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79A -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79A
KR20240011979A KR1020220089308A KR20220089308A KR20240011979A KR 20240011979 A KR20240011979 A KR 20240011979A KR 1020220089308 A KR1020220089308 A KR 1020220089308A KR 20220089308 A KR20220089308 A KR 20220089308A KR 20240011979 A KR20240011979 A KR 2024001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supply
rotation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기
김인환
Original Assignee
김응기
김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기, 김인환 filed Critical 김응기
Priority to KR102022008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79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01M7/0021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93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or caster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supplied from a pressurized or compressible container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분야의 방재활동에 적용이 가능한 이동식으로 구현가능한 방재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한쌍의 기어구조의 회전모듈이 맞물려 회전하며 발생하는 강한 압축공기를 일측으로 분사시켜 안개형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경량화한 구조의 농업용 약액분사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

Description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Agricultural sprayer using Air Compressor for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농업분야의 방재활동에 적용이 가능한 이동식으로 구현가능한 방재장치에 대한 것이다.
오늘날 농가에는 농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사람 감소 및 고령화의 문제로 일손이 부족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농가에선 자주형 농기계, 즉 큰 동력을 사용하는 트랙터부터 소형 동력을 사용하는 관리기와 같은 자주형 농기계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면, 약액탱크 및 약액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자주형 농기계의 보급과 사용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주형 농기계는 단순히 주변부에 약액 분사뿐만 아니라 작은 이동에도 불구하고 큰 살포 효과를 얻기 위해 풍력을 발생시켜 전방으로 약액이 살포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약액 살포를 위해 풍력을 발생시킴에 있어, 풍력을 제어하여 확산 속도 및 거리를 제어하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풍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 외 또 다른 방법이 강구되지 않아 과거 못지않게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당하다.
또한, 통상적인 자주형 농기계에서는 약액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노즐로 배출하는 펌프와 노즐에서 배출된 약액을 풍력을 발생하여 보다 멀리 분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풍력장치의 동력을 하나의 모터에서 동축을 이용하여 같이 사용된다.
이러한 동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풍력장치의 팬의 크기가 한정되어 그 사용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우리나라 농작물을 식생하는 농지는 보통 한곳에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트럭 또는 중장비를 통해 자주형 농기계의 운반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풍력장치의 팬이 지면과 가까우면 운반과정에서 트럭 또는 중장비에 팬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자주형 농기계를 통해 농작물의 약액을 공급하는 경우 농작물이 어린 잎이나 새순일 경우 풍력을 발생하면 손상이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장비의 하중이 크고 무거워 이동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분사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큰 콤프레셔를 장착해야 하는바, 농가에서 사용하기에는 그 사용성과 휴대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36535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412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한쌍의 기어구조의 회전모듈이 맞물려 회전하며 발생하는 강한 압축공기를 일측으로 분사시켜 안개형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경량화한 구조의 농업용 약액분사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방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액을 수용하는 분사액수용부(100);
상기 분사액수용부와 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한쌍의 회전모듈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공기유동을 형성하여, 외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부(200);
상기 공기공급장치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노즐부(300);
상기 분사가이드노즐부 일단에 상기 분사액수용부의 공급라인의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진행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분사액공급부의 분사액이 상승하여 제공되며,
압축공기와 분사액이 마찰로 인해 분사액이 안개화하여 미스트 분사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한쌍의 기어구조의 회전모듈이 맞물려 회전하며 발생하는 강한 압축공기를 일측으로 분사시켜 안개형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경량화한 구조의 농업용 약액분사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기분사장치가 형성한 압축공기의 진행에 따라 분사가이드 노즐로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이동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약액이 별도의 모터구동없이 흡기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약액과 압축공기의 진행시 마찰에 의해 약액을 미스트화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방제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형 공기공급장치로 모터회전식 콤프레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모듈(M)의 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내부의 회전모듈(M)의 배치 구성을 상부에서 바라본 이미지 이다.
