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14A -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14A
KR20240011914A KR1020220088880A KR20220088880A KR20240011914A KR 20240011914 A KR20240011914 A KR 20240011914A KR 1020220088880 A KR1020220088880 A KR 1020220088880A KR 20220088880 A KR20220088880 A KR 20220088880A KR 20240011914 A KR20240011914 A KR 2024001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parking
video cont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젠
Priority to KR102022008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14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1Photovolta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2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projection of either still pictures or motion pi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된 주차부스와, 상기 주차부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유닛과, 상기 주차부스의 주차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를 상기 충전유닛 또는 컨텐츠 제공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부를 통해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유닛에 공급할 수 있어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결과물은 한국전기산업진흥회 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업자율형 상생프로그램] 2021년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스타트업" 사업의 결과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Vehicle video content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유닛을 통해 충전하는 차량에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되,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해당 충전유닛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전기만을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자동차로,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CO2)나 질소산화물(NOx) 등과 같이 배기가스 배출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소음이 없는 이점 등이 있다.
또한, 점차 증가하는 환경오염 및 자원부족을 막기 위해 전기차의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소의 설치도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운전자가 장시간 지루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64197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충전을 위해 주차부스 내부로 진입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며, 차량의 충전유닛에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내부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된 주차부스와, 상기 주차부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유닛과, 상기 주차부스의 주차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를 상기 충전유닛 또는 컨텐츠 제공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상기 주차부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천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경사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의 태양전지가 마련된 발전모듈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차부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상기 주량을 움직이는 체험제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험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을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과, 상기 구속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이 구속된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리는 작동유닛과,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해당 안착 플레이트가 기울려지도록 상기 작동유닛을 제어하는 체험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차량의 바퀴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세팅위치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가 마련된 지지유닛과,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재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블럭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안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액츄에이터와, 상기 접촉블럭에 설치되어 해당 접촉블럭들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바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해당 접촉블럭들을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록 액츄에이터와, 상기 안착면에 상기 차량이 안착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들이 상기 차량의 바퀴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해당 접촉블럭들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퀴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블럭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상기 블록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파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차량의 바퀴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바퀴들에 대응되는 각 위치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다수의 인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인입슬롯으로 인입되는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슬롯들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커버와, 상기 지지커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커버에 설치되는 승강 액츄에이터와, 상호 대향되는 상기 인입슬롯의 내측면에,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파지블럭과, 상기 파지블럭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지블럭에 설치되는 복수의 파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지지커버에 상기 차량의 바퀴가 안착되면 해당 차량의 바퀴가 상기 파지블럭에 대응되는 깊이까지 상기 인입슬롯 내로 인입되도록 상기 지지커버가 하강되게 상기 승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해당 파지블럭들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퀴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블럭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상기 파지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구속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차공간 내에서 상기 차량이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게 주차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바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해당 스크린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접근방지턱과, 상기 접근방지턱을 상기 스크린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주차공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외형을 감지하는 외형감지부와, 상기 외형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앞바퀴가 상기 접근방지턱에 접촉시, 해당 차량의 운전석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기설정된 설정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근방지턱이 이동되게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와, 상기 접근방지턱에 상기 차량의 바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도록 해당 접근방지턱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센서와, 상기 접촉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접근방지턱에 상기 차량의 바퀴가 접촉될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부를 작동시키는 영상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은 전기가 충전된 배터리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에 연결되어 해당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전력량만큼 해당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은 방전유닛과, 상기 방전유닛에 연결되어 해당 방전유닛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컨텐츠 제공부 또는 전력계통으로 공급하는 전력전달부와, 상기 방전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방전유닛으로 공급된 전력량에 대한 공급 전력량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 전력량 정보에 대응되는 환산금액이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지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 주차부스는 상기 주차공간으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주차공간 내의 차량이 외부로 출차할 수 있도록 출구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차부스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주차부스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는 출차도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출구를 폐쇄시 상기 주차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출차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주차부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운드 출력모듈과, 상기 영상 조사모듈 및 사운드 출력모듈에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차 도어는 상기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주차부수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해당 출구를 폐쇄시 상기 주차공간에 노출되는 내측면에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출차 플레이트와, 상기 출차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출차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공간 내에서 상기 차량이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게 주차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바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접근 방지턱과, 상기 접근 방지턱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이 해당 접근 방지턱을 넘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동 센서모듈과, 상기 이동 센서모듈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이 상기 접근 방지턱을 넘어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차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출차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부를 통해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유닛에 공급할 수 있어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속유닛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내부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된 주차부스와, 상기 주차부스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주차부스에 설치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부와, 상기 주차부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유닛과, 상기 주차부스의 주차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컨텐츠 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를 상기 충전유닛 또는 컨텐츠 제공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160)를 구비한다.
