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143A -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143A
KR20240014143A KR1020220091481A KR20220091481A KR20240014143A KR 20240014143 A KR20240014143 A KR 20240014143A KR 1020220091481 A KR1020220091481 A KR 1020220091481A KR 20220091481 A KR20220091481 A KR 20220091481A KR 20240014143 A KR20240014143 A KR 2024001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rosthetic
artificial tooth
support cylin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2009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143A/ko
Publication of KR2024001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식립대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식립되는 임플란트; 상기 임플란트의 식립위치에 대응하여 매립공이 관통 형성된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는 보철베이스; 및 상기 보철베이스가 상기 임플란트를 통해 상기 식립대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립공에 충진되는 수지접착제를 통해 매립 고정되되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부가 체결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메탈결합부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되 일측 내주에 상기 메탈결합부의 외주가 억지끼움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더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실린더를 포함하는 보철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dental prosthesis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밀성 및 시술편의성이 개선되는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치아수복물로서 틀니 또는 보철이 구비되며, 상기 보철은 임플란트를 통해 구강에 고정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이하,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것 또는 상기 인공치아를 고정하기 위해 구강에 고정되는 부품을 의미한다.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보철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픽스츄어(2)는 상실된 치근을 대신하기 위해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된다. 그리고,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상기 픽스츄어(2)를 식립한 후 그의 상측에 상기 인공치아(50)를 고정시키면 치아의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
상기 인공치아(50)는 상실된 치아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부분보철 또는 완전보철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환자의 전체적인 치열궁을 따라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2)는 상기 인공치아(50)의 형태 및 전체적인 길이에 따라 상기 치조골에 두개 이상 복수개로 식립된다.
한편, 상기 픽스츄어(2)와 상기 인공치아(5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3)가 구비된다. 상기 어버트먼트(3)는 그의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2)에 체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인공치아(50)에 고정된다. 이러한 어버트먼트(3)는 통상적으로 상기 픽스츄어(2)를 제조하는 소재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금속 소재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5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치아의 저작면 등과 같은 굴곡이 표현되도록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인공치아(50)가 상기 어버트먼트(3)와 체결스크류(6)를 통해 결합되도록 상기 인공치아(50)에 실린더부재(30)가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부재(30)는 상기 인공치아(50)에 상기 임플란트(1)의 식립위치마다 형성된 매립홀(53)에 매립 고정됨에 따라 상기 체결스크류(6)의 체결력을 통해 상기 인공치아(50)가 상기 임플란트(1)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재(30)는 상기 어버트먼트(3)에 먼저 고정되며, 상기 매립홀(53)에 상기 실린더부재(30)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공치아(50)가 상기 구강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매립홀(53)과 상기 실린더부재(30) 사이에 수지접착제(r)가 주입되며, 상기 수지접착제(r)가 경화되면 상기 인공치아(50)에 상기 실린더부재(30)가 매립 고정된다.
이때, 종래에는 상기 실린더부재(30)가 상기 인공치아(50)에 매립 고정되는 과정이 구강 내에서 이루어진다. 즉, 환자의 입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접착제(r)의 충진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인공치아(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움직임이 제한되어야 하므로 환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30) 및 상기 체결스크류(6)는 회전기구의 회전력을 통해 가해지는 전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금속 소재로 구비된다. 즉, 상기 인공치아(50)를 제외한 부속품이 실질적으로 상기 인공치아(50)의 소재와 상이한 재질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부재(30)에 상기 회전기구의 강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수지접착제(r)가 경화되어 형성된 경화부가 파손되면서 상기 실린더부재(30)가 상기 매립홀(53)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수지접착체(r)가 상기 매립홀(53)의 상측, 즉 저작면측으로 개구된 부분으로 주입되면 상기 매립홀(53)의 치근측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채워지면서 충진 및 경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매립홀(53)의 치근측이 환자의 잇몸에 인접하므로 상기 매립홀(53)에 주입되는 상기 수지접착체(r)가 잇몸 조직에 점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러버댐(d)과 같은 별도의 차폐부재가 요구됨에 따라 시술공정이 추가되며 시술에 요구되는 비용이 증가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0908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밀성이 개선되는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립대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식립되는 임플란트; 상기 임플란트의 식립위치에 대응하여 매립공이 관통 형성된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는 보철베이스; 및 상기 보철베이스가 상기 임플란트를 통해 상기 식립대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립공에 충진되는 수지접착제를 통해 매립 고정되되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부가 체결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메탈결합부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되 일측 내주에 상기 메탈결합부의 외주가 억지끼움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더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실린더를 포함하는 보철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탈결합부의 원추형 외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함몰홈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연장부에는 상기 각 함몰홈의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되 상기 함몰홈의 