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990A -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990A
KR20240013990A KR1020220091187A KR20220091187A KR20240013990A KR 20240013990 A KR20240013990 A KR 20240013990A KR 1020220091187 A KR1020220091187 A KR 1020220091187A KR 20220091187 A KR20220091187 A KR 20220091187A KR 20240013990 A KR20240013990 A KR 2024001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lit
air
window system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성
최현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어스
Priority to KR102022009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990A/ko
Publication of KR2024001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제1슬릿과 제2슬릿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유통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되고 광촉매물질을 활성화시키는 광원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에서 제1슬릿과 제2슬릿 사이의 공기 유통경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통시키는 블로워가 설치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된 도어; 및 광원과 블로워를 제어하여 실외로부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도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실내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Smart space purification window system}
본 발명은 건물의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여 환기가 가능하고, 환기를 위해 도입하는 공기를 광촉매로 정화하여 실내에 토출함으로써 개끗한 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실내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공기의 공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거나 또는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여 환기를 필요가 있다. 실내의 공기를 개선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하는 공기청정기 제품들은 이미 시장에 다양하게 소개되고 판매가 되고 있다.
다만, 절대적인 공기질을 개선하고, 특히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산소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최근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특히 도심지역에의 경우에는 창문을 열 경우 오히려 좋지 못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창문을 자주 개방하는 것이 어렵고, 실내에는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건강에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를 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를 도입할 경우에도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였고, 그러한 기구들이 현재의 건물 구조의 변경이 없이 쉽고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325618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창문이나 출입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며, 도입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도입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은, 내부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실외를 향하는 측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제1슬릿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측에서 제1슬릿의 반대측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제2슬릿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유통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되고 광촉매물질을 활성화시키는 광원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에서 제1슬릿과 제2슬릿 사이의 공기 유통경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통시키는 블로워가 설치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된 도어; 및 광원과 블로워를 제어하여 실외로부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도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실내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하부멤버, 하부멤버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부멤버 및 측부멤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멤버로 구성되고, 제1슬릿은 하부멤버에서 실외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며 제2슬릿은 상부멤버에서 실내를 향하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릿과 제2슬릿은 각각 하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릿을 통해 실외공기가 하부멤버로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분할되어 양측의 측부멤버를 통해 상승되며, 상부멤버에서 다시 합류되어 제2슬릿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블로워는 하부멤버와 측부멤버의 연결지점 및 측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연결지점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측부멤버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격벽을 통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나뉘어지고, 제1공간 하단과 제2공간 상단에 각각 블로워가 마련되며, 제1공간 하단의 블로워는 하부멤버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제2공간으로 공급하며, 제2공간 상단의 블로워는 제2공간의 공기를 상부멤버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은 프레임의 실내를 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내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실내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광원과 블로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는 실내센서의 측정 결과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블로워만 가동하고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블로워와 광원을 모두 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에 따르면, 창문이나 출입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며, 도입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도입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창문에 별도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지 않고 기존의 창호 프레임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도입하기 때문에 실내외 인테리어의 훼손이 없고, 창문을 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필요 없으며, 소형의 블로워와 광원의 가동만이 필요하여 소모전력이 저감되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스마트한 공기 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실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측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실내센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실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실내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실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을 실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은, 내부공간(I)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실외를 향하는 측에 내부공간(I)과 연결된 제1슬릿(1110)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측에서 제1슬릿(1110)의 반대측에 내부공간(I)과 연결된 제2슬릿(1310)이 형성되며, 내부공간(I)을 이루는 내측면에 유통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되고 광촉매물질을 활성화시키는 광원(L)이 설치되며, 내부공간(I)에서 제1슬릿(1110)과 제2슬릿(1310) 사이의 공기 유통경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통시키는 블로워(B1,B2)가 설치된 프레임(1000); 프레임(1000)에 실링(W)을 통해 설치된 도어(2000); 및 광원(L)과 블로워(B1,B2)를 제어하여 실외로부터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I)에 도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실내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어기(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창호시스템은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시스템과 같이 창틀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 또는 슬라이딩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창호시스템은 창문과 출입문 등 다양한 도어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창호시스템은 이러한 종래의 도어 구조에서의 변화가 없이 프레임의 내부구조를 독특하게 함으로써 외관상 종래의 창호시스템과 큰 차이가 없어 건물의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디자인의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1000)은 일반적인 프레임들과 같이 하부멤버(1100), 하부멤버(1100)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부멤버(1200) 및 측부멤버(12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멤버(1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별히 이러한 사각형의 프레임에만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의 프레임이나 타원형의 프레임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000)에는 내부공간(I)이 형성되고, 내부공간(I)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기존에는 이러한 내부공간을 밀폐하여 단열을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기 유로로 활용한다.