도 5는 회전모듈(M)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요부를 개념화하여 하우징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리 개념도이며,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회전모듈의 구조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분사액을 수용하는 분사액수용부(100)과, 상기 분사액수용부와 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한쌍의 회전모듈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공기유동을 형성하여, 외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부(200),상기 공기공급장치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노즐부(300), 상기 분사가이드노즐부 일단에 상기 분사액수용부의 공급라인의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진행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분사액공급부의 분사액이 상승하여 제공되며, 압축공기와 분사액이 마찰로 인해 분사액이 안개화하여 미스트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와 같이, 파이프 구조의 형상을 가지는 분사가이드노즐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가이드노즐부(3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폭이 일정한 구조의 파이프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가이드노즐부(300)는, 상기 공급장치부(200)에 연결되는 일단(310)의 폭이 상기 일단에 대항하는 타단(320)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공급되는 분사를 위한 압축공기의 분사압을 더욱 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후술하는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와 연계하여 강한 분사압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의 하부에는, 공기공급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전원공급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충전식 전원공급부의 경우, 충전식 배터리를 수용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다양한 장소로 별도의 배선없이 이동하며 방재활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모듈부(4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모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510)와 상기 지지부(510)의 하부에 이동식 바퀴(530)를 말단에 장착한 이동바(520)를 구비하는 이동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바(52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하여 다양한 높이의 방재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도시된 도면에서, 공기공급장치의 개량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구조와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모듈(M)의 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내부의 회전모듈(R)의 배치 구성을 상부에서 바라본 이미지이다.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구조는, 내부에 수용공간부(S)를 구비하며,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구조의 하우징부(H)와, 상기 수용공간부(S)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어타입 회전모듈(R), 상기 회전모듈(R)의 회전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M) 및 상기 구동모듈(M)에 충전형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기어타입 회전모듈(R)이 상호 맞물리며, 외부의 유체를 하우징부 일측의 흡기공(211)을 통해 유입시키고, 동시에 배기공(212)을 통해 배기시키는 원리로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기공(212)는 도 1에서 상술한 분사가이드노즐(300)의 일단(3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부(H)는 경량화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코팅된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 등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용공간부(S)를 형성하여 비어 있는 영역을 구현하며, 상부에는 커버부재(C1)을 통해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H)는 도 1에서의 공기공급장치(200)으로 표기된 부분의 내부에 별개의 구조물로 장착될 수 있거나, 하우징부(H)자ㅊ와 일체형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재(C1)의 상부에는 구동모듈(M)을 장착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모듈(M)은 내부에 구동모터(m)을 장착하여 회전을 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모터(m)는 충전식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모듈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충전식 전지는 리튬폴리머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y) (2차전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폴리머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y)는 이차전지의 일종으로서, 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전지이다. 충전시에는 리튬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자리를 찾게 된다. 리튬폴리머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y)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및 전해질의 네 가지 핵심물질로 구성되어, 전원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를 적용하여, 드론과 같은 무인비행체에 장착시에 안정적인 전원공급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m)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를 적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저전력소모와 소음을 경감시키고 안정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는 점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C1)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S)에 배치되는 회전모듈(R)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쌍의 구조물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부(S)에 유입되는 공기를 한 쌍의 회전모듈이 맞물려 돌아가며 형성하는 흡기력을 통해 흡기하고, 동시에 다른 방향에서는 배출하며 수용공간부(S) 내부에 형성되는 저압상태를 구현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흡기와 배기동작을 구현하는 회전모듈(R)의 공기의 흡배기력을 향상하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모듈(R)에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구조의 중공영역(E)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영역(E)의 구현구조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회전모듈의 내부 공간을 외부 표면 형성에 대응되는 중공영역 형상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러한 흡기와 배기동작을 구현하는 회전모듈(R)의 공기의 흡배기력을 향상하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모듈(R)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합금 재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예로는, 다공성 세라믹 수지, 알루미늄 합금(Si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Al-Si계 합금))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레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렌과 같은 고분자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합성수지는 부직포 또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 중 둘 이상의 적층물을 외표면에 코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일반 경량 금속에, 다공성 피막층을 코팅하는 구조의 회전모듈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코팅층은, 다공성 알루미늄 산화 코팅층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모듈(R) 자체를 다공성 재질로 구현하거나, 회전모듈(R)을 일반 경량화 금속으로 구현하고, 그 외부에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로 다양하게 변형설계가 가능하다. 이는, 고속회전을 수행하는 회전모듈(R) 자체에 공기 흡기력을 강화할 수 있어, 비다공성 재질로 구현하는 회전모듈 대비 1.2~1.5배의 흡기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공성 이라함은 회전모듈(R)에 여러 개의 구멍을 내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회전모듈(R)을 관통하는 것이 아닌 회전모듈(R)에서 하우징(H) 내벽면과 가장가까운 블레이드(222)의 첨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회전모듈내부에 많은 구멍을 형성하여 회전모듈(R)을 경량화 하는데 그 목적을 두는 것으로 한다.