내측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돌출부가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홈이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연장부는 상기 끼움홈의 외면측에 대응하는 일측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돌출되어 타측과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탈결합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부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체결스크류가 인입되며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관통공과,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관통공 사이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의 내주에 상기 체결스크류의 나사부가 임시 체결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베이스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주변 조직에 형합되되 상기 인공치아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경계를 따라 형성된 브릿지부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와 연결된 형합정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식립대상부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고 결합홈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메탈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일측 내주에 상기 메탈결합부의 외주가 억지 끼움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더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실린더가 체결스크류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단계; 인공치아부에 관통 형성된 매립공의 내측에 상기 지지실린더가 삽입되도록 보철베이스가 구강에 배치되되, 상기 식립대상부의 주변 조직에 형합되도록 형성된 형합정렬부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의 위치가 정렬되는 제2단계; 상기 홀더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매립공의 상측 사이에 수지접착제가 부분 주입 및 경화되어 상기 지지실린더가 부분 고정된 상기 보철베이스가 상기 구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체결스크류가 해제되는 제3단계; 및 상기 구강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보철베이스가 회전되어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홀더연장부의 하단부 및 상기 매립공의 하측 사이로 상기 수지접착제가 완전 주입 및 경화되어 상기 지지실린더가 매립 고정되고 상기 형합정렬부가 상기 인공치아부로부터 분리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보철시스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체결과정에서 드릴로부터 가해지는 전하중이 지지되도록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메탈결합부가 합성수지 재질의 홀더연장부의 하측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지지실린더를 매립공에 부착하기 위한 동종 재질인 수지접착제와 고도의 융착성을 가짐으로써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 및 부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메탈결합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홀더연장부의 끼움홈이 메탈결합부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끼움홈의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가 메탈결합부의 부피에 의해 외측으로 반복적으로 가압되면서 홀더연장부의 하부가 변형 또는 파손됨을 방지하므로 두 부재간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지지실린더가 보철의 매립공 상측에 소량으로 주입되는 수지접착제를 통해 부분 고정됨으로써 보철 제조의 후속과정이 구강 외에서 진행 가능하므로 환자의 체어타임이 단축되어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철의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보철베이스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지지실린더의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베이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시스템의 제조방법에 대한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철베이스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보철시스템은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제조되는 보철 및 상기 보철을 식립대상부에 고정하기 위해 준비되는 구성품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철시스템의 제조방법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보철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철베이스의 설계 및 제조, 상기 보철베이스를 구강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품인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등의 준비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식립대상부는 치아수복이 요구되는 악궁에서 특히 상기 보철시스템이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악이 무치악인 환자의 보철시스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며, 본 발명은 상악이 무치악이거나 상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환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하악 중 적어도 일측이 부분무치악인 환자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보철베이스의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지지실린더의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 하부 또는 하측은 상기 보철시스템을 구강에 고정시 치근측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상부 또는 상측은 치관측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철시스템(100)은 임플란트(1), 보철베이스(10) 및 지지실린더(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보철시스템(100)은 특히 치아수복과정에서 사용되는 임시보철에 대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보철은 최종 보철의 설계 및 제조 기간 중 환자가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보철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임시보철은 상기 최종 보철의 제조를 위한 정확한 설계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후술되는 보철베이스(10)의 매립공(13)에 상기 지지실린더(20)의 위치가 정확한 식립위치로 정렬된 후 매립 고정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최종 보철에 형성되는 결합영역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철시스템(100)은 상기 최종 보철에 대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임플란트(1)는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 및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플란트(1)는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기설정된 식립위치에 식립된다.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는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하는 부품이다.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의 상단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의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는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와 상기 보철베이스(10)를 매개하는 부품이다.