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26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3268A KR20240013268A KR1020240009040A KR20240009040A KR20240013268A KR 20240013268 A KR20240013268 A KR 20240013268A KR 1020240009040 A KR1020240009040 A KR 1020240009040A KR 20240009040 A KR20240009040 A KR 20240009040A KR 20240013268 A KR20240013268 A KR 202400132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lothing
- treatment device
- paragraph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향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및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본체의 상면 및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에 손잡이 부재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이동의 편의성이 개선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침구류와 같은 직물로 이루어진 물품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기는 수조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물을 세척함에 따라 별도의 탈수, 건조과정 등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종래의 세탁기보다 의류를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세탁수를 통한 별도의 세탁과정 없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는 프레임 모듈, 배관 모듈, 물 탱크 모듈 및 도어 모듈이 외관을 구성하는 구조로 인해, 제품의 폭에 비해 제품의 높이가 더 크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이동할 때, 최소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였으며 이동 시에도 별도의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아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의 이동의 편의성이 개선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의류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향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및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본체의 상면 및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에 손잡이 부재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셔터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유입구를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의 형상은 상기 제2 유입구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폐쇄부의 표면에는 상기 제2 유입구와 접촉하는 기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입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상태 또는 상기 제2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 상태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최단 거리로 연결시키는 메인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셔터가 상기 메인 공기 유로와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상태에서 상기 제2 유입구의 폐쇄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의류가 배치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는 단계, 셔터가 기 설정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시키도록 제2 유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끝난 이후에,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유입구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유입구가 폐쇄된 이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열리는 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 및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유입구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재작동 되는 단계 및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유입구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후방 상측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의 수치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후방 상측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의 수치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의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을 구비한 본체(10)와 피봇 가능하도록 결합된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의류(C)가 배치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수용공간(S)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 유닛(30), 분사 유닛(30)에서 토출된 에어 또는 스팀이 분사되도록 수용공간(S)을 향해 배치된 복수의 분사구(O),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분사 유닛(30)에서 토출된 에어 또는 스팀을 수용공간(S)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팬(4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공간(S)은 본체(10) 내에 의류(C)가 배치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수용공간(S)은 의류처리장치(1)가 동작할 때에 복수의 분사구(O)를 제외하고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S) 내에 배치된 의류(C)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복수의 분사구(O)에서 분사되는 에어 또는 스팀에 의해 주름이 펴지며, 의류(C)의 냄새가 탈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분사 유닛(30)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C)를 향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분사 유닛(30)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수용공간(S)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습 또는 가열하여 다시 의류(C)가 배치된 수용공간(S) 내로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분사 유닛(30)은 흡입된 공기를 제습 또는 가열하는 것뿐만 아니라, 뜨거운 수증기와 혼합하여 스팀의 형태로 의류(C)가 배치된 수용공간(S) 내로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 유닛(30)은 사용자의 의류(C) 처리 선택에 따라 수용공간(S) 내에 분사될 다양한 상태의 공기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구(O)는 수용공간(S)의 상하좌우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사 유닛(30)에서 형성된 공기를 수용공간(S) 내에 배치된 의류(C)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구(O)는 선택에 따라 수용공간(S)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팬(40)은 분사 유닛(30)에서부터 수용공간(S)까지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사 유닛(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용공간(S)에 배치된 복수의 분사구(O)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팬(40)은 외부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1) 내로 유입하거나 토출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1)의 전반적인 공기 유동 및 순환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순환 팬(40)이 축류 팬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할 때, 도어(20)는 수용공간(S)을 개폐 가능하도록 본체(10)에 구비된다.
