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242A - 부착구 - Google Patents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242A
KR20240013242A KR1020237045125A KR20237045125A KR20240013242A KR 20240013242 A KR20240013242 A KR 20240013242A KR 1020237045125 A KR1020237045125 A KR 1020237045125A KR 20237045125 A KR20237045125 A KR 20237045125A KR 20240013242 A KR20240013242 A KR 2024001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information acquisition
acquisition device
us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이에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오에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86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7208687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2119550A external-priority patent/JP7232557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오에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오에누
Publication of KR2024001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2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Abstract

사용자의 체내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적절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발명은,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22)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벨트(3)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구(1)로서, 부착구 본체(11)(Q),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12)를 구비하는 부착구이다.

Description

부착구
본 발명은 신체 정보, 특히 사용자의 호흡 정보에 대해 취득하기 위한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신체 정보 취득 장치라 함은,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맥박이나 체표면 온도, 혈중 산소 농도 등을 자동 측정하는 동시에 기록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나 빅 데이터의 형성을 수행한다.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예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팔에 두를 수 있는 손목시계형 디바이스로서, 배면에 포토프레티스 모그래피나 광학 센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혈중 산소 농도 등을 계측하는 방식의 것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되어 뇌파나 시선 등을 계측하는 것이 많다.
그런데 신체 정보 중에서 장기에 관한 데이터는 호흡기계나 순환기계 질환의 파악 등에 매우 도움이 된다.
호흡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허 문헌 3에는 안전벨트의 2군데에 센서가 장착되어 각 센서로부터 나온 전파에 의해 양 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곳에서부터 신체 동작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 등을 검출하는 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더욱이, 특허 문헌 4 내지 7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각종 부착구가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특허 문헌 8 내지 10에는 벨트 등에 물품을 부착하기 위한 각종 부착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표 특허 공보 제2016-533846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3217017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제2018-201581호 [특허 문헌 4] 국제 공개 공보 제2020/017627호 [특허 문헌 5] 일본국 공표 특허 공보 제2009-503734호 [특허 문헌 6] 일본국 공표 특허 공보 제2018-500643호 [특허 문헌 7]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5/0164422호 명세서 [특허 문헌 8] 국제 공개 공보 제2009/141942호 [특허 문헌 9]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3076482호 [특허 문헌 10]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성09-299492호
그런데 측정 대상에 정재파 레이더 등의 측정파를 조사하고, 반사파를 각종 센서로 계측하는 것에 따르면 측정 대상과 센서의 거리를 직접 관측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측정파에 의한 측정 대상을 사용자의 폐나 장 등의 장기나 체표면으로 하는 것에 의하면, 그 신체 동작을 계측함으로써 호흡이나 섭식 등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인용 문헌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모두 다 측정 대상이 되는 장기 등의 위치가 센서의 위치와의 관계에서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사용자의 몸통 부분의 센싱을 수행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적절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착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발명은,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벨트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구로서, 부착구 본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측정파를 이용한 체내의 센싱시에 적절한 위치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허리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르지 않고 사용자의 몸통에 대한 신체 정보 장치의 위치가 고정되어 측정파를 이용한 신체 동작 측정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벨트를 삽통하는 삽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부와 이격되어 제 2 삽통부 또는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허리 부분에 두르는 벨트에 부착구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장착을 더 쾌적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할 수 있는 피부착부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부착 위치를 인식하기 쉽고, 또한 부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벨트는 상기 피부착부에 삽입하는 삽입부를 단부에 가지며, 상기 피부착부는 상기 삽입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로부터 나오는 측정파와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잘 발생하지 않게 하고, 호흡에 대한 적절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는 상기 출입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평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출입면에 인접하는 하나의 평면 내에서 개구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입면과 벨트의 간섭이 잘 발생하지 않고, 또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피부착부는 상기 출입면과 다른 2개의 면에서 마주보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로부터 나오는 측정파와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잘 발생하지 않게 하고, 호흡에 대한 적절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부착구에 의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홀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구 본체는 상기 삽통부와 상기 제 2 삽통부 또는 상기 조정부의 사이에 상기 측정파를 투과하는 투과부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로부터 나오는 측정파와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잘 발생하지 않게 하고, 호흡 등에 대한 적절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벨트를 관통하는 구멍 삽입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벨트에 대한 부착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피부착부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구 본체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프레임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부착구에 설치한 상태에 있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에 접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제거를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부착구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부착부의 위치 확인이 쉬워지기 때문에 슬라이드 조작을 하기 쉬워지고, 더욱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한 부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착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홀딩력을 쉽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구 본체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가 방출하는 측정파를 방해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측정 대상에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측정 정밀도가 향상되는 것 외에 쉽게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장착부는 부재를 사이에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클립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보다 간단하게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부착하는 가로 슬라이드 부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 외에 중력에 의한 이탈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부착하는 세로 슬라이드 부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것 외에 사용시에 부착부의 위치를 쉽게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부는 상기 출입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에 부착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장착부까지의 거리가 해당 피부착부에서부터 상기 출입면까지의 거리보다 긴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와 벨트가 간섭하지 않고, 사용자가 쓸데없는 힘을 주지 않고 쉽게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부착구를 갖는 허리 벨트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보다 안정적으로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벨트에 부착하는 부착 방법으로서, 부착구 본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를 통해서, 상기 출입면이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도록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하는 부착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측정파를 이용한 체내의 센싱 시에 적절한 형태로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로서, 부착구 본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에 의해, 벨트에 부착할 수 있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측정파를 이용한 체내의 센싱 시에 적절한 형태로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내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의 적절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착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를 여러 가지 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를 여러 가지 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시도 및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은 실시 형태의 구성, 실시 방법, 다른 실시예의 순으로 상술한다.
한편,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을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의 각 부분을 조합하여 실시품으로 해도 무방하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부착구(1)는, 그 표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고, 그 이면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두르는 벨트(3)를 부착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수평 방향은 완전히 수평인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부착 위치에 따라 5도 정도 변동해도 괜찮다.
