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873A -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873A
KR20240013873A KR1020220091410A KR20220091410A KR20240013873A KR 20240013873 A KR20240013873 A KR 20240013873A KR 1020220091410 A KR1020220091410 A KR 1020220091410A KR 20220091410 A KR20220091410 A KR 20220091410A KR 20240013873 A KR20240013873 A KR 2024001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swab
collection device
reagent
sample collection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우
Original Assignee
한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우 filed Critical 한승우
Priority to KR102022009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873A/ko
Publication of KR2024001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 검체 채취 기구는 선단에 면봉 출입구(14)가 형성되고 후단에 밀대 출입구(12)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겉통(11)과, 상기 밀대 출입구(12)를 통해 상기 겉통(11) 내부로 들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선단에 면봉 고정을 위한 면봉 홀더(19)를 가지는 밀대(15)를 포함하고, 상기 밀대(15)의 전진으로 상기 면봉 홀더(19)에 끼워진 면봉(20)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밀대(15)가 회전할 때 상기 면봉(20)이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본 발명 위 검체 채취 기구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는 상기 검체 채취 기구를 거꾸로 세워둘 수 있는 시약통과 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시약통의 하단에 노즐이 형성되어, 검체 채취 기구와 시약통의 결합 상태 그대로 노즐을 통해 시약을 하방으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면봉의 돌출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구성품들의 이동이나 오염을 최소화하여 사용편의성이 좋아지고 검사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Specimen collection device and Antibody Diagnostic K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 안쪽의 검체를 채취하는 기구, 진단시약, 검사용 디바이스가 세트로 구성되는 검체 자가 진단 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항원 검사 방식을 이용한 자가 진단 키트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가 진단 키트는 보통 검체용 면봉, 진단시약, 검사용 디바이스가 세트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면봉으로 코 안쪽 점막을 문질러 검체를 채취하고 검체가 묻은 면봉을 진단시약에 담근다. 다음으로, 검체가 희석된 진단시약을 검사용 디바이스에 몇 방울 투입하고 기다린다. 검사용 디바이스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방식에 따라 테스트(T) 라인 또는 컨트롤(C) 라인에 반응 선을 보여준다. 테스트(T) 라인과 컨트롤(C) 라인에 모두 선이 나타나면 양성, 컨트롤(C) 라인에만 선이 나타나면 음성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자가 진단 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검체 채취를 위해 면봉을 코 안쪽으로 1.5cm~ 2cm 정도 깊이 넣어야 하는데 검사자에 따라 정확한 깊이까지 면봉을 넣지 못하여 검체 채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면봉과 시약통을 세워둘 수 없어 검체가 묻은 면봉을 계속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사용 과정에서 시약통이 눕혀지거나 시약이 흐를 위험이 있다. 셋째, 여러 명이 동시에 검사할 때 시약통이 바뀔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32792호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공개일 2021. 11. 05.)
본 발명의 목적은 면봉의 돌출 길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거꾸로 세워둘 수 있는 검체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약통과 지지대가 검체 채취 기구를 지지할 수 있고 검사용 디바이스 사용시 시약통을 뒤집지 않아도 시약 방울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진단 과정 중에 시약통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가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단에 면봉 출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 밀대 출입구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겉통과, 상기 밀대 출입구를 통해 상기 겉통 내부로 들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선단에 면봉 고정을 위한 면봉 홀더를 가지는 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밀대의 전진으로 상기 면봉 홀더에 끼워진 면봉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밀대가 회전할 때 상기 면봉이 함께 회전한다.
상기 겉통의 선단, 상기 면봉 출입구 주변에 밀착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코와 닿을 때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겉통에 상기 면봉의 돌출길이를 알려주는 표시선이 더 표시된다.