아울러, 도어(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의 일면을 형성하며,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와 수용공간(S)을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는 전방 플레이트(21) 및 전방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1)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2)는 본체(10)의 일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며, 전방 플레이트(21)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후방 플레이트(22)는 전방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 플레이트(21)와 일정 간격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 플레이트(22)와 전방 플레이트(21)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공기 유로(MF) 및 메인 공기 유로(MF)의 유입구에 해당하는 제1 유입구(P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플레이트(22)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본체(10)의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는 개스킷(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 플레이트(22)는 본체(10)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본체(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아울러, 후방 플레이트(22)의 일면에는 메인 공기 유로(MF)를 형성하고 셔터(50)가 배치되는 배치 공간(Q, 도 9a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 플레이트(22)의 일면에 결합된 커버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3)는 수용공간(S)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커버부(23)의 내부에는 제2 유입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셔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는 외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구(P1), 제1 유입구(P1)와 수용공간(S)을 연결하는 제2 유입구(P2) 및 제2 유입구(P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구(P1)는 도어(20)의 가장자리에 따라 전방 플레이트(21) 및 후방 플레이트(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메인 공기 유로(MF)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입구(P1)는 도어(20)의 하부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유입구(P2)는 메인 공기 유로(MF)의 출구를 형성하며, 메인 공기 유로(MF)와 수용공간(S)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의류처리장치(1)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제1 유입구(P1), 메인 공기 유로(MF) 및 제2 유입구(P2)를 통해 수용공간(S)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 유입구(P1)와 제2 유입구(P2)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와 수용공간(S)을 최단 거리로 연결시키는 메인 공기 유로(MF)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1) 내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경우라도, 수용공간(S)이 외부와 통기된 구조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 내의 사람이 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와 의류처리장치(1)의 수용공간(S)을 연결시키는 메인 공기 유로(MF)는 도어(20)의 전방 플레이트(21)와 후방 플레이트(22) 사이에 형성된 배치 공간(Q)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공기 유로(MF)는 후방 플레이트(22)와 전방 플레이트(21)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G1) 및 후방 플레이트(22)와 커버부(23)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G2)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공간(Q)은 제2 공간(G2)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수용공간(S) 내에서 흡입된 공기는 분사 유닛(30)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상태의 공기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공기는 순환 유로(F1, F2)상에 배치된 순환 팬(40)에 의해, 제1, 2 순환 유로(F1, F2)를 따라 수용공간(S)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제1, 2 순환 유로(F1, F2)는 의류처리장치(1)가 작동될 경우에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며, 메인 공기 유로(MF)는 의류처리장치(1)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S)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순환 유로(F1)는 분사 유닛(30)에서 상태가 변환된 고온의 스팀이 배출되는 경로일 수 있으며, 제2 순환 유로(F2)는 수용공간(S)에서 흡입된 공기를 의류(C)를 향해 분사하는 경로로서, 의류(C)의 먼지를 털어낼 수 있다.
다만, 제1, 2 순환 유로(F1, F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2 순환 유로(F1, F2)를 이동하는 공기의 상태는 다양할 수 있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1)의 후방 상측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의류처리장치(1)의 상측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영역(60)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영역(60)은 의류처리장치(1)의 후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로 파인 홈(6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홈(61)의 주위에는 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를 옮길 경우, 손잡이 영역(60)에 형성된 고정 부재(62)를 잡고 의류처리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를 편리하게 옮길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1)의 파손 및 변형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 영역(60) 및 손잡이 영역(60)에 형성된 고정 부재(62)는 의류처리장치(1)의 상측 후면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의류처리장치(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의 상측 후면에는 손잡이 영역(60)에 형성된 고정 부재(62)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손잡이 부재(70)가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7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7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에는 손잡이 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 부재(7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부(71), 고정부(71)의 양단에 형성된 수용부(72), 수용부(72)에 삽입되는 삽입부(73a)를 포함하는 고리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71)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평편한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71)는 나사 등의 별도의 결합 부재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의 외면에 안정적을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71)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고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개구는 대략적인 조립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비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71)의 가운데에 형성된 수용부(72)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고정 개구와 하측에 배치된 고정 개구의 위치 또는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71)의 가운데에 형성된 수용부(72)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고정 개구와 하측에 배치된 고정 개구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수용부(72)는 고정부(71)의 양단에 개구 형태로 형성되며, 고리부재(73)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73a)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부재(73)는 양단의 삽입부(7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73a)의 형상은 원형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모난 면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난 면이 수용부(72)의 내부면과 간섭되어 고리부재(73)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고리부재(73)는 고정부(71)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71)의 일면에는 고리부재(73)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간섭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74)는 고리부재(73)의 일면과 접촉하여 고리부재(73)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리부재(73)를 잡았을 경우 고리부재(73)와 의류처리장치(1)의 외면 사이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하면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전술한 고리부재(73)와 고정부재(62)는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에 하중이 큰 분사 유닛(30)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의류처리장치(1)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8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8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고정부(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형성된 수용부(82)를 연결시키는 커버 간섭면(84)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간섭면(84)은 고정부(81)와 연결된 고리부재(83)의 일측과 간섭되어 고리부재(83)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리부재(83)를 잡았을 경우 고리부재(83)와 의류처리장치(1)의 외면 사이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 간섭면(84)은 외부의 이물질이 고리부재(83)와 고정부(81)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리부재(8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고리부재(83) 및 고정 부재(62)를 통해 사용자는 무거운 의류처리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1)의 손상 및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손잡이 부재(70)의 예시적인 수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70)의 수치에 대한 표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할 때, 손잡이 부재(70)의 고정부(71)는 가로 방향의 제1 길이(D4)가 세로 방향의 제2 길이(D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리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길이(D4)는 198mm 이며, 제2 길이(D2)는 33.2mm일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71)를 포함하는 손잡이 부재(70)는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부재(70)는 의류처리장치(1)의 무게중심부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부(71)는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의 양측 세로 면으로부터 동일한 제3 길이(D5)로 이격 되어 배치되며, 의류처리장치(1)의 가로 길이는 제1 길이(D4)와 두 개의 제3 길이(D5)의 합일 수 있다.
