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584A -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 Google Patents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584A
KR20240013584A KR1020220091336A KR20220091336A KR20240013584A KR 20240013584 A KR20240013584 A KR 20240013584A KR 1020220091336 A KR1020220091336 A KR 1020220091336A KR 20220091336 A KR20220091336 A KR 20220091336A KR 20240013584 A KR20240013584 A KR 2024001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connector
door
elastic rib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녹하
Original Assignee
이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녹하 filed Critical 이녹하
Priority to KR102022009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584A/ko
Publication of KR2024001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9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clamping the pane between two sub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의 전면패널 선단의 곡면 형태에 맞춰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외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두 플랜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웹부를 포함하여 양 측단에 각각 전면패널 선단이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하여 전면패널 선단의 곡면 형태를 따라 굽어지는 몸체부, 상기 플랜지부의 마주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홈부 내측에 돌출되어 홈부에 끼워지는 전면패널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CONNECTOR FOR GLASS PANEL OF DOOR}
본 개시내용은 도어의 분할된 전면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의 출입구나 창 등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된다. 중문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에는 전면패널로 유리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어의 상단과 하단 및 측단은 프레임 구조를 이루어 유리판의 선단을 지지 고정한다.
도어 전면의 유리판이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도어의 상단과 하단 또는 측단 프레임 사이에 중간프레임이 설치되어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는 고정한다.
최근 들어 강화 유리 등이 보편화되고 보다 아름다운 도어를 선호함에 따라 전면 유리판이 단순하게 사각 형태로 분할된 구조에서 벗어나 원호 등의 곡면 형태로 유리판을 분할하여 연결한 도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곡면 형태로 분할된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구로 사용된다.
종래의 연결구는 양 측단에 유리판의 선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구조로, 유리판 선단의 곡면 형태에 맞춰 가공한 후 홈에 유리판을 끼우고 그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두 부재 사이를 접착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접착제 건조 시간을 포함하여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강성의 스테인레스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구를 유리판 선단의 곡면 형태로 가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힘들며, 정확히 유리판 선단의 곡면 형태로 연결구를 가공하기 어려워 연결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과제는 도어의 전면패널 선단의 곡면 형태에 맞춰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 사용이 쉽고 간편한 도어의 유리판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분할된 전면패널 사이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도어의 유리판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연결구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외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두 플랜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웹부를 포함하여 양 측단에 각각 전면패널 선단이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하여 전면패널 선단의 곡면 형태를 따라 굽어지는 몸체부, 상기 플랜지부의 마주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홈부 내측에 돌출되어 홈부에 끼워지는 전면패널을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대적으로 경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경질PVC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연성PV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선단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굽어져 전면패널에 밀착되는 제1 탄성리브, 상기 제1 탄성리브와 상기 웹부 사이에서 상기 플랜지부 내면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굽어져 유리판에 밀착되는 제2 탄성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리브와 상기 제2 탄성리브는 플랜지부 내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리브는 플랜지부 내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제2 탄성리브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리브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유리판 선단의 곡면 형태에 맞춰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에, 어떠한 굴곡 형태의 유리판에 대해서도 그 형태에 맞춰 연결구를 쉽고 간편하게 변형시켜 두 유리판 사이를 손상없이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강성부와 연성부의 이중 구조를 통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유리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유리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두께의 유리판을 구비한 도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곡면 형태로 분할된 유리판 사이에 연결구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유리판 연결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어의 유리판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 본 실시예는 도어의 전면패널이 유리 