여기에서 도 1(a)는 정면을 향하는 사시도, 도 1(b)는 배면 방향을 향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부착구(1)를 여러 가지 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측면도, 도 4(c)는 배면도, 도 4(d)는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부착구(1)는, 부착구(1)의 베이스부가 되는 부착구 본체(11)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는 부착부(12)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로부터 방출되는 측정파를 투과하는 투과부(13)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는 장착부(P)로서의 기능을 갖는 벨트(3)를 삽통하여 장착되는 삽통부(14)와, 벨트(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착구 본체(11)는, 전체적으로 모서리에 모퉁이 라운드 가공이 실시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재이며, 스테인리스나 스틸 등의 금속 부재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 본체(11)의 폭은 적어도 벨트(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수평 길이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절한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이면을 향해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부착부(12)는, 부착구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부재로서, 여기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가 부착된다. 부착부(12)는, 부착구 본체(1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21)와, 돌출부(121)의 선단 부분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끼워넣어 장착하는 감합체(1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부착부(12)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부착 가능한 가로 슬라이드 부착부(12A)로서 설치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부착부(12)는 부착구 본체(11)의 윗변과 아랫변의 각각의 단부를 따라 해당 변의 둥근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거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착부(12)는 변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돌출부(121)는 부착구 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대략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그 돌출 길이는, 적어도 후술하는 출입면(22)에서부터 피부착부(23)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함으로써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구 본체(11)와 간섭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출입면(22)과 사용자의 신체와의 거리를 가급적 가깝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감합체(122)는 돌출부(121)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품이다. 그 형상은 피부착부(23)와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피부착부(23)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돌출부(121)의 폭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감합체(122)는 그 외경을 피부착부(23)의 폭보다 크게 한 원주 형상 부재로 하고 있지만,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서리 부분을 돌출부(121)의 선단에 부착한 각주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투과부(13)는 부착구 본체(1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출입면(22)으로부터 방출되는 음파나 전파 등의 측정파 또는 반사되어 출입면(22)으로 되돌아가는 음파나 전파 등의 측정파를 투과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투과부(13)는 부착구 본체(11)에 구멍으로 형성됨으로써 중공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부착구 본체(11)는 공극을 가지는 프레임체가 된다. 한편, 측정파를 투과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측정파가 도플러파 등의 음파인 경우에는 메쉬 형상의 섬유 부재로 해도 되고, 또한 측정파가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 등의 전파인 경우에는 금속이나 액체 등의 전파를 차폐하는 부재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플라스틱이나 목재 등 어떠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삽통부(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3)의 부착에 이용되는 부분으로서, 그 안쪽에 벨트(3)를 삽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부착구 본체(11)의 윗변과 아랫변을 건너지르는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이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U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벨트(3)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돌출되는 높이는 벨트(3) 두께의 2배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부(15)는, 벨트(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부재이며, 후술하는 벨트(3)의 부착홀(32)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 삽입부(151)와, 구멍 삽입부(151)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조정판체(1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멍 삽입부(151)는 조정판체(152)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며, 부착구 본체(11)의 이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구멍 삽입부(151)는 조정판체(152)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목부와, 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목부가 돌출되는 길이는 적어도 벨트(3) 두께의 2배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의 지름은 목부의 지름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형상은 구체 또는 타원 구체이다.
조정판체(152)는 프레임체인 부착구 본체(11)의 윗변과 아랫변을 가설하도록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두께는 부착구 본체(11)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부에는 구멍 삽입부(151)의 베이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면과 표면에서 끼워 넣어져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삽통부(14) 및 조정부(15)는 프레임체의 중심인 투과부(13)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투과부(13)는 적어도 부착구 본체(11)의 일면의 1/2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는 신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의 취득 장치 본체(21)와, 소정의 측정파를 방출함과 아울러 수신하는 출입면(22)과, 부착부(12)가 부착되는 피부착부(23)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적어도 측정파의 방출 및 수신의 제어 및 처리를 실시하는 제어부와,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부와, 기록한 데이터를 외부와 주고받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있다.
취득 장치 본체(21)는 길이 4cm 내지 9cm, 폭 3cm 내지 6cm, 폭 0.5cm 내지 3cm 정도의 손바닥에 들어가는 정도의 사이즈의 대략 직방체형의 장치이며, 부착구(1)의 폭보다 조금 크게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전원을 켜기 위한 버튼이나, 배터리 잔량 등의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피부착부(23)가 설치되지 않은 면이나, 피부착부(23)가 설치되는 면에 인접한 면에 설치되어 있다.
출입면(22)은 측정파(음파나 전파(특히 밀리미터파, 마이크로파)의 정재파)를 소정의 각도를 향해 방출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신체에서 반사된 측정파를 수신하는 센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측정파를 주고받는 부분을 출입 위치로 한다. 이것에 의해, 측정 대상과 출입면(22) 사이의 거리를 파악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사용자의 허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몸통 부분(특히 폐, 장 등)을 센싱하기 위해서 30도 내지 70도 상방을 향해 측정파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측정파를 수신하는 기능은, 출입면(22)의 적어도 2군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폐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측정파를 출력하는 면과 방출하는 면은 각각 상이해도 되고, 체온 등도 측정 대상으로 해도 된다.
피부착부(23)는 부착구 본체(11)의 상하 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측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관통하는 구멍 부분이다. 부착구 본체(11)로부터 돌출되는 부착부(12)에 설치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은 부착부(12)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감합체(122)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부착부(23)는 2개의 부착부(12)에 대응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하를 반대 방향으로 해도 취득 장치 본체(21)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벨트(3)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띠 형상 부재이며, 벨트의 본체 부분인 벨트 본체(31)와, 조정부(15)에 관통 삽입하기 위한 구멍 부분인 부착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벨트 본체(31)는 가죽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띠 형상 부재이며,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는 길이이다. 이하, 벨트 본체(31)의 단부를 일단부(31A)와 타단부(31B)로 설명한다. 일단부(31A)는 모서리 라운드 가공이 이루어져 있다.
부착홀(32)은 조정부(15)에 부착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멍 삽입부로서, 벨트 본체(31)의 일단부(31A)측에 1개 형성되는 제 1 부착홀(32A)과, 타단부(31B) 부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내지 5개 형성되는 제 2 부착홀(3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홀(32)의 크기는 구멍 삽입부(151)의 목부 지름보다 크고, 또한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목적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방법은 일례이며, 실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는 전후로 해도 무방하다.