나아가, 한정된 두께와 공간에서, 고효율의 흡기력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회전모듈(R)의 경우, 표면에 공기 수용 딤플패턴이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다공성 재질의 기능을 더욱 극대화하는 구조로, 단위면적(1cmx1cm) 당 딤플패턴의 면적비율이 20~35%를 차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딤플패턴의 구현 전에 비해 1.3~1.4배의 흡기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경량화한 구조로 드론과 같은 비행체에 장착하여 방제형 분사장치나 분사모듈에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단속됨 없이 공기 공급) 제공할 수 있도록 적용하게 되는바, 경량화하면서도 고효율의 압축공기 제공성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술 요지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술한 구조와 같이 경량화한 회전모듈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모듈(M)은, 상기 한 쌍의 회전모듈(R) 중 어느 하나의 중심부의 회전축(W)과 연결되는 구동모터(m)가 덮개부(C1)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구동모듈(M)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도면에서는 덮개부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의 하부나 하우징(H) 오른쪽이나 왼쪽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배치로, 구동모듈의 회전동작으로 하나 이상의 회전모듈이 회전하게 되면, 나머지 회전모듈도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최소한의 모터 회전력으로 압축공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요부를 개념화하여 하우징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 은 도 6의 분리 개념도이며,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회전모듈의 구조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부(S)를 구비하며,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구조의 하우징부(210)와, 상기 수용공간부(S)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어타입 회전모듈(R) 및 상기 회전모듈(R)의 회전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흡배기의 대상은 기체 및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공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모듈(R)은, 각각의 회전모듈(R)에 몸체(221)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블레이드(222)를 다수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222)가 상호 맞물리며,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부(210) 일측이 흡기공(211)을 통해 유입시키고, 동시에 배기공(212)을 통해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부(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부(S)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공간부(S)는 하우징 몸체부(215)의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부로 마련되며, 후술하는 기어 형태의 구조로 구현되는 한 쌍의 회전모듈(R)이 안착할 수 있도록, 회전모듈(R)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수용공간부(S)의 내부벽면과 상기 회전모듈(R)의 블레이드(222)의 첨단부(G)가 이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222)의 첨단부(G)가 상기 수용공간부(S)의 내부벽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경우에는 강한 압축 공기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나, 소음이 커지고, 마찰열이 발생하여 장비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공간부(S)의 내부 벽면과 블레이드(222)의 첨단부(G) 사이의 이격 거리를 0.3mm~1.0mm의 범위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0.3mm 미만의 이격거리는 고속회전에 의해 외부 코팅막이 일시적으로 팽창하며 내벽과 접촉하여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며, 1.0mm 초과하는 이격 거리는 공기의 흡기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려 장비 성능을 저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부(210)은 상부에 상부커버(213)과 하부커버(214) 및 측면커버(215)가 결합하는 경우, 밀폐형구조를 구현하며, 하우징부(210) 일측이 흡기공(211)을 통해 유입시키고, 동시에 배기공(212)을 통해 배기하는 동작을 위한 공기 유입과 배출외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213)과 하부커버(214) 및 측면커버(215)로 분리되어 결합하는 구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하우징커버(C 1)를 하나 만 형성하고, 나머지 구조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구조적인 밀폐력 차원에서 유리하다.