또한, 제3 길이(D5)는 119.65mm일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71)는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 양측 가로 면으로부터 제4 길이(D1) 및 제5 길이(D3)로 각각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의 분사 유닛(30)에서 물 탱크가 배치되는 위치가 많은 하중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고정부의 세로 방향으로의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부재(70)는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의 무게 중심 부분을 고려하여 더욱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의류처리장치(1)의 세로 길이는 제4 길이(D1), 제5 길이(D4) 및 제2 길이(D2)의 합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할 때, 고리부재(73)는 전체 가로 길이인 제6 길이(D6)에서 손잡이부인 제7 길이(D9)를 형성하고, 손잡이부의 양 단에서 동일한 일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길이(D6)는 185mm일 수 있으며, 제7 길이(D9)는 155mm일 수 있다.
아울러, 고리부재(73)는 전체 세로 길이인 제8 길이(D7)를 형성하고, 제8 길이(D7)를 형성한 부분의 양단에서 일 측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8 길이(D7)는 40.5mm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할 때, 고정부(71)의 양 단에 형성된 수용부들(72) 사이의 간격은 제9 길이(D8)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72)의 각각의 내측 방향에 형성된 경사면들 사이의 최단 거리는 제9 길이(D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 길이(D8)는 152.7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부재(73)는 수용부(72)에 형성된 경사면 또는 간섭면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반경은 의류처리장치(1)의 하면으로부터 고리부재(73)가 간섭되기까지의 최대 각도이며 120도 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본체
20: 도어 30: 분사 유닛
40: 순환 팬 50: 셔터
S: 수용공간 P1: 제1 유입구
P2: 제2 유입구
20: 도어 30: 분사 유닛
40: 순환 팬 50: 셔터
S: 수용공간 P1: 제1 유입구
P2: 제2 유입구
Claims (9)
- 의류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를 향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후면 및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면과 간섭되는 모난 면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개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리부재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고리부재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커버 간섭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간섭면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형성된 수용부를 연결시키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용부와 이격된 면의 제1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수용부와 인접한 면의 제2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하면의 무게 중심부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양 단에서 동일한 일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open or close) 셔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후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9040A KR20240013268A (ko) | 2018-09-14 | 2024-01-19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0493A KR102629028B1 (ko) | 2018-09-14 | 2018-09-1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40009040A KR20240013268A (ko) | 2018-09-14 | 2024-01-19 | 의류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0493A Division KR102629028B1 (ko) | 2018-09-14 | 2018-09-14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3268A true KR20240013268A (ko) | 2024-01-30 |
Family
ID=697738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0493A KR102629028B1 (ko) | 2018-09-14 | 2018-09-1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40009040A KR20240013268A (ko) | 2018-09-14 | 2024-01-19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0493A KR102629028B1 (ko) | 2018-09-14 | 2018-09-14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352737B2 (ko) |
KR (2) | KR1026290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98920S1 (en) * | 2021-01-12 | 2023-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or for clothing care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87175A (en) * | 1948-01-30 | 1949-11-08 | American Laundry Mach Co | Stretching and drying device |
US3805561A (en) * | 1972-06-29 | 1974-04-23 | Cissell W Mfg Co | Garment finishing apparatus |
US5094020A (en) * | 1990-03-26 | 1992-03-10 | Wingfield Edward C | Steam closet and hanger for the removal of wrinkles from clothing |
US5561880A (en) * | 1994-11-14 | 1996-10-08 | A/C Enterprises, Inc. | Steam cabinet and steaming method |
