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957A -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 Google Patents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957A
KR20240012957A KR1020220090554A KR20220090554A KR20240012957A KR 20240012957 A KR20240012957 A KR 20240012957A KR 1020220090554 A KR1020220090554 A KR 1020220090554A KR 20220090554 A KR20220090554 A KR 20220090554A KR 20240012957 A KR20240012957 A KR 20240012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auxiliary
lens
magnets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규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임성규
임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임종윤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22009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957A/ko
Publication of KR2024001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통상의 안경의 전면에 다양한 형태, 색상, 크기와 도수를 가지는 보조렌즈(30)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되, 안경테의 림(11) 전면에 다수의 제1자석(13)을 일정간격 구성하고, 상기 보조렌즈(30)의 내측면에 상기 제1자석(13)과 대응되는 제2자석(33)을 구성하여, 상기 보조렌즈(30)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들의 개성 및 자신의 현재 상황에 맞춰서 다양한 보조렌즈(30)를 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안경을 착용 시 재미를 유발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Glasses with optional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uxiliary lenses}
본 발명은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테의 전면에 다수의 자석을 구성하고, 상기 안경테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보조렌즈를 구성하되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성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목적에 맞둬 다양하게 보조렌즈를 구성시켜 착용할 수가 있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목적으로 착용되고 있고, 굴절이상, 안위이상, 조절기능, 노안보정과 같은 시력 보정용으로 안경이 착용되고 있으며 유해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시력 보호용으로도 착용되고 있고, 약시의 시기능 훈련을 위한 목적 등으로도 안경을 착용하기도 하고, 미용이나 패션적인 목적과 사격, 등산 및 레포츠 용도로도 안경을 많이 착용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목적으로 착용되고 있는 안경은 첨단소재의 재질들이 등장하면서 점차 경량화 되어가고 있고 개성화되고 있으며 장식미도 가미되는 실정인데, 시력 보정용으로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에게 노안이 오게 되면 현재 직면한 상태나 보아야 할 대상에 따라서 그에 맞는 도수가 다른 보조안경을 여러 개를 준비하여 상황에 맞게 착용하거나 추가 부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시력보정용 안경 착용자가 차량 운전을 하는 등의 상황이 되면 시력 보호를 위해 시력보정용 안경 및 시력보호용 안경을 함께 착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경량화 되어야할 안경이 덧붙인 안경 만큼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도록 근래에는 통상의 안경테에 보조안경테 또는 보조렌즈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의 개발 및 선행문헌들이 많이 있다.
등록번호 10-1344689호(특)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발명으로써,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에 있어서, 본체안경의 주 렌즈의 전면부에 자성투명막이 도포되게 구성하고, 주 렌즈에 착탈되는 보조 렌즈의 배면부에 자성투명막이 도포되게 구성하되, 주 렌즈와 보조 렌즈의 자성투명막은 코발트 첨가 이산화티탄 막으로서 각 렌즈의 외곽부를 빙두르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보조렌즈 부착시 맞춤정렬이 용이하도록 반투명 점형상의 맞춤용 표식이 주 렌즈와 보조 렌즈의 자성투명막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한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10-2064561호(특)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발명한 것으로, 안경테의 주렌즈와 상기 주렌즈에 부착되는 보조렌즈가 구성되되, 상기 주렌즈와 보조렌즈의 대응하는 표면에는 자성투명막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렌즈를 상기 주렌즈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렌즈의 자성투명막은 상기 자성투명막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자성투명막이 도포된 보조렌즈의 타측 표면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자성투명막이 형성되며, 상기 자성투명막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되 전체적으로 색상을 갖는 이미지형태로 상기 보조렌즈보다 작게 또는 크게 형성되고, 일측 표면에 전체적으로 자성투명막이 형성되는 다수의 문양층이 서로 다른 이지미로 구성되는 문양층을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주렌즈와 보조렌즈 및 문양층 사이에는 자성투명막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성을 갖는 받침대가 구성되어 상기 주렌즈와 보조렌즈 및 문양층의 대응하는 면이 직접 맞닿지 않게 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주렌즈와 보조렌즈가 상호 대응하는 부분에 일정간격 다수의 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좌, 우 폭이 상기 각각의 홈을 합친 폭보다 크게 형성하며, 상기 홈에 자성투명막을 각각 구성한 후, 상기 받침대의 양측을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게 구성하고, 상기 보조렌즈와 문양층은 상기 주렌즈의 크기보다 작게 또는 크게 형성되며 도수가 포함되게 구성되는 문양층을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주렌즈에 자체적으로 자성투명막을 형성하고 있어, 보조렌즈를 주렌즈가 지속적인 탈, 부착이 이루어질 시, 주렌즈 또는 보조렌즈의 파손을 초래할 수가 있고, 주렌즈에 직접적으로 자성투명막을 도포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 자성투명막의 훼손 등이 발생할 경우 보조렌즈가 이탈될 수가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의 림에 다수의 자석을 임의의 위치에 구성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보조렌즈를 구성하되, 상기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자석을 