상기 밀대의 선단에 상기 겉통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자가 진단 키트는 위와 같은 구성의 검체 채취 기구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검체 채취 기구의 선단에 결합 가능하며 시약이 담기고 하단에 시약을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되는 시약통과, 상기 시약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검체 채취 기구를 거꾸로 세워 상기 시약통에 꽂아두었다가 상기 검체 채취 기구와 시약통의 결합상태 그대로 상기 지지대에서 뽑아 상기 노즐을 통해 시약 방울을 검사용 디바이스에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시약통의 하단에 상기 노즐을 차폐하되 제거할 수 있도록 노즐커버가 더 부착되고, 시약을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밀대를 밀어 상기 시약통 내부의 토출압력을 증가시켜 시약 토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봉의 돌출길이를 쉽게 조절하며 겉통의 표시선을 통해 면봉의 돌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대상자에 따라 면봉의 돌출길이를 달리할 수 있어 성인/아동이 함께 사용할 수 있고, 검사자가 달라져도 면봉의 돌출길이가 일정해서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검체 채취 기구를 시약통에 거꾸로 세워둠과 동시에 면봉을 시약에 담글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각 구성품을 한 곳에 모아둘 수 있어 사용중 분실 위험을 낮추고 동시에 여러 검사를 할 때 구성품간에 섞일 위험을 줄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검체 채취 기구를 시약통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시약통의 노즐을 통해 시약 방울을 떨어뜨릴 수 있다. 즉, 시약을 검사용 디바이스에 떨어뜨리기 위해 시약통을 뒤집거나 검체 채취 기구를 시약통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사용 과정에서 각 구성품의 변형이나 이동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구성품들의 이동이나 조작을 최소화해 검체 오염을 방지하고 기구 조작 실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가 진단 키트를 구성하는 검체 채취 기구와 시약통, 지지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 부품들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검사용 디바이스에 시약을 떨어뜨리는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검체 채취 기구와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자가 진단 키트는 검체 채취 기구, 시약통, 지지대의 세트 구성을 이르는 것인데 여기에 검사용 디바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검체 채취 기구, 시약통, 지지대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검체 채취 기구(10)는 코 안쪽 점막에 있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기구이다. 검체 채취 기구(10)는 크게 겉통(11)과 밀대(15)를 포함한다.
겉통(11)이 검체 채취 기구(10)의 외관을 형성한다. 겉통(11)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후단에 밀대 출입구(12)가 있고 선단에 면봉 출입구(14)가 있다. 겉통(11)의 밀대 출입구(12)를 통해 긴 막대형상의 밀대(15)가 전진 또는 후진한다. 밀대(15)를 누르거나 전진시키면 밀대(15)의 선단에 고정된 면봉(20)이 더 돌출된다. 밀대(15)를 잡아 빼거나 후진시키면 밀대(15)가 뒤로 빠진 만큼 면봉(20)의 돌출 길이가 짧아진다.
겉통(11)의 선단부, 면봉 출입구(14) 주변에는 콧구멍 입구와 닿는 밀착면(13)이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착면(13)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코와 닿을 때 통증을 최소화한다.
밀대(15)는 막대 형상으로 겉통(11)의 밀대 출입구(12)를 통해 겉통(11)의 내부에 들어가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밀대(15)의 선단쪽에 겉통(11)의 내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킹(17)이 구비된다. 그리고 밀대(15)의 최선단에는 면봉 홀더(1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면봉 홀더(19)는 면봉(20)을 수용하며 끼워진 면봉(2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면봉(20)은 검체를 묻히는 부분이다. 면봉(20)이 면봉 홀더(19)에 끼워지면 겉통(11)의 면봉 출입구(14)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다. 밀대(15)를 밀거나 당기면 이에 따라 면봉(20)의 돌출길이가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 겉통(11)에는 면봉(20)의 돌출길이를 알려주는 표시선이 표시되었다. 1.5cm 지점에 밀대(15)의 패킹(17)을 오게 하면 면봉(20)의 돌출길이가 대략 1.5cm이라는 의미이며 검체 대상자가 어린이일 때 주로 사용한다. 2cm 지점에 밀대(15)의 패킹(17)을 오게 하면 면봉(20)의 돌출길이가 대략 2cm 라는 의미이며 검체 대상자가 성인일 때 사용한다. 이처럼 사용 대상자에 따라 밀대(15)를 조절하여 면봉(20)의 돌출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밀대(15)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면 면봉(20)이 함께 회전한다. 이때 면봉(20)의 일단을 꺾어 5° 정도 기울여 주면 면봉(20) 끝부분의 회전반경을 키워 코 점막과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애초에 면봉(20)이 기울기를 가지도록 면봉 홀더(19)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로 밀대(15)의 후단에 타이머(23)를 더 두어 시약에 담가두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검체 채취 기구(10)는 면봉(20)만 교체해가면서 반복사용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보듯이 검체가 끝난 검체 채취 기구(10)를 지지대(50)에 거치 되어 있는 시약통(30)에 거꾸로 세워둘 수 있다. 시약통(30)은 시약을 담고 있는 통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시약통(30)의 상부 구멍을 통해 검체 채취 기구(10)의 선단이 끼워 고정된다. 시약통(30)의 하부에는 시약을 검사용 디바이스(70)에 토출시기 위한 노즐(35)이 형성된다. 사용 전에 노즐(35)이 노즐커버(38)로 차폐되어 있다가 사용시 노즐커버(38)를 벗기면 노즐(35)을 통해 시약이 방울져서 떨어지게 된다. 물론 미사용시 시약통(30)의 상부 구멍도 마개나 커버로 막혀있다.
