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070A -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070A
KR20240014070A KR1020237044839A KR20237044839A KR20240014070A KR 20240014070 A KR20240014070 A KR 20240014070A KR 1020237044839 A KR1020237044839 A KR 1020237044839A KR 20237044839 A KR20237044839 A KR 20237044839A KR 20240014070 A KR20240014070 A KR 2024001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multilayer interlayer
multilayer
inter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균 손
개리 마티스
니콜라스 에드워드 킨
마이클 리 스트릭클러
Original Assignee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솔루티아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17/0206Selectively separating reinforcements from matrix material by destroying the interface bound before disintegrating the matrix to particles or powder, e.g. from tires or belts
    • B29B17/021Selectively separating reinforcements from matrix material by destroying the interface bound before disintegrating the matrix to particles or powder, e.g. from tires or belts using local heating of the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05Processes for mixing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Grippers, hooks, piercing needles, fingers, e.g. mounted on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55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using different melting or softening temperatures of the materials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5Recovery or reuse of energy or materials
    • B29C48/277Recovery or reuse of energy or materials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되며, 여기서는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가열하고,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정의된 바와 같이 배향되게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한다.

Description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층 중간층은 중간층 시장에서 점유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상이한 층들이 상이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압출 공정에서의 재활용성이 제한적이다. 특히, 음향(acoustic) 코어 층은 압출 동안 2개의 스킨 층 물질과 잘 혼합되지 않아서, 작지만 개별적인 코어 물질 영역(이는 특정 수준의 헤이즈를 유발함)을 형성하므로, 압출 시 이의 함량이 제한된다. 이러한 다층 물질을 재작업할 수 없다는 것은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다.
기계적 분리의 개념을 입증하기 위해, 다층 시트로부터 스킨 층을 수동으로 박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선된 방법과 기계 장치가, 안정적이고 일관되며 비용-효율적인 기계적 분리 작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 특허 제5,368,978호는, 공여자(donor) 및 수신자(receiver) 요소를 포함하는 이미지화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화 물질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공여자 및 수신자 요소에 반대 힘을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화 물질을 공여자 요소와 수신자 요소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이미지화 물질을 축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화 물질의 박리(delaminating)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상기 반대 힘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진공이고, 진공이 상기 공여자 요소로부터 해제될 때, 분리 후 스풀링(spooling)에 의해 축적이 일어난다. 이미지화 물질의 박리를 위한 장치는, 상기 이미지화 물질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수단, 상기 이미지화 물질을 형성하는 상기 공여자 요소와 수신자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력을 가하는 수단, 및 상기 공여자 요소와 상기 수신자 요소를 분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공여자 요소를 스풀링하는 수단 및 상기 분리력의 적용 이전에 상기 이미지화 물질을 예열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5,934,577호는, 접착제 플라스틱 층(C)에 의해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플라스틱 층(A)과 플라스틱 층(B)을 포함하는 다층 물질의 구성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1) 상기 물질을 상기 플라스틱 B의 결정화 온도(Tc)와 Tc-20℃ 사이의 온도(T1)로 가열하고, (2) 이어서, 상기 물질을 거의 동일한 온도에서 전단 처리하여 파쇄함으로써(shredded) 박리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물질을 두 가지 유형의 작은 치수의 입자(이들 중 일부(X)는 베이스 플라스틱(A)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Y)는 플라스틱(B)과 접착제 플라스틱(C)으로 이루어짐)로 전환시키고, (3) 후속적으로, 입자 X와 Y를 정전기 분리에 의해 분리한다.
미국 특허 제10,513,102호는 박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장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를 박리가능하게 적층하여(peelably laminating) 제조된 적층체(laminate)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롤러; 상기 적층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송 롤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재로부터 상기 제2 기재를 박리하도록 구성된 박리 롤러; 상기 박리 롤러로부터 떨어져 배열되며, 상기 제1 기재로부터 박리된 제2 기재를 권취하는 권취 롤러; 및 상기 박리 롤러와 상기 권취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단턱 부분(stepped portion)을 포함하는 보조 권취 롤러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20/0147933 A1호는, 접합 유리(laminated glass)용 중간체 필름의 재활용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A 층 및 B 층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체 필름(1)으로부터, 상기 A 층을 포함하는 층과 상기 B 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조 공정에서의 물질의 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층 중간층의 층들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압출 기술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중합체 시트, 특히 PVB 시트를 수득할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기 위한 연속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승온으로 가열하는 단계; 및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연속 방법 동안,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β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은 또한,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기 위한 연속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승온으로 가열하는 단계; 및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되게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고, 각도 β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각도 γ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이때 하기 관계식이 충족된다:
β/α ≥ 1,
30° ≤ γ ≤ 180°,
α + β + γ = 360°.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배향은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유지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원에 개시되고 청구되는 바와 같다.
도 1은, 다층 중간층을 기계적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분리되는 동안의 필름의 적절한 배향의 개략도이다.
하기 실시양태 및 이의 조합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는 연속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약 250℃ 내지 약 7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b)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 방법 동안,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β보다 작거나 같은, 연속 방법.
2. 실시양태 1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작은, 연속 방법.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30° 더 작은, 연속 방법.
4. 실시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50° 더 작은, 연속 방법.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60° 더 작은, 연속 방법.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75° 더 작은, 연속 방법.
7. 실시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약 10° 내지 약 100° 더 작은, 연속 방법.
8. 실시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약 30° 내지 약 75° 더 작은, 연속 방법.
9.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약 25℃ 내지 약 40℃의 Tg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 방법.
10. 실시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다층 시트가 3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연속 방법.
11. 실시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층의 Tg 보다 적어도 15℃ 더 낮은 Tg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 방법.
12. 실시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층이 제1 층 당김 롤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이 나머지 부분 당김 롤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50% 미만으로 유지되는, 연속 방법.
13. 실시양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층의 폴리(비닐 부티랄)의 Tg 미만 또는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폴리(비닐 부티랄)의 Tg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 방법.
14.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을 약 15℃ 내지 약 3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 방법.
15. 실시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약 -15℃ 내지 약 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 방법.
16. 실시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15% 미만인, 연속 방법.
17. 실시양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5% 미만인, 연속 방법.
18. 실시양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가, 양쪽에 스킨 층을 갖는 코어 층을 포함하는, 연속 방법.
19. 실시양태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제1 스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 층이 나머지 스킨 층보다 두꺼운, 연속 방법.
20. 실시양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제1 스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 층이 나머지 스킨 층보다 얇은, 연속 방법.
21. 실시양태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제1 말단이 상기 다층 시트의 제2 말단보다 두꺼운, 연속 방법.
22.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는 연속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약 25℃ 내지 약 7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b)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되게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고, 각도 β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시트와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각도 γ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이때 하기 관계식이 충족되고: β/α ≥ 1, 30° ≤ γ ≤ 180°, α + β + γ = 360°; 상기 배향은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유지되는, 연속 방법.
23. 실시양태 22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상기 각도 β보다 작은, 연속 방법.
24. 실시양태 22 또는 23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30° 더 작은, 연속 방법.
25. 실시양태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50° 더 작은, 연속 방법.
26. 실시양태 22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60° 더 작은, 연속 방법.
27. 실시양태 22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75° 더 작은, 연속 방법.
28. 실시양태 22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약 10° 내지 약 100° 더 작은, 연속 방법.
29. 실시양태 22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약 30° 내지 약 75° 더 작은, 연속 방법.
30. 실시양태 22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약 25℃ 내지 약 40℃의 Tg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 방법.
31. 실시양태 22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다층 시트가 3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연속 방법.
32. 실시양태 22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층의 Tg 보다 적어도 15℃ 더 낮은 Tg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 방법.
