리하며, 다양한 캐비닛(300)에 적용할 수 있어, 설치 후 캐비닛(300)은 작업이나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설치부(250)는 고정 나사일 수 있고, 고정 나사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고정 나사는 안장본체(210)와 캐비닛 본체(301)를 직접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발 받침대는 설치부를 이용하여 책상 옆에 구비된 캐비닛이나 드로우 서랍장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캐비닛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설치부를 이용하여 책상 측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301 : 캐비닛 본체
200 : 접이식 발 받침대
210 : 안장본체
220 : 안장판
230 : 기이드 로드
240 : 지지봉
250 : 설치부
100 : 폴딩부
300 : 캐비닛

Claims (17)

  1. 안장본체;
    안장판;
    상기 안장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
    일단은 상기 안장본체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판의 중간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봉;
    상기 안장본체와 가까운 상기 안장판의 일단부와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폴딩부; 및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상기 안장판을 상기 가이드 로드 측으로 접히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안장판과 상기 가이드 로드 사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가이드 로드에 고정 결합되는 제1 슬리브와,
    상기 안장판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리브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푸싱부를 갖는 제2 슬리브와,
    상기 제1 슬리브에 고정되는 메인 샤프트와,
    상기 제2 슬리브에 고정되는 래칫과,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심에 대해 편심 배치된 회전 샤프트에 의해 상기 메인 샤프트와 연결되고, 제1 결합 톱니와 제2 결합 톱니를 갖는 폴과,
    상기 회전 샤프트에 의해 상기 메인 샤프트와 연결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래칫과 상기 폴이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톱니 및 상기 제2 결합 톱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래칫과 결합되고,
    상기 푸싱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제1 결합 톱니와 상기 래칫이 맞물리는 제1 위치로 밀면, 상기 제2 슬리브는 일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푸싱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제2 결합 톱니와 상기 래칫이 맞물리는 제2 위치로 밀면, 상기 제2 슬리브는 타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내측면에 상기 폴과 맞물리는 기어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외측면에는 수용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폴과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수용 개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개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개구의 바닥면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분할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탄성부를 가지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어느 위치에서 상기 리브를 지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중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의 양단에는 푸싱면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상단에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장판이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접촉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푸싱부의 양단에 제공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푸싱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톱니는 상기 폴의 호면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 톱니는 상기 폴의 호면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와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클램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안장본체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안장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나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기구는 상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나사에 대하여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발 받침대는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롤러는 나사봉을 통해 상기 안장본체의 바닥에 신축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판은 바닥면에 마련되는 보호쉘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쉘은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안장판이 상기 가이드 로드를 향하여 접히면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판의 바닥면에는 자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안장판에 가까운 상기 안장본체의 측면에는 자성체가 마련되어, 상기 안장판과 상기 안장본체가 근접하면 상기 안장판의 자성체와 상기 안장본체의 자성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고정 나사이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안장본체와 상기 캐비닛 본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발 받침대.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캐비닛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발 받침대는 상기 캐비닛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KR1020220092071A 2022-07-25 2022-07-25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KR20240014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71A KR20240014385A (ko) 2022-07-25 2022-07-25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71A KR20240014385A (ko) 2022-07-25 2022-07-25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385A true KR20240014385A (ko) 2024-02-01

Family

ID=8985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071A KR20240014385A (ko) 2022-07-25 2022-07-25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3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17Y1 (ko) 2015-09-08 2015-12-21 (주)빅싱 발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17Y1 (ko) 2015-09-08 2015-12-21 (주)빅싱 발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0298A (en) Exercise apparatus
US20090105046A1 (en) Exercise Recliner
JP2023112111A5 (ko)
US11389005B2 (en) Foldable massage chair with front and back support legs
KR20240014385A (ko)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JP3209237U (ja) エクササイズバイクの機能を有する椅子の調整構造
KR102057897B1 (ko) 조립식 의자
CN114521757B (zh) 折叠脚撑及柜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JP2004026032A (ja) 自転車の幼児用座席構造
KR20240008594A (ko)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KR101805897B1 (ko)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KR20100103233A (ko) 접이식 의자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CN105795773A (zh) 一种具有电脑桌的沙发躺椅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JP2967152B2 (ja) 椅子用脚体
KR101699276B1 (ko) 다기능 조립식 의자
CN217430748U (zh) 一种机头可收折的划船器
US20030163872A1 (en) Light bed frame with receiving frame for installing rehabilitation devices
KR102481091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구비한 의자
CN213046151U (zh) 一种多功能折叠椅
KR10230689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CN213524560U (zh) 一种靠背可翻转的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