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156A -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156A
KR20240012156A KR1020220089707A KR20220089707A KR20240012156A KR 20240012156 A KR20240012156 A KR 20240012156A KR 1020220089707 A KR1020220089707 A KR 1020220089707A KR 20220089707 A KR20220089707 A KR 20220089707A KR 20240012156 A KR20240012156 A KR 2024001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eddy current
conveyor belt
magnetic rotor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보성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22008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156A/ko
Publication of KR2024001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배치되고, 폐자원이 분쇄되어 형성된 선별대상체가 공급되는 투입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타측에 배치되는 배출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선별대상체를 상기 투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부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 내측 양단에 배치되고, 제1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벨트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벨트롤러 중 상기 배출부측에 배치된 제2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 배치되고, 제2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을 통해 와전류를 형성하여 선별대상체로부터 비철금속을 분류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폐자원으로부터 분쇄되어 공급되는 선별대상체로부터 마그네틱로터에 의한 와전류를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되, 마그네틱로터를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마그네틱로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이를 통해 마그네틱로터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Non-ferrous metal sorting device using eddy current}
본 발명은 폐자원으로부터 분쇄되어 공급되는 선별대상체로부터 마그네틱로터에 의한 와전류를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되, 마그네틱로터를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마그네틱로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이를 통해 마그네틱로터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금속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전선 또는 폐전기전자제품(폐모터)에는 통상적으로 구리(Cu)선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고전압용 등에서는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Al)을 사용하며, 케이스 등에는 철재 등 여러 종류의 금속이 사용하고 있고, 통상의 폐금속제품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철재 등은 손쉽게 분류되고 있으나, 비철금속은 통상의 자력을 이용하는 분류장치에서는 분류되지 않는다.
이러한 폐전선 또는 폐전기전자제품(폐모터)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파쇄공정을 거쳐 파쇄된 분립체는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 비철금속으로는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으나, 비철금속은 통상의 자력을 이용하는 분류장치에서는 영구자석으로는 분류작업이 쉽지 않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분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철금속을 선별하기 위해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철금속 선별장치는 마그네틱로터가 벨트롤러 내부에 배치되어 벨트롤러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마그넥티로터와 선별대상체간의 거리가 먼 경우 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 선별이 어렵게 되므로 마그네틱로터의 지름을 최대한 크게 하되, 벨트롤러 내측면에 접하지 않도록 제작된다.
이에 종래의 선별장치는 마그네틱로터의 사이즈가 커질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로터의 중량 또한 증대되고, 이에 의한 소비전력도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8216호(2021.08.3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자원으로부터 분쇄되어 공급되는 선별대상체로부터 마그네틱로터에 의한 와전류를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되, 마그네틱로터를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마그네틱로터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이를 통해 마그네틱로터의 경량화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별대상체로부터 와전류에 의하여 분류되고, 낙하하는 비철금속을 가이드하기 위한 스플리터가 구비되되, 조절부가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와 스플리터간의 간격 또는 스플리터의 경사각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스플리터와 마그네틱로터의 중심간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비철금속의 누락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배치되고, 폐자원이 분쇄되어 형성된 선별대상체가 공급되는 투입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타측에 배치되는 배출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선별대상체를 상기 투입부로부터 상기 배출부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 내측 양단에 배치되고, 제1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벨트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벨트롤러 중 상기 배출부측에 배치된 제2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 