주차부스(110)는 내부에 주차공간(111)이 마련된 사각구조물로 형성되며, 후면에 주차공간으로 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차부스(110)는 전방 측면에, 관리자 또는 탑승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행구가 형성되고, 해당 통행구를 개폐하도록 출입도어(113)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도어(120)는 출입구(112)에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출입구(112)의 좌우폭에 대응되게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호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개폐판과, 주차부스(110)의 후방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개폐판들이 권취되는 권취드럼(미도시)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당 권취드럼에 설치된 회전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회전모터는 도어작동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개폐도어(1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출입구(112)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도어작동부(130)는 상기 출입구(112)로 접근하는 차량(10)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부스(110)에 설치된 차량 감지센서(131)와, 상기 주차공간(111)에 차량(10)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센서(132)와, 차량 감지센서(131) 및 주차 감지센서(132)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개폐도어(120)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 감지센서(131)는 복수개가 출입구(112)에 인접된 주차부스(110)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주차부스(110)의 외부에서 출입구(112)로 접근하거나 주차공간(111) 내에서 출입구(112)로 접근하는 차량(10)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감지센서(131)는 출입구(112) 인근으로 초음파를 조사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출입구(112)로 접근하는 차량(10)을 감지하는 것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출입구(112)로 접근하는 차량(10)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주차 감지센서(132)는 주차부스(110)의 중앙부 천장면에 설치되어 주차공간(111)에 차량(1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해당 주차 감지센서(132)는 소정의 공간에 차량(10)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센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 제어부(133)는 주차부스(110)의 출입구(112)로 차량(10)이 접근하면 해당 차량(10)이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하거나 주차부스(110)로부터 진출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구(112)가 개방되도록 개폐도어(12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주차부스(110)로 차량(10)이 진입하는 경우, 도어 제어부(133)는 주차 감지센서(132)로부터 주차공간(111) 내에 해당 차량(10)의 주차가 감지되면, 출입구(112)가 폐쇄되도록 개폐도어(120)를 작동시킨다. 또한, 주차부스(110)에서 차량(10)이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 제어부(133)는 주차 감지센서(132)로부터 주차공간(111) 내에 차량(10)이 미감지되면, 해당 차량(10)의 출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출입구(112)가 폐쇄되도록 개폐도어(120)를 작동시킨다.
도어 제어부(133)는 주차 감지센서(132)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주차공간(111)에 차량(10)이 주차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부스(110)의 외부에서 출입구(112)로 차량(10)이 접근할 경우, 출입구(112)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개폐도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부(133)는 주차공간(111)에 차량(10)이 주차된 상태에서, 컨텐츠 제공부(140)에서 차량(10)의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공이 완료되면, 해당 차량(10)이 주차부스(110)로부터 출차할 수 있도록 출입구(112)가 개방되게 개폐도어(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충전유닛은 주차부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주차부스(110)로 진입한 차량을 충전한다. 상기 충전유닛은 주차공간(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며, 전기차 즉, 차량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차량을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충전유닛(114)은 커넥터에 연결된 차량의 충전에 소요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량 산출부와,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차로부터 해당 전기차의 배터리의 충전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집부와, 상기 전력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결제금액을 산출하는 결제금액 산출부와, 상기 결제금액 산출부, 전력량 산출부 및 차량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운전자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한편, 충전유닛(114)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솔린이나 경유와 같은 연료를 차량(10)에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부(140)는 상기 주차부스(110) 내측면에 형성된 스크린(141)과, 상기 주차부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41)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142)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사운드 출력모듈(143)과, 상기 영상 조사모듈(142) 및 사운드 출력모듈(143)에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모듈(144)을 구비한다.
