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19A -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19A
KR20240014219A KR1020220091702A KR20220091702A KR20240014219A KR 20240014219 A KR20240014219 A KR 20240014219A KR 1020220091702 A KR1020220091702 A KR 1020220091702A KR 20220091702 A KR20220091702 A KR 20220091702A KR 20240014219 A KR20240014219 A KR 20240014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and
spokes
tread
air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주현
김무림
신주성
이명석
이상웅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9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19A/ko
Publication of KR2024001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2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curing tyres on rim or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 모듈이 밴드, 스포크, 트레드를 포함한다. 트레드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반경 방향 외력에 의한 변형이 크며, 스포크는 밴드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에 의해 측면 방향 외력에 대해 강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리스 타이어는 장애물에 의해 반경 방향의 외력을 받은 타이어 모듈만 변형되고, 이웃하는 타이어 모듈은 그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장애물이 있는 지면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Tire module and airless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밴드와, 밴드의 상면으로부터 밴드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스포크 및 한 쌍의 하부 스포크로부터 밴드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를 구비하는 스포크와, 한 쌍의 상부 스포크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양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트레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모듈 및 이러한 타이어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리스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이동 수단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압 타이어는 타이어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차체의 무게를 견디고 노면의 요철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을 도모할 뿐 아니라 승차감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공기압 타이어는 기온에 따라 공기압이 달라지거나, 사용 중 공기압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주행 중 노면의 요철에 의해 파손이 되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공기압 타이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어리스 타이어가 개발되고 있다. 에어리스 타이어는 차체의 중량이 작은 자전거용 타이어로 많이 이용되다가, 최근에는 차량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에어리스 타이어를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 타이어가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복원이 안되는 문제, 노면의 장애물을 극복해야 하는 문제 등이 해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주행 중 타이어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고, 단차가 큰 장애물을 등반할 수 있는 에어리스 타이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에어리스 타이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32053호(2019.03.27)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강인성을 확보하고, 계단 등을 등반할 수 있는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모듈은 밴드, 스포크, 트레드를 포함한다. 스포크는 밴드의 상면으로부터 밴드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스포크와, 한 쌍의 하부 스포크로부터 밴드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레드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양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모듈에서 밴드의 두께는 스포크의 두께와 같거나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모듈은 트레드에서 그루브가 형성된 총 면적이 트레드의 면적의 5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는 휠과 복수의 타이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휠은 외주를 따라 전개되는 밴드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타이어 모듈은 밴드 고정부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이어 모듈은 밴드, 스포크, 트레드를 포함한다. 밴드는 밴드 고정부에 장착된다. 스포크는 밴드의 상면으로부터 밴드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스포크와, 한 쌍의 하부 스포크로부터 밴드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레드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양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밴드의 두께는 스포크의 두께와 같거나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는 트레드에서 그루브가 형성된 총 면적이 트레드의 면적의 5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타이어 모듈은 8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휠은 지지부, 휠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타이어 모듈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는 방사 방향 변형에 의해 단차가 있는 지형을 쉽게 등반할 수 있고, 에어리스 타이어의 접선 방향 변형이 작아 구동부의 회전력이 타이어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는 복수의 타이어 모듈이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전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을 축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을 원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이 반경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이 측면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타이어 모듈이 휠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타이어 모듈이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이 반경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가 계단을 등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전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을 축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을 원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1000)는 타이어 모듈(1100)과 휠(1200)을 포함한다. 타이어 모듈(110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휠(1200)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모듈(1100)은 밴드(1110), 스포크(1120), 트레드(1130)를 포함한다. 밴드(1110)는 직사각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타이어 모듈(1100)은 밴드(1110)에 의해 휠(1200)에 장착된다.
스포크(1120)는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와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를 구비한다.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는 각각 밴드(1110) 상면의 단부측으로부터 밴드(1110)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도록 연장된다.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가 밴드(1110)의 단부측에서 밴드(1110)의 내측 방향으로 사선 전개됨으로써, 밴드(1110)의 양 단부는 휠(1200)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스포크(1120)의 두께는 밴드(1110)의 두께와 같거나, 더 얇을 수 있다. 즉, 밴드(1110)의 두께는 스포크(1120)의 두께와 같거나 더 두꺼울 수 있다. 외력에 의한 밴드(1110)의 변형을 방지하고, 휠에 장착된 타이어 모듈 자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는 각각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로부터 밴드(1110)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연장된다.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와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는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동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 및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는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10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크다.
트레드(1130)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와 연결된다. 트레드(1130)의 양 단부는 각각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와 이어져, 밴드(1110), 스포크(1120), 트레드(1130)가 굴곡이 있는 고리 형상을 이룬다.