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는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의 상단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단부에 포스트(도 6a의 4)가 상향 돌설된다. 즉, 이하에서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의 상단부, 상기 임플란트(1)의 상단부는 상기 포스트(도 6a의 4)와 동일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도 6a의 4)의 하부 둘레를 따라 마진부가 외측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설된다.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는 상기 마진부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구강의 연조직인 잇몸 내에 매립되며, 상기 포스트(도 6a의 4)가 상기 잇몸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는 상기 체결돌기에 일체 또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픽스츄어(도 6a의 2) 및 상기 어버트먼트(도 6a의 3)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과 같이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보철베이스(10)는 상기 식립대상붕 식립된 상기 임플란트(1)를 통해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것이다. 상기 보철베이스(10)는 인공치아부(11) 및 형합정렬부(1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치아부(11)는 상기 상실된 치아의 치관을 대신하는 부분으로 대합치아와의 교합관계가 고려되어 형성되며,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에 잔존치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공치아부(11)는 상기 잔존치아와의 치열관계가 더 고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실된 치아가 하나 이상 복수개인 경우, 상기 임플란트(1)는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의 치열궁라인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정되는 식립위치에 식립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부(11)에는 상기 식립위치에 대응하여 매립공(1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립공(13)은 후술되는 지지실린더(20)의 최대 단면적을 초과하는 내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매립공(13)은 상기 임플란트(1)의 실제 식립위치와 상기 보철베이스(10)의 설계과정에서 수립된 가상 식립위치 간의 오차가 고려된 여유간격을 더 포함하는 내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1)의 실제 식립위치가 상기 가상 식립위치와 미소하게 상이하더라도 상기 매립공(13) 내에 상기 지지실린더(20)가 간섭없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합정렬부(12)는 상기 인공치아부(11)의 외곽측에 연장되며 상기 식립대상부의 주변 조직에 형합되는 형합면(1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합면(16)은 구강에 대하여 획득된 스캔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상기 형합면(16)은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의 주변 조직, 예컨대 상기 형합면(16)은 순소대, 협소대, 구후융기, 하악융기 등의 특징적인 굴곡형상에 대한 3차원 스캔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가 상악인 경우 상기 형합면(16)은 절치유두, 구개주름, 상악결절, 구개소와, 순소대, 협소대 등의 특징적인 굴곡형상에 대한 3차원 스캔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합면(16)이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의 주변 조직에 형합되면 상기 인공치아부(11)가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에 정확한 위치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공치아부(11)와 상기 형합정렬부(12)는 복수개의 브릿지부(14)를 통해 상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인공치아부(11)와 상기 형합정렬부(12)의 경계를 따라 컷팅라인이 설정되며, 상기 컷팅라인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관통된 장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장공(15) 사이에 상기 인공치아부(11)와 상기 형합정렬부(12)가 연결된 부분이 상기 브릿지부(14)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공치아부(11)와 상기 형합정렬부(12)는 상기 브릿지부(14)를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부(11)의 매립공(13)에 상기 지지실린더(20)의 매립 고정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브릿지부(14)가 컷팅됨에 따라 상기 형합정렬부(12)가 상기 인공치아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실린더(20)는 메탈결합부(21) 및 홀더연장부(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결합부(21)는 상기 임플란트(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체결스크류(도 6a의 6)를 통해 고정되는 부분으로 금속 재질로 구비되며, 결합홈(23a) 및 관통공(23b)이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3a)은 상기 임플란트(1)의 상부, 즉 상기 포스트(도 6a의 4)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포스트(도 6a의 4)의 외형에 대응하는 홈형상으로 상기 메탈결합부(2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b)은 상기 결합홈(23a)과 연통되며 상기 메탈결합부(21)의 타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b)은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가 인입되는 통로로서 기능하며, 상기 관통공(23b)의 내주는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의 헤드부(도 6a의 7)의 외주보다 미소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3a) 및 상기 관통공(23b) 사이의 경계를 따라 단턱부(23c)가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부(23c)의 내주는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의 나사부(도 6a의 8)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단턱부(23c)의 내주는 상기 나사부(도 6a의 8)의 외경을 초과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23c)에 후술되는 나사홈부(23d)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도 6a의 8)가 상기 나사홈부(23d)를 따라 회전되면서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메탈결합부(21)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협하광의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탈결합부(21)의 원추형 외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함몰홈(25)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25)은 상기 메탈결합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메탈결합부(2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단차진 정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면은 디컷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탈결합부(21)의 횡방향 단면형상이 다각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다각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연장부(22)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 내주에 상기 메탈결합부(21)의 외주가 억지 끼움되는 끼움홈(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6)의 타측으로 연통공(27)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는 상기 연통공(27)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관통공(23b)에 삽입된다.