<실시 방법>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에 부착구(1)와 벨트(3)를 장착한다.
사용자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 본체(31)의 일단부(31A)를 삽통부(14)에 통과시키고, 그 후 일단부(31A)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부착홀(32A)을 구멍 삽입부(151)에 밀어 넣는다. 그 후, 사용자는 타단측을 잡은 상태에서 자신의 허리 부분에 휘감아 한 바퀴 돌리고, 타단부(31B)를 삽통부(14)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둘레 사이즈에 알맞은 위치에 있는 제 2 부착홀(32B)에 구멍 삽입부(151)를 삽입해 벨트(3) 둘레의 길이를 조정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구(1)에 부착한다.
즉, 사용자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2)와 피부착부(2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장착한다.
상기에 따라 출입면(22)의 출입 위치가 투과부(13)의 위치와 겹쳐 해당 부분을 허리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몸통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에 부착부(12)와 같은 돌출 부분을 구비하고, 부착구(1)에 피부착부와 같은 오목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일면에 삽통부(14)와 같은 U자 형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그 안쪽에 부착구나 벨트를 관통 삽입하여 고정시켜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의 부재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2개 설치되어 있고, 각 부분에서 동시에 부착구(1) 등을 관통 삽입함으로써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에,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해,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발명에 대해 상술한다.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수직 방향은 완전한 수직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부착 위치에 따라 5도 정도 변동되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착구(1)는 그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고, 그 이면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감겨지는 벨트(3)를 부착한다.
여기에서, 도 7은 부착구(1)를 여러 가지 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측면도, 도 7(c)는 배면도, 도 7(d)는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부착구(1)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부착구(1)의 베이스부가 되는 부착구 본체(11)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는 부착부(12)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로부터 방출되는 측정파를 투과하는 투과부(13)와, 장착부(P)로서 벨트(3)를 삽통하여 장착되는 삽통부(14)와, 벨트(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12)는 부착구 본체(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1)와, 돌출부(121)의 선단 부분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끼워 넣는 감합체(122)와, 돌출부(121)의 선단부와 감합체(122)를 접속하는 평행편(1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착부(12)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부착할 수 있는 세로 슬라이드 부착부(12B)로써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면, 부착부(12)는 부착구 본체(11)의 2개의 측면 변의 단부를 따라 해당 변의 라운드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거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부(12)는 변을 따라 분할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121)는 출입면(22)에서부터 피부착부(23)까지의 거리보다, 적어도 조정판체(152)의 두께(또는 벨트 본체(31)의 두께)만큼 길게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두께는 적어도 2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부착구 본체(11)의 테두리 측면 부분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까지의 전체 영역을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감합체(122)는 평행편(123)의 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고, 그 형상은 피부착부(23)와 끼워 맞출 수 있도록 또한 피부착부(23)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돌출부(121)의 폭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행편(123)은 돌출부(121)의 돌출 단부와 감합체(122)를 접속하는 부품이며, 돌출부(121)로부터 부착구 본체(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각(piece)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착구 본체(11)의 윗변과 아랫변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통부(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3)의 부착에 이용되는 부분으로서, 그 안쪽에 벨트(3)를 삽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삽통부(14)는 부착구 본체(11)와 동일 평면 상에 부착구 본체(11)의 윗변과 아랫변을 건너지르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부착구 본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통부(14)의 길이는 벨트 본체(31)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한다.
조정부(15)는 벨트(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부재이며, 후술하는 벨트(3)의 부착홀(32)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 삽입부(151)와, 구멍 삽입부(151)를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조정판체(1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정부(15)는 부착구 본체(11)의 측면 변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조정판체(152)는 프레임체인 부착구 본체(11)의 윗변과 아랫변을 가설하도록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그 두께는 벨트 본체(31)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거나 1mm 내지 2mm 정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판체(152)의 길이는 부착구 본체(1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구 본체(11)의 표면측에 부착하도록 지지된다.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는, 신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의 취득 장치 본체(21)와, 소정의 측정파를 방출하는 동시에 수신하는 출입면(22)과, 부착부(12)가 부착되는 피부착부(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높이는 부착부(1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착구 본체(11)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피부착부(23)는 부착구 본체(11)의 양측면 단부 부근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를 향해 형성되는 구멍 부분이다. 피부착부(23)는 감합체(122) 및 평행편(123)에 삽입되어 부착할 수 있도록 이러한 부품들에 대응한 형상이 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부착부(23)의 높이는, 부착부(12)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구멍 부분인 피부착부(23)의 하단부에서 감합체(122) 및 평행편(123)의 상단이 접촉해 거기에서 고정 부착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목적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방법은 일례이며, 실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는 전후로 해도 무방하다.
<실시 방법>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에 부착구(1)와 벨트(3)를 장착한다.
사용자는 벨트 본체(31)의 일단부(31A)를 삽통부(14)에 부착구 본체(11)의 정면을 향해 벨트가 산 모양이 되도록 삽입한다. 그 후, 제 1 부착홀(32A)을 구멍 삽입부(151)에 밀어 넣는다. 다음에, 사용자는 타단측을 잡은 상태에서 자신의 허리 부분에 휘감아 한 바퀴 돌리고, 바깥 단부(31B)를 일단부(31A)와 삽통부(14)의 사이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둘레 사이즈에 알맞은 위치에 있는 제 2 부착홀(32B)에 구멍 삽입부(151)를 삽입하고 벨트(3) 둘레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 쪽으로 삽통부(14)나 조정부(15)가 거의 돌출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장착시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에 부착구(1)를 장착한다.
즉, 사용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2)와 피부착부(2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한다.
이때, 출입면(22)의 출입 위치가 투과부(13)의 위치와 중첩된다.
이때, 사용자는 부착구(1)를 장착한 경우이더라도 아래를 쳐다봄으로써 부착부(12)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 자체가 가지는 중력에 의해 설치가 안정적이다.