재질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도어에 있어서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는 유리 재질의 전면패널 연결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리판 외에 금속 재질이나 나무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의 전면패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판은 강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 유리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곡면 형태로 분할된 전면패널 사이에 연결구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 연결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어(10)는 외측 선단부를 이루는 도어틀(12)과 도어틀(12)에 지지되는 전면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4)은 두 개로 분할되고, 두 개로 분할된 전면패널(14) 사이에는 연결구(20)가 설치되어 전면패널(14)의 분할된 선단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20)는 곡면 형태로 분할된 전면패널(14) 선단 모양에 맞춰 자유롭게 변형되어 전면패널(14)과 전면패널(1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어(10)는 원호형태의 곡면으로 분할된 전면패널(14)을 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패널(14)의 분할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면패널(14)은 영문 S 자 형태 등 다양한 곡면 형태로 분할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연결구(20)는 전면패널(14)의 분할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연결구(20)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y축 방향은 연결구(20)가 길게 연장된 방향으로 길이방향이라 하고, x축 방향은 측면쪽 또는 측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은 전면쪽 또는 전면방향이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20)는 전면패널(14)과 전면패널(14) 사이를 연결하는 몸체부(21)와, 몸체부(21)에 구비되어 유리를 고정하는 지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20)는 유연하게 굽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는 원호형태의 곡면으로 분할된 전면패널(14)의 선단 형태에 맞춰 자유롭게 굽어져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1)는 상대적으로 경질 재질로 형성되고, 지지부(25)는 상대적으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1)는 경질PVC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5)는 연성PV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몸체부(21)는 두 전면패널(14)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지지부(25)는 탄성적으로 휘면서 전면패널(14)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전면패널(14)과 전면패널(14)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몸체부(21)와 지지부(2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구(20)는 이종 재질인 몸체부(21)와 지지부(25)가 이종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몸체부(21)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외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두 플랜지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웹부(23)를 포함하여 양 측단에 각각 전면패널(14)이 끼워지는 홈부(24)를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플랜지부(22)는 띠 형태로 길게 연장된 구조물로,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전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그 사이에 웹부(23)가 연결 형성된다. 플랜지부(22)의 두께나 강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플랜지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구조 외에 플랜지부(22)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웹부(23)는 플랜지부(22)의 중심 위치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웹부(23)를 중심으로 몸체부(21) 양측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웹부(23)는 플랜지부(2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웹부(23)의 두께나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부(21)는 웹부(23)를 중심으로 양 측에 홈부(24)를 형성한다. 홈부(24)는 한 쌍의 플랜지부(22)와 웹부(23)에 의해 형성되어 전면패널(14)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몸체부(21)는 언급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에, 곡면형태로 분할된 전면패널(14)의 선단 형태에 맞춰 몸체부(21)를 곡면형태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25)는, 몸체부(21)의 홈부(24)에 삽입되는 전면패널(14)을 몸체부(2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25)는 플랜지부(22)의 마주하는 내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홈부(24) 내측에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부(25)는 두 개의 플랜지부(22)에 각각 설치되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마주하는 두 지지부(25)의 선단 사이 간격은 전면패널(14)의 두께보다 작은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지지부(25)는 홈부(24)에 끼워지는 전면패널(14)의 양면에 탄력적으로 가압 밀착되어 전면패널(14)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부(25)는, 플랜지부(22) 선단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굽어져 유리에 밀착되는 제1 탄성리브(26), 제1 탄성리브(26)와 웹부(23) 사이에서 플랜지부(22) 내면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굽어져 유리에 밀착되는 제2 탄성리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리브(26)와 제2 탄성리브(27)의 길이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지지부(25)라 함은 제1 탄성리브(26)와 제2 탄성리브(27)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이격 배치된 제1 탄성리브(26)와 제2 탄성리브(27) 두 개가 전면패널(14)을 가압 고정함으로써, 전면패널(14)이 홈부(24)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25)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지지부(25)는 홈부(24)에 삽입되는 전면패널(14)이 마주하는 두 지지바 사이로 진입하면서 지지바가 전면패널(14)에 의해 탄력적으로 휘게 된다. 