배치되고, 제2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을 통해 와전류를 형성하여 선별대상체로부터 비철금속을 분류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벨트롤러의 내주면과 상기 마그네틱로터의 외주면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소정 범위 내에서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부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타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선별대상체로부터 분류되어 낙하되는 비철금속을 하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스플리터(splitter)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타측과 상기 스플리터의 상단간의 간격 또는 상기 스플리터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플리터의 상단은 상기 마그네틱로터와 중심과 상기 스플리터간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벨트 측으로 만곡진 곡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플리터의 곡선부는 상기 제2 벨트롤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는 폐자원으로부터 분쇄되어 공급되는 선별대상체로부터 마그네틱로터에 의한 와전류를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되, 마그네틱로터를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마그네틱로터의 소형화 및 경량하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대상체로부터 와전류에 의하여 분류되고, 낙하하는 비철금속을 가이드하기 위한 스플리터가 구비되되, 조절부가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와 스플리터간의 간격 또는 스플리터의 경사각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스플리터와 마그네틱로터의 중심간의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비철금속의 누락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분류된 분쇄물간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철금속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의 조절부를 나태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선별대상체(M)를 위한 투입부(20) 및 배출부(30)와, 선별대상체(M)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벨트(40)와, 컨베이어벨트(4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벨트롤러 및 배출부(30)측 벨트롤러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마그네틱로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선별장치의 골격을 구성하게 된다.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는 커버(11)에 의하여 덮여져 분쇄된 선별대상체(M) 중 미세분쇄물이 작업장으로 비산하거나, 또는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커버(11)에는 다수의 점검창(13)이 구비되어 커버(11) 내부에서 수행되고 있는 선별작업을 작업자나 현장 관리자가 수시로 점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는 선별장치가 일정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프레임(15)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입부(2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어 폐자원을 분쇄하여 형성된 스크랩 형태의 선별대상체(M)를 컨베이어벨트(40)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따른 선별대상체(M)는 분쇄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폐자원, 예컨대 폐전선, 폐모터 등과 같은 폐전기전자제품이 분쇄되어 투입부(20)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폐자원에는 구리선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고전압용에서는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케이스 등에는 철재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철재와 같은 자성 금속과 구리 및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 금속, 즉 비철금속은 통상적인 자력을 이용하여 분류가 가능하나, 분쇄물 중 전선피복과 등과 같은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은 통사의 자력을 이용하여 분류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는 1차적으로 폐자원을 1차 분쇄 후,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과 비금속/비철금속을 선별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을 2차 분쇄하여 투입부(20)로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을 2차로 분쇄하는 경우 와전류에 의한 비철금속을 선별하는 경우 분쇄물의 스크랩 내지 입도 사이즈가 균일하여야 분류작업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분쇄되어 형성된 선별대상체(M)는 투입부(2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40)로 공급되는데, 이 경우 선별대상체(M)의 분급량이 일정하도록 조절하기 위해 정량공급수단(미도시)이 투입부(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컨베이어벨트(40) 상에 공급되는 선별대상체(M)의 높이 내지 층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컨베이어벨트(40)에 놓인 선별대상체(M)의 높이 내지 층이 불균일한 경우 와전류에 의한 분별력이 상쇄될 수 있기 때문에 정량공급수단을 도입하여 컨베이어벨트(40) 상에 선별대상체(M)가 정량 공급되어 선별대상체(M)의 높이 내지 층이 균일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30)는 베이스프레임(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선별대상체(M)에 포함된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비금속 성분은 컨베이어벨트(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운반되고, 수직 낙하여 배출부(30)로 배출되고, 비철금속은 마그네틱로터(60)에 의한 와전류에 의한 반발력으로 컨베이어벨트(40)의 타측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던져지거나 또는 튕겨져 배출부(30)를 통해 낙하여 배출된다.
