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17Y1 - 발 거치대 - Google Patents

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17Y1
KR200479117Y1 KR2020150005996U KR20150005996U KR200479117Y1 KR 200479117 Y1 KR200479117 Y1 KR 200479117Y1 KR 2020150005996 U KR2020150005996 U KR 2020150005996U KR 20150005996 U KR20150005996 U KR 20150005996U KR 200479117 Y1 KR200479117 Y1 KR 200479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otation
rotating body
fixed
fix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윤기
Original Assignee
(주)빅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빅싱 filed Critical (주)빅싱
Priority to KR2020150005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2035/73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리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와 높이로 지지할 수 있어 편안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발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발 거치대는, 고정몸체(100); 상기 고정몸체(10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몸체(200);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발을 지지하기 위한 발받침부(320)가 구비된 지지대(300);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 거치대 {Foot stand}
본 고안은 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시용 보트 등 다양한 시설의 좌석 앞부분에 배치되어 착석시 발을 원하는 각도로 펼 수 있게 지지하는 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소형 낚시선 및 개인용 낚시용 보트는 통상 FRP 또는 고무 튜브를 이용한 하나의 선체(MONO-HULL)로 구성이 되어 있다.
특히 FRP보트의 경우 하나의 선체(MONO-HULL)로 수면 위에서 부양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체의 폭과 길이의 치수가 크며 고무 튜브용 보트 또한 하나의 선체(MONO-HULL)형태이며, 부양력은 FRP보트보다는 양호하나 보트의 형태 유지 및 안정성을 위하여 선체내 선저에 합판 및 플라스틱 판재를 부착하는 번거로움 및 운반 및 조립시 시간적 손실을가져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외국의 경우 쌍둥이선체(CATAMARAN)형태의 소형 보트가 개발이 되어 판매가 되고 있다.
종래의 외국 제품의 경우 좌우에 원형 막대기형의 고무 튜브를 각각 설치하고 고무 튜브 위에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용한 사각프레임을 장착 의자를 설치하며, 그 앞에 가로로 긴 지지대가 배치되어 다리 등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품은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어 위치 및 높이가 조절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함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439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리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와 높이로 지지할 수 있어 편안함과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발거치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발 거치대는, 고정몸체(100); 상기 고정몸체(10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몸체(200);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발을 지지하기 위한 발받침부(320)가 구비된 지지대(300);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00); 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몸체(100)에는 원호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돌기(110)가 이격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레버(410);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4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420); 상기 슬라이더(420)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430);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4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버(410)를 가압하면 팽창되었다가 무부하 상태일 때 원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탄성부재(440);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몸체(100)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몸체(100)를 장착할 대상물(1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몸체(100)에는 상기 대상물(10)이 삽입되도록 고정부(120)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500)는 일단이 상기 고정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120)에 배치되도록 체결되며, 조임시 상기 고정부(120)에 삽입된 상기 대상물(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몸체(100)가 대상물(10)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300)은, 긴 원형 막대 형상의 연결부(310); 상기 연결부(310)의 하단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발받침부(320);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10)의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회전방지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몸체(200)에는 상기 회전방지홈(311)을 관통하는 회전방지핀(600)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0)을 가압하는 높이조절볼트(700); 상기 지지대(300)과 상기 높이조절볼트(700) 사이에 끼워지는 보호부재(800);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발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볼트(500)와 상기 고정부(120)가 구비됨으로써, 원하는 곳에 쉽게 설치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다양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좋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에 의해 상기 지지대(3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700)에 의해 상기 발받침부(320)와 상기 고정몸체(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알맞게 조절하여 다리를 최대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200)와 상기 높이조절볼트(700) 사이에 상기 보호부재(800)가 구비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 거치대의 각도 조절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 거치대의 각도 조절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 거치대는 고정몸체(100), 회전몸체(200), 지지대(300), 각도조절수단(400), 고정볼트(500), 회전방지핀(600), 높이조절볼트(700) 및 보호부재(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몸체(100)는 장착할 대상물(1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낚시용 보트의 좌석 앞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몸체(100)는 보트의 좌석이 배치된 후방과 그 반대 측인 전방으로 구분되는데, 전방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90도 각도의 부채꼴 형상이며, 그 외주면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돌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1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100)의 전방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는 후술할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의 스토퍼(43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00)의 후방에는 고정할 대상물(10)이 삽입되는 고정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20)는 하단 및 양측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고정할 대상물(10), 예를 들어 가로로 긴 막대 형상의 대상물(1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00)의 후방에는 후술할 상기 고정볼트(500)가 상기 고정부(120)로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120)에 삽입된 대상물(10)에 상기 고정몸체(100)를 밀착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200)는 전후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이며, 후방 부분이 상기 고정몸체(1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몸체(200)의 상측에는 후술할 상기 지지대(30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고, 하측에는 후술할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으로, 연결부(310)와 발받침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10)는 긴 막대 형상이며, 상기 회전몸체(200)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된다.