33. 실시양태 22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층이 제1 층 당김 롤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이 나머지 부분 당김 롤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50% 미만으로 유지되는, 연속 방법.
34. 실시양태 22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층의 폴리(비닐 부티랄)의 Tg 또는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폴리(비닐 부티랄)의 Tg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 방법.
35. 실시양태 22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을 약 30℃ 내지 약 15℃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 방법.
36. 실시양태 22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약 -15℃ 내지 약 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속 방법.
37. 실시양태 22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15% 미만인, 연속 방법.
38. 실시양태 22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5% 미만인, 연속 방법.
39. 실시양태 22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가, 양쪽에 스킨 층을 갖는 코어 층을 포함하는, 연속 방법.
40. 실시양태 22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제1 스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 층이 나머지 스킨 층보다 두꺼운, 연속 방법.
41. 실시양태 22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제1 스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 층이 나머지 스킨 층보다 얇은, 연속 방법.
42. 실시양태 22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제1 말단이 상기 다층 시트의 제2 말단보다 두꺼운, 연속 방법.
하기 실시양태 및 이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약 0 내지 약 10의 Rz를 나타내는 매끄러운 면; 및 상기 매끄러운 면 반대쪽의, 약 10 내지 약 150의 Rz를 나타내는 거친 면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2. 실시양태 1에 있어서, 상기 거친 면이 약 10 내지 약 100의 Rz를 나타내고, 용융 파단(melt fracture)으로부터 유래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거친 면이 약 10 내지 약 150의 Rz를 나타내고, 용융 파단 및 엠보싱(embossing)으로부터 유래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4. 실시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부티랄)이 가소화된 것이고, 약 20℃ 내지 약 40℃의 Tg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부티랄)이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하이드록실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7. 실시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a) 적어도 제1 중합체 용융물 및 제2 중합체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적어도 상기 제1 중합체 용융물과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을 공압출하여,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다층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때, 상기 다층 시트는, 공압출 동안 용융 파단에 의해 부여되는 외부 표면 상의 표면 거칠기를 가짐); 및 (c)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8. 실시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 용융물과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이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9.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a) 적어도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제1 중합체 용융물 및 설포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제2 중합체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1 중합체 용융물 및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을 공압출하여,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다층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때, 상기 다층 시트는, 공압출 동안 용융 파단에 의해 부여되는 외부 표면 상의 표면 거칠기를 가짐); 및 (c) 이 후, 상기 설포폴리에스터를 용해시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10. 실시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이 설포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11. 실시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a) 적어도 제1 중합체 용융물 및 제2 중합체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적어도 상기 제1 중합체 용융물과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을 공압출하여,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다층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다층 시트를 엠보싱 처리하여, 외부 표면 상에 표면 거칠기를 갖는 다층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12. 실시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이, 적어도 2개의 다이 매니폴드(die manifold)를 갖는 다중-매니폴드 다이를 통한 공압출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중합체 용융물과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이 별도의 다이 매니폴드를 통해 압출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13. 실시양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법 동안, 분리 지점에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시트에 의해 정의된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시트와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된 각도 β보다 작거나 같은,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14.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작은,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15. 실시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적어도 30° 더 작은,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16. 실시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약 30° 내지 약 75° 더 작은,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
17. 실시양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다층 시트가 3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연속 방법.
18. 실시양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15% 미만인, 연속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방법이 연속적인 것으로 본원에 기술될 수 있지만, "연속"이라는 용어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적 공정 분야의 당업자는, 연속 방법이 회분 방법과 구별될 수 있으며, 해당 방법이 더 길게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면 처리량 면에서 이점이 더 커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이점은, 정상 상태에서, 다층 시트 롤이 상당한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목적하는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당업자가 상기 방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청구범위는, 상기 방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시도로 인위적으로 중단되거나 방해될 수 있는 모든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실시양태는, 본원에 개시되고 청구되는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층 중간층의 두 층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i) 상기 중간층을 롤러로부터 권출하는 단계; (ii) 하나 이상의 가열된 롤러 및/또는 별도의 IR 히터를 사용하여 상기 중간층을 가열하는 단계, (iii) 분리력 하에 제1 층 또는 스킨 층을 박리하는 단계; 및 (iii) 중간층 구성요소로서의 후속 재사용을 위해, 상기 분리된 스킨 층 및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수집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킨 층을 2 내지 20 m/분의 속도로 기계적으로 박리함으로써, 다층 중간층(예를 들어 1.4 m 이하의 롤 폭 및 500 kg의 롤 중량)의 코어 및 스킨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의 설계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이는, 회수된 스킨 층이 압출에 재사용되게 한다. 코어 층과 2개의 스킨 층을 갖는 중간층을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층 중간층 시트(예컨대, 이스트만(Eastman)의 사플렉스(Saflex)(상표명) PVB 중간층)로부터 제1 층 또는 스킨 층을 기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 3층 중간층의 코어-스킨 2층으로부터 하나의 스킨 층을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개시된 장치에 대한 가공가능 물질의 범위는 3층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층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층의 개수는 시트의 폭방향(cross-machine direction)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2개 초과, 3개 초과, 5개 초과 또는 5개 이상이다. 어떤 경우든, 상기 분리는 전형적으로, 음향 코어 층에 인접한 스킨 층과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예컨대, 코어 층 자체) 사이에서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장치는, (1) 권출 장치, (2) 임의적 엣지 다듬기(edge trim) 장치, (3) 하나 이상의 장력 롤(들), (4) 임의적 냉각을 갖는 위치-선정 롤, (5) 가열 또는 어닐링 장치, (6) 임의적 냉각을 갖는 추가의 또는 제2 위치-선정 롤, (7) 제1 층 또는 스킨 층을 위한 제1 층 당김 롤, (8) 시트의 나머지 부분(전형적으로,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나머지 부분 당김 롤, (9) 제1 층 또는 스킨 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력 롤, (10) 시트의 나머지 부분(전형적으로, 코어-스킨 2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력 롤, (11) 스킨 층 수집 장치(이는 권취기, 닙 시스템이 있거나 없는 용기, 또는 과립기일 수 있음), (12) 코어-스킨 2층 수집 장치(이는 권취기, 닙 시스템이 있거나 없는 용기, 또는 과립기일 수 있음)로 구성될 수 있다.
권출 장치(1)는 전동식이거나 또는 비-전동식일 수 있고, 이상적으로는, 예를 들어, 1.4 m의 롤 폭 및 500 kg의 롤 중량을 취급할 수 있다.
임의적 엣지 다듬기 장치(2)는, 시트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시트의 목적하는 부분만 분리하여 수집하며 엣지로부터의 인열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가 가열 장치(5)로 이송되기 전에, 시트의 기계 방향을 따라, 필요한 경우 시트의 한쪽 측면 또는 시트의 양쪽 측면을 다듬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비제한적으로, 시트의 구배 부분을 다듬거나, 코어 층이 없는 시트의 엣지를 다듬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블레이드에 의해 각각의 엣지로부터 적어도 약 25 mm를 다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롤이 권출 장치(1)에 놓이기 전 또는 권출 장치(1)와 가열 장치(5)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나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장력 롤(3)은 전형적으로 전동식이어서, 상기 시트가 권출 장치(1)로부터 당겨져서 가열 또는 어닐링 장치(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시트가 장력 롤(들)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시트가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적절히 설정하지 않는 한, 상기 시트는 폭 방향으로 주름이 잡혀, 불균일한 가열을 야기하고, 공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임의적 냉각을 갖는 제1 위치-선정 롤(4)이 장력 롤(3)에 후속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장치(5) 또는 어닐링 장치(5)의 주요 열 에너지원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시트를 올바른 경로 상에 위치-선정함으로써, 상기 시트가 가열 장치(5)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시트의 적절한 장력 수준을 확립한다. 시트 온도의 미세-조정을 위해, 상기 롤은 임의적 냉각 용량을 가진다. 상기 롤은 전형적으로 전동식이 아니다.