지지대(50)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시약통(30)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50)에 시약통(30)을 끼워둔 상태에서 시약통(30)의 상부 구멍을 막고 있던 커버를 벗긴 다음 검체가 끝난 검체 채취 기구(10)를 거꾸로 세워둘 수 있다. 이때 면봉(20)이 시약통(30)의 시약에 담기게 되며 면봉(20)으로 채취한 검체가 시약에 혼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 기구(10)와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면봉(20)의 포장을 뜯어 밀대(15)의 면봉 홀더(19)에 끼운다. 밀대(15)와 겉통(11)을 분리할 상태에서 면봉(20)을 면봉 홀더(19)에 끼워도 되고 밀대(15)와 겉통(11)이 결합한 상태에서 면봉 출입구(14)를 통해서 면봉(20)을 넣어 면봉 홀더(19)에 끼울 수도 있다. 이때 면봉(20)의 몸체를 꺾어 면봉(20)을 기울어지게 하여 면봉(20)의 회전반경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밀대(15)를 밀거나 당겨 면봉(20)의 돌출길이를 조절한다. 대략 패킹(l7)의 위치를 겉통(11)의 표시선에 맞추어 돌출길이를 판단한다. 성인이 경우 면봉의 돌출길이가 2cm 정도가 좋다. 어린이의 경우 그보다 짧은 1.5 cm로 맞춘다.
한편, 시약통(30)을 지지대(50)에 꽂아둔다. 이때 시약통(30)의 상부 구멍을 개방시켜둬도 된다. 단 시약통(30)의 노즐커버(38)는 벗기지 않도록 하여 노즐의 차폐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시약통(30)을 준비해 둔 상태에서 검체 채취 기구(10)로 코 점막 안의 검체를 채취한다. 이를 위해 검체 채취 기구(10)의 면봉(20)을 콧구멍 안에 넣는다. 겉통(11)의 밀착면(13)을 콧구멍 입구에 밀착시키면 면봉(20) 끝이 콧 구멍 안의 점막에 닿는다. 이 상태에서 밀대(15)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준다. 그러면 면봉(20)이 꺾여 있어 비교적 큰 회전반경을 그리게 된다. 그래서 면봉(20)과 코 점막과의 접촉을 늘려 코 점막에서의 검체를 충분히 채취할 수 있다.
채취가 끝나면 면봉(20)이 바닥을 향하도록 검체 채취 기구(10)를 거꾸로 세워 시약통(30)에 끼워둔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면봉(20)이 시약에 담기어 면봉(20)에 묻은 검체가 시약에 희석된다. 검체와 시약의 희석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밀대(15)에 구비된 타이머(23)를 동작시킨다.
별도의 조작 없이 검체 채취 기구(10)를 지지대(5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시약통(30)에 거꾸로 세워둠으로써 검체가 시약에 녹아들어 간다. 요구하는 희석 시간이 흐른 뒤, 도 3과 같이 검체 채취 기구(10)와 시약통(30)을 결합시킨 상태로 지지대(50)에서 빼내고 검사용 디바이스(70)를 지지대(50)가 있던 위치에 둔다. 이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시약통(30)의 노즐(35)을 막고 있던 노즐커버(38)를 벗긴다. 그러면 노즐(35)을 통해 희석된 시약이 검사용 디바이스(70)의 입력창에 방울지어 떨어진다. 이때 시약이 잘 흘러나오지 않으면 밀대(15)를 미세하게 왕복시켜 노즐(35)의 토출압력을 높일 수 있다.