상기에 따라 출입면(22)의 출입 위치가 투과부(13)의 위치와 겹쳐 해당 부분을 허리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몸통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착부(23)가 출입면(22)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부착부(12)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순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한, 평행편(123)이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해 출입면(22)과 마주보는 면에 피부착부(23)가 형성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변경예로서 피부착부(23)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부착부(12)끼리의 거리가 피부착부(23)끼리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부착구 본체(11)를 표면측 방향으로 젖힘으로써 부착부(12)끼리의 거리를 조정하고, 피부착부(23)끼리의 거리와 동일하게 해서 그 상태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착구 본체(11)의 탄성력에 의해 취득 장치 본체(21)에 인장력을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구(1)를 위에서든 아래에서든 부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취급의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것과 반대로 부착구 본체(11)는 부착부(12)끼리의 거리가 피부착부(23)끼리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형성하여 이면측 방향으로 젖힐 수 있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부착구(1)의 가압 작용에 의해 부착부(12)의 지지 성능이 향상된다.
<제 3 실시 형태>
이하, 도 8을 이용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에 대해 상술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부착구(1)는 그 표면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는 부착부(12)와, 그 이면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P)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구(1)는 부착구(1)의 베이스부가 되는 부착구 본체(11)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는 부착부(12)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로부터 방출되는 측정파를 투과하는 투과부(13)와, 장착부(P)로서 삽통부(14) 및 조정부(15)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옷(예를 들면, 바지나 스커트)을 끼워서 부착하는 클립부(16)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부착부(12)는 가로 슬라이드 부착부(12A)로 해도 되고 세로 슬라이드 부착부(12B)로 해도 된다.
클립부(16)는 부착구 본체(11)와의 사이에서 사용자의 옷을 끼우는 클립 본체(161)와, 옷과 부착구 본체(11) 사이의 미끄럼 방지로 작용하는 마찰부(1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클립 본체(161)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구 본체(11)의 상단의 변을 베이스부로 해서 하단의 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공극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2개 설치되어 그 사이의 부분이 투과부(13)로서 기능한다. 투과부(13)는 부착부(12)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했을 때에 출입면(22)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립 본체(161)는 적어도 부착구 본체(11)의 옆 변 및 아랫변과 겹치는 위치·크기가 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해당 부분과의 사이에서 사용자의 옷에 끼워 넣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본체(161)가 조정판체(152)와 중첩되도록 폭을 더 두어 구비되고, 다른 쪽의 클립 본체(161)는 삽통부(14)와 겹치는 위치에 폭을 더 두어 구비됨에 따라, 이러한 부재들과 클립 본체(161)에 의해 끼워 넣음으로써 장착이 더욱 강고하게 되어 있다.
클립 본체(161)의 두께는 베이스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립 본체(161)의 선단부 부근을 변형하기 쉽게 해서 옷에 쉽게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클립 본체(161)는 그 베이스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를 향함에 따라 부착구 본체(11)에 가까워지고, 선단부에서 거의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부재를 끼운 단단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마찰부(16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구 본체(11)에 접촉하는 면에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고, 여기에 옷을 끼워 넣음으로써 부착구 본체(11)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마찰의 발생 방법은 이것에 의하지 않고, 고무판이나 실리콘판 등을 붙일 수 있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실시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를 사용자의 옷에 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클립 본체(161)의 하단과 부착구 본체(11)의 사이에, 자신의 바지나 스커트, 벨트 등의 옷의 상단으로부터 집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허리 부분에 부착구(1)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따라 출입면(22)의 출입 위치가 투과부(13)의 위치와 겹쳐 해당 부분을 허리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몸통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부(16)의 하부에는 벨트(3)를 부착하기 위한 삽통부(14)나 조정부(15)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3)를 통한 장착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취급 성능이 향상되고, 클립부(16)에 의한 홀딩력에 더해, 벨트(3)에 부착되는 것에 따른 홀딩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제 4 실시 형태>
이하, 도 9, 도 10을 이용해,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이후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부착구(1)는 복수개로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복수의 부착구를 통틀어서 부착구 본체(Q)라고 호칭한다. 이 부착구 본체(Q)는 이보다 앞의 각 실시 형태에서의 부착구 본체(11)와 동일한 위치이다.
부착구(1)는 부착구의 본체로서 기능하는 부착구 본체(Q)로서,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착구(1)는, 각각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P)를 가진다.
부착구(1)는, 스테인리스나 스틸 등의 금속 부재나,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 본체(Q)의 폭은 적어도 벨트(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이면을 향해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 1 부착구(18)는 각주 형상인 본체 부분과,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한쪽면을 부착하기 위한 제 1 부착부(181)와, 벨트(3)에 통과시키기 위한 제 1 삽통부(182)를 가지고 있다.
제 1 부착부(181)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면 제 1 부착구(18)는 제 1 부착구(18)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 1 부착구(18)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A1)과, 돌출편(A1)의 선단 부분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끼워 넣는 감합편(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돌출편(A1)은 제 1 부착구(18)에 대해 3mm 내지 10mm 돌출 형성되는 변으로서, 적절히 장착되었을 때에 벨트(3)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두께는 적어도 2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부착구 본체(Q)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감합편(A2)은 돌출편(A1)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품이다. 그 형상은, 피부착부(23)와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후술하는 피부착부(23)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돌출편(A1)의 폭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감합편(A2)은 그 외경을 피부착부(23)의 폭보다 크게 한 원주 형상 부재로 하고 있지만,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서리 부분을 돌출편(A1)의 선단에 부착한 각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마주보는 감합편(A2)의 크기나 형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출입면(22)이 반드시 몸통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삽통부(182)는 제 1 부착구(18)에 일체 성형되는 벨트(3)를 삽통하는 부분이며, 삽통 부분은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를 가지는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의 크기는 높이가 적어도 벨트(3)의 폭보다 크고, 폭이 적어도 벨트(3)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착구(19)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한쪽면을 부착하기 위한 제 2 부착부(191)와, 벨트(3)에 통과시키기 위한 제 2 삽통부(192)와, 벨트(3)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15)를 가지고 있다.