가열 장치(5)는 스킨 층들 중 하나 또는 스킨 층 둘 다와 접촉함으로써, 스킨 층들 중 적어도 하나와 코어 층 간의 계면 결합 에너지가 더 낮아지도록 한다. 이는, 당기는 힘의 적용시,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스킨 층들 중 하나가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열 에너지원은 단일 또는 다중 가열 롤(들), 적외선 히터(들) 또는 이들 둘 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시트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업적 작업을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향 각 또는 시트 계면(이는 기계적으로 분리됨)을 작업 기간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즉, 상기 제1 층이, 상기 작업을 통해 상기 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되는 층이어야 함)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층 수집 장치에서 회수되는 층이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일부(예컨대, 코어 층)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상기 시트에 대한 열 에너지가 주로 가열 롤에 의한 전도를 통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열 에너지원에 가장 가까운 시트 표면(전형적으로, 제1 층 또는 스킨 층)의 온도 범위는 약 25℃ 내지 약 70℃, 또는 30℃ 내지 65℃, 또는 35℃ 내지 60℃일 수 있거나, 본원의 다른 부분에 기술된 바와 같다. 이는, 가열 장치 출구에서의 IR 온도계로 측정될 수 있다. 시트 표면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기계적 분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후속적으로 시트가 인열될 수 있다. 시트 표면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시트의 기계적 온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기계적 분리 공정의 안정적인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어닐링 또는 가열 장치(3)는 바람직하게는 전동식 롤러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어닐링 장치에 의해 달성된, 열 에너지원에 가장 가까운 시트 표면(전형적으로, 제1 층 또는 스킨 층)의 온도는 약 25℃ 이상, 또는 약 26℃ 이상, 또는 27℃ 이상, 또는 28℃ 이상, 또는 30℃ 이상, 또는 32℃ 이상, 또는 35℃ 이상 약 70℃ 이하, 또는 65℃ 이하, 또는 60℃ 이하, 또는 55℃ 이하, 또는 50℃ 이하이다.
임의적 냉각을 갖는 제2 위치-선정 롤(6)은 가열 장치(5), 또는 상기 어닐링 장치의 주요 열 에너지원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를 올바른 경로 상에 위치-선정함으로써, 상기 시트가 분리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시트의 적절한 장력 수준을 확립한다. 시트 온도를 미세 조정하기 위해, 상기 롤은 임의적 냉각 용량을 가진다. 임의적 냉각을 위한 제2 위치-선정 롤(6)은, 폭방향의 표면 작용에 의해 상기 시트의 주름을 제거하여, 상기 시트가 분리 지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시트가 주름이 없고 깨끗하게 분리될 준비가 되도록 설계된 스프레더 롤이다. 상기 롤은 전형적으로 전동식이 아니다.
이어서, 상기 다층 시트는, 제1 층 또는 스킨 층을 위한 제1 층 당김 롤(7)과 나머지 또는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나머지 부분 당김 롤(8)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분리를 위한 제2 위치-선정 롤(6) 하류의, 스킨 층을 위한 제1 층 당김 롤(7)은,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 스킨 층을 취한다.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나머지 부분 당김 롤(8)은 또한, 분리를 위한 제2 위치-선정 롤(6)과 가열 또는 어닐링 장치(5) 하류에 존재하며, 나머지 층 또는 코어-스킨 2층을 취한다.
상업적 작업을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향 각 또는 시트 계면(이는 기계적으로 분리됨)이 작업 기간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즉, 상기 제1 층이, 상기 연속 작업을 통해 상기 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되는 층이어야 함)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1 층 수집 장치에서 회수된 층이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일부(예를 들어, 코어 층)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도 α는, 상기 시트가 제2 위치-선정 롤을 떠난 후 분리 지점에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이다. 각도 β는, 상기 시트가 제2 위치-선정 롤을 떠난 후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시트와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지점 이후에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γ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세 각도의 합(즉, α + β + γ)은 36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도 α가 각도 β보다 작거나 같고, 특히 후자인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조건은, 연속적인 시트 분리 작업 기간에 걸쳐 유지된다. 전형적으로, 분리 기계는, 연속적인 시트 분리 작업 기간에 걸쳐 각도 γ가 180° 이하 및 30° 이상이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도 α는, 예를 들어 약 30 내지 약 150°, 또는 약 35 내지 약 160°, 또는 약 40° 내지 약 165°일 수 있다. 또한, 각도 β는, 예를 들어 약 90° 내지 약 180°, 약 95° 내지 약 150°, 또는 100° 내지 120°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도 γ는 약 30° 내지 약 180°, 또는 45 내지 150°, 또는 50 내지 120°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각도는 다음과 같을 수 있으며, 델타는 β - α의 차이이다.
γ = 180°; α = 60°; β = 120°: Δ60 °,
γ = 150°; α = 90°; β = 120°: Δ30 °,
γ = 120°; α = 90°; β = 150°: Δ60 °,
γ = 100°; α = 80°; β = 180°: Δ100 °.
기계적 분리 후 시트 주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킨 층을 위한 제1 당김 롤(7)과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나머지 부분 당김 롤(8) 사이의 거리(2개의 롤(7 및 8)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됨)는, 예를 들어, 처리될 시트의 폭의 50% 미만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이 수치를 Ψ로서 정의한다. Ψ가 30% 미만, 또는 20% 미만, 또는 15% 미만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스킨 층을 위한 제1 당김 롤(7)과 나머지 부분 당김 롤(8)은, 기계적으로 분리된 층 상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레더 롤일 수 있다.
"스프레더 롤"이 언급되는 경우, 이는, 폭방향의 표면 작용에 의해 주름을 제거하도록 설계된 롤을 의미한다.
전체 기계적 분리 공정의 구동을 돕고, 분리된 제1 층 또는 스킨 층 및 나머지 부분 또는 코어-스킨 2층을 스킨 층 수집 장치(11) 및 코어-스킨 2층 수집 장치(12)에 각각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장력 롤(들)-코어-스킨 2층(10)이 바람직하게는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나머지 부분 당김 롤(8)과 동기화되는 전동식인 것처럼, 장력 롤(들)-스킨 층(9)은 바람직하게는 스킨 층을 위한 제1 당김 롤(7)과 동기화되는 전동식이다.
스킨 층 수집 장치(11)는 전동식 권취기, 과립기 또는 용기일 수 있다. 이는, 회수된 스킨 층을 압출에 재사용하기 위해 수집하는 곳이다. 다르게는, 상기 스킨 층은, 상기 시트를 용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닙 시스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추가 처리를 위해 용기 등에 단순히 수집될 수 있다.
코어-스킨 2층 수집 장치(12)는 또한 전동식 권취기, 펠렛화기 또는 용기일 수 있다. 수집된 코어-스킨 2층은 압출에 재사용될 수 있거나, 화학적 재활용에 사용되기 위해 추가로 기계 가공 또는 이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코어-스킨 2층은, 시트를 용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닙 시스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추가 처리를 위해 용기 등에 단순히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장치에 대해 가공가능한 총 시트 두께의 범위는 전형적으로 약 0.254 내지 약 5.080 mm, 또는 0.508 내지 2.540 mm, 또는 0.762 내지 1.270 mm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장치에서 상기 기계적 분리가 일어나는 작업 속도는, 시트 권출 속도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20 m/분, 또는 5 내지 10 m/분일 수 있다. 상기 당김 롤 둘 다는 권출 속도보다 1.1 내지 2.5배 빠르게 작동한다(즉, 2.2 내지 50 m/분, 또는 5.5 내지 25 m/분이 분리 지점에서의 작업 속도임).