즉, 상기 회전몸체(200)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10)가 통과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몸체(200)에는 후술할 상기 높이조절볼트(700)가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310)가 길이 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10)의 외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회전방지홈(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방지홈(311)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방지핀(600)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원주 방향으로 자전하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발받침부(320)는 상기 연결부(310)의 끝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양쪽 다리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회전레버(410), 슬라이더(420), 스토퍼(430) 및 탄성부재(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레버(41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막대 형상으로, 길이가 긴 일단이 상기 지지대(300)의 연결부(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길이가 짧은 타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레버(410)의 일단은 손잡이의 기능을 하여 상기 회전레버(41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310)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 부분이 되고, 타단은 후술할 상기 슬라이더(420)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420)는 상기 회전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며,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410)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몸체(200)의 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몸체(200)의 전방에는 상기 슬라이더(420)가 결합되는 슬라이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30)는 상기 슬라이더(420)의 타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고정몸체(100)의 전방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430)는 상기 회전레버(410)가 무부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회전레버(410)가 가압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서 이탈하여 상기 회전몸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일반적인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의 후방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420)의 타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회전레버(410)가 가압되면 상기 슬라이더(420)의 이동에 의해 팽창되었다가, 상기 회전레버(410)가 무부하 상태가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더(420)를 후방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회전레버(410)의 일단이 상기 연결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5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100)의 후방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120)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볼트(500)의 타단에는 고정할 대상물(10)과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확장부(510)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고정볼트(5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이식 손잡이(52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볼트(500)는 조임시 상기 확장부(510)가 상기 고정부(120)에 삽입된 상기 대상물(10)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몸체(100)가 대상물(1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접이식 손잡이(520)는 긴 막대 형상이며, 상기 고정볼트(5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접이식 손잡이(520)는 미사용시 상기 고정볼트(5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었다가. 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볼트(5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핀(600)은 상기 회전몸체(2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핀으로, 상기 회전몸체(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300)의 상기 회전방지홈(311)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방지핀(600)은 상기 지지대(300)를 상기 회전몸체(200)에 결합시켜 상기 지지대(300)의 연결부(310)가 원주 방향으로 자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볼트(700)는 상기 회전몸체(200)의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0)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볼트(700)는 상기 지지대(300)의 연결부(310)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며, 조임시 상기 연결부(3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310)가 상기 회전몸체(200)와 상기 높이조절볼트(700) 사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볼트(700)는 해제시 상기 지지대(300)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발받침부(320)와 상기 회전몸체(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보호부재(800)는 금속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300)의 연결부(310)와 상기 높이조절볼트(700) 사이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회전몸체(200)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700)의 조임시 상기 연결부(310)의 외주면에 직접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높이조절볼트(700)의 가압력이 상기 연결부(31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지지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거치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레버(410)가 무부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44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30)는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3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레버(410)를 상기 연결부(310)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420)가 슬라이딩홈(210)을 따라 상기 회전몸체(20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부재(440)는 팽창되고, 상기 스토퍼(430)가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몸체(2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상기 지지대(3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후 상기 회전레버(410)가 무부하 상태가 되면, 상기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420)는 상기 회전몸체(20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430)는 다른 어느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200)를 다시 회전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거치대는, 낚시용 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좌석이 구비된 장소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거치대는 상기 고정볼트(500)와 상기 고정부(120)가 구비됨으로써, 원하는 곳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다양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좋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에 의해 상기 지지대(3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700)에 의해 상기 발받침부(320)와 상기 고정몸체(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알맞게 조절하여 다리를 최대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200)와 상기 높이조절볼트(700) 사이에 상기 보호부재(800)가 구비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고정몸체 110 : 걸림돌기
120 : 고정부 200 : 회전몸체
210 : 슬라이딩홈 300 : 지지대
310 : 연결부 311 : 회전방지홈
320 : 발받침부 400 : 각도조절수단
410 : 회전레버 420 : 슬라이더
430 : 스토퍼 440 : 탄성부재
500 : 고정볼트 510 : 확장부
520 : 접이식 손잡이 600 : 회전방지핀
700 : 높이조절볼트 800 : 보호부재