제 2 부착부(191)의 구조는, 제 1 부착부(181)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개구의 폭은 적어도 벨트(3)의 두께의 2배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벨트(3)에 부착되었을 때에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부착부와는 좌우 대칭이 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삽통부(192)는 제 1 삽통부(182)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조정부 본체(14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투과부(1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의 사이의 공극 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장착부(P)가 장착되어 있지 않고 부착부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했을 때에 출입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측정파를 투과하는 부재에 의해 각각의 부착구(1)끼리는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투과부(13)는 출입면(22)으로부터 방출되는 음파나 전파 등의 측정파, 또는 반사되어 출입면(22)으로 되돌아가는 음파나 전파 등의 측정파를 투과한다. 측정파를 투과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든 상관없고, 예를 들면 측정파가 도플러파 등의 음파인 경우에는 메쉬 형상의 섬유 부재로 해도 되고, 또한 측정파가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 등의 전파인 경우에는 금속이나 액체 등의 전파를 차폐하는 부재를 이용하지 않으면, 플라스틱이나 목재 등 어떠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조정부(15)는 제 2 부착구(19)에 일체 성형되어 있고, 제 2 부착구(19)에 형성되는 제 2 삽통부(192)와 거의 동일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제 1 삽통부(182), 제 2 삽통부(192) 및 조정부(15)의 개구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또한 동시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삽통부(192) 및 조정부 본체(141)의 제 2 부착구(19)가 설치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서, 결합판(142)이 접착되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각각의 개구가 상기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는 신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이며, 대략 직방체 형상의 취득 장치 본체(21)와, 소정의 측정파를 방출함과 동시에 수신하는 출입면(22)과 각 부착부가 부착되는 피부착부(2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적어도 측정파의 방출 및 수신의 제어 및 처리를 실시하는 제어부와,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는 기록부와, 기록한 데이터를 외부와 주고받을 수 있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있다.
피부착부(23)는 부착구 본체(Q)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해 형성되는 관통하지 않는 구멍 부분이다. 구멍 부분의 형상은 부착구 본체(Q)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부착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부착부의 형상에 대응해 거의 동일하거나 해당 형상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감합편(A2)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탈락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통하지 않음에 따라 중력에 의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부착부로부터 삽통부의 개구 내주면까지의 거리 및 양 부착부로부터 조정부(15)의 개구 내주면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출입면(22)에서부터 피부착부(23)까지의 거리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입면(22)은 피부착부(23)가 구비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에서 대향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출입면(22)이 사용자의 몸통을 향하도록 신체 정보 취득 장치(2)가 부착된다.
벨트(3)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띠 형상 부재이며, 벨트의 본체 부분인 벨트 본체(31)와, 조정부(15)에 관통 삽입하기 위한 구멍 부분인 부착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벨트 본체(31)는 가죽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띠 형상 부재이며,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는 길이이다. 이하, 벨트 본체(31)의 단부를 일단부(31A)와 타단부(31B)로 설명한다.
벨트 본체(31)의 일단부(31A)는 꺾어 접거나 쇠장식 등의 부착에 의해 벨트 본체(31)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크게 되어 있다.
이하, 도 9, 도 10을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목적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방법은 일례이며, 실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는 전후로 해도 괜찮다.
<실시 방법>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에 부착구(1)와 벨트(3)를 장착한다.
사용자는 벨트 본체(31)를 타단부(31B)로부터 제 2 부착구(19)에 있어서의 조정부(15) 및 제 2 삽통부(192) 안에 통과시키고, 그대로 허리둘레를 한 바퀴 돌려서 제 1 부착구(18)에서의 제 1 삽통부(182) 안에 통과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타단부(31B)를 제 2 부착구(19)에서의 조정부(15) 및 제 2 삽통부(192) 안에 통과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착부(181)와 제 2 부착부(191)가 대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벨트 본체(31)의 길이를 조정한다. 벨트 본체(31)는 제 2 부착구(19)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일단부(31A)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벨트(3)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구(1)에 부착한다.
즉, 사용자는 제 1 부착부(181)와 제 2 부착부(191)의 사이의 거리를 피부착부(23)끼리의 거리에 맞추어 도 2와 같이 제 1 부착부(181) 및 제 2 부착부(191)와 피부착부(2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한다.
이때,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의 사이의 부분이 공극(투과부(13))이 되기 때문에, 출입면(22)의 출입 위치가 투과부(13)의 위치와 겹쳐 해당 부분을 허리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몸통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조작을 실시함에 따라 제거도 쉽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이하, 도 11, 도 12를 이용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명의 설명을 실시한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부착구(1)는,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착구(1)는 각각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P)를 가진다.
제 1 부착구(18)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한쪽면을 부착하기 위한 제 1 부착부(181)와, 벨트(3)에 통과시키기 위한 제 1 삽통부(182)를 가지고 있다.
제 1 부착부(181)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부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하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하면, 제 1 부착부(181)는 부착구(1)의 상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착부(181)는 부착구 본체(Q)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A1)과, 돌출편(A1)의 선단 부분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끼워 넣는 감합편(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돌출편(A1)은 제 1 부착구(18)에 대해서 3mm 내지 10mm 돌출 형성되는 변으로서, 적절히 장착되었을 때에 벨트(3)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두께는 적어도 2mm 이상이며, 부착구 본체(Q)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2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감합편(A2)은 돌출편(A1)의 선단에 설치되는 부품이다. 그 형상은 피부착부(23)와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후술하는 피부착부(23)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돌출편(A1)의 폭보다 넓은 부분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감합편(A2)은 그 외경을 피부착부(23)의 폭보다 크게 한 원주 형상 부재로 하고 있어 단면은 어느 곳에서든 동일한 형상이 된다.
제 1 삽통부(182)는 제 1 부착부(181)와 일체 성형되어 벨트(3)를 삽통하는 부분이며, 삽통 부분은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를 가지는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사각형의 크기는, 높이가 적어도 벨트(3)의 폭보다 크고, 폭은 적어도 벨트(3)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착구(19)의 구조는 제 1 부착구(18)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완전히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부착 방향을 신경 쓰지 않고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수 있게 되며, 취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부착부(23)는 부착구 본체(Q)에서 측면 방향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를 향해 형성되는 구멍 부분이다. 제 1 부착구(18) 및 제 2 부착구(19)에 부착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은 그 형상들과 대응하여 형성된다.
구멍의 깊이는 적어도 감합편(A2)의 폭보다 크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의 2배 이상으로 한다. 또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관통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부착부(23)가 출입면(22) 상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출입면이 사용자의 몸통을 향한다.