다층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에서, 상기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는 제1 층의 표면이 상기 다층 시트의 외부 표면보다 더 매끄러움에 주목하며, 그 이유는, 상기 시트가 압출기 다이로부터 배출될 때 상기 다층 시트의 외부 표면 상에서 일어나는 후속 엠보싱 및/또는 용융 파단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용융 파단으로 인해 외부 표면 상에 거친 표면을 나타내고, 압출 동안 시트의 내부 표면이었던 부분에서 더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내는(그 이유는, 엠보싱되지 않았거나 용융 파단되지 않았기 때문임)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킨 층이 관심 있는 필름 또는 시트이며, 각도 α를 향하는 표면에서는 용융 파단을 나타내고, 각도 γ를 향하는 표면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254302호(이의 관련 개시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인용함)는, 용융-파단된 표면을 갖는 다중 층 중합체 중간층을 기술하고 있다. 다중 층 중간층에서 발생하는 특별한 문제는 가공의 적층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단일 층 중간층은, 탈기를 용이하게 하는 질감을 부여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롤러로 엠보싱 처리되었지만, 일부 음향 중간층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강성의 두 층 사이에 상대적으로 연질의 내부 층을 갖는 3층 중간층에서는, 상기 중간층의 외부 표면의 엠보싱이 내부의 더 연질 층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광학적 왜곡이 발생할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제0 710 545 A1호는, 이러한 문제, 및 3층 중간층의 외부 층에 너무 깊게 엠보싱하는 것에 대한 주의 사항을 상술하고 있다.
상기 다중 층 중간층은, 중간층의 형성 동안, 중간층의 노출된 표면에서 또는 다중 층 중간층의 개별 층에서 발생하는 용융 파단을 제어함으로써 형성되는 표면 형상(topography)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다층" 및 "다중 층"이라는 용어는, 하나 초과의 층을 갖는 중간층을 의미하며, 다층 및 다중 층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층의 층들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수지(예컨대, 폴리(비닐 부티랄))를 하나 이상의 가소제와 혼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용가능한 공정 또는 방법(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압출)에 의해 이 혼합물을 시트로 용융 가공함으로써 생성되며, 이때 층들은 공압출 및 적층과 같은 공정을 통해 조합된다. 다양한 다른 목적을 위해, 다른 추가 성분이 임의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중간층 시트가 형성된 후, 이는 전형적으로, 하기 논의되는 바와 같이, 운송 및 보관을 위해 및 이후에 다중 층 유리 패널에 사용하기 위해 수집 및 압연된다.
다층 중간층,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중간층(예컨대, 3개의 층을 갖는 3층 중간층)은 하나 이상의 연질 층 및 하나 이상의 강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 층(들)은 흔히, 3개 이상의 층을 갖는 중간층의 내부 층 또는 코어 층이다. 본원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일부 용어가,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될 것이다. 본원에서 "중합체 중간층 시트", "중간층 ", "중합체 층" 및 "중합체 용융 시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일 층 시트 또는 다층 중간층을 나타낼 수 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단일 층 시트"는, 하나의 층으로 압출된 단일 중합체 층이다. 반면에, 다층 중간층은 다중 층(개별적으로 압출된 층, 공압출된 층, 또는 개별적으로 공압출된 층들의 임의의 조합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중간층은, 예를 들어, 함께 조합된 2개 이상의 단일 층 시트("복수 층 시트"); 함께 공압출된 2개 이상의 층("공압출 시트"); 함께 조합된 2개 이상의 공압출된 시트; 하나 이상의 단일 층 시트와 하나 이상의 공압출된 시트의 조합; 단일 층 시트와 복수 층 시트의 조합; 및 하나 이상의 복수층 시트와 하나 이상의 공압출된 시트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층 중간층은, 서로 직접 접촉하여 배치된 2개 이상의 중합체 층(예를 들어, 단일 층, 또는 함께 공압출된 및/또는 적층된 다중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층은, 하기에서 더 충분히 상술되는 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3개 이상의 층을 갖는 다층 중간층의 경우, "스킨 층"은 일반적으로 중간층의 외부 층을 지칭하고, "코어 층"은 일반적으로 내부 층(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는 스킨 층//코어 층//스킨 층일 것이다. 스킨 층//코어 층//스킨 층 구성을 갖는 다층 중간층에서, 몇몇 실시양태에서, 스킨 층이 더 강성일 수 있고, 코어 층은 더 연질일 수 있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스킨 층이 더 연질일 수 있고, 코어 층은 더 강성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는, 단지 2개의 층만을 갖는 중간층, 또는 3개 초과의 층(예를 들어, 4개, 5개, 6개 또는 10개 이상까지의 개별 층)을 갖는 중간층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층 중간층은, 층의 조성, 두께 또는 위치-선정 등을 조작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3층 중합체 중간층 시트에서, 2개의 강성(또는 외부 또는 스킨) 층은, 가소제 또는 가소제들의 혼합물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더 연질인 (내부 또는 코어)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PVB 수지,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가소제 및/또는 가소제들의 혼합물과 함께 다른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중간층 시트의 강성 또는 스킨 층 및 연질 또는 코어 층(들)이, 동일한 열가소성 물질 또는 상이한 열가소성 물질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가소제 또는 가소제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층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당업계에 공지된 추가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연질인 내부 층을 이용하는 다층 중간층의 하나의 유형은 다층 음향 유형의 중간층이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향 중간층은 다중 층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2개의 비교적 강성 층 사이에 개재된 비교적 연질 층을 가진다. 생성된 3층 중간층은 일반적으로, 적층 방법에 대한 변경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통상적인 단일 층 중간층 대신에 적층 방법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러한 음향 중간층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본원 전반에 걸쳐 기술되지만, 본 발명이, 외부 층들(이들 사이에 내부 중합체 층이 배치됨)보다 더 연질인 내부 중합체 층을 갖는 다중 층 중간층, 예를 들어 3층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비-음향 다중 층 중간층을 포함함을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상이한 중합체(예를 들면, 폴리(비닐 부티랄) 및 설포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다중 층 시트를 포함한다.
다중 층 중간층의 외부 층에 의도적으로 용융 파단을 도입함으로써, 임의의 엠보싱 없이 다층 중간층의 탈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용융 파단은 전형적으로, 압출 용융물 벌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랜드(land)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 시트화 다이 개구부를 통해 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어된다. 이는, 지표면 바로 아래의 채널을 통해 컨디셔닝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용융 파단은, 압출된 층의 다른 가공 매개변수를 제어함으로써 다중 층 중간층의 외부 층의 외부 표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에서 추가로 제어될 수 있다(미국 특허 제5,455,103호; 제6,077,374호; 제5,425,977호; 제4,281,980호 및 제4,575,540호 뿐만 아니라, 문헌[Polymer Processing Instabilities: Control and Understanding, Edited by Savvas Hatzikiriakos and Kalman Migler, CRC Press 2004, ISBN 0824753860] 참조; 이들 특허 및 문헌의 관련 개시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인용함).
따라서, 용융 파단은, 중합체 층의 한쪽 면에서, 예를 들어 중합체를 다이 롤로 압출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거나, 또는 중합체 층의 양쪽 면에서, 예를 들어 중합체를 직접 공기 중으로 압출하고 이어서 이를 냉각 욕에 도입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중합체 층의 표면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목적하는 "거칠기" 또는 "Rz"를 갖는 중합체 층을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제어된 용융 파단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Rz는, 중합체 층의 표면 형상의 척도이며, 평면으로부터 표면의 발산(divergence)의 지표이다.