KR970023621U (ko) | 1995-11-30 | 1997-06-20 | 세탁기용 지지대 | |
US5815961A (en) * | 1996-06-26 | 1998-10-06 | Whirlpool Corporation |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
KR19980067377U (ko) * | 1997-05-26 | 1998-12-05 | 배순훈 | 냉장고의 운반손잡이 |
US6189346B1 (en) * | 1997-07-25 | 2001-02-20 | Whirlpool Corporatio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EP1215330B1 (en) * | 2000-12-14 | 2005-03-23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built-in working indicator |
US8006336B1 (en) * | 2001-12-20 | 2011-08-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
US20030126691A1 (en) * | 2001-12-20 | 2003-07-10 | Gerlach Christian Gerhard Friedrich |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
US6622529B1 (en) * | 2002-04-15 | 2003-09-23 | Nicholas J. Crane | Apparatus for heating clothes |
KR20030094988A (ko) * | 2002-06-11 | 2003-12-18 | 신재영 |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 |
US20040163184A1 (en) * | 2002-12-09 | 2004-08-26 | Royal Appliance Mfg. | Clothes de-wrinkler and deodorizer |
US6868621B1 (en) * | 2003-08-08 | 2005-03-22 | Grimm Brothers Plastics Corp. | Clothes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clothes |
US20050120757A1 (en) * | 2003-12-03 | 2005-06-09 | Jackson W. S. | Garment refreshing apparatus and method |
US8141269B2 (en) * | 2004-05-24 | 2012-03-27 | Whirlpool Corporation | Expandable/collapsible enclosure for a clothes refresher |
KR20060026193A (ko) * | 2004-09-20 | 2006-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101225504B1 (ko) | 2005-12-01 | 2013-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JP2008188339A (ja) | 2007-02-07 | 2008-08-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洗濯機 |
KR101435797B1 (ko) * | 2007-08-03 | 2014-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U2008284514B2 (en) * | 2007-08-03 | 2010-11-25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KR101414635B1 (ko) * | 2008-03-26 | 201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9410281B2 (en) * | 2009-05-01 | 2016-08-09 | Whirlpool Corporation | Fabric treating systems and accessories |
KR102043197B1 (ko) * | 2013-02-28 | 2019-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1643855B2 (en) | 2015-10-21 | 2023-05-09 | Illinois Tool Works Inc. | Door handle for vehicle |
-
2018
- 2018-09-14 KR KR1020180110493A patent/KR102629028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
- 2019-08-15 US US16/541,598 patent/US11352737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1-19 KR KR1020240009040A patent/KR20240013268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1454A (ko) | 2020-03-24 |
US20200087848A1 (en) | 2020-03-19 |
US11352737B2 (en) | 2022-06-07 |
KR102629028B1 (ko) | 2024-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1649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9476158B2 (en) | Dryer | |
KR20240013268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550843B1 (ko) |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도어 | |
US201501453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TWI633225B (zh) | washing machine | |
US10196768B2 (en) | Washing machine | |
CN110325680B (zh) | 干燥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 |
KR102052373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3810842B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6980522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2401039B1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0219149B (zh) | 衣物干燥机 | |
KR100712271B1 (ko) | 수납형 리프터와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 |
JP2015202329A (ja) | 衣類乾燥機 | |
JP7061127B2 (ja) | 衣類処理装置 | |
US11618990B2 (en) | Dryer | |
KR102717519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243927B1 (ko) | 세탁기 | |
KR20070076313A (ko) | 드럼세탁기 | |
JP2021069594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2018138148A (ja) | 衣類処理装置 | |
JPH01104294A (ja) | 衣類乾燥機 | |
JP2018138149A (ja) | 衣類処理装置 | |
JP2018138150A (ja) | 衣類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