또한 피부착부(23)는 부착구 본체(Q)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착부에 대응해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지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벨트(3)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띠 형상 부재이며, 벨트의 본체 부분인 벨트 본체(31)와, 조정부(15)에 관통 삽입하기 위한 구멍 부분인 부착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3) 자체가 길이 조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벨트 본체(31)는 가죽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띠 형상 부재이며,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하, 벨트 본체의 단부를 일단부(31A)와 타단부(31B)로 설명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목적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방법은 일례이며, 실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는 전후로 해도 무방하다.
<실시 방법>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에 부착구(1)와 벨트(3)를 부착한다.
즉, 사용자는 벨트 본체(31)를 제 1 삽통부(182) 및 제 2 삽통부(192)를 통과시킴으로써 제 1 부착구(18) 및 제 2 부착구(19)를 벨트에 부착한다. 이때, 양 부착구의 구조가 동일하고,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좌우 대칭임에 따라 순서나 방향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진다. 아울러, 사용자는 벨트(3)의 길이 조정을 실시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구(1)에 부착한다.
즉, 사용자는, 제 1 부착부(181)와 제 2 부착부(191) 사이의 거리를 피부착부(23)끼리의 거리에 맞추어 도 12와 같이 제 1 부착부(181) 및 제 2 부착부(191)와 피부착부(2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위에서부터 아래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한다.
이때,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 사이의 부분이 공극(투과부(13))이 되어, 출입면(22)의 출입 위치가 투과부(13)의 위치와 겹쳐 해당 부분을 허리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몸통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제 6 실시 형태>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해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착구를 설명한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와 제 10 및 제 5 실시 형태와는 부착구(1)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부착 방법이 상이하다.
제 1 부착부(181)는 플라스틱제의 탄성을 가지는 후크부(A3)이며, 제 1 삽통부(182)의 개구면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서 붙일 수 있도록 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A3)는 적어도 신체 정보 취득 장치(2)가 장착되는 면보다 긴 부착축(A31)과, 부착축(A31)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A32)와, 돌기(A32)의 단부에서 안쪽을 향해 형성되는 갈고리 부분인 크로셰(claw)(A33)를 가지고 있다.
돌기(A32)가 돌출되는 방향은, 제 1 삽통부(182)의 개구 방향에 평행이어도 되고 수직이어도 된다. 또한 돌기(A32)에서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을 향해 힘이 인가되면 적어도 크로셰(A33)의 높이만큼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착부(191)의 형상은 제 1 부착부(181)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벨트(3)에 부착되었을 때에 서로 대향하도록 제 1 부착부(181)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부착부(23)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하지 않는 구멍 부분이다. 피부착부(23)의 폭은 크로셰(A33)가 삽입 가능해지도록 크로셰(A33)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깊이는 적어도 크로셰(A33)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피부착부(23)가 출입면(22)과 다른 면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출입면(22)이 사용자의 몸통을 향한다.
<실시 방법>
사용자는 제 5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벨트(3)에 부착구(1)를 부착한다.
그 후, 벨트(3) 상에 설치된 제 1 부착구(18)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피부착부(23)와 크로셰(A33)의 위치를 맞추어 밀어넣어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착구(19)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피부착부(23)와 크로셰 (A33)의 위치를 맞추어 밀어넣어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의 사이의 부분이 공극(투과부(13))이 되어, 해당 부분을 허리 부분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몸통의 센싱을 실시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크로셰(A33)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돌기(A32)의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게 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7 실시 형태>
이하, 도 15를 이용해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에 대해 상술한다. 전술의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부착구(1)는, 그 표면에서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고, 그 이면에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부착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부착구(1)는 부착구(1)의 베이스부가 되는 부착구 본체(Q)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사용자의 몸통을 향해 부착하는 제 1 부착부(181) 및 제 2 부착부(191)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로부터 방출되는 측정파를 투과하는 투과부(13)와, 장착부(P)로서 사용자의 옷(예를 들면, 바지나 스커트)을 사이에 끼워서 부착하는 클립부(16)를 가진다.
클립부(16)는 각각의 부착구(1)의 사이에서 사용자의 옷을 사이에 끼우는 클립 본체(161)와, 옷과 부착구 본체(Q)의 사이의 미끄럼 방지로서 작용하는 마찰부(1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클립 본체(161)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구(1)의 상단의 변을 베이스부로 해서 하단의 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클립 본체(161)는, 배면에서 바라봤을 때 적어도 각각의 부착구(1)와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부분과의 사이에 사용자의 옷에 끼워 넣는다.
클립 본체(161)의 두께는 베이스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선단부 부근을 변형하기 쉽게 해서 옷에 달기 쉽게 한다.
또한, 클립 본체(161)는, 그 베이스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를 향함에 따라 각각의 부착구(1)의 본체 부분에 가까워지고 하단부에서 거의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단단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마찰부(16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구 본체(Q)에 접촉하는 면에 복수의 요철을 설치하고, 그곳에서 옷을 끼워 넣음으로써 부착구 본체(Q)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마찰의 발생 방법은 이에 따르지 않고, 고무판 등을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실시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를 사용자의 옷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 본체(161)의 하단과 각각의 부착구의 사이에 자신의 바지나 스커트, 벨트 등의 옷의 상단에 집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허리 부분에 보다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부(16)의 사이에 벨트를 삽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하지 않고 벨트에 삽통시켜도 무방하다.
<제 8 실시 형태>
이하, 도 16을 이용해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구(1)에 대해 상술한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a)는 부착되기 전의 부착구(1)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b)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구(1)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부착구(1)는 제 1 부착구(18)와 제 2 부착구(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착구(1)는 각각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P)를 가진다.
제 1 부착구(18)는 고리 형상의 제 1 부착부(181)와, 벨트(3)를 삽통함과 아울러 제 1 부착부(181)의 형상을 유지하는 제 1 삽통부(182)를 가진다.