본원에서 "표면 거칠기", 또는 평탄화된 중합체 중간층 시트의 가상 평면으로부터 조면화된 표면 상의 특정 피크의 높이는, 표면의 Rz 값이다. 본원에 기술되는 경우, 중합체 중간층 시트 표면의 표면 거칠기 또는 Rz는, 국제 표준화 기구의 DIN ES ISO-4287 및 미국 기계공학 협회의 ASME B46.1 에 따라, 10-포인트 평균 거칠기에 의해 측정된 마이크론(μ)으로 표현될 것이다. 이러한 크기 하에, Rz는, 연속적인 샘플링 길이 중 단일 거칠기 깊이(Rzi)(즉, 샘플링 길이 내에서 최고 피크와 최저 계곡 사이의 수직 거리)의 산술 평균 값으로 계산된다:
Rz = - x (Rz1 + Rz2 +... + RzN).
보고되는 표면 거칠기(Rz) 값은, 마흐르 코포레이션(Mahr Corp.)(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모델 S8P 조도측정기(pertho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표면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이 달성될 수 있고, 이때 Rz는 약 0 내지 약 10, 또는 0.5 내지 8, 또는 1 내지 7이며, 거친 표면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150, 또는 15 내지 120, 또는 20 내지 100의 값을 나타낼 것이다. 다르게는, 매끄러운 표면은 0.01 이상, 또는 0.1 이상, 또는 0.2 이상, 또는 0.5 이상 약 10 이하, 또는 9 이하, 또는 8 이하, 또는 7 이하의 Rz를 가질 것이다. 유사하게, 거친 표면은 약 150 이하, 또는 125 이하, 또는 120 이하, 또는 100 이하, 또는 90 이하, 또는 80 이하, 또는 70 이하, 또는 60 이하, 또는 50 이하, 또는 10 이상, 또는 12 이상, 또는 15 이상, 또는 18 이상, 또는 20 이상, 또는 30 이상의 Rz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엠보싱 없이, 다중 층 중간층이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간층의 외부 표면은, 예를 들어 20 내지 60, 또는 25 내지 50의 Rz 값, 또는 본원의 다른 곳에서 기술된 값(이는 용융 파단을 통해 제공됨)을 가진다. 두 외부 표면은 동일한 Rz 값 또는 상이한 Rz 값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두 외부 표면 중 하나만 지정된 Rz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엠보싱을 사용하여, 다층 중간층이 또한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간층의 외부 표면은, 예를 들어 20 내지 120, 또는 25 내지 100의 Rz 값, 또는 본원의 다른 곳에서 기술된 값(이는 용융 파단을 통해 제공됨)을 가진다.
가소화되고 약간 가교결합된 PVB 수지로부터 형성된 압출된 중간층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냉식 다이 립을 갖는 통상적인 시트화 다이를 통해 압출함으로써(즉, 내부에서 형성되는 시트의 길이와 폭에 실질적으로 합치되며 수평으로 길고 수직으로 좁은 다이 립을 통해, 용융된 중합체를 강제로 밀어냄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가 더욱 고무질일 수록, 압출 다이에서 배출시 주어진 표면 거칠기를 제공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수축하는 경향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층 중간층은 다중 매니폴드 공압출 장치(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254302호에 개시된 것)를 사용하여 공압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출원의 관련 개시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 인용한다. 상기 장치는 제1 다이 매니폴드, 제2 다이 매니폴드, 및 제3 다이 매니폴드를 가진다. 상기 장치는, 중합체 용융물을 각각의 매니폴드로부터 압출 개구부 쪽으로 동시에 압출함으로써 조작되며, 여기서 다중 층 중간층은 3개의 개별 중합체 층의 복합체로서 압출된다. 층 두께는, 압출 개구부에서의 다이 립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용융 파단은, 용융물의 조성의 제어, 압출 개구부에서의 다이 립 또는 랜드의 온도의 제어, 또는 압출된 중간층의 냉각 속도 및 방법의 제어(이는, 예를 들어, 압출 직후 냉각욕에의 침지일 수 있음)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친 표면 및 반대쪽 상의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목적하는 필름이, 본원에 기술된 분리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이해 제조될 수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폴리(비닐 부티랄)을 포함하는 제1 중합체 용융물 및 설포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제2 중합체 용융물을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1 중합체 용융물 및 상기 제2 중합체 용융물을 공압출하여,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다층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때, 상기 다층 시트는, 공압출 동안 용융 파단에 의해 부여되는, 이의 외부 표면 상의 표면 거칠기를 가짐); 및 이 후, 상기 설포폴리에스터를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설포폴리에스터가 폴리(비닐 아세탈) 층과 함께 이러한 방식으로 압출되는 경우, 이에 따라 설포폴리에스터는 물 또는 다른 용매에 용해되거나 이로 세척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설포폴리에스터는, 25℃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A) 하나 이상의 다이카복실산 잔기; (B) 전체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약 4 내지 약 40 몰%의,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설포네이트 기 및 2개의 작용기(이때, 상기 작용기는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이들의 조합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설포-단량체(sulfomonomer) 잔기; (C) 하나 이상의 다이올 잔기(이때, 총 다이올 잔기를 기준으로 25 몰% 이상이 H(OCH2CH2)nOH 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이때, n은 약 2 내지 약 500 범위의 정수임); 및 (D) 전체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0 내지 약 25 몰%의, 3개 이상의 작용기(이때, 상기 작용기는 하이드록실, 카복실 또는 이들의 조합임)를 갖는 분지형 단량체 잔기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포폴리에스터는 임의적으로, 상기 설포폴리에스터와 배합된 수-분산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다른 적합한 수-분산성 설포폴리에스터는 미국 특허 제6,171,685호; 제5,543,488호; 제5,853,701호; 제4,304,901호; 제6,211,309호; 제5,570,605호; 제6,428,900호; 및 제3,779,993호에 개시되고 청구된 것을 포함하며, 이들 특허의 관련 개시내용을 본원에 참조로 인용한다.
전술된 기계적 분리 장치의 시동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a] 3층 중간층 시트의 끝부분(tip) 중앙으로부터, 상기 시트를 양방향 대각선으로 한 번에 하나씩 절단하여, 상기 시트의 끝부분을 화살표 형태로 만들고,
[b] 상기 화살표 형태의 끝부분 상의 3층 중간층 시트로부터 하나의 스킨 층을 손으로 박리하고, 이어서 약 25 cm에 대해 시트를 계속 분리하고,
[c] 분리된 제1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스킨 층을 위한 당김 롤(7)과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당김 롤(8) 각각 상에 손으로 누르고, 기계를 매우 천천히(예를 들어, 1.0 m/분보다 느리게) 조깅(jogging)하여, 쓰레드-업(thread up)하기 시작하고,
[d] 스킨 층을 위한 당김 롤(7)을 통해 스킨 층을 장력 롤(들)-스킨 층(9)에 쓰레드-업하고,
[e]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당김 롤(8)을 통해 코어-스킨 2층을 장력 롤-코어-스킨 2층(10)에 쓰레드-업하고,
[f] 모든 전동식 롤을 조깅하여, 안정한 공정이 확실히 확립되도록 하고,
[g] 속도를 목표까지 높이고, 정상 상태에 도달한다.