그리고 프레임(1000)은 실외를 향하는 측과 실내를 향하는 측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실외란 건물의 외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정화의 대상이 되는 공간의 외부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프레임(1000)의 실외를 향하는 측에는 프레임 내부의 내부공간(I)과 연결되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제1슬릿(1110)이 형성된다. 제1슬릿(111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I)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슬릿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홀 형상이며, 제1슬릿(1110)에는 필터 등이 설치되어 1차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링된 후 프레임에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필터는 물리적인 걸림구조 또는 접착 또는 자력 등을 통하여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1000)의 실내를 향하는 측에서는 제1슬릿(1110)의 반대측에 내부공간(I)과 연결된 제2슬릿(1310)이 형성된다. 도 2는 실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써, 여기서 실내란 공기정화의 대상이 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제2슬릿(1310)은 제1슬릿(1110)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즉, 도 1과 같이 제1슬릿(1110)이 프레임(1000)의 하부에 형성된다면, 제2슬릿(1310)은 도 2와 같이 프레임(10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슬릿(1110)과 제2슬릿(1310)의 상하 위치는 도시된 것과 달리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슬릿(1110)과 제2슬릿(131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1000)의 내부를 통해 유통되는 공기의 유로를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외부의 공기가 프레임(1000)의 하부를 통해 도입된 후 측부를 통해 상승하고, 다시 상부에서 실내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000)의 전체 내부공간(I)을 모두 유로로 활용할 수 있고, 유로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여 정화 효율을 최대한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I)을 이루는 내측면에는 유통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된다. 광촉매물질은 다양하게 공개된 물질들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TiO2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물질은 슬러리 형태로 혼합하여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도포하고 코팅하도록 함으로서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I)을 흐르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한다. 광촉매물질은 특정한 파장의 빛에 의해 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접촉하는 공기의 질산화물 내지 탄화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질소 또는 탄소와 물을 생성한다.
따라서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은 어두운 환경에 해당할 것이고, 그에 따라 광촉매물질을 활성화하기 위한 빛이 필요한바, 광촉매물질을 활성화시키는 광원(L)이 프레임(10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레임(1000)의 내부에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해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I)에서 제1슬릿(1110)과 제2슬릿(1310) 사이의 공기 유통경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통시키는 블로워(B1,B2)가 설치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창호와 같이 프레임에는 도어가 실링(W)을 통해 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기(C)가 프레임(1000)에 설치되며, 제어기(C)는 광원(L)과 블로워(B1,B2)를 제어하여 실외로부터 프레임(1000)의 내부공간(I)에 도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실내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에 따르면, 창문이나 출입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며, 도입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도입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창문에 별도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지 않고 기존의 창호 프레임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도입하기 때문에 실내외 인테리어의 훼손이 없고, 창문을 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필요 없으며, 소형의 블로워와 광원의 가동만이 필요하여 소모전력이 저감되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스마트한 공기 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0)은 하부멤버(1100), 하부멤버(1100)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부멤버(1200) 및 측부멤버(12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멤버(1300)로 구성되고, 제1슬릿(1110)은 하부멤버(1100)에서 실외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며 제2슬릿(1310)은 상부멤버(1300)에서 실내를 향하는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레임(1000)을 통한 공기유로를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슬릿(1110)과 제2슬릿(1310)은 각각 하부멤버(1100)와 상부멤버(13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0)의 양 측방의 측부멤버(1200)를 모두 공기유로로 확보함으로써 정화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키고 프레임(1000)의 모든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제1슬릿(1110)과 제2슬릿(1310)은 각각 하부멤버(1100)와 상부멤버(1300)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공기를 도입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슬릿(1110)을 통해 실외공기가 하부멤버(1100)로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분할되어 양측의 측부멤버(1200)를 통해 상승되며, 상부멤버(1300)에서 다시 합류되어 제2슬릿(131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블로워(B1,B2)는 하부멤버(1100)와 측부멤버(1200)의 연결지점 및 측부멤버(1200)와 상부멤버(1300)의 연결지점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00)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이며, 그와 같은 프레임의 경우 사각형의 꼭지점에서 유로의 방향이 전환되는바, 전환되는 지점에 블로워(B1,B2)를 마련하여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며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로워는 회전축으로 도입하고 원주 방향으로 토출하는 타입의 블로워의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5와 같이 측부멤버(1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격벽(1203)을 통해 제1공간(1202)과 제2공간(1204)으로 나뉘어지고, 제1공간(1202) 하단과 제2공간(1204) 상단에 각각 블로워(B1,B2)가 마련되며, 제1공간 하단의 블로워(B1)는 하부멤버(1100)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제2공간(1204)으로 공급하며, 제2공간 상단의 블로워(B2)는 제2공간(1204)의 공기를 상부멤버(1300)로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의 공기는 먼저 도 4와 같이 제1슬릿(1110)을 통하여 하부멤버(1100)로 도입된다. 도입된 공기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유동하며, 하부멤버(1100)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L)에 의해 내벽의 광촉매물질이 활성화되고 흐르는 공기를 정화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공기는 양 측방에 위치된 측부멤버(1200)를 통해 상승한다. 이를 위해 제1공간 하단의 블로워(B1)가 가동되고 이를 통해 공기는 제2공간(1204)으로 도입된다. 그리고 제2공간(1204)의 내부는 광원(L)과 광촉매물질을 통해 재차 정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공간 상단의 블로워(B2)는 도 6과 같이 공기를 상부멤버(1300)의 양측에서 공급하고, 공기는 상부멤버(1300)의 내부에서 광원(L)과 광촉매물질을 통해 재차 정화가 된 후 제2슬릿(131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은 도 7과 같이 프레임(1000)의 실내를 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내센서(S)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기(C)는 실내센서(S)의 측정 결과에 따라 광원(L)과 블로워(B1,B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C)는 실내센서(S)의 측정 결과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블로워(B1,B2)만 가동하고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블로워(B1,B2)와 광원(L)을 모두 가동할 수 있다.
