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73A -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73A
KR20240011973A KR1020220089299A KR20220089299A KR20240011973A KR 20240011973 A KR20240011973 A KR 20240011973A KR 1020220089299 A KR1020220089299 A KR 1020220089299A KR 20220089299 A KR20220089299 A KR 20220089299A KR 20240011973 A KR20240011973 A KR 2024001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adiation
flash
reflector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영
배영환
위재형
조남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73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1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라멘트를 토출시키는 노즐; 및 노즐의 형성 방향을 따라 팁 단부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과 평행한 제2 가상선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필라멘트가 충돌하면서 섬유 피브릴을 형성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확산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필라멘트가 회전 반사판에 충돌하면서 기계적인 확산과 함께 마찰 대전시킴으로써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져 방사 웹의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ROTATING REFLLECTIVE PLATE APPARATUS FOR FLASH-SPINNING USING TRIBOELECTRIC EFFECT}
본 발명은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필라멘트가 회전 반사판에 충돌하면서 기계적인 확산과 함께 마찰 대전시킴으로써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져 방사 웹의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241152호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플래시방사 부직포는 고온고압의 초임계 유체가 방사구금을 통해 상온상압으로 분출되면서 상분리와 함께 비등점이 낮은 용매는 기화가 되고 고분자 용융체는 플렉시필라멘트로 형성이 된다.
이렇게 분출되는 플렉시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는 회전반사판에 충돌하고 확산되며 고전압의 코로나 차징을 통해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져 균일한 부직포로 형성이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기술은 초고전압의 코로나 차징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 다양한 용매의 적용이 힘들고, 고전압 코로나 차징 니들팁 대향면에 고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은 고분자가 늘러붙어 클리닝 공정이 따로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22411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필라멘트가 회전 반사판에 충돌하면서 기계적인 확산과 함께 마찰 대전시킴으로써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져 방사 웹의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라멘트를 토출시키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형성 방향을 따라 팁 단부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과 평행한 제2 가상선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상기 필라멘트가 충돌하면서 섬유 피브릴을 형성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확산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에 상기 필라멘트가 충돌되어 반사되는 충돌각에 따라 상기 필라멘트가 상기 반사부로부터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필라멘트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전하로 대전됨에 따라 상기 반사부로부터 펼쳐지는 상기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섬유 피브릴 사이에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섬유 피브릴과 상기 필라멘트의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사부에 충돌되어 상기 추가적인 확산으로 형성되는 플렉시 방사웹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중공의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 방사웹을 균일하게 적층시키는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에 충돌되어 상기 추가적인 확산으로 형성되는 플렉시 방사웹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중공의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 방사웹을 균일하게 적층시키는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는,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플렉시 방사웹보다 큰 폭과 길이의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집통의 바닥면을 향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 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의 방사 베이스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확산방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방사 홈은, 상기 확산방사 홈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확산방사 홈의 바닥면 중심까지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확산방사 홈중 하나의 확산방사 홈과 이웃한 상기 방사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중심까지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채꼴 형상의 중심부 각도는 60도 내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면 중심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 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판의 타면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의 방사 베이스와, 중공인 상기 방사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확산방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중공인 상기 방사 베이스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원뿔대 형상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회전판의 타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 가능한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확산반사 유닛에 의하여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분출물이 반사부의 경사면 및 확산방사 홈을 포함하여 특정곡률로 굴곡진 부분에 충돌됨에 따라 기계적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마찰대전을 통한 추가적인 확산을 유도함으로써, 선행기술과 같은 코로나 차징에 따른 플렉시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 확산의 폭발 문제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플렉시 필라멘트를 회전하는 반사부에 충돌시켜 충돌되는 각도에 따라 MD(Machine Direction) 방향 및 CD(Cross Direction) 방향으로도 확산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마찰대전에 의한 필라멘트에 부여된 음전하로 인한 추가적인 확산 덕분에 웹 균일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용매 폭발 또는 화재 등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코로나 차징 공정을 생략하므로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 안전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코로나 차징 니들팁의 대향면에 고분자가 늘러붙어 클리닝 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선행기술의 번거로움에 비하여, 본 발명은 클리닝 공정 자체가 불필요하므로 장치의 유지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주요부인 확산반사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측면 개념도이며, 도 3(b)는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주요부인 확산반사 유닛의 회전에 따른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된 필라멘트의 확산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주요부인 확산반사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주요부인 확산반사 유닛(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측면 개념도이다.이며, 도 3(b)는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주요부인 확산반사 유닛(200)의 회전에 따른 노즐(100)로부터 수평 토출된 필라멘트의 확산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의 주요부인 확산반사 유닛(200)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3(a)에서 절곡된 직선 화살표는 노즐(100, 이하 도 1 및 도 2 참조)로부터 토출된 필라멘트가 충돌되어 확산 방사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필라멘트를 토출시키는 노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게 회전판(210)과 반사부(220)를 포함하는 확산반사 유닛(2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판(210)은 노즐(1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팁 단부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과 평행한 제2 가상선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반사부(220)는 회전판(210)의 중심으로부터 회전판(210)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노즐(100)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필라멘트가 충돌하면서 섬유 피브릴을 형성시키게 하는 것이다.