트레드(1130)의 상면에는 복수의 그루브(1131)가 형성된다. 그루브(1131)는 트레드(1130)의 양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그루브(1131)에 의해 트레드(1130)는 일부 면적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에 따라 트레드(1130)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루브(1131)의 폭과 개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트레드(1130)에서 그루브(1131)가 형성된 영역의 총 면적은 트레드(1130) 전체 면적의 50% 이하일 수 있다. 그루브(1131)의 총 면적이 트레드(1130) 전체 면적의 50%를 넘으면, 외력에 의한 변형이 과하게 발생하여 원상 복구가 어려워질 수 있다. 그루브(1131)의 총 면적이 트레드(1130) 전체 면적의 10% 이하인 경우 외력에 의한 변형 정도가 약하여, 타이어 모듈(1100)의 탄성 변형이라는 목적을 이루기 어려울 수 있다. 그루브(1131)의 깊이는 트레드(1130)의 두께의 50%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이 반경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이 측면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밴드(1110), 스포크(1120), 트레드(1130)는 일체로 형성되며,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밴드(1110), 스포크(1120), 트레드(1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고무 등 일반적인 타이어 재질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모듈(1100)에서 밴드(1110), 스포크(1120), 트레드(1130)는 모두 동일 재질로 형성되나 각각 그 형상이 상이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 정도가 다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모듈(1100)에 반경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트레드(1130)가 크게 변형되어, 하방으로 눌린 형상이 된다. 반면, 타이어 모듈(1100)에 측면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스포크(1120)의 변형 정도는 크지 않다(도 6). 즉, 타이어 모듈(1100)은 반경 방향의 외력에 의해 많이 변형되며, 측면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는 강건하다. 이는 밴드(1110), 스포크(1120), 트레드(1130)의 형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트레드(1130)에는 에어리스 타이어(1000)의 원주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그루브(1131)가 형성되어 두께가 얇은 부분이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된다. 반면, 스포크(1120)는 하부 스포크(1121)로부터 연결되어 타이어 모듈(1100) 외측으로 볼록하게 전개되는 상부 스포크(1122)의 형상에 의해, 측면 방향의 외력에 잘 견딜 수 있다. 스포크(1120) 부분은 변형 정도가 적은바, 타이어 모듈(1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1130)가 하방으로 눌려 있는 상태일 때, 스포크(1120)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며 하방으로 눌려진 트레드(1130)를 지지하여, 타이어 모듈(1100)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타이어 모듈이 휠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에서 타이어 모듈이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타이어 모듈(1100)은 휠(1200)에 장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200)은 밴드 고정부(1210), 지지부(1220), 휠 고정부(1230)를 구비한다. 밴드 고정부(1210)는 휠(1200)의 외주를 따라 전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타이어 모듈(1100)의 밴드(1110)는 밴드 고정부(1210)에 각각 인입되어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각각의 타이어 모듈(1100)은 개별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이웃하는 타이어 모듈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8개 이상의 타이어 모듈(1100)이 휠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되는 타이어 모듈(1100)의 개수가 적을수록 하나의 타이어 모듈(1100)의 원주각은 커진다. 예를 들어, 타이어 모듈(1100)의 개수가 12인 경우 하나의 타이어 모듈(1100)의 원주각은 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 모듈(1100)의 개수가 20인 경우 하나의 타이어 모듈(1100)의 원주각은 18°일 수 있다.
휠(1200)의 지지부(1220)는 이동체의 주행 중 차체의 중량 및 주행 중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휠 고정부(1230)는 에어리스 타이어(1000)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휠 고정부(1230)는 차체의 구동축에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의 타이어 모듈이 반경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를 비교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가 계단을 등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모듈(1100)의 최외곽면을 형성하는 트레드(1130)가 지면에 접촉하면, 차체의 무게로 인해 타이어가 지면을 밀고, 반작용으로 지면이 타이어를 상방으로 밀어낸다. 이때, 지면에 접한 타이어 모듈(1100)은 지면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반경 방향으로 변형된다. 트레드(1130)는 반경 방향으로 눌려 곡률이 커진 상태가 된다.