즉, 실내센서(S)의 측정결과 이산화탄소가 농후한 경우에는 단순 환기를 위해 블로워(B1,B2)만을 가동할 수 있다. 또는 공기를 정화한 시점이 얼마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순 환기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최초에는 단순 환기만을 수행하고, 그 결과 실내센서(S)의 측정결과가 개선이 되지 않거나 또는 질산화물이 높게 검출되거나 하는 등 더 높은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광원(L)을 작동시킴으로써 광촉매물질을 활성화하여 환기와 정화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어기(C)가 실내의 통신장치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실외에서도 사용자는 실내의 정화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체 건물의 정화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0 : 프레임
1100 : 하부멤버
1200 : 측부멤버
1300 : 상부멤버

Claims (8)

  1. 내부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실외를 향하는 측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제1슬릿이 형성되고, 실내를 향하는 측에서 제1슬릿의 반대측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제2슬릿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유통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물질이 코팅되고 광촉매물질을 활성화시키는 광원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에서 제1슬릿과 제2슬릿 사이의 공기 유통경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통시키는 블로워가 설치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된 도어; 및
    광원과 블로워를 제어하여 실외로부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도입된 공기를 정화한 후 실내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은 하부멤버, 하부멤버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부멤버 및 측부멤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멤버로 구성되고, 제1슬릿은 하부멤버에서 실외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며 제2슬릿은 상부멤버에서 실내를 향하는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슬릿과 제2슬릿은 각각 하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슬릿을 통해 실외공기가 하부멤버로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분할되어 양측의 측부멤버를 통해 상승되며, 상부멤버에서 다시 합류되어 제2슬릿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블로워는 하부멤버와 측부멤버의 연결지점 및 측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연결지점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측부멤버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격벽을 통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나뉘어지고, 제1공간 하단과 제2공간 상단에 각각 블로워가 마련되며, 제1공간 하단의 블로워는 하부멤버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제2공간으로 공급하며, 제2공간 상단의 블로워는 제2공간의 공기를 상부멤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의 실내를 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내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실내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광원과 블로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어기는 실내센서의 측정 결과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블로워만 가동하고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블로워와 광원을 모두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KR1020220091187A 2022-07-22 2022-07-22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KR20240013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87A KR20240013990A (ko) 2022-07-22 2022-07-22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87A KR20240013990A (ko) 2022-07-22 2022-07-22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990A true KR20240013990A (ko) 2024-01-31

Family

ID=8971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187A KR20240013990A (ko) 2022-07-22 2022-07-22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9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618B1 (ko) 2021-02-02 2021-11-15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반응 공기 정화 열교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618B1 (ko) 2021-02-02 2021-11-15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반응 공기 정화 열교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6134B (zh) 室内空气质量智能控制系统
KR101878551B1 (ko) 창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CN208398246U (zh) 可除甲醛的空气净化器
CN104848428A (zh) 智能双循环新风空气净化方法及净化机
CN105604463A (zh) 多功能空气净化门
KR102173485B1 (ko) 출입공간의 조명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13990A (ko) 스마트 공간정화 창호시스템
KR102325618B1 (ko) 광촉매 반응 공기 정화 열교환 환기장치
CN113587218A (zh) 一种空调系统及空调用空气净化控制方法
CN105570998A (zh) 一种新风、空气净化两用系统
CN207610340U (zh) 一种进风装置及新风系统
CN112413774A (zh) 单风机实现进风、排风和内循环转换的新风机
CN205037456U (zh) 一种新风、空气净化两用系统
KR20080047112A (ko) 공기정화용 창호
KR102642362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CN207610323U (zh) 带内循环功能的新风机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20200056730A (ko) 공기정화시스템
KR200424327Y1 (ko) 환기장치
KR20080047121A (ko) 공기정화용 이중창
KR102630811B1 (ko) 외기의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창문형 복합기
CN211575393U (zh) 一种带内循环和混风的单向流新风净化机
CN203550110U (zh) 新风和内循环的空气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