즉, 반사부(220)에 필라멘트가 충돌되어 반사되는 충돌각에 따라 필라멘트가 반사부(220)로부터 펼쳐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필라멘트와 반사부(22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전하로 대전됨에 따라 반사부(220)로부터 펼쳐지는 필라멘트와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는 섬유 피브릴 사이에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섬유 피브릴과 필라멘트의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반사부(220)에 충돌되어 추가적인 확산으로 형성되는 플렉시 방사웹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중공의 가이드판(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가이드판(300)은 충돌 확산되는 플렉시 방사웹의 폭에 대응하여, 플렉시 방사웹이 확산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그 내부 폭을 조절 가능한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가이드판(300)의 출구측에는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400)가 배치되어 플렉시 방사웹을 균일하게 적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400)는, 가이드판(300)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플렉시 방사웹보다 큰 폭과 길이의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수집통(410)과, 수집통(410)에 형성되어 수집통(41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수집통(410)의 바닥면을 향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원(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400)는, 가이드판(300)의 출구측과 수집통(410)의 개방된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판(300)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플렉시 방사웹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421)와, 컨베이어 벨트(421)의 이송을 지지하는 이송지지 롤러(422)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조립체(4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421)는 수집통(410)의 개방된 상면과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부압발생원은 플렉시 방사웹이 컨베이어 벨트(421)에 의하여 일정 길이만큼 이송되면 가동됨과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421)의 이송이 일시 정지된다.
아울러, 부압발생원은 플렉시 방사웹이 수집통(410)의 바닥면측에 수납되면 가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421)의 이송이 재개되는 것이다.
한편, 반사부(220)는, 도 3과 같이 회전축(221)과 방사 베이스(222)와 확산방사 홈(223)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회전축(221)은 회전판(21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 가능한 것이다.
방사 베이스(222)는 회전축(221)의 말단부로부터 회전판(210)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22s)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확산방사 홈(223)은 경사면(222s)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확산방사 홈(223)은, 확산방사 홈(223)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확산방사 홈(223)의 바닥면 중심까지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확산방사 홈(223)중 하나의 확산방사 홈(223)과 이웃한 방사 베이스(222)의 경사면(222s)은, 경사면(222s)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경사면(222s)의 중심까지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방사 홈(223)이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과 동시에, 방사 베이스(222)의 경사면(222s)이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플렉시 방사웹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충돌 확산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부채꼴 형상의 중심부 각도는 60도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의 6시 방향에 있던 방사 베이스(222)의 ① 경사면(222s)이 반사부(220)가 회전함에 따라 도 4(d)의 10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경사면(222s)과 확산방사 홈(223)에 순차적으로 충돌하면서 추가적인 확산 방사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원뿔대 형상의 방사 베이스(222)를 도 5와 같이 중공으로 제작하여 경사면(222s)이 회전판(210)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 가능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중공인 방사 베이스(222)에 내장됨과 동시에 회전판(210)의 타면에 배치되는 경사조절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사조절부(500)는 원뿔대 형상의 경사면(222s)이 회전판(210)의 타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플렉시 방사웹의 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경사조절부(500)는, 회전판(210)의 타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510)와, 스크류 조절봉(520) 및 조절자(5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조절봉(520)은 구동모터(510)의 구동축 단부와 연결되어 정, 역회전하며 회전판(210)의 타면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회전축(221)과 일직선상에 배치됨과 동시에 원뿔대 형상의 윗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조절자(530)는 스크류 조절봉(5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스크류 조절봉(52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스크류 조절봉(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며, 원뿔대 형상의 윗면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조절부(500)는 노즐(100)이 가동되기 전에 경사면(222s)의 경사각을 조절하거나, 노즐(100)이 가동되는 중에도 경사면(222s)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플렉시 방사웹의 확산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필라멘트가 회전 반사판에 충돌하면서 기계적인 확산과 함께 마찰 대전시킴으로써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져 방사 웹의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노즐
200...확산반사 유닛
210...회전판
220...반사부
221...회전축
222...방사 베이스
222s...경사면
223...확산방사 홈
300...가이드판
400...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
410...수집통
420...컨베이어 조립체
421...컨베이어 벨트
422...이송지지 롤러
500...경사조절부
510...구동모터
520...스크류 조절봉
530...조절자

Claims (12)