아울러 배출부(30)의 하부, 즉 컨베이어벨트(40) 타측단 하부에는 분류된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을 적재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분류함(33)이 구비되고, 제1 분류함(31)에는 비금속 성분이 적재되며, 제2 분류함(33)에는 비철금속이 적재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40)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 배치되어 투입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선별대상체(M)를 배출부(30)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벨트(40) 내측 양단에는 제1 벨트롤러(50A)와 제2 벨트롤러(50B)가 배치되고, 제1 벨트롤러(50A)에 제1 구동모터(41)가 연결되어 구동되며, 제1 벨트롤러(50A)와 제2 벨트롤러(50B)는 풀리와 구동벨트 등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구 제1 벨트롤러(50A)와 제2 벨트롤러(50B)는 중공의 원통형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베이어벨트(40) 내부 상부에는 제1 및 제2 벨트롤러(50A)(50B 사이에 컨베이어벨트(40)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또는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롤러(4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43)는 제2 벨트롤러(50B) 하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벨트(40)의 순환경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컨베이어벨트(40)의 텐션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로터(60)는 배출부(30)측에 배치되는 제2 벨트롤러(50B) 내부에 편심되어 배치되고, 제2 구동모터(61)에 의한 회전을 통해 와전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로터(60)는 제2 벨트롤러(50B) 내부에 편심되어 배치되는데, 이는 종래의 마그네틱로터(60)의 경우 벨트롤러 내부에 배치되어 벨트롤러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마그넥티로터와 선별대상체(M)간의 거리가 먼 경우 와전류의 세기가 낮아져 선별이 어렵게 되므로 마그네틱로터(60)의 지름을 최대한 크게 하되, 벨트롤러 내측면에 접하지 않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마그네틱로터(60)의 사이즈가 증대되고, 이에 의하여 마그네틱로터(60)의 중량 또한 증대되기 때문에 소비전력 또한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로터(60)가 제2 벨트롤러(50B) 내부에 편심되도록 배치시켜 마그네틱로터(60)의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경량화하게 된다. 이렇게 마그네틱로터(60)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경우 소비전력을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마그네틱로터(60)는 제2 구동모터(61)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구동되고, 마그네틱로터(60)의 회전 구동을 통해 구리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금속은 생성된 와전류에 의한 발반력과 컨베이어벨트(40)의 이송속도에 의하여 선별대상체(M)의 이송방향으로 튕겨져 나와 제2 분류함(33)으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 경우 마그네틱로터(60)는 자극수는 10 내지 15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극수가 15개 이상인 경우 자장 형성하는 유리하나 마그네틱로터(60)에 삽입되는 자극 자체가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게 되어 내구성능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로터(60)의 자장강도는 5,000 내지 10,000 gauss로 형성하며, 자극수의 많아지면 자장강도를 낮출 수는 있지만, 내구성능 문제로 15개 이하로 한정하여 자장강도는 최소 5,000 gaus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극수를 10개 이하로 하려면 자장강도는 최소 10,000 gauss 이상으로 하여야 하나, 비용대비 최적의 자극수를 10개 이상으로 하고, 자장강도는 10,000 gauss이하의 네오디뮴(Nd)이 첨가된 영구자석인 네오디뮴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그네틱로터(60)에 의하여 발생되는 와전류 세기는 마그네틱로터(60)의 자극수, 회전속도, 회전방향과, 컨베이어벨트(40)의 이송속도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또한 분쇄된 선별대상체(M)에 포함된 비철금속의 종류 내지 스크랩 크기나 입도 사이즈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 마그네틱로터(60)에 의한 와전류 생성 원리는 많은 문헌을 통해 게시되어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마그네틱로터(60)와 제2 벨트롤러(50B)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마그네틱로터(60)와 선별대상체(M)(비철금속)간의 거리가 가까워야 생성된 와전류에 의한 분별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로터(60)의 외주면과 제2 벨터롤러의 내주면 간의 거리는 최소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철금속의 종류에 따라서는 통전율이나 비중 등에 따라 와전류 세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로터(60)와 제2 벨트롤러(50B)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비철금속의 분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에서 와전류에 의하여 분류되는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제1 분류함(31)과 제2 분류함(33)으로 낙하여 적재된다.