기계적 분리를 개시하는 또 다른 접근법은, 상기 다층 시트의 스킨 층에 "예비-라이너(pre-liner)"를 부착하는 것이다. 예비-라이너는, 바람직하게는 스킨 층 물질과 동일한 조성 및 폭을 갖고, 분리 장치를 통해 안내될 때 당김 롤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져서 당김 롤이 당기는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조각이다. 폴리(비닐 부티랄) 중간층의 경우, 예비-라이너는 용융 또는 접착(gluing)을 통해 스킨 층 물질에 부착될 수 있다. 예비-라이너, 다층 중간층 및 예비-라이너에 적절한 양의 열 및 압력을 가하는 열 밀봉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2개의 예비-라이너는 각각의 스킨 층 상에 하나의 예비-라이너씩 상기 다층 시트에 부착될 수 있다. 너무 많은 열 또는 압력이 가해지면, 분리가 방해될 것이다. 열 또는 압력이 너무 적게 가해지면, 예비-라이너가 스킨 층 표면으로부터 방출되고, 개시가 실패한다.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예비-라이너 표면을 스킨 층 표면과 융합하는 대신, 적절한 용매를 예비-라이너 또는 다층 스킨의 표면에 적용한 후, 이들 두 표면을 함께 눌러서 용매를 증발시키거나 물질 내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시를 성공하려면, 예비-라이너를 다층 시트의 말단에 충분히 가깝게 부착해야 한다. 분리 과정을 개시하기 위해 다른 수단과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속 공정의 성공적 개시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힘과 함께 진공을 사용하여, 스킨 표면에 당김 레버를 부착할 수 있다.
정상 상태에 도달하면, 다층 중간층 시트가 다음과 같이 상기 장치를 통해 이동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시트는 권출 장치(1) 및 임의적 엣지 다듬기 장치(2)로부터 권출되고, 이어서 제1 위치-선정 롤(4)에 도달하기 전에 주위 온도에서 장력 롤(3)을 통과한다. 임의적 냉각(4)을 갖는 제1 위치-선정 롤은, 상기 시트의 표면을 예를 들어 약 15℃ 내지 약 30℃, 또는 20℃ 내지 25℃의 온도로 만들기 위해, 예를 들어 대략 주위 온도, 또는 수도꼭지로부터 나오는 온도, 또는 약 10℃ 내지 약 30℃, 또는 15℃ 내지 약 30℃로 냉각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시트는, 열 에너지원에 가장 가까운 시트 표면을 약 35℃ 내지 약 80℃, 또는 43℃ 내지 75℃, 또는 45℃ 내지 65℃, 또는 본원의 다른 곳에 기술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장치(5),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롤과 접촉한다.
상기 시트가 가열 장치 (5)에 의해 가열된 후, 이어서 상기 시트는 제1 위치-선정 롤로부터, 가열 장치(5) 또는 가열 장치(5)의 주요 열 에너지원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임의적 냉각을 갖는 제2 위치-선정 롤(6)로 이송된다. 제2 위치-선정 롤(6)은, 상기 시트의 표면이 약 5℃ 내지 약 40℃, 또는 10℃ 내지 30℃, 또는 12℃ 내지 35℃의 온도를 갖도록,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위치-선정 롤(6)과 접촉하는 시트의 표면은 5℃ 이상, 또는 10℃ 이상, 또는12℃ 이상, 또는 15℃ 이상 약 40℃ 이하, 또는 35℃ 이하, 또는 3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시트가 제2 위치-선정 롤(6)을 통과한 후, 전술된 바와 같은 배향으로, 스킨 층을 위한 제1 당김 롤(7)에 의해 상기 제1 층이 당겨지고 나머지 부분 당김 롤(8)에 의해 상기 시트의 나머지 부분이 당겨짐으로써, 상기 다층 시트가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기계적 분리는, 언급된 바와 같이, 시동 동안 시작되며, 이 후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연속 작업 동안 상기 두 층이 깨끗하게 계속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기계적 분리 후 시트 주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나의 양태에서, 스킨 층을 위한 제1 층 당김 롤(7)과 코어-스킨 2층을 위한 나머지 부분 당김 롤(8) 사이의 거리(상기 두 롤(7, 8)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됨)는, 가공될 시트의 폭의 약 30% 미만이다. 상기 수치가 25% 미만, 또는 20% 미만, 또는 15% 미만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중요한 양태에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는, 예를 들어 스킨/코어/스킨 단면을 갖는 다층 PVB 중간층을 포함한다. 특정 PVB 중간층이 방금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중간층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이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포함하는 경우, PVB 수지는, 산 촉매의 존재 하에 폴리비닐 알코올("PVOH")을 부티르알데하이드와 반응시키고 수지를 분리하고 안정화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공지된 아세탈화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아세탈화 공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282,057호 및 제2,282,026호 및 문헌[Vinyl Acetal Polymer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 Technology, 3rd edition, Volume 8, pages 381-399, by B.E. Wade (2003)]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 및 문헌의 전체 개시내용을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수지는, 예를 들어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Eastman Chemical Company)의 전액 출자 자회사인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Solutia Inc.)로부터의 부트바르(Butvar)(등록상표) 수지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시판된다.
본원에서 PVB 중 "잔류 하이드록실 함량"(중량 기준으로 %비닐 알코올 또는 %PVOH로서 계산됨)은, 가공이 완료된 후 중합체 쇄 상에 남아 있는 하이드록실 기의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PVB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폴리(비닐 알코올)로 가수분해하고 이어서 PVOH를 부티르알데하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가수분해하는 공정에서, 전형적으로 아세테이트 측부 기 전부가 하이드록실 기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티르알데하이드와의 반응이 전형적으로, 모든 하이드록실 기를 아세탈 기로 전환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임의의 완성된 PVB 수지에는, 전형적으로 잔류 아세테이트 기(비닐 아세테이트 기로서) 및 잔류 하이드록실 기(비닐 하이드록실 기로서)가 중합체 쇄의 측부 기로서 존재할 것이다. 본원에서 잔류 하이드록실 함량 및 잔류 아세테이트 함량은 ASTM D1396에 따라 중량%(wt.%) 기준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PVB 수지는, 저각 레이저 광 산란을 이용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 시, 전형적으로 50,000 달톤 초과 500,000 달톤 미만, 또는 약 50,000 내지 약 500,000 달톤, 또는 약 70,000 내지 약 500,000 달톤, 또는 약 100,000 내지 약 425,000 달톤의 분자량을 가진다. 본원에서 "분자량"이라는 용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유리에 대한 중간층 시트의 접착성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접착 조절제("ACA")가 본 발명의 중간층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간층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간층은 수지 100부당 약 0.003 내지 약 0.15부의 ACA; 수지 100부당 약 0.01 내지 약 0.10부의 ACA; 또는 수지 100부당 약 0.01 내지 약 0.04부의 AC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ACA는, 비제한적으로, 미국 특허 제5,728,472호(이의 전체 개시내용을 본원에 참조로 인용함)에 개시된 ACA, 잔량의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비스(2-에틸 부티레이트), 및/또는 마그네슘 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한다.
최종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중간층에 특정한 추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첨가제가 상기 중간층에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비제한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첨가제들 중에, 염료, 안료, 안정화제(예컨대, 자외선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난연제, IR 흡수제 또는 차단제(예컨대, 인듐 주석 옥사이드, 안티몬 주석 옥사이드, 란타늄 헥사보라이드(예컨대, LaB6) 및 세슘 텅스텐 옥사이드), 가공 보조제, 유동성 향상 첨가제, 윤활제, 충격 보강제, 핵형성제, 열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커플링제, 접착제, 프라이머, 강화 첨가제 및 충전제를 포함한다.