스크린(141)은 주차공간(111)의 전방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영상 조사모듈(142)에서 조사되는 동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백색으로 형성된다. 이때, 해당 스크린(141)은 백색의 도료가 주차부스(110)의 내벽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차공간(111) 내에서 상기 차량(10)이 상기 스크린(141)으로부터 이격되게 주차되기 위해 상기 차량(10)의 바퀴(15)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14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접근방지턱(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근방지턱(134)은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한 차량(10)의 앞바퀴(15)에 간섭될 수 있다.
영상 조사모듈(142)은 주차부스(110)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41)으로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투사하는 것으로서, 빔 프로젝터가 적용된다. 영상 조사모듈(14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방에 투사렌즈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를 통해 영상빔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투사본체와, 상기 투사본체 내에 설치되어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다이오드 에레이와, 상기 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하기 위한 집속부와, 상기 투사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집속부에 의해 집속된 광을 스크린(141)으로 주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포함하는 스캔부가 마련된 프로젝터로 구성된다. 한편, 영상 조사모듈(142)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141)으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영상투사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사운드 출력모듈(143)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운드가 주차공간(111)에 주차된 차량(10)에 탑재된 라디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사운드를 상기 라디오의 수신 가능 주파수로 전송한다. 이때, 사운드 출력모듈(143)은 FM 이나 AM 으로 사운드를 전송하거나 두 영역 모두에 대해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출력모듈(143)은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운드가 전송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충전유닛(114)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모듈(144)은 후술되는 제어유닛(150)의 작동모듈(155)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영상 조사모듈(142) 및 사운드 출력모듈(143)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각각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작동모듈(155)은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마련된 컨텐츠 제공서버(20)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컨텐츠 제공모듈(144)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서버(20)는 기등록된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넷플릭스'와 같이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보유 및 제공할 수 있는 영상 관련 업체의 관리 서버가 적용된다.
한편, 컨텐츠 제공모듈(144)은 후술되는 제어유닛(1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닛(150)은 사용자에게 해당 주차부스(110)의 사용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서버(151)와, 상기 관리서버(151)에서 수신된 예약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주차부스(110)를 이용하도록 컨텐츠 제공부(140)를 제어하는 인증관리모듈(152)을 구비한다.
상기 관리서버(151)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15)를 통해 해당 관리서버(151)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5)는 스마트폰, 컴퓨터, PDA 등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전자기기가 적용된다.
상기 관리서버(151)는 고유 인터넷 주소(IP)를 갖고, 통상적인 컴퓨터로 구축된다. 즉, 관리서버(151)는 중앙처리장치(CPU), 롬(ROM) 램(RAM), 표시장치, 입력장치, 기억장치 및 통신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관리서버(151)는 사용자가 단말기(15)를 통해 접속할 경우, 해당 단말기(15)로 해당 주차부스(110)의 사용을 예약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인증정보와 해당 주차부스(110)에 대한 정보 또는 예약 시간이 포함된 예약 정보를 입력하도록 예약메뉴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15)에는, 상기 관리서버(151)와 통신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1인증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관리서버(151)에 전송하는 중계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계부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해당 단말기(1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인증정보는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서버(151)에 등록시 사용한 ID 또는 개인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적용된다. 또한, 예약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하는 주차부스(110)의 위치, 식별정보 또는 사용일자, 사용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관리서버(151)는 사용자가 단말기(15)를 통해 접속시, 로그인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전송한다. 이때, 중계모듈은 해당 로그인 페이지를 단말기(15)에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는 상기 로그인 페이지에 ID와 같은 제1인증정보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해당 관리서버(151)에 접속한다. 이때, 해당 사용자가 관리서버(151)에 미등록한 상태일 경우, 관리서버(151)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회원가입 페이지를 중계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전송하고, 사용자의 단말기(15)에서 입력된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51)는 상기 사용자가 기등록된 컨텐츠 제공서버의 등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정보입력 메뉴를 사용자의 단말기(15)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번호는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20)에 등록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가 적용된다. 