  1. 필라멘트를 토출시키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형성 방향을 따라 팁 단부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과 평행한 제2 가상선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로부터 수평 토출되는 상기 필라멘트가 충돌하면서 섬유 피브릴을 형성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확산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상기 필라멘트가 충돌되어 반사되는 충돌각에 따라 상기 필라멘트가 상기 반사부로부터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필라멘트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전하로 대전됨에 따라 상기 반사부로부터 펼쳐지는 상기 필라멘트와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섬유 피브릴 사이에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섬유 피브릴과 상기 필라멘트의 추가적인 확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충돌되어 상기 추가적인 확산으로 형성되는 플렉시 방사웹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중공의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 방사웹을 균일하게 적층시키는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는,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플렉시 방사웹보다 큰 폭과 길이의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집통의 바닥면을 향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충돌되어 상기 추가적인 확산으로 형성되는 플렉시 방사웹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중공의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 방사웹을 균일하게 적층시키는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필라멘트 수집기는,
    상기 가이드판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플렉시 방사웹보다 큰 폭과 길이의 개방된 상면을 가지는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통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집통의 바닥면을 향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 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의 방사 베이스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확산방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확산방사 홈은, 상기 확산방사 홈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확산방사 홈의 바닥면 중심까지 아래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확산방사 홈중 하나의 확산방사 홈과 이웃한 상기 방사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중심까지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형상의 중심부 각도는 60도 내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전판의 일면 중심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회전 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판의 타면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의 방사 베이스와,
    중공인 상기 방사 베이스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확산방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중공인 상기 방사 베이스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원뿔대 형상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회전판의 타면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 가능한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KR1020220089299A 2022-07-20 2022-07-20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KR20240011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299A KR20240011973A (ko) 2022-07-20 2022-07-20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299A KR20240011973A (ko) 2022-07-20 2022-07-20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73A true KR20240011973A (ko) 2024-01-29

Family

ID=8971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299A KR20240011973A (ko) 2022-07-20 2022-07-20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152B1 (ko) 2019-02-28 2021-04-16 케이엘 테크 홀딩스 피티이. 엘티디. 밀도의 분포가 균일함과 동시에 종방향과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유사한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152B1 (ko) 2019-02-28 2021-04-16 케이엘 테크 홀딩스 피티이. 엘티디. 밀도의 분포가 균일함과 동시에 종방향과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유사한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1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anofibers and polymer web
JP2008297642A (ja)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及び装置
US7740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ic fibrils
JP4763845B2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US20090127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anofibers and polymeric webs
JP2008163539A (ja)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と装置
KR20100077913A (ko) 원심전기방사장치
US4221345A (en) Rotary filament feeder
KR20050113637A (ko) 폴리머제제를 정전기로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WO2010038362A1 (ja) 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40011973A (ko) 마찰대전을 활용한 플래시방사용 회전반사판 장치
CN102586902A (zh) 一种负气压静电纺丝方法和装置
JP5782594B1 (ja) ナノファイバー形成用噴射ノズルヘッドおよびナノファイバー形成用噴射ノズルヘッドを具備する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装置
JP5226558B2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US3497918A (en) Apparatus for making a nonwoven fibrous sheet
JP2008174853A (ja) 高分子ファイバ生成用のノズルとこれを用いた高分子ファイバ生成装置
CN102108603B (zh) 高效制备纳米纤维织物的静电纺丝装置
JP4880550B2 (ja)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及び装置
WO2016013052A1 (ja) 高分子材料製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
JP2009185393A (ja)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及び装置
JPS6149421B2 (ko)
US3593074A (en) Apparatus and process
JP2016023399A (ja) ナノファイバー形成用噴射ノズルヘッドおよびナノファイバー形成用噴射ノズルヘッドを具備する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装置
JP2010180499A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CN215628439U (zh) 一种多功能纺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