이에, 지지바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전면패널(14)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전면패널(14)은 지지부(25)의 탄성력에 의해 눌려 몸체부(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연결구(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연결구(20)는 지지부(25)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부는 이미 언급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기재하며 상이한 구조에 대한 설명을 제외한 나머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구(20)는 전면패널(14)과 전면패널(14) 사이를 연결하는 몸체부(21)와, 몸체부(21)에 구비되어 유리를 고정하는 지지부(25)를 포함하며, 제1 탄성리브(26)는 선단부의 두께가 끝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제1 탄성리브(26)는 선단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리브(26)는 선단부가 홈부(24) 안쪽 즉, 웹부(23)쪽을 향해 휘어진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홈부(24)로 진입하는 전면패널(14)이 제1 탄성리브(26) 사이로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리브(26)와 제2 탄성리브(27)는 플랜지부(22) 내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이한 구조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리브(26)는 플랜지부(22) 내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L1)가 제2 탄성리브(27)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제1 탄성리브(26)는 선단부쪽 두께가 얇더라도 전면패널(14)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전면패널(14)과의 결합력이 제2 탄성리브(27)보다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25)와 전면패널(14)과의 밀착력을 최대한 확보하여 보다 견고하고 전면패널(14)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연결구(20)가 분할된 전면패널(14)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는 분할된 전면패널(14)의 각 선단 사이에 설치되어 전면패널(14)을 연결 고정한다. 두 개로 분할된 전면패널(14)은 연결구(20)의 홈부(24)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면패널(14)의 선단이 연결구(20)의 홈부(24)에 끼워지면서 플랜지부(22)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리브(26)와 제2 탄성리브(27)가 전면패널(14)에 밀려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전면패널(14)의 양면에 가압 밀착된다. 이에, 전면패널(14)은 양 면에서 각각 지지부(25)에 의해 가압 밀착되어 연결구(20)의 홈부(24) 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20)의 홈부(24)에 전면패널(14)을 단순히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전면패널(14) 사이가 연결구(20)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도어 12 : 도어틀
14 : 전면패널 20 : 연결구
21 : 몸체부 22 : 플랜지부
23 : 웹부 24 : 홈부
25 : 지지부 26 : 제1 탄성리브
27 : 제2 탄성리브

Claims (4)

  1. 곡면 형태로 분할된 전면패널의 분할된 선단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외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두 플랜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웹부를 포함하여, 양 측단에 각각 전면패널 선단이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하여 전면패널 선단의 곡면 형태를 따라 굽어지는 몸체부;
    상기 플랜지부의 마주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홈부 내측에 돌출되어 홈부에 끼워지는 전면패널을 고정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대적으로 경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연성 재질로 형성된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선단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굽어져 전면패널에 밀착되는 제1 탄성리브, 및 상기 제1 탄성리브와 상기 웹부 사이에서 상기 플랜지부 내면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굽어져 유리판에 밀착되는 제2 탄성리브를 포함하는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KR1020220091336A 2022-07-22 2022-07-22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KR2024001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336A KR20240013584A (ko) 2022-07-22 2022-07-22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336A KR20240013584A (ko) 2022-07-22 2022-07-22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584A true KR20240013584A (ko) 2024-01-30

Family

ID=8971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336A KR20240013584A (ko) 2022-07-22 2022-07-22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5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09658A (ja) 枠部材の押縁取付構造
KR20240013584A (ko) 도어의 전면패널 연결구
JP2015059393A (ja) 枠組みパネルの補強装置
US5671565A (en) Structure and method of fitting door moldings
JP4450325B2 (ja) 建具
US2878535A (en) Sealing strip
WO2023232131A1 (zh) 天窗玻璃总成、车辆以及行李架
JPH05214775A (ja) 金属インサートを備えるシリコーンガスケット
KR101913160B1 (ko) 덧댐 창호
EP3414416B1 (en) Glazing profiles with seamless appearance and method of use
KR100919063B1 (ko)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KR960000749A (ko) 엘리베이터용 허니콤패널 및 그의 체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CN212979839U (zh) 一种玻璃导槽和窗框钣金的定位结构
CN220314905U (zh) 连接结构及车辆
CN219262231U (zh) 用于推拉窗的夹条组件以及工程机械
CN220764055U (zh) 一种车辆组件及汽车
EP4335673A1 (en) Triangular window assembly and automobile with same
CN216616459U (zh) 一种玻璃幕墙变形缝结构
CN208473649U (zh) 门窗密封件及门窗组件
JP4000524B2 (ja) パネル体
CN210276821U (zh) 一种窗帘滑轨定位配件及窗帘滑轨
CN212796475U (zh) 车门玻璃导轨、车门玻璃导轨总成和车辆
ATE317488T1 (de) Glasleistenbefestigung
CN208473644U (zh) 门窗密封件及门窗组件
HU221914B1 (hu) Sarokkapcsoló takarólécekhe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