기술된 실시양태는 중합체 수지가 PVB인 것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는, 상기 중합체가 다중 층 패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중합체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인 중합체는, 비제한적으로, 폴리비닐 아세탈(PVA), 예컨대 폴리(비닐 부티랄)(PVB) 또는 이성질체 폴리(비닐 이소부티랄)(PVisoB), 폴리우레탄 (PU),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부틸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에폭시 수지, 임의의 전술된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유도된 산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카복실산 공중합체 및 이의 이오노머, 및 전술된 것들의 조합물 등을 포함한다. PVB 및 이의 이성질체성 중합체 PVisoB,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우레탄이 일반적으로 중간층에 특히 유용한 중합체이고, PVB(및 이의 이성질체성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중간층은 다층 중간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층 중간층은 PVB//PVisoB//PV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는 PVB//PVC//PVB 또는 PVB//PU//PVB를 포함한다. 다른 예는 PVC//PVB//PVC 또는 PU//PVB//PU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킨 층과 상기 코어 층은 모두, 동일하거나 상이한 출발 PVB 수지를 사용한 PVB일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제1 층 또는 스킨 층은,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45℃, 또는 25℃ 내지 40℃, 또는 28℃ 내지 35℃의 Tg를 갖는 PVB 중합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폴리(비닐 부티랄)의 Tg는 약 20℃ 이상, 또는 25℃ 이상, 또는 28℃ 이상 약 45℃ 이하, 또는 40℃ 이하, 또는 35℃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제1 층에 인접한 층의 Tg는 상기 제1 층의 Tg 보다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0℃ 더 낮을 수 있다.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본원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되는 성분의 양, 특성, 예컨대 분자량,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하기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제시되는 수치 매개변수는, 본 발명에 의해 수득하고자 하는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치이다. 적어도, 각각의 수치 매개변수는, 보고된 유효 자릿수의 개수에 비추어 및 통상적인 반올림 기술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 및 청구 범위에 언급되는 범위는 단지 끝값(들)만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전체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0 내지 10으로 언급된 범위는, 0과 10 사이의 모든 정수(예컨대, 1, 2, 3, 4 등), 0과 10 사이의 모든 소수(예컨대, 1.5, 2.3, 4.57, 6.1113 등) 및 끝값 0 및 10을 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넓은 범위를 개시하는 수치 범위 및 매개변수가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수치 값은 측정 방법의 관점에서 정확하게 보고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임의의 수치 값은, 이의 각각의 시험 측정에서 확인되는 표준 편차로부터 필수적으로 기인하는 특정 오차를 본질적으로 내포한다.
하나 이상의 공정 단계에 대한 언급이, 언급된 단계들의 조합 이전 또는 이후의 추가의 공정 단계의 존재 또는 명시적으로 식별된 이들 단계 사이의 중간 공정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공정 단계, 성분, 또는 글자, 수치 등을 사용하여 본원에서 개시되고 청구되는 정보의 명명은, 별개의 활동 또는 성분을 식별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이며, 인용된 글자는,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확히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n 알코올 등가물에 대한 언급은, 여러 유형의 Cn 알코올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하나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일부"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문맥상 명확히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다른 단수의 사용이 복수의 지시대상을 배제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하나의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와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문맥상 명확히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다른 위치에서의 상기 언어의 부재가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항목의 목록에 사용되는 경우, 열거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열거된 항목들 중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성분 A, B, 및/또는 C를 함유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의 조합; A와 C의 조합; B와 C의 조합;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의 실시양태의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포함되며, 달리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12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25 m/분,
엣지 다듬기: 없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38℃,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15%,
α = 60°,
β = 120°,
γ = 180°.
시트의 인열 없이 작업은 안정적이었다. 분리 경계면은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스킨 층은 주름지지 않았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38 내지 1.14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쐐기형(wedge)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5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10 m/분,
엣지 다듬기: 있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35℃,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30%,
α = 90°,
β = 120°,
γ = 150°.
시트의 인열 없이 작업은 안정적이었다. 분리 경계면은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스킨 층은 주름지지 않았다.
실시예 3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스킨들 중 하나에 24 cm의 구배 폭 밴드(gradient wide band)를 포함하고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5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10 m/분,
엣지 다듬기: 없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35℃,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30%,
α = 90°,
β = 150°,
γ = 120°.
시트의 인열 없이 작업은 안정적이었다. 분리 경계면은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스킨 층은 주름지지 않았다.
실시예 4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10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24 m/분,
엣지 다듬기: 없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45℃,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15%,
α = 80°,
β = 180°,
γ = 100°.
시트의 인열 없이 작업은 안정적이었다. 분리 경계면은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스킨 층은 주름지지 않았다.
실시예 5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2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5 m/분,
엣지 다듬기: 있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40℃,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15 %.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조건에 따라, α로 전술된 각도가 β로 전술된 각도보다 크도록, 각도를 변경하였다:
α = 120°,
β = 60°,
γ = 180°.
작업은 안정적이었지만, α로 정의된 각도가 β로 정의된 각도보다 컸기 때문에. 전술된 2층 수집 장치 내로 스킨 층이 들어갔다.
실시예 6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4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2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5 m/분,
엣지 다듬기: 있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38℃,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15%.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조건에 따라, α로 전술된 각도가 β로 전술된 각도보다 크도록, 각도를 변경하였다:
α = 120°,
β = 90°,
γ = 150°.
스킨 층을 스킨 층 수집 장치로 올바르게 유도하려는 시도로 인해, 코어 층이 자주 측면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불안정하였다. 제1 스킨 층이 목적하는 스킨 층 수집 장치로 일관되게 들어가는 정상 상태를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7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2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5 m/분,
엣지 다듬기: 있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20℃,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15%,
α = 90°,
β = 120°,
γ = 150°.
시트 엣지로부터 시작되는 산발적인 시트 인열로 인해 작업이 그다지 안정적이지 않았으며, 낮은 온도로 인해 코어 층이 자주 측면으로 이동하였다.
실시예 8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0.4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2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5 m/분,
엣지 다듬기: 없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38℃,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70%,
α = 90°,
β = 120°,
γ = 150°.
작업이 확립될 수 있었으나, 더 높은 Ψ 값으로 인해, 분리된 제1 스킨은 스킨 층 수집부로 갈수록 많은 주름을 가졌다.
실시예 9
도 2에 도시된 기계적 분리 장치를, 시트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0.813 mm의 두께를 갖는 1.2 m 폭의 편평한 3층 PVB 중간층 시트의 스킨 층과 코어-스킨 2층을 하기 조건 하에 기계적으로 분리하도록 조작하였다:
권출 속도: 2 m/분,
제1 스킨 당김 롤 속도(분리 속도): 5 m/분,
엣지 다듬기: 있음,
어닐링 장치 출구에서의 시트 온도: 75℃,
Ψ[2개의 당김 롤 사이의 거리/시트 폭]: 30%,
α = 90°,
β = 120°,
γ = 150°.
최적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인해, 빈번한 시트 인열과 함께 작업이 불안정하였다. 안정된 상태를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10a 내지 10c. 매끄러운 표면과 거친 표면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실시예 10a
엠보싱된 스킨을 갖는 다층 PVB 시트를 손으로 분리하였고, 이는 분리 후 1시간 이내에 하기 특성을 가졌다:
거친 표면: Rz = 40.8,
매끄러운 (내부) 표면: Rz = 1.2.
실시예 10b
압출 동안 용융 파단된 스킨을 갖는 다층 PVB 시트를 손으로 분리하였고, 이는 분리 후 1시간 이내에 하기 특성을 가졌다:
거친 표면: Rz = 14.6,
분리된 스킨 내부: Rz = 1.3.
실시예 10c
압출 동안 용융 파단된 스킨을 갖는 다층 PVB 시트를 손으로 분리하였고, 이는 분리 후 1시간 이내에 하기 특성을 가졌다:
거친 외부 스킨: Rz = 64.9,
매끄러운 내부 표면: Rz = 2.3.