상기 홀더연장부(22)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폴리아세탈(poly acetal,PO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세탈은 폴리옥시메틸렌(poly oxy methylene)이라고도 하며, 고강성, 치수안정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따라서, 상기 홀더연장부(22)가 상기 폴리아세탈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메탈결합부(21)와 대응되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후술되는 수지접착제(r)와의 동종 재질을 포함함에 따라 부착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홀더연장부(22)가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종래에 전체적인 구조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실린더에 비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절단작업이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6)은 상협하광의 원추형 내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링형상의 걸림돌출부(29)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출부(29)는 상기 끼움홈(26)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탈결합부(21)의 외면과 상기 끼움홈(26)이 상호 형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끼움홈(26)에 상기 메탈결합부(21)가 삽입되면 상기 함몰홈(25)에 상기 걸림돌출부(29)가 삽입 및 걸림됨에 따라 상기 메탈결합부(21)가 상기 홀더연장부(22)로부터 분리 및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탈결합부(21)의 외주는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각 상기 함몰홈(25) 사이의 외면이 경사면(24)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26)에 상기 메탈결합부(21)가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출부(29)가 상기 경사면(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함몰홈(25)으로 탄발 끼움될 수 있다.
상기 함몰홈(25)에 상기 걸림돌출부(29)가 형합되면 상기 함몰홈(25)의 내측, 바람직하게 상기 함몰홈(25)의 상단 테두리(25a)에 상기 걸림돌출부(29)가 걸림 구속되므로 상기 홀더연장부(22)로부터 상기 메탈결합부(21)가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탈결합부(21)와 상기 끼움홈(26)이 원추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측 걸림돌출부(29)가 상기 메탈결합부(21)의 상부측 외주와 이격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탈결합부(21)를 상기 끼움홈(26)에 억지 끼움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29)가 돌설된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일측에 상기 메탈결합부(21)의 부피로 인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가압력이 과도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하부(22a)가 상기 메탈결합부(21)의 부피로 인해 파손됨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연장부(22)는 상기 끼움홈(26)의 외면측에 대응하는 일측(이하 하부,22a)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돌출되어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타측(이하 상부,22b)과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하부(22a) 직경(w2)이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상부(22b) 직경(w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하부(22a)와 상부(22b) 사이 경계에 단차부(28)가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턱부(23c)의 내주에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의 나사부(도 6a의 8)가 임시 체결되는 상기 나사홈부(23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식립대상부(도 6a의 9)로 이동시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가 상기 나사홈부(23d)에 임시 체결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지지실린더(20)와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를 동시에 구강으로 취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포스트(4)에 결합된 후 상기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를 즉각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술 공수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를 별도로 취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가 낙하되어 오염되는 문제 및 이로 인해 상기 체결스크류(도 6a의 6)를 폐기함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외면에 요철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홀더연장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이격된 링형상의 돌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엠보형 또는 비정형으로 돌출 및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외면과 후술되는 상기 수지접착제(r)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베이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철시스템의 제조방법에 대한 단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철베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철의 제조방법은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임플란트(1)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단계(s11), 상기 보철베이스(10)가 상기 식립대상부에 정렬 배치되는 단계(s12),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매립공(13)의 상측에 부분 고정된 보철베이스(10)가 상기 식립대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체결스크류(6)가 해제되는 단계(s13) 및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매립공(13)에 완전 고정되어 최종 보철이 제조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스크류(6)가 상기 연통공(27)으로 인입되며 상기 단턱부(23c)의 내주에 형성된 상기 나사홈부(23d)에 임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스크류(6)가 임시 체결된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취부 및 상기 식립대상부(9)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지지실린더(20)는 상기 체결스크류(6)의 상기 나사부(8)가 상기 나사홈부(23d)에 임시 체결된 상태로 상기 체결스크류(6)와 동시에 취부되어 상기 임플란트(1)가 식립된 상기 식립대상부(9)측으로 이동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23a)의 내측에 상기 포스트(4)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임플란트(1)의 