이때, 중계모듈은 해당 정보입력 메뉴를 단말기(15)에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는 단말기(15)로 전송된 사용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등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관리서버(151)는 사용자가 입력한 등록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제1인증정보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한편, 관리서버(151)는 회원가입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의 등록이 완료되거나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정보가 기등록된 정보일 경우, 사용자가 예약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예약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한다. 이때, 중계모듈은 해당 예약 페이지를 단말기(15)에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는 단말기(15)를 통해 제공되는 예약 페이지에 예약정보 즉, 사용하고자하는 주차부스(110)의 위치, 식별정보 또는 사용일자, 사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51)는 중계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해당 예약 정보를 기설정된 요금 기준에 적용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151)는 해당 이용요금을 사용자가 결제할 수 있도록 충전 페이지를 제공한다. 해당 관리서버(151)는 상기 충전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결제수단을 통해 포인트를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를 통해 상기 이용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관리서버(151)는 이용요금의 결제가 완료된 다음, 사용자가 예약한 정보가 포함된 예약확인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로 전송한다. 이때, 중계모듈은 해당 예약확인 페이지를 단말기(15)에 표시한다. 한편, 관리서버(151)는 예약 정보에 포함된 사용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사용 시간의 연장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리모트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5)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계모듈은 해당 리모트 페이지를 단말기(15)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시간의 연장을 선택할 경우, 관리서버(151)는 해당 사용시간의 연장에 대한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용만큼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
인증관리모듈(152)은 상기 주차부스(1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부스(110) 내부에 차량(10)이 진입할 경우, 해당 차량(10)의 상기 주차공간(111) 진입에 대한 진입정보가 포함된 식별태그를 출력하는 태그 출력모듈(153)과, 차량(10)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5)를 통해 해당 식별태그를 식별하는 인증모듈(154)과, 인증모듈(154)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 제공부(140)를 작동시키는 작동모듈(155)을 구비한다.
상기 태그 출력모듈(153)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해당 주차공간(111)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식별태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태그는 해당 진입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패턴 문양을 갖는 QR 코드와 같은 태그가 적용된다. 이때, 진입정보는 태그 출력모듈(153)이 설치된 주차부스(110)에 대한 식별정보와, 해당 주차부스(110)으로 차량(10)의 진입 시간 등이 포함된다. 상기 태그 출력모듈(153)은 주차 감지센서(132)에서 해당 주차공간(111)에 차량(10)의 주차가 감지되면, 기입력된 주차부스(110)의 식별정보와 함께, 해당 차량(10)의 주차 시간이 포함되도록 해당 식별태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태그 출력모듈(153)은 해당 식별태그를 충전유닛(114)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기(15) 즉, 스마트폰에 마련된 카메라를 통해 태그 출력모듈(153)에서 제공되는 식별태그를 촬영할 수 있다.
인증모듈(154)은 상기 차량(10)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5)에 설치되어 해당 단말기(15)에서 촬영된 상기 식별태그를 식별하여 해당 진입정보를 판독한다. 이때, 인증모듈(154)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5)에 설치된 중계모듈을 통해 제2인증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제2인증정보는 관리서버(151)에 등록된 사용자의 등록정보로서, 관리서버(151)에 등록시 사용한 ID 또는 개인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적용된다. 이때, 중계모듈은 인증모듈(154)로부터 제2인증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5)를 통해 해당 제2인증정보를 입력할 것을 해당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단말기(1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인증정보를 해당 인증모듈(154)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모듈(154)은 식별태그에서 판독된 진입정보 및 상기 단말기(15)에 기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제2인증정보를 작동모듈(155)에 전송한다.
작동모듈(155)은 관리서버(151)에 접속하여, 관리서버(151)에 저장된 예약정보 및 제1인증정보와, 상기 인증모듈(154)에서 제공되는 진입정보 및 제2인증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작동모듈(155)은 인증모듈(154)에서 제공되는 진입정보 및 제2인증정보가 상기 관리서버(151)에 저장된 예약정보 및 제1인증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차량(10)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해당 컨텐츠 제공부(140)를 작동시킨다.
즉, 작동모듈(155)은 상기 인증모듈(154)에서 제공되는 진입정보 및 제2인증정보가 상기 관리서버(151)에 저장된 예약정보 및 제1인증정보와 일치할 경우, 관리서버(151)로부터 사용자가 입력된 등록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등록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20)에 접속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20)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 제공모듈(144)에 전달한다.