제 1 부착부(181)는 벨트(3)의 단부를, 제 1 삽통부(182)에 2번 통과시킴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고리의 지름은 5mm 내지 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부착부(181)는 제 1 삽통부(182)에 부착하여 구비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
제 1 삽통부(182)는 벨트(3)를 삽통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루프 부재이며,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은 적어도 벨트의 폭보다 크고, 그 폭은 벨트의 두께의 2배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착구(19)는 제 2 부착부(191)로서 기능하는, 후술하는 피부착부(23)에 꽂기 위한 삽입부(B1)와, 의도치 않는 이탈을 저지하는 탈부착부(B2)를 가지며, 벨트(3)와 장착하는 장착부(P)로서 벨트(3)의 단부와 접속하는 접속부(B3)를 가진다.
삽입부(B1)는 사람 힘으로 굽힐 수 없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대략 직방체의 부재이며, 후술하는 피부착부(23)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높이가 피부착부(23)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탈부착부(B2)는 삽입부(B1)의 양단으로부터 뻗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재이며, 삽입부(B1)와의 사이에 틈새를 생기게 하는 노치가 접속부(B3)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해당 노치의 폭은 적어도 후술하는 계지부(B5)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탈부착부끼리의 간격은 후술하는 삽입구(B4)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지만, 적어도 후술하는 계지부(B5)끼리의 간격보다 커지도록 형성되며, 탈부착부(B2)를 안쪽 방향을 향해 밀어 넣는 것에 의해 계지부(B5)의 높이보다 크게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B3)는 벨트(3)의 단부를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없게 고정하는 구멍 부분이다.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제어 버튼(211)이 출입면(22)에 마주보는 면에 가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 1 부착구(18) 및 제 2 부착구(19)에 각각 대응한 피부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피부착부(23)는, 출입면(22)과 상이한 2개의 면에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출입면(22)이 노출되고, 출입면(22)이 사용자의 몸통을 향하도록 부착된다.
제 1 부착구(18)에 대응하는 피부착부(23)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단부 부근에 설치되고, 출입면(22)을 가지는 면을 관통하는 구멍 삽입부이며, 적어도 벨트(3)의 두께보다 폭을 크게, 그 높이를 벨트(3)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 2 부착구(19)에 대응한 피부착부(23)는, 삽입부(B1)를 관통 삽입하여 부착하기 위한 삽입구(B4)와, 삽입구(B4)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탈부착부(B2)와 협동해서 부착구의 탈락을 저지하는 계지부(B5)와, 부착된 상태에 있는 탈부착부(B2)를 가압해서 제 2 부착구(19)를 떼어내는 누름부(17)을 가진다.
삽입구(B4)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부분이며, 그 높이는 삽입부(B1)와 2개의 탈부착부(B2)의 높이의 합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며, 그 폭을 삽입부(B1)와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삽입부(B1)를 삽입 가능하게 한다.
계지부(B5)는 삽입구(B4)의 내주면의 단면 부근에서 삽입구(B4)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 부분이며, 그 높이는 탈부착부(B2)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계지부(B5)의 일면은 제 2 부착구(19)가 부착되었을 때에, 탈부착부(B2)의 접속부 측의 단면과 맞닿음으로써 의도치 않는 제거를 억제한다.
누름부(17)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부재이며 삽입구(B4)를 향해 관통한다. 누름부(17)는 적어도 계지부(B5)의 높이보다 크고 삽입구(B4)의 중심 방향을 향해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누름부(17)의 일부는, 제 2 부착구(19)가 부착된 상태에서 탈부착부(B2)와 맞닿는다.
한편, 제 2 부착구(19)와 삽입구(B4)는 서로 다른 자성을 갖게 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부착할 수 있게 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 2 부착구(19)의 선단과 삽입구(B4)의 저면에 각각 면 패스너를 부착함으로써 부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하, 도 16을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허리 부분에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부착할 목적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방법은 일례이며, 실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는 전후로 해도 괜찮다.
<실시 방법>
먼저, 사용자는, 벨트(3)의 단부를 제 1 삽통부(182)에 삽입하고, 피부착부(23)에 삽입한 다음 다시 제 1 삽통부(182)에 삽입함으로써 링 형상의 제 1 부착부(181)를 형성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벨트(3)를 허리에 두르고 제 1 삽통부(18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 1 부착부(181)의 크기를 조정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제 2 부착구(19)의 삽입부(B1)를 삽입구(B4)에 부착한다. 이때, 밀어 넣어진 탈부착부(B2)가 계지부(B5)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의도치 않은 제 2 부착구(19)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벨트(3)를 제거할 때는 누름부(17)를 누름으로써 실시한다.
즉, 누름부(17)가 가압되면, 탈부착부(B2)가 변형됨으로써 탈부착부끼리의 간격이 계지부(B5)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아져서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구의 실시 형태는 이하에 나타내는 변경예도 포함한다. 단, 이하의 변경예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구성의 일례이며, 본 발명을 이하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변경예>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른 변경예로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벨트(3)의 단부에 접속부(B3)를 통해서 설치되는 삽입부(B1) 및 탈부착부(B2)와, 취득 장치 본체(21)의 한 변을 따라 설치되는 삽입구(B4) 및 계지부(B5)와, 삽입부(B1)와 삽입구(B4)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누름부(17)의 구성은,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즉, 삽입부(B1)와 삽입구(B4)에 따른 부착의 구성은, 도 16 중의 피부착부(23)로 치환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2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를 단일체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이때 한쪽의 삽입부(B1)는 벨트(3)를 통과시킬 수 있는 삽통부를 형성하여 도 16에 따라 벨트(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변경예에 있어서, 누름부(17)는 벨트(3)측, 즉 삽입부(B1)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삽입부(B1)의 삽입 방향의 길이는 삽입구(B4)의 깊이보다 길고, 도 16(b)를 따라 삽입부(B1)를 삽입구(B4)에 꽂았을 때 삽입부(B1)의 벨트(3)측이 비어져 나오는 상태가 된다. 이 비어져 나오는 길이는 누름부(17)의 크기보다 조금 큰 정도로, 바람직하게는 삽입방향에서의 누름부(17)의 길이의 1% 할증 내지 2배 정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누름부(17)의 조작과 삽입부(B1)의 파지를 한 번에 할 수가 있고, 간편한 조작으로 벨트(3)를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누름부(17)의 위치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3)의 두께 방향의 면이더라도 출입면(22)측의 면 또는 그 맞은편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형상도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는 조명을 설치해도 좋다. 이 조명은 LED 등의 직경 5mm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신체 정보 취득 장치(2)의 가동이나 전지 잔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신체 정보 취득 장치(2)는 집음기를 설치해도 좋다. 집음기는 사용자의 내장의 동작음이나 사용자의 주변의 소리를 취득해, 이것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위치 정보 등의 측정에 이용하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1: 부착구
11: 부착구 본체
111: 손잡이부
12: 부착부
12A: 가로 슬라이드 부착부
12B: 세로 슬라이드 부착부
121: 돌출부
122: 감합체
123: 평행편
124: 부착부 본체
125: 삽입구
126: 고정부
127: 방열 구멍