구성하여 손쉽게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개성에 맞춰 다양하게 보조렌즈를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전면 또는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제1자석(13)이 구성되는 한 쌍의 림(11)과, 상기 림(11)과 림(11)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5)로 구성되는 안경테(10); 상기 림(11)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안경다리(20); 내측면 또는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제2자석(33)이 구성되어 상기 제1자석(13)과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크기와 색상 및 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렌즈(30); 로 구성되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림(11)의 전면과 보조렌즈(30)의 내측면에는 일정깊이 홈부(12, 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부(12, 31)에 제1,2자석(13, 33)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렌즈(30)는 상기 안경테의 림(11) 둘레보다 더 크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 부착이 가능한 안경에 의하면, 안경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안경테에 제1자석과 보조렌즈에 제2자석을 각각 구성하여 탈, 부착이 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보조렌즈의 다양한 색상, 형태, 크기 도수에 따라서 착용자가 원하는 보조렌즈를 부착하여 자신의 현재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안경을 착용 시 착용자로 하여금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안경테의 전면에 다수의 자석을 구성하고, 상기 안경테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보조렌즈를 구성하되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성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목적에 맞둬 다양하게 보조렌즈를 구성시켜 착용할 수가 있는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을 제공한다.
즉, 통상적으로 안경테는 소비자들이 이미 제작된 초기 형태의 안경테를 그대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안경을 착용자가 안경테의 형태, 색상,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마치 착용자가 안경테의 디자이너가 되어 자기만의 개성을 갖는 안경테의 형태, 색상, 크기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안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 안경다리(20) 및 보조안경(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경테(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또는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제1자석(13)이 구성되는 한 쌍의 림(11)과, 상기 림(11)과 림(11)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5)로 구성된다.
상기 림(11)의 외측 둘레 또는 실질적으로 렌즈가 삽입되는 내측 둘레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렌즈 삽입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의 경우 시력교정을 위해 본 발명의 안경을 착용 시 렌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패션 등 다른 목적으로 본 발명의 안경을 착용 시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보조렌즈(30)를 탈, 부착 시 안경테에 삽입된 렌즈와 탈, 부착되는 것이 아닌, 림(11)과 탈, 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안경테에 삽입된 렌즈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다.
여기서, 상기 림(11)과 브릿지(15)의 경우 통상적으로 안경테(10)가 구성되기 위한 일반적인 구조 및 구성으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안경테(10)에는 착용자의 코부분과 코받침이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안경다리(2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11)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림(11)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힌지부가 구성되며, 상기 림(11)과 연결되지 않은 힌지부의 일측에 안경다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림하는 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안경다리(20)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렌즈(3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써,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내측면 또는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제2자석(33)이 구성되어 상기 제1자석(13)과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서로 다른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되며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조렌즈(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가 있는데, 착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황 또는 다양한 목적을 통해 보조렌즈(30)의 형상과 색상 및 크기와 도수를 선택하여 림(10)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11)과 보조렌즈(30)를 탈, 부착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1,2자석(13, 33)은 상기 림(11)과 보조렌즈(30)의 내부에 각각 구성되거나 상기 림(11)의 전면과 보조렌즈(30)의 내측면에는 일정깊이 홈부(12, 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홈부(12, 31)에 제1,2자석(13, 33)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자석(13, 33)이 홈부(12, 31)에 끼워진 후 충격 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홈부(12, 31)의 바닥부 또는 제1,2자석(13, 33)이 홈부(12, 31)에 삽입되는 면에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재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고주파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제1,2자석(13, 33)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림(11)의 전면과, 보조렌즈(30)의 내측에 접착부재 등을 이용하여 제1,2자석(13, 33)이 부착되는 실시예와, 홈부(12, 