여기서, 작동모듈(155)은 컨텐츠 제공서버(20)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서버(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영상 리스트를 획득한다. 다음, 컨텐츠 제공모듈(144)은 획득한 영상 리스트를 차량(10)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작동모듈(155)은 충전유닛(114)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보유 리스트를 전송하거나 기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15)로 해당 영상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영상 리스트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충전유닛(114)에 마련된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이나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15)를 통해 영상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작동모듈(155)은 상기 영상 리스트에서 상기 탑승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모듈(144)에 전달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160)는 상기 주차부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천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지지 프레임(161)과, 상기 지지 프레임(161)의 경사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의 태양전지(163)가 마련된 발전모듈(162)을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161)은 주차부스의 상면에 설치되며, 주차부스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61)은 상기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지지 프레임(16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전지(163)들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태양전지(163)는 지지 프레임(161)의 경사면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지를 생성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태양발전용 태양 전지 패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발전모듈(162)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태양전지(163)들에 연결되어 해당 태양전지(163)들에서 생성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모듈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충전유닛은 상용 전력 계통 또는 배터리모듈에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 전력 계통 및 배터리모듈에 연결된다. 충전유닛은 배터리모듈에 충전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해당 배터리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차량을 충전하고, 배터리모듈에 충전된 전력량이 상기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용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해당 차량을 충전한다. 또한, 배터리모듈은 컨텐츠 제공부에 연결되어 해당 컨텐츠 제공부의 영상 조사모듈, 사운드 출력모듈 및 컨텐츠 제공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전기차가 충전되는 동안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부(160)를 통해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유닛에 공급할 수 있어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상기 주차부스(1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상기 주량을 움직이는 체험제공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체험제공부(410)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 플레이트(420)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을 상기 안착 플레이트(420)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430)과, 상기 구속유닛(430)에 의해 상기 차량이 구속된 상기 안착 플레이트(42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리는 작동유닛(440)과, 상기 컨텐츠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해당 안착 플레이트(420)가 기울려지도록 상기 작동유닛(440)을 제어하는 체험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주차부스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420)가 작동유닛(440)에 의해 용이하게 틸팅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작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공간은 주차부스의 바닥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안착 플레이트(420)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 플레이트(4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작동유닛(440)에 의해 작동공간의 상부에 세팅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420)는 상부에 차량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유닛(430)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4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차량의 바퀴(15)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세팅위치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상기 안착 플레이트(420)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450)이 마련된 지지유닛(431)과,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재(450)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블럭(432)과, 상기 지지부재(450)에 설치되어 상기 안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재(450)를 이동시키는 이동 액츄에이터(433)와, 상기 접촉블럭(432)에 설치되어 해당 접촉블럭(432)들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바퀴(15)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해당 접촉블럭(432)들을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록 액츄에이터(444)와, 상기 안착면에 상기 차량이 안착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450)들이 상기 차량의 바퀴(15)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액츄에이터(433)를 작동시키고, 해당 접촉블럭(432)들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퀴(15)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블럭(432)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상기 블록 액츄에이터(444)를 작동시키는 파지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지지부재(450)는 연결유닛(451)에 의해 안착 플레이트(4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유닛(45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안착 플레이트(4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이동 액츄에이터(43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바(452)와, 메인바(452)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안착 플레이트(420)의 중심으로 연장된 다수의 서브바(453)를 구비한다.