Claims (16)

  1.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는 연속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및
    (b)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 방법 동안,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 β보다 작거나 같은, 연속 방법.
  2.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1 층을 분리하는 연속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를 약 25℃ 내지 약 7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b) 이 후,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되게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층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도 α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에 의해 정의되고,
    각도 β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와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각도 γ가, 분리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층과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이때 하기 관계식이 충족되고:
    β/α ≥ 1,
    30° ≤ γ ≤ 180°,
    α + β + γ = 360°;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상기 배향이 유지되는, 연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가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가 약 25℃ 내지 약 7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연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법 동안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작은, 연속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50° 더 작은, 연속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α가 상기 각도 β보다 약 30° 내지 약 75° 더 작은, 연속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약 25℃ 내지 약 40℃의 Tg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가 3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되는, 연속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층의 Tg 보다 적어도 15℃ 더 낮은 Tg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속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층이 제1 층 당김 롤(first layer pull-roll)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나머지 부분이 나머지 부분 당김 롤(remainder pull-roll)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50% 미만으로 유지되는, 연속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층 당김 롤과 상기 나머지 부분 당김 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폭의 약 15% 미만인, 연속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가, 양쪽에 스킨(skin) 층을 갖는 코어(core) 층을 포함하는, 연속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제1 말단이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제2 말단보다 두껍고, 이들 말단은 기계 방향을 가로질러 정의되는, 연속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제1 스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 층이 나머지 스킨 층보다 두꺼운, 연속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제1 스킨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 층이 나머지 스킨 층보다 얇은, 연속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제1 말단이 상기 다층 중간층 시트의 제2 말단보다 두꺼운, 연속 방법.
KR1020237044839A 2021-05-28 2022-05-10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14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4295P 2021-05-28 2021-05-28
US63/194,295 2021-05-28
US202263320735P 2022-03-17 2022-03-17
US63/320,735 2022-03-17
PCT/US2022/028425 WO2022250944A2 (en) 2021-05-28 2022-05-10 Methods and devices for mechanical separation of multilayer interlay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070A true KR20240014070A (ko) 2024-01-31

Family

ID=8216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839A KR20240014070A (ko) 2021-05-28 2022-05-10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7262A2 (ko)
KR (1) KR20240014070A (ko)
CN (1) CN117440890A (ko)
WO (2) WO20222509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3285A2 (en) 2022-09-28 2024-04-04 Soluti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echanical separation of multilayer tapered interlayer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2026A (en) 1939-04-29 1942-05-05 Du Pont Treatment of polyvinyl acetal resins
US2282057A (en) 1939-04-29 1942-05-05 Du Pont Purification and stabilization of polyvinyl acetal resins
US3779993A (en) 1970-02-27 1973-12-18 Eastman Kodak Co Polyesters and polyesteramides containing ether groups and sulfonate groups in the form of a metallic salt
JPS5684954A (en) * 1979-12-12 1981-07-10 Azona Kk Filmmpaper laminate and its manufacture
US4281980A (en) 1980-01-18 1981-08-04 Monsanto Company Expansion deformable extrusion die blade
US4304901A (en) 1980-04-28 1981-12-08 Eastman Kodak Company Water dissipatable polyesters
US4575540A (en) 1984-12-21 1986-03-11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roughness control
US5294514A (en) 1992-03-27 1994-03-15 Eastman Kodak Company Vacuum roll separation system for photographic paper
US5674479A (en) 1993-06-25 1997-10-07 Eastman Chemical Company Clear aerosol hair spray formulations containing a linear sulfopolyester in a hydroalcoholic liquid vehicle
US5425977A (en) 1993-08-16 1995-06-20 Monsanto Company Rough-surfaced interlayer
US6077374A (en) 1993-08-16 2000-06-20 Monsanto Method of preparing prelaminate using rough-surfaced interlayer
US5543488A (en) 1994-07-29 1996-08-06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dhesive composition and process
US5455103A (en) 1994-01-24 1995-10-03 Monsanto Company Rough-surfaced interlayer
US5520776A (en) * 1994-05-10 1996-05-28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aminating a laminate
US5570605A (en) 1994-09-13 1996-11-0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assembly for tractors
CA2162243A1 (en) 1994-11-07 1996-05-08 Jiro Miyai Interlayer film and laminated glass using the same
US5728472A (en) 1996-11-14 1998-03-17 Monsanto Company Control of adhesion of polyvinyl butyral sheet to glass
BE1011277A3 (fr) 1997-07-11 1999-07-06 Solvay Procede de separation de constituants d'un materiau multitouche.
US6211309B1 (en) 1998-06-29 2001-04-03 Basf Corporation Water-dispersable materials
US6171685B1 (en) 1999-11-26 2001-01-09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films and fibers based on sulfopolyesters
US6428900B1 (en) 2000-03-09 2002-08-06 Ato Findley, Inc. Sulfonated copolyester based water-dispersible hot melt adhesive
JP4205889B2 (ja) * 2002-04-26 2009-01-07 株式会社カネカ 耐熱性フレキシブル積層板の製造方法
ATE422408T1 (de) * 2006-04-03 2009-02-15 Kuraray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inseitig geprägten folie auf basis von teilacetalisiertem polyvinylalkohol
US20080254302A1 (en) * 2007-04-13 2008-10-16 David Paul Bourcier Multiple layer polymer interlayers having a melt fractured surface
KR101625250B1 (ko) * 2008-09-30 2016-05-2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박리 방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필름 박리 기구 및 광학 필름 제조 장치
EP2969519B1 (en) * 2013-03-15 2018-09-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bel matrix stripping
US10654222B2 (en) * 2015-06-26 2020-05-19 Kaneka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ingle-sided metal-clad laminate
JP6731301B2 (ja) 2016-07-21 2020-07-29 株式会社沖データ 剥離装置
JP7134957B2 (ja) 2017-06-08 2022-09-12 クラレイ ユーロッ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再利用方法
JP7374888B2 (ja) * 2018-04-19 2023-11-07 クラレイ ユーロッ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7262A2 (en) 2024-04-10
WO2022250944A2 (en) 2022-12-01
WO2022250944A3 (en) 2023-01-05
CN117440890A (zh) 2024-01-23
WO2022250945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0200C (zh) 用于生产热塑性树脂的连续层压片材的装置和方法
US4735669A (en) Rolling of metallic foil and plastics resin film laminates
EP1042120B1 (en) Interlayer structure for laminated glass
EP0010895B1 (en) Method of making laminates of thermoplastic polymers by a single-channel coextrusion process and melt injector block for use therein
KR20240014070A (ko) 다층 중간층의 기계적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1725399B1 (en) Adhesive sheet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4210112B2 (ja) 多層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162299B2 (ja) 合成樹脂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EP2276630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in polymer film
EP1194291B1 (en) Interlayer composite structure for laminated glass with controlled bonding between the layers and th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interlayer structure
JPH0125355B2 (ko)
JP4048283B2 (ja) 熱可塑性樹脂連続貼合シートの製造装置
JP3192793B2 (ja) 熱可塑性樹脂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
JP4423713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アクリル系樹脂板の製造法
WO2024073285A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echanical separation of multilayer tapered interlayers
JP5410324B2 (ja) 低伸縮性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3024458B2 (ja) 熱可塑性樹脂積層板の製造方法
JP3939004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アクリル系樹脂板の製造方法
JP2736207B2 (ja)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H0564869A (ja) 金属・樹脂複合板の連続的製造方法
JPS62271721A (ja) 積層物の製造方法
JP2000167988A (ja) 安全ガラス及び防火安全ガラス
JP3016678B2 (ja) 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工程紙の製造法
JPH10278143A (ja) 熱可塑性樹脂積層体
JPS6213897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