128: 보조 투과부
13: 투과부
14: 삽통부
141: 조정부 본체
142: 결합판
15: 조정부
151: 구멍 삽입부
152: 조정판체
153: 보조판
16: 클립부
161: 클립 본체
162: 마찰부
17: 누름부
18: 제 1 부착구
181: 제 1 부착부
182: 제 1 삽통부
19: 제 2 부착구
191: 제 2 부착부
192: 제 2 삽통부
A1: 돌출편
A2: 감합편
A3: 후크부
B1: 삽입부
B2: 탈부착부
B3: 접속부
B4: 삽입구
B5: 계지부
2: 신체 정보 취득 장치
21: 취득 장치 본체
211: 제어 버튼
212: 표시부
22: 출입면
23: 피부착부
231: 가로 피부착부
232: 세로 피부착부
24: 끼워맞춤부
3: 벨트
31: 벨트 본체
32: 부착홀
P: 장착부
Q: 부착구 본체

Claims (20)

  1.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벨트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구로서,
    부착구 본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벨트를 삽통하는 삽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부와 이격되어 제 2 삽통부 또는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부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할 수 있는 피부착부를 갖는, 부착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피부착부에 삽입하는 삽입부를 단부에 가지며,
    상기 피부착부는 상기 삽입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를 갖는, 부착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는 상기 출입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평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출입면에 인접하는 하나의 평면 내에서 개구되는, 부착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착부는 상기 출입면과 다른 2개의 면에서 마주보게 형성되는, 부착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본체는 상기 삽통부와 상기 제 2 삽통부 또는 상기 조정부의 사이에 상기 측정파를 투과하는 투과부를 가지는, 부착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벨트를 관통하는 구멍 삽입부를 구비하는, 부착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피부착부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본체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프레임 형상인, 부착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부착구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부착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한 부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부착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본체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착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부재를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클립부를 갖는, 부착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부착하는 가로 슬라이드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부착하는 세로 슬라이드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출입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에 부착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장착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피부착부에서부터 상기 출입면까지의 거리보다 긴 구성인, 부착구.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부착구를 갖는 허리 벨트.
  19.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벨트에 부착하는 부착 방법으로서,
    부착구 본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를 통해서, 상기 출입면이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도록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하는 부착 방법.
  20. 밀리미터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측정파를 출입면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방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로서,
    부착구 본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 및 상기 신체 정보 취득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부착구에 의해, 벨트에 부착할 수 있는 신체 정보 취득 장치.
KR1020237045125A 2022-05-26 2023-05-15 부착구 KR20240013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86045 2022-05-26
JPJP-P-2022-086043 2022-05-26
JP2022086043A JP7208687B1 (ja) 2022-05-26 2022-05-26 取付具
JPJP-P-2022-086045 2022-05-26
JPJP-P-2022-119550 2022-07-27
JP2022119550A JP7232557B1 (ja) 2022-05-26 2022-07-27 取付具
JPJP-P-2022-171537 2022-10-26
JP2022171537A JP7232558B1 (ja) 2022-05-26 2022-10-26 取付具の構造及び身体情報取得装置の取付方法
PCT/JP2023/018126 WO2023228797A1 (ja) 2022-05-26 2023-05-15 取付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242A true KR20240013242A (ko) 2024-01-30

Family

ID=8891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25A KR20240013242A (ko) 2022-05-26 2023-05-15 부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13242A (ko)
CN (1) CN117642118A (ko)
WO (1) WO20232287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627A (ko) 2018-08-09 2020-02-19 기주현 폐전지로부터 원료를 회수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6584A2 (en) * 2005-08-01 2007-02-08 Merkel Carolyn M Wearable fitness device and fitness device interchangeable with plural wearable articles
US10292654B2 (en) * 2013-12-16 2019-05-2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Biomedic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having conductive elements
JP2019058573A (ja) * 2017-09-28 2019-04-18 国立大学法人旭川医科大学 生体信号取得装置、および生体信号取得用装着具
WO2020017358A1 (ja) * 2018-07-20 2020-01-23 ソニー株式会社 装着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627A (ko) 2018-08-09 2020-02-19 기주현 폐전지로부터 원료를 회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8797A1 (ja) 2023-11-30
CN117642118A (zh)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715B2 (en) Photoplethysmography sensors
US20220079460A1 (en) Noninvasive vital signs measurement system
US20080058622A1 (en) Medical sensor for reducing signal artifac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9770198B2 (en) Sensor and fastener
CA2897862C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hotoplethysmography at the nasal columella
EP1912566B1 (en) Medical sensor
EP3120769B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pulse oximeter
US10226215B2 (en) Cable management feature for wearable medical monitor
WO2009020257A1 (en) Pulse oximeter apparatus
KR20240013242A (ko) 부착구
JP7232557B1 (ja) 取付具
EP2327358B1 (en) Sensor holder for medical sensor
JP7208687B1 (ja) 取付具
US20230329639A1 (en) Finger-worn sensing device
CN110680376A (zh) 透x光儿童骨龄测量手部固放装置
EP3892188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CN114073521A (zh) 血氧传感器组件及血氧测量装置
JP2019520151A (ja) 人間の肢の生理学的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111852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of a human limb
CN213640870U (zh) 血氧传感器组件及血氧测量装置
CN213696917U (zh) 佩戴装置及可穿戴人体参数监测系统
CN213640869U (zh) 一种指套式血氧仪
CN210903029U (zh) 具有弹性带的指戴式血氧监测装置
JP2015112291A (ja) 光センサ
EP0436318A1 (en) Sensor appl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