상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스크류(6)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홈부(23d)에 결합된 상기 체결스크류(6)의 나사부(8)가 상기 포스트(4)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23c)는 상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깔대기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스크류(6)의 헤드부(7) 하면이 상기 단턱부(23c)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력을 통해 상기 체결스크류(6)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체결스크류(6)를 통한 가압력이 상기 지지실린더(20)의 중심부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실린더(20)의 중심부가 상기 임플란트(1)의 실제 식립위치와 정확하게 정렬 및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포스트(4)에 상기 체결스크류(6)를 통해 체결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인공치아부(11)에 관통 형성된 상기 매립공(13)의 내측에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철베이스(10)가 상기 식립대상부(9)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형합정렬부(12)의 형합면(16)이 상기 식립대상부(9)의 주변 조직에 형합됨에 따라 상기 인공치아부(11)의 위치가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형합정렬부(12)를 통해 상기 보철베이스(10)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상부(22b)와 상기 매립공(13)의 상측(13b) 사이에 상기 수지접착체(r)가 실린지(s)를 통해 부분 주입 및 경화된다. 상기 수지접착제(r)는 경화전 소정의 점성을 가지면서도 경화 후 상기 인공치아부(11) 및 상기 홀더연장부(22)와 대응되는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접착체(r)가 경화되면 상기 지지실린더(20)의 위치가 상기 임플란트(1)의 실제 식립위치에 대응하여 부분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고정이라 함은 상기 지지실린더(20)와 상기 매립공(13)의 원주방향 대향면이 전체적으로 충진되지 않고 일부분만 상기 수지접착제(r)를 통해 고정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접착체(r)가 경화되고 상기 체결스크류(6)가 해제되면 상기 지지실린더(20)가 부분 고정된 상기 보철베이스(10)가 상기 식립대상부(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지지실린더(20)를 상기 보철베이스(10)에 부분 고정한 후 상기 식립대상부(9)에서 신속하게 분리한다. 따라서, 환자의 체어타임(chair time)이 단축되므로 시술시 환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어타임은 상기 보철을 통한 치아수복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에서 직접적인 시술을 위해 치고용 의자에 착석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차부(28)를 통해 상기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타측 직경이 좁게 형성되므로 상기 수지접착체(r)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지지실린더(20)의 부분 고정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일측 직경이 타측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단차부(28)가 단차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지접착체(r)가 상기 홀더연장부(22)의 일측까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러버댐과 같은 별도의 차폐부재 없이도 상기 식립대상부(9)에 상기 수지접착체(r)가 점착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식립대상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보철베이스(10)가 회전되어 상기 식립대상부와 대면되는 하면측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수지접착제(r)를 통해 부분 고정된 부분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보철베이스(10)를 뒤집으면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하부(22a) 및 상기 매립공(13)의 하측(13a)이 상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홀더연장부(22)의 하부(22a) 및 상기 매립공(13)의 하측(13a) 사이로 상기 수지접착체(r)가 완전 주입 및 경화되어 상기 지지실린더(20)가 상기 매립공(13)에 완전히 매립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접착체(r)가 상기 결합홈(23a)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트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트장치(40)는 프로텍트캡(41) 및 고정로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트캡(41)은 일측(41a)이 상기 결합홈(23a)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타측(41b)는 상기 결합홈(23a)의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w3)을 가지는 중실형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42)는 상기 지지실린더(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로텍트캡(41)의 일측(41a)에 체결되는 고정부(42a)가 일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로드(42)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실린더(20)의 타측에 걸림되는 접촉구속부(4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구속부(42b)는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되 최대 외경(w4)이 상기 지지실린더(20)의 타측 내경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프로텍트캡(41)이 상기 결합홈(23a)을 차폐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접착제가 상기 결합홈(23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실린더(20)와 상기 매립공(13)의 일측은 상기 구강에서 부분 고정되어 차폐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지접착제(r)의 완전 충진시 상기 지지실린더(20)와 상기 매립공(13)의 일측 사이로 유출됨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공치아부(11)로부터 상기 형합정렬부(12)가 분리됨에 따라 보철이 최종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철은 상기 인공치아부(11)에 형성된 상기 매립공(13)에 상기 지지실린더(20)가 매립 고정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부(14)가 상기 장공(15)을 통해 얇은 두께로 연결되므로 칼 등의 컷팅수단을 통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형합정렬부(12)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임플란트 4: 포스트
6: 체결스크류 10: 보철베이스
13: 매립공 20: 지지실린더
21: 메탈결합부 22: 홀더연장부
25: 함몰홈 26 : 끼움홈
29: 걸림돌출부 28: 단차부
100: 보철시스템

Claims (5)

  1. 식립대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식립되는 임플란트;
    상기 임플란트의 식립위치에 대응하여 매립공이 관통 형성된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는 보철베이스; 및