반면, 타이어 모듈(1100)의 측면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타이어 모듈(1100)의 변형 정도는 반경 방향 변형에 비하여 작다. 한 쌍의 상부 스포크(1122)가 각각 한 쌍의 하부 스포크(1121)로부터 밴드(1110)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연장되기 때문이다. 타이어 모듈(1100)은 스포크(1120)의 형상에 의해 측면 방향 외력에 강인하며, 스포크(1120)에 의해 타이어 모듈(1100)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에어리스 타이어(1000)는 계단을 안정적으로 등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리스 타이어(1000)가 계단을 등반하는 경우, 계단의 제1 단차에 접한 제1 타이어 모듈(1100a)의 트레드(1130)가 반경 방향측으로 변형되고, 이웃하는 제2 타이어 모듈(1100b)의 측면 일부가 제1 단차의 상면(S)에 걸쳐지게 된다. 타이어 모듈(1100)의 측면은 외력에 강인하므로, 구동축이 회전하면 타이어의 회전력에 의해 제1 단차를 지지하며 타이어가 회전하며 계단을 등반할 수 있다. 제2 단차에서도 마찬가지로 타이어 모듈(1100)의 트레드(1130)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고, 이웃하는 타이어 모듈(1100)의 측면 일부가 제2 단차를 딛고 타이어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리스 타이어(1000)는 계단이나 험지를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리스 타이어는 지상무인이동체 등에 장착하여 타이어의 교체 및 변형없이 동일한 타이어로 평지와 계단 모두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평지 이동시에는 방사방향 하중에 의한 개별 모듈 타이어의 탄성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공기압 타이어와 달리 압축공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압 손실 또는 부족함으로 인한 주행중 사고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고 요철로 인한 파손에 강인하다.
본 발명의 에어리스 타이어는 휠에 동일 형상의 타이어 모듈을 복수 개 인입하여 타이어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단순하여 생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으며, 타이어의 파손시 손상된 타이어 모듈만 신속하고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경제적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에어리스 타이어 1100 : 타이어 모듈
1110 : 밴드 1120 : 스포크
1121 : 하부 스포크 1122 : 상부 스포크
1130 : 트레드 1131 : 그루브
1200 : 휠 1210 : 밴드 고정부
1220 : 지지부 1230 : 휠 고정부

Claims (9)

  1. 밴드;
    상기 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밴드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스포크 및 한 쌍의 상기 하부 스포크로부터 상기 밴드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를 구비하는 스포크; 및
    한 쌍의 상기 상부 스포크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양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트레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두께는 상기 스포크의 두께와 같거나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에서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총 면적은 상기 트레드의 면적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모듈.
  4. 외주를 따라 전개되는 밴드 고정부를 구비하는 휠; 및
    상기 밴드 고정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타이어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타이어 모듈은
    상기 밴드 고정부에 장착되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밴드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스포크 및 한 쌍의 상기 하부 스포크로부터 상기 밴드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굴곡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스포크를 구비하는 스포크와, 한 쌍의 상기 상부 스포크에 양 단부가 연결되고, 양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트레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두께는 상기 스포크의 두께와 같거나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이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에서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총 면적은 상기 트레드의 면적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이어.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모듈은 8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이어.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지지부, 휠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이어.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모듈은 탄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타이어.
KR1020220091702A 2022-07-25 2022-07-25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KR20240014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702A KR20240014219A (ko) 2022-07-25 2022-07-25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702A KR20240014219A (ko) 2022-07-25 2022-07-25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19A true KR20240014219A (ko) 2024-02-01

Family

ID=8985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702A KR20240014219A (ko) 2022-07-25 2022-07-25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53A (ko) 2017-09-19 2019-03-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에어리스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53A (ko) 2017-09-19 2019-03-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에어리스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9273B1 (en) Airless tire
KR101839537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20160193877A1 (en) Airless tire
EP2582529B1 (en) Non-pneumatic tire
CN103025543A (zh) 用于重型运输车辆的车轮的轮胎
US8534336B2 (en) Pneumatic tire
KR101378436B1 (ko) 에어리스 타이어
EP1225063A2 (en) Compliant rim and wheel assembly
EP2658733B1 (en) Semi-pneumatic tire (intire)
KR101677302B1 (ko) 공기 타이어
US20060169379A1 (en) Tyre and rim for a vehicle wheel
US20160207361A1 (en) Bias-Or Radial-Carcass Tire
CN110799351B (zh) 具有轮辋的滚动组件,该轮辋的凸缘形成轴向宽度增加的支撑件
KR20110018527A (ko) 비공기압 바퀴구조체
CN110914066B (zh) 具有优化的轮辋凸缘形状的车轮轮辋
KR20240014219A (ko) 타이어 모듈 및 에어리스 타이어
EP3686032B1 (en) A non-pneumatic tire
WO2001015917A1 (en) A vehicle tyre
CN110891798A (zh) 具有高度降低的轮辋凸缘的轮辋
CN203902139U (zh) 防爆轮辋及防爆轮辋与防爆轮胎总成
CN108290463B (zh) 具有薄胎侧的充气轮胎
KR10186649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95867B1 (ko) 비공기입 타이어의 스포크 구조체
JPS5845364B2 (ja) チユ−ブレス空気タイヤ
CN210851873U (zh) 一种具有防撞车或翻车功能的轮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