특히, 상기 회전모듈(R)의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제1 및 제2회전모듈(220, 230)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수용공간(S)에 배치되며, 이 경우, 각각의 회전모듈은, 각각의 회전모듈(R)에 회전몸체(221)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블레이드(222)를 다수 구비하며, 상기 유동블레이드(222)가 상호 맞물리며,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부(210) 일측이 흡기공(211)을 통해 유입시키고, 동시에 배기공(212)을 통해 배기 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8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1 및 제2회전모듈(220, 230)이 유동블레이드(222)는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유선추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호 맞물리며 공기를 빨아들이는 형태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구동모터는, BLDC 모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BLDC 모터 (Brushless DC motor)는, 다수의 상용화된 모터 중에서 수명이 오래가며, 저소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브러쉬가 없는 타입으로 구현한 직류모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소형화한 모터를 적용하여 구동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구동모터로 이용할 수 있는 모터는 BLDC 모터외에도, 브러쉬모터, 교류모터 등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택되는 모터는 1개일수도 있으나, 2개를 배치하여 각각의 회전모듈(R)에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구동축의 설계를 통해 다수의 모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배치하여, 복수개의 모터가 배치되는 구조로 변형설계도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구동부가, 상기 하우징부(H; 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부(H; 210)의 상부 또는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구조의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BLDC 모터 (Brushless DC motor)와 같은 소형모터를 이용하면서도, 상술한 회전모듈의 구조와 작동에 의해 기존의 콤프레셔에서 구현하는 압축공기 이상의 공기 공급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초경량화하게 되는 바, 드론이나 압축공기분사가 필요한 다양한 전기장치 및 가전 등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회전모듈을 회전시키는 것을 모터가 아니라 엔진의 구동력을 적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분사액수용부
200: 공기공급장치부
300: 분사가이드노즐부
400: 충전식 전원공급부
500: 이동모듈

Claims (6)

  1. 분사액을 수용하는 분사액수용부(100);
    상기 분사액수용부와 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한쌍의 회전모듈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공기유동을 형성하여, 외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부(200);
    상기 공기공급장치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가이드노즐부(300);
    상기 분사가이드노즐부 일단에 상기 분사액수용부의 공급라인의 일단이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진행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분사액공급부의 분사액이 상승하여 제공되며,
    압축공기와 분사액이 마찰로 인해 분사액이 안개화하여 미스트 분사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노즐부(300)는,
    상기 공급장치부(200)에 연결되는 일단의 폭이 상기 일단에 대항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인,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부(200)는,
    내부에 수용공간부(S)를 구비하며,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구조의 하우징부(H);
    상기 수용공간부(S)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어타입 회전모듈(R);
    상기 회전모듈(R)의 회전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M); 및
    상기 구동모듈(M)에 충전형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상기 한 쌍의 기어타입 회전모듈(R)이 상호 맞물리며, 외부의 유체를 하우징부 일측의 흡기공(211)을 통해 유입시키고, 동시에 배기공(212)을 통해 배기시키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부(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전원공급모듈부(400);
    를 더 포함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모듈부(4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전원공급모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510);와
    상기 지지부(510)의 하부에 이동식 바퀴(530)를 말단에 장착한 이동바(520);를 구비하는 이동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부(200)는,
    내부에 수용공간부(S)를 구비하며, 상하부의 밀폐구조 구현이 가능한 구조의 하우징부(H);
    상기 수용공간부(S)에 상호 맞물리는 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기어타입 회전모듈(R);
    상기 회전모듈(R)의 회전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M); 및
    상기 구동모듈은 엔진을 이용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제장치.
KR1020220089308A 2022-07-20 2022-07-20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KR20240011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08A KR20240011979A (ko) 2022-07-20 2022-07-20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08A KR20240011979A (ko) 2022-07-20 2022-07-20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79A true KR20240011979A (ko) 2024-01-29

Family

ID=8971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08A KR20240011979A (ko) 2022-07-20 2022-07-20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7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298B1 (ko) 1994-11-17 1998-06-15 배순훈 가변 길이 복호화 장치
KR102365358B1 (ko) 2021-11-15 2022-02-23 주식회사 아성정공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298B1 (ko) 1994-11-17 1998-06-15 배순훈 가변 길이 복호화 장치
KR102365358B1 (ko) 2021-11-15 2022-02-23 주식회사 아성정공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8543B1 (en) Gear pump and replaceable reservoir for a fluid sprayer
US8227129B2 (en) Passive micro fuel cell
JP2018176920A (ja) 飛翔体
CN101832281A (zh) 加湿风扇
KR20090128496A (ko) 팬 타입 해충 방제 장치
KR101804328B1 (ko) 드론
KR20240011979A (ko) 공기공급장치를 적용한 이동식 농업방재장치
JP2019030131A (ja) 無人搬送車
JP6460812B2 (ja) 薬液散布機
JPH09312168A (ja) 燃料電池装置
KR20190140288A (ko) 인공눈 분사용 드론
KR100734601B1 (ko) 분무기
JP2008126105A (ja) 静電噴霧装置
CN212971390U (zh) 一种农业植保无人机农药喷洒用喷嘴装置
KR20190001902U (ko) 배부식 예초기 부착형 브로워
CN214160122U (zh) 背包式喷雾器
KR20230094186A (ko) 모터회전식 초경량 콤프레셔
CN112703311A (zh) 发电装置
CN209776802U (zh) 一种自发电喷水飞行器
CN210191830U (zh) 一种农业治理虫害无人机
CN117963199A (zh) 一种消防无人机及其使用方法
RU172023U1 (ru) Реактивный движитель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213169033U (zh) 一种农药箱自主壳体结构
CN216546689U (zh) 一种5g网联植保无人机
US20220340291A1 (en) Flight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