이 경우 비금속 성분은 와전류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컨베이어벨트(40)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낙하여 제1 분류함(31)에 적재되고, 비철금속은 와전류에 의하여 컨베이어벨트(40)의 이송방향으로 튕겨져 제1 분류함(31)에서 조금 떨어져 배치되는 제2 분류함(33)으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와 같이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은 각 분류함으로 적재되는데, 특히 비철금속은 컨베이어벨트(40)로부터 튕겨져 나와 일정 거리만큼 비상 후, 낙하하기 때문에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플리터(70)(splitter)가 구비되어 비철금속이 제2 분류함(33)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플리터(70)는 제1 분류함(31)과 제2 분류함(33) 사이나, 또는 제2 분류함(33)에서 제1 분류함(31)에 근접한 측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플리터(70)는 상단이 컨베이어벨트(4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40)로부터 튕겨져 비상한 비철금속은 스플리터(70)의 경사면으로 낙하하여 제2 분류함(33)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플리터(70)의 상단과 컨베이어벨트(40)의 타측단 간의 간격이나, 스플리터(7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7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절부(7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양측에 배치되는데, 먼저 베이프레임 양측에 연결되는 브라켓(73a)과, 브라켓(73a) 하부에 배치되어 스플리터(70)의 하단에 연결되는 조절로드(73b)와, 조절로드(73b)의 양단에 연결되는 조절레버(73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레버(73c)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절로드(73b)가 회전하여 스플리터(70)의 경사각 내지 컨베이어벨트(40)와 스플리터(70) 상단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브라켓(73a)에는 호 형상의 가이드공(73d)이 형성되고, 조절레버(73c) 상부에는 가이드공(73d)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73e)가 형성되어 조절레버(73c)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가이드공(73d)은 그 길이에 따라 조절레버(73c)의 스트로크 범위를 결정하게 되므로 스플리터(70)의 회전 동작범위도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스플리터(70)와 마그네틱로터(60) 간의 간격은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비철금속의 종류와 이에 따른 비중 차이, 스크랩 내지 입도 사이즈 등에 따라 와전류에 의한 반발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컨베이어벨트(40)로부터 튕겨져 비상하는 거리 역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플리터(70), 보다 구체적으로 스플리터(70)의 상단과 마그네틱로터(6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야 비철금속이 스플리터(70)로 낙하여 제2 분류함(33)으로 적재될 수 있다. 다만 스플리터(70)와 마그네틱로터(6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더라도 컨베이어벨트(40)로부터 수직 낙하하는 비금속 성분의 하강로는 유지되어야 완전한 분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플리터(70)의 상단은 마그네틱로터(60) 중심과 스플리터(70)간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컨베이어벨트(40) 측으로 만곡진 곡선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리터(70)가 직선 형태인 경우 마그네틱로터(60)의 중심과 스플리터(70) 상단의 거리는 'a'인데 반해, 스플리터(70) 상단을 곡선부(71)로 형성하는 경우 마그네틱로터(60)의 중심과 스플리터(70) 상단의 거리는 'b'로 'a'보다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또한 비금성 성분의 하강로를 곡선부(71)가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플리터(70)의 곡선부(71)는 제2 벨트롤러(50B)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곡선부(71)가 제2 벨트롤러(50B)의 상부 부분을 덮듯이 배치되어 컨베이어벨트(40)와 곡선부(7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은 비금속 성분의 유동로 내지 하강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수직 낙하동작을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스플리터(70)의 상단이 직선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비금속 성분 중 미세분체나 비중이 낮은 성분은 낙하 시, 비상할 염려가 있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는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여 스플리터(70)의 상단을 넘어 비철금속과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플리터(70)의 상단에 곡선부(71)를 형성하여 마그네틱로터(60)의 중심과 스플리터(70)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비철금속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키고, 비철금속과 비금속 성분간의 혼합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는 선별대상체(M)로 비금속 성분과 비철금속은 분류하여 선별하는 것을 전제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철금속을 종류별로 분류하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즉 비철금속은 종류에 따라 통전율이 다르고, 비중 또한 다르기 때문에 마그네틱로터(60)에 의하여 생성되는 와전류 세기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이나 특징을 이용하면 비첨금속을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M : 선별대상체