Claims (5)

  1. 고정몸체(100);
    상기 고정몸체(10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몸체(200);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고, 타단에는 발을 지지하기 위한 발받침부(320)가 구비된 지지대(300);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00);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0)을 가압하는 높이조절볼트(700); 및
    상기 지지대(300)과 상기 높이조절볼트(700) 사이에 끼워지는 보호부재(8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00)에는 원호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돌기(110)가 이격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레버(410);
    일단이 상기 회전레버(4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420);
    상기 슬라이더(420)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돌기(11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430);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4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버(410)를 가압하면 팽창되었다가 무부하 상태일 때 원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탄성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00)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몸체(100)를 장착할 대상물(1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몸체(100)에는 상기 대상물(10)이 삽입되도록 고정부(120)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500)는 일단이 상기 고정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120)에 배치되도록 체결되며, 조임시 상기 고정부(120)에 삽입된 상기 대상물(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몸체(100)가 대상물(1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은,
    긴 원형 막대 형상의 연결부(310);
    상기 연결부(310)의 하단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발받침부(320);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10)의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회전방지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몸체(200)에는 상기 회전방지홈(311)을 관통하는 회전방지핀(6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대.
  5. 삭제
KR2020150005996U 2015-09-08 2015-09-08 발 거치대 KR200479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996U KR200479117Y1 (ko) 2015-09-08 2015-09-08 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996U KR200479117Y1 (ko) 2015-09-08 2015-09-08 발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17Y1 true KR200479117Y1 (ko) 2015-12-21

Family

ID=5517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996U KR200479117Y1 (ko) 2015-09-08 2015-09-08 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10B1 (ko) 2017-07-19 2018-03-28 (주)빅싱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트용 발판 어셈블리
KR20240008594A (ko) 2022-07-12 2024-01-19 (주)오페스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KR20240014385A (ko) 2022-07-25 2024-02-01 (주)오페스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174A (ja) * 1998-06-09 1999-12-21 Hideo Abiko 競技用滑走機
KR100564395B1 (ko) 2004-08-13 2006-03-27 박진현 낚시용 배
KR20120007952U (ko) * 2011-05-13 2012-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곡외판용 매그스위치 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174A (ja) * 1998-06-09 1999-12-21 Hideo Abiko 競技用滑走機
KR100564395B1 (ko) 2004-08-13 2006-03-27 박진현 낚시용 배
KR20120007952U (ko) * 2011-05-13 2012-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곡외판용 매그스위치 발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10B1 (ko) 2017-07-19 2018-03-28 (주)빅싱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트용 발판 어셈블리
KR20240008594A (ko) 2022-07-12 2024-01-19 (주)오페스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KR20240014385A (ko) 2022-07-25 2024-02-01 (주)오페스 접이식 발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비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135B2 (en) Electric height adjustable desk with synchronous moving mechanical footrest
US4366981A (en) Standing work seat
KR200479117Y1 (ko) 발 거치대
US20180008049A1 (en) Frame of electric bed
US7469961B2 (en) Collapsible chair
DE502006006544D1 (de) Auto-Kindersitz
US8205936B2 (en) Chair convertible into a chaise-lounge
EP1806067A4 (en) WRITING DESK
US6637045B1 (en) Portable poolside chair apparatus
TWI665990B (zh) Folding chair
KR200479882Y1 (ko) 낚시받침틀
US9795223B1 (en) Rear frame of electric bed
US9549615B1 (en) Retractable leg rest for chair
KR101794505B1 (ko) 2중 회동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US9937825B2 (en) Adjustable seat
US6935962B1 (en) Swing with an extension frame
US1195627A (en) Adjustable and combined furniture
US2445240A (en) Stool attachment for barbers' chairs
JP5606767B2 (ja) 椅子
KR101853525B1 (ko) 안락의자
JP2009136370A (ja) 椅子
CN211167201U (zh) 一种儿童座椅
KR101723302B1 (ko) 낚시 의자에 가능한 낚시 받침대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낚시 의자
KR20170002936U (ko) 낚시용 좌대
CA1076944A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