    상기 보철베이스가 상기 임플란트를 통해 상기 식립대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립공에 충진되는 수지접착제를 통해 매립 고정되되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부가 체결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메탈결합부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되 일측 내주에 상기 메탈결합부의 외주가 억지끼움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더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실린더를 포함하는 보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결합부의 원추형 외주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함몰홈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연장부에는 상기 각 함몰홈의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되 상기 함몰홈의 내측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돌출부가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홈이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연장부는 상기 끼움홈의 외면측에 대응하는 일측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 돌출되어 타측과 단차진 단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결합부는 상기 임플란트의 상부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상기 체결스크류가 인입되며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관통공과,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관통공 사이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의 내주에 상기 체결스크류의 나사부가 임시 체결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베이스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주변 조직에 형합되되 상기 인공치아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경계를 따라 형성된 브릿지부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와 연결된 형합정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시스템.
  5. 식립대상부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고 결합홈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메탈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일측 내주에 상기 메탈결합부의 외주가 억지 끼움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더연장부를 포함하는 지지실린더가 체결스크류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단계;
    인공치아부에 관통 형성된 매립공의 내측에 상기 지지실린더가 삽입되도록 보철베이스가 구강에 배치되되, 상기 식립대상부의 주변 조직에 형합되도록 형성된 형합정렬부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의 위치가 정렬되는 제2단계;
    상기 홀더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매립공의 상측 사이에 수지접착제가 부분 주입 및 경화되어 상기 지지실린더가 부분 고정된 상기 보철베이스가 상기 구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체결스크류가 해제되는 제3단계; 및
    상기 구강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보철베이스가 회전되어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홀더연장부의 하단부 및 상기 매립공의 하측 사이로 상기 수지접착제가 완전 주입 및 경화되어 상기 지지실린더가 매립 고정되고 상기 형합정렬부가 상기 인공치아부로부터 분리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보철시스템의 제조방법.
KR1020220091481A 2022-07-25 2022-07-25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4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481A KR20240014143A (ko) 2022-07-25 2022-07-25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481A KR20240014143A (ko) 2022-07-25 2022-07-25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143A true KR20240014143A (ko) 2024-02-01

Family

ID=8985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481A KR20240014143A (ko) 2022-07-25 2022-07-25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1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84B1 (ko) 2012-01-02 2014-06-17 이홍량 의치(틀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84B1 (ko) 2012-01-02 2014-06-17 이홍량 의치(틀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655B1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CA2581410C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US10993787B2 (en) System for connecting a dental restoration to a dental implant
US7234940B2 (e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ES2356892T3 (es) Coronamiento de impresiones de acoplamiento a presión.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KR101452849B1 (ko)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EP1039840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KR20050074282A (ko) 인공지대치 플래스틱 코핑
KR10055432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부품
EP3040047A1 (en)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KR102080241B1 (ko)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KR100544272B1 (ko) 즉시 고정 가능한 임플란트
KR20240014143A (ko) 보철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KR200408616Y1 (ko) 임플란트용 지대주 아날로그
KR102242901B1 (ko) 임플란트 실린더용 프로텍트 장치
KR100967527B1 (ko) 보철 교합관계 채득용 임플란트 지그 및 상기 임플란트지그를 이용한 보철물 제작방법
KR102594600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결합 장치
KR102597277B1 (ko)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US20200163745A1 (en) Prosthetic tooth for a denture and denture containing same
KR102264155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US9572638B1 (en) Impression coping spacer and method of dental casting
KR20230151783A (ko) 보철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체결스크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