10 : 베이스프레임
11 : 커버 13 : 점검창
15 : 지지프레임
20 : 투입부
30 : 배출부
31 : 제1 분류함 33 : 제2 분류함
40 : 컨베이어벨트
41 : 제1 구동모터 43 : 가이드롤러
50A : 제1 벨트롤러 50B : 제2 벨트롤러
60 : 마그네틱로터
61 : 제2 구동모터
70 : 스플리터
71 : 곡선부 73 : 조절부
73a : 브라켓 73b : 조절로드
73c : 조절레버 73d : 가이드공
73e : 가이드돌기

Claims (6)

  1.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배치되고, 폐자원이 분쇄되어 형성된 선별대상체(M)가 공급되는 투입부(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타측에 배치되는 배출부(3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배치되어 선별대상체(M)를 상기 투입부(20)로부터 상기 배출부(30)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40);
    상기 컨베이어벨트(40) 내측 양단에 배치되고, 제1 구동모터(41)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벨트롤러(50A)(50B); 및
    상기 제1 및 제2 벨트롤러(50A)(50B) 중 상기 배출부(30)측에 배치된 제2 벨트롤러(50B) 내부에 편심 배치되고, 제2 구동모터(61)에 의한 회전을 통해 와전류를 형성하여 선별대상체(M)로부터 비철금속을 분류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로터(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롤러(50B)의 내주면과 상기 마그네틱로터(60)의 외주면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소정 범위 내에서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타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선별대상체(M)로부터 분류되어 낙하되는 비철금속을 하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스플리터(70)(splitter)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타측과 상기 스플리터(70)의 상단간의 간격 또는 상기 스플리터(7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7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70)의 상단은 상기 마그네틱로터(60)의 중심과 상기 스플리터(70)간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 측으로 만곡진 곡선부(7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70)의 곡선부(71)는 상기 제2 벨트롤러(50B)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KR1020220089707A 2022-07-20 2022-07-20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KR20240012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07A KR20240012156A (ko) 2022-07-20 2022-07-20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07A KR20240012156A (ko) 2022-07-20 2022-07-20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156A true KR20240012156A (ko) 2024-01-29

Family

ID=8971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707A KR20240012156A (ko) 2022-07-20 2022-07-20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1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216B1 (ko) 2019-11-19 2021-09-30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216B1 (ko) 2019-11-19 2021-09-30 주식회사 카비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891A (en) Method of processing scraps and equipment therefor
CN109433414B (zh) 涡电流分选机装置
US5057210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non-magnetizable metals from a solid mixture
EP3165293B1 (en) Eddy current selection device and eddy current selection method
KR101786745B1 (ko) 다단 와전류 선별장치
CN112403937A (zh) 矿产分选机
KR101741315B1 (ko) 경사형 와전류 선별장치
CN105689116A (zh) 一种新型磁选机构
CA3118063C (en) Raw material supply device,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and electrical device part scraps,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and electrical device part scraps
CA2028728A1 (en) Sorting process and apparatus
KR20240012156A (ko)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KR102298216B1 (ko) 와전류를 이용한 비철금속 선별장치
US423832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odynamic separation of nonmagnetic free-flowing materials
US9950324B2 (en) Separator by foucault current
CN111495572A (zh) 一种振动螺旋溜槽装置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CN215140917U (zh) 一种兼具同心机构和偏心机构的涡流分选系统
JPH11244790A (ja) 混合物選別機
KR200370561Y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JPH0663152U (ja) 非鉄金属類選別装置
CN212072565U (zh) 一种静电分选机
CN117046610B (zh) 一种便于调节的强磁涡流分选机
JP2962684B2 (ja) 非鉄金属選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21157140U (zh) 一种金属颗粒筛分装置
CN209476460U (zh) 一种磁辊分选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