시약을 서너 방울 떨어뜨린 후 기다리면 검사용 디바이스(70)의 반응창에 반응선이 나타나 양성인지 음성인지 판별할 수 있다. 사용을 완료한 결합상태의 검체 채취 기구(10)와 시약통(30)을 다시 지지대(50)에 꽂아 세워둘 수 있다. 사용이 끝난 면봉(20)을 제거하고 미사용 면봉을 새로 끼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밀대(15)를 밀거나 당겨서 면봉(20)의 돌출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대상자에 따라 면봉의 돌출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아울러 겉통(11)의 표시선을 통해 면봉의 돌출 길이를 확인하므로 검사자가 달라져도 면봉의 돌출길이가 일정해서 정확한 검사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검체 채취 기구(10)를 거꾸로 세워둠과 동시에 면봉(20)을 시약에 담가둘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품을 한 곳에 모아둘 수 있어 사용중 분실 위험을 낮추고 동시에 여러 검사를 할 때 구성품간에 섞일 위험을 줄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검체 채취 기구(10)를 시약통(3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시약통(30)의 노즐을 통해 시약 방울을 떨어뜨릴 수 있다. 즉, 시약을 검사용 디바이스에 떨어뜨리기 위해 시약통(30)을 뒤집거나 검체 채취 기구(10)를 시약통(3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사용 과정에서 각 구성품의 변형이나 이동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구성품들의 이동이나 조작을 줄여 검체 오염을 방지하고 기구 조작 실수를 애초에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검체 채취 기구 11: 겉통
12: 밀대 출입구 13: 밀착면
14: 면봉 출입구 15: 밀대
17: 패킹 19: 면봉 홀더
20: 면봉 30: 시약통
35: 노즐 38: 노즐커버
50: 지지대 70: 검사용 디바이스

Claims (6)

  1. 선단에 면봉 출입구(14)가 형성되고 후단에 밀대 출입구(12)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겉통(11)과,
    상기 밀대 출입구(12)를 통해 상기 겉통(11) 내부로 들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선단에 면봉 고정을 위한 면봉 홀더(19)를 가지는 밀대(15)를 포함하고,
    상기 밀대(15)의 전진으로 상기 면봉 홀더(19)에 끼워진 면봉(20)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밀대(15)가 회전할 때 상기 면봉(20)이 함께 회전하는 검체 채취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통(11)의 선단, 상기 면봉 출입구(14) 주변에 밀착면(13)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코와 닿을 때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검체 채취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통(11)에 상기 면봉(20)의 돌출길이를 알려주는 표시선이 더 표시되는 검체 채취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15)의 선단에 상기 겉통(11)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킹(17)이 더 구비되는 검체 채취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검체 채취 기구와,
    상기 검체 채취 기구의 선단에 결합 가능하며 시약이 담기고 하단에 시약을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되는 시약통과,
    상기 시약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검체 채취 기구를 거꾸로 세워 상기 시약통에 꽂아두었다가 상기 검체 채취 기구와 시약통의 결합상태 그대로 상기 지지대에서 뽑아 상기 노즐을 통해 시약 방울을 검사용 디바이스에 떨어뜨리는 자가 진단 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통의 하단에 상기 노즐을 차폐하되 제거할 수 있도록 노즐커버가 더 부착되고,
    시약을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밀대를 밀어 상기 시약통 내부의 토출압력을 증가시키는 자가 진단 키트.
KR1020220091410A 2022-07-23 2022-07-23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KR20240013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410A KR20240013873A (ko) 2022-07-23 2022-07-23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410A KR20240013873A (ko) 2022-07-23 2022-07-23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873A true KR20240013873A (ko) 2024-01-30

Family

ID=8971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410A KR20240013873A (ko) 2022-07-23 2022-07-23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8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792A (ko) 2020-04-27 2021-11-05 주식회사 메덱스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792A (ko) 2020-04-27 2021-11-05 주식회사 메덱스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4009B2 (ja) リモートドーズ式分析物濃度計器
US113509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preparing biological samples for testing
RU2201595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исслед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в пробе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US4797256A (en) Registration device for blood test strips
RU21884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риборе для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исслед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в пробе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KR20200085789A (ko) 유체 샘플 수집 장치
JP6992985B2 (ja) 液体採取装置
JPH10508237A (ja) サンプル採取器
BRPI0508528B1 (pt) Dispositivo para a amostragem de um fluido corporal e sistema para a análise de um fluido corporal
US20200206743A1 (en) Simultaneous spot test and storage of blood samples
US7318359B2 (en) Sampling means and system for testing a sample liquid
GB2468683A (en) Oral fluid collection device
KR102413506B1 (ko) 자가검사가 가능한 검체수송용기
RU2744488C1 (ru) Картридж анализатора с капиллярным очистителем
KR20240013873A (ko) 검체 채취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키트
JPWO2006043387A1 (ja) 検体の免疫学的検査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検査器具
KR102573226B1 (ko) 모세혈 수집을 위한 피펫 팁 및 피펫 시스템
WO2019231837A1 (en) Blood metering device with desiccant and support for storage media and inlay with flange
CN113347926A (zh) 血液样本的同时现场测试和储存
US20220184606A1 (en) Developer solution vial
US20240183849A1 (en) Direct sample collection pad and method of use for assay diagnosis
JP6018779B2 (ja) 検体採取器具
KR20230167583A (ko)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JP2000300544A (ja) 分注器具
Brabyn et al. Assistive devices for blind diabe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