3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홈부(12, 31)에 각각의 제1,2자석(13, 33)이 삽입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통상의 접착되는 구조 및 방법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보조렌즈(30)는 상기 안경테(10)의 림(11) 둘레보다 더 크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가 있는데,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조렌즈(30)는 둥근 형상을 가지고, 다른 하나의 보조렌즈(30)는 별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림(11)과 부착시켜 착용할 수가 있으며, 둥근 형상의 각각의 보조렌즈(30)를 구비하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림(11)에 부착하여 착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2자석(13, 33)의 길이는 상기 홈부(12, 31)과 동일 또는 더 길게 형성될 수가 있으며, 상기 제1,2자석(13, 33)이 홈부(12, 31)보다 더 길게 형성될 경우, 보조렌즈(30)의 내측면이 림(11)의 외측면과 마찰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훼손 및 파손을 방지토록 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경에 렌즈가 포함되어 구성될 경우, 상기 렌즈에 보조렌즈(30)를 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자석을 구성하고, 상기 렌즈에 보조렌즈(30)를 구성할 시, 하나의 렌즈에 2개의 보조렌즈(30)를 구성하되, 하부에 구성된 보조렌즈(30)에는 별도의 도수가 있도록 하고, 상부에 구성된 보조렌즈(30)에는 도수를 구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안경을 구성할 때 렌즈에 도수를 포함할 경우, 다수의 보조렌즈(30)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가 있어 패션과 시력교정 등, 다초점 렌즈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어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의 전면에 제1자석(13)을 구성함에 있어, 자석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구성하도록 하여 자성의 힘을 향상시켜 전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보조안경테(30)와 부착 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 부착이 가능한 안경에 의하면, 안경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안경테에 제1자석과 보조렌즈에 제2자석을 각각 구성하여 탈, 부착이 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보조렌즈의 다양한 색상, 형태, 크기와 도수에 따라서 착용자가 원하는 보조렌즈를 부착하여 자신의 현재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안경을 착용 시 착용자로 하여금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안경테 11 : 림 12 : 홈부
13 : 제1자석 15 : 브릿지
20 : 안경다리
30 : 보조안경테 31 : 홈부 33 : 제2자석

Claims (3)

  1. 전면 또는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제1자석(13)이 구성되는 한 쌍의 림(11)과, 상기 림(11)과 림(11)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5)로 구성되는 안경테(10);
    상기 림(11)의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안경다리(20);
    내측면 또는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제2자석(33)이 구성되어 상기 제1자석(13)과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크기와 색상 및 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렌즈(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 부착이 가능한 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림(11)의 전면과 보조렌즈(30)의 내측면에는 일정깊이 홈부(12, 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부(12, 31)에 제1,2자석(13, 33)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 부착이 가능한 안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렌즈(30)는 상기 안경테의 림(11) 둘레보다 더 크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 부착이 가능한 안경.
KR1020220090554A 2022-07-21 2022-07-21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KR20240012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54A KR20240012957A (ko) 2022-07-21 2022-07-21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554A KR20240012957A (ko) 2022-07-21 2022-07-21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957A true KR20240012957A (ko) 2024-01-30

Family

ID=8971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554A KR20240012957A (ko) 2022-07-21 2022-07-21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561B1 (ko) 문양층을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안경
JPH0490508A (ja) 被せサングラス眼鏡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CN111194426B (zh) 眩光减少器
JP2016505172A (ja) 補助レンズ着脱型眼鏡
US6224208B1 (en) Color changing sunglass frames
KR102068289B1 (ko) 렌즈 교환형 안경
KR20240012957A (ko) 보조렌즈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JPH08286157A (ja) 簡易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6210A (ja)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KR20230135985A (ko) 보조안경테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KR20200116614A (ko) 합성수지소재와 금속소재 겸용 조립식 안경테
JP3212870U (ja) 老眼鏡および老眼鏡セット
KR200292589Y1 (ko) 복층의 렌즈구조를 구비한 안경
KR20060015168A (ko) 핀홀렌즈 및 핀홀렌즈 안경
JP3032573U (ja) 眉間部嵌合式の前掛けフレーム
KR20220138239A (ko) 유,무테 변환 안경
WO2015140739A1 (en) Eyeglass structure
KR20170069371A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200361503Y1 (ko) 식별 기능을 갖는 안경
KR20230127043A (ko) 금속안경테와 장식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0535186B1 (ko) 다용도 안경
JP2013228700A (ja) 眼鏡レンズ
KR101374153B1 (ko) 핀홀효과를 이용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