서브바(453)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지지부재(450)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때, 서브바(453)들은 차량의 바퀴(15)의 전후폭보다 더 긴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메인바(452)에 설치된다. 여기서, 최전방 서브바(453)는 안착 플레이트(420)에 안착된 차량의 전방 바퀴(15)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최후방 서브바(453)는 안착 플레이트(420)에 안착된 차량의 후방 바퀴(15)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메인바(452)에 세팅된다. 또한, 최전방 서브바(453) 및 최후방 서브바(453) 사이의 서브바(453)는 안착 플레이트(420)에 안착된 차량의 전방 바퀴(15) 및 후방 바퀴(15)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바(45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450)들은 안착 플레이트(420)에 안착된 차량의 바퀴(15)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서브바(453)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유닛(431)은 다수개가 차량의 바퀴(15)들에 인접된 서브바(453)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블럭(432)은 다수개가 블록 액츄에이터(444)에 의해 지지부재(450)들에 각각 지지된다. 이때, 접촉블럭(432)들은 안착 플레이트(420)에 안착된 차량의 바퀴(15)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각각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촉블럭(432)은 차량의 바퀴(15)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차량의 바퀴(15)에 대향되는 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액츄에이터(433)는 다수개가 지지부재(450)들에 각각 설치되어 접촉블럭(432)을 지지한다. 해당 이동 액츄에이터(433)는 차량의 바퀴(15)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복수의 접촉블럭(432)들을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여기서, 이동 액츄에이터(433)는 공급된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전후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유압실린더 또는 스크류잭과 같은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블록 액츄에이터(444)는 다수개가 연결유닛(451)의 메인바(452)에 설치되어 해당 메인바(452)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블록 액츄에이터(444)는 좌우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것으로서, 유압실린더 또는 스크류 잭과 같은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파지 제어부는 이동 액츄에이터(433) 및 블록 액츄에이터(444)에 연결되어 해당 이동 액츄에이터(433) 및 블록 액츄에이터(444)의 작동을 제어한다. 파지 제어부는 주차 감지센서(132)로부터 차량의 주차 완료가 감지되면, 안착 플레이트(420)의 안착면에 상기 차량이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지부재(450)들이 상기 차량의 바퀴(15)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액츄에이터(433)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이동 액츄에이터(433)는 지지블럭들을 안착 플레이트(42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 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파지 제어부는 해당 접촉블럭(432)들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퀴(15)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블럭(432)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상기 블록 액츄에이터(444)를 작동시킨다. 이때, 차량의 바퀴(15)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된 접촉블럭(432)들은 해당 바퀴(15)에 접촉되어 바퀴(15)를 안착 플레이트(420)에 구속시킨다.
작동 유닛은 안착 플레이트(4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틸팅 액츄에이터(441)를 구비한다.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441)들은 안착 플레이트(420)의 하면 모서리 부분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주차부스의 작동공간 바닥면에 고정된다.
체험 제어모듈은 컨텐츠 제공부(140)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면,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해당 안착 플레이트(420)가 기울려지도록 상기 틸팅 액츄에이터(441)들을 제어한다. 해당 체험 제어모듈은 틸팅 액츄에이터(441)를 작동시켜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안착 플레이트(420)를 틸팅시키므로 차량의 탑승자는 보다 생동감있게 해당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속유닛(5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유닛(510)은 안착 플레이트(420)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15)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커버(511)와, 상기 지지커버(511)를 승강시키는 승강 액츄에이터(512)와, 상기 차량의 바퀴(15)를 파지하는 복수의 파지블럭(513)과, 상기 파지블럭(513)을 슬라이딩시키는 복수의 파지 액츄에이터(514)와, 상기 파지 액츄에이터(514)들을 제어하는 구속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안착 플레이트(420)는 상부에 주차된 차량의 바퀴(15)가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인입슬롯(421)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슬롯(421)은 다수개가 안착 플레이트(420)의 안착면에 안착된 차량의 바퀴(15)들에 대응되는 각 위치에 위치하도록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인입슬롯(421)은 안착 플레이트(420)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입슬롯(421)의 전방 내측면 및 후방 내측면에는 파지블럭(513) 및 파지 액츄에이터(514)가 인입될 수 있도록 진퇴구(4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커버(511)들은 인입슬롯(421)으로 인입되는 차량을 바퀴(1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인입슬롯(421)들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해당 지지커버(5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인입슬롯(421)을 덮을 수 있도록 인입슬롯(421)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액츄에이터(512)는 상단이 지지커버(511)에 고정되고, 하단은 인입슬롯(421)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하방향 길이가 신축된다. 해당 승강 액츄에이터(512)는 공급된 유압 또는 전기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스크류 잭과 같은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파지블럭(513)들은 상호 대향되는 인입슬롯(421)의 내측면에,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즉, 파지블럭(513)들은 인입슬롯(421)의 전방 내측면 및 후방 내측면의 진퇴구(422)에, 파지 액츄에이터(51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파지블럭(513)은 차량의 바퀴(15)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인입슬롯(421)의 중심에 대향되는 외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액츄에이터(514)는 파지블럭(51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파지블럭(513)들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파지 액츄에이터(514)는 진퇴구(422) 내에 설치되며, 단부에 파지블럭(513)이 설치된다. 해당 파지 액츄에이터(514)는 좌우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스크류 잭과 같은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구속 제어부는 주차부스에 차량이 주차될 경우, 파지블럭(513)들에 의해 차량의 바퀴(15)가 안착 플레이트(420)에 구속되도록 승강 액츄에이터(512) 및 파지 액츄에이터(514)를 구비한다. 구속 제어부는 지지커버(511)가 인입슬롯(421)을 덮을 수 있도록 승강 액츄에이터(512)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구속 제어부는 주차 감지센서(132)로부터 차량의 주차 완료가 감지되면, 지지커버(511)에 차량의 바퀴(15)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차량의 바퀴(15)가 파지블럭(513)에 대응되는 깊이까지 인입슬롯(421) 내로 인입되도록 지지커버(511)가 하가되게 승강 액츄에이터(512)를 작동시킨다. 다음, 구속 제어부는 해당 파지블럭(513)들에 의해 차량의 바퀴(15)가 파지될 수 있도록 파지블럭(513)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파지 액츄에이터(514)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구속 제어부는 파지블럭(513)들이 인입슬롯(421)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도록 파지 액츄에이터(514)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접근방지턱(134)을 상기 스크린(141)에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210)과, 상기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의 외형을 감지하는 외형감지부(220)와, 상기 외형감지부(22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10)의 앞바퀴(15)가 상기 접근방지턱(134)에 접촉시, 해당 차량(10)의 운전석이 상기 스크린(141)으로부터 기설정된 설정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근방지턱(134)이 이동되게 상기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접근방지턱(134)은 상기 스크린(14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접근방지턱(134)은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210)은 전단이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후단이 접근방지턱(134)의 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액츄에이터(211)를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터(211)들은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접근방지턱(134)의 좌우단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211)는 전후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것으로서, 유압 실린더 또는 스크류 잭이 적용된다. 이때, 액츄에이터(21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접근방지턱(134)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해당 구동유닛(210)이 주차공간(111)의 바닥에 매립되게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구동유닛(210)은 외부로 노출되게 주차공간(111)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외형감지부(220)는 상기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주차부스(110)에 설치되는 촬영카메라(221)와, 상기 촬영카메라(221)에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차량(10)의 앞바퀴(15)에서 운전석 까지의 거리인 지정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모듈(222)을 구비한다.
상기 촬영카메라(221)는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의 앞바퀴(15)와 운전석을 촬영할 수 있도록 주차부스(110)의 측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촬영카메라(221)는 차량(10)에 대한 깊이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산출모듈(222)은 촬영카메라(221)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토대로 차량(10)의 앞바퀴(15)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운전석까지의 거리인 지정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지정거리는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평행한 기준 수평선을 기준으로 앞바퀴(15)와 운전석 사이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출모듈(222)은 촬영카메라(221)의 촬영영상을 토대로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운전석까지의 높이 즉, 운전석 높이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해당 산출모듈(222)은 영상 또는 깊이영상을 분석하여 두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분석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외형감지부(22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10)의 앞바퀴(15)가 상기 접근방지턱(134)에 접촉시, 해당 차량(10)의 운전석이 상기 스크린(141)으로부터 기설정된 설정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근방지턱(134)이 이동되게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즉, 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설정거리에서, 상기 산출모듈(222)에서 산출된 지정거리 뺀 세팅거리만큼 상기 스크린(141)로부터 해당 접근방지턱(134)이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설정거리는 사용자가 스크린(141) 전체를 인지할 수 있는 스크린(141)으로부터 최적의 이격거리로서, 스크린(141)의 크기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200)은 외형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차량(10)의 외형 정보에 따라 운전석이 스크린(141)에 대해 기설정된 설정거리에 위치하도록 접근방지턱(134)의 위치를 조정하므로 차량(10)의 종류가 상이하더라도 해당 차량(10)에 탑승한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상태로 스크린(141)을 볼 수 있다.
한편, 영상 조사모듈(142)은 상기 외형감지부(22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10)의 운전석 높이가 기설정된 기준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스크린(141)에 조사되는 상기 동영상의 위치를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기준높이는 세단형 자동차들의 운전석의 평균 높이가 적용되나, 주차부스(110)의 크기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세팅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조사모듈(142)은 차량(10)의 운전석 높이에 따라 스크린(141)에 조사되는 동영상의 위치를 조정하므로 SUV와 같이 운전석 높이가 비교적 높은 차량(10)에 탑승한 사용자도 보다 용이하게 해당 스크린(141)에 조사되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400)은 상기 접근방지턱(134)에 상기 차량(10)의 바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도록 해당 접근방지턱(134)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센서(410)와, 상기 접촉 감지센서(41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접근방지턱(134)에 상기 차량(10)의 바퀴가 접촉될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부(140)를 작동시키는 영상 제어부(4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접촉 감지센서(410)는 접근방지턱(134)의 후방에 설치되며, 차량(10)의 바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해당 접촉 감지센서(410)는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촉 감지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제어부(420)는 접촉 감지센서(410)에서 차량(10)의 바퀴가 접근방지턱(134)에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영상 조사모듈(142)이 스크린(141)으로 동영상을 조사하고, 사운드 출력모듈(143)에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해당 영상 조사모듈(142) 및 사운드 출력모듈(143)을 작동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영상 제어부(420)는 접근방지턱(134)이 차량(10)의 바퀴에 접촉시 해당 동영상이 스크린(141)으로 제공되므로 운전자는 스크린(141)에 동영상의 표시 여부를 통해 운전이 미숙하더라도 스크린(141)에 적절한 위치에 해당 차량(10)을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상기 주차공간(111)에 주차된 차량(10)에 연결되어 해당 차량(10)의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전력량만큼 해당 차량(10)의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은 방전유닛(510)과, 상기 방전유닛(510)에 연결되어 해당 방전유닛(510)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컨텐츠 제공부(140) 또는 전력계통(15)으로 공급하는 전력전달부(520)와, 상기 방전유닛(510)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차량(10)의 배터리에서 상기 방전유닛(510)으로 공급된 전력량에 대한 공급 전력량 정보를 환급서버(18)에 전송하는 통신모듈(530)을 더 구비한다.
방전유닛(510)은 주차부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주차부스(110)로 진입한 차량(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방전유닛(510)은 고용량의 배터리가 마련된 전기차와 같은 차량(1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해당 차량(10)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가 마련되고, 일측에, 차량(10)의 탑승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전력량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패널(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력패널은 운전자의 탑승자가 컨텐츠 제공부(140) 또는 전력계통(15) 중 전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방전유닛(510)은 연결된 전기차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전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력전달부(520)는 컨텐츠 제공부(140) 또는 전력계통(15)에 연결되어 방전유닛(510)에서 공급된 전력을 해당 컨텐츠 제공부(140)의 영상 조사모듈(142)과 사운드 출력모듈(143) 또는 전력계통(15)에 전달한다. 상기 전력전달부(520)는 입력패널에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 제공부(140) 또는 전력계통(1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력전달부(520)는 전력을 공급시 영상 조사모듈(142)과 사운드 출력모듈(143) 또는 전력계통(15)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압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모듈(530)은 상기 방전유닛(510)에 연결되어 차량(10)의 배터리에서 방전유닛(510)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공급 전력량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공급 전력량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환급서버(18)에 전송한다.
환급서버(18)는 통신모듈(530)로부터 공급 전력량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공급 전력량 정보를 기설정된 환산금액 산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해당 공급 전력량 정보에 대응되는 환산금액을 산출한다. 이때, 환급서버(18)는 차량(10)의 탑승자의 통장 계좌 번호가 기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환급서버(18)는 산출된 환산금액에 대응되는 현금을 기등록된 통장 계좌번호로 송금하거나 환산금액에 대응되는 결제 포인트를 해당 차량(10)의 탑승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한편, 환급서버(18)는 산출된 환산금액에 대한 정보를 기등록된 상기 차량(10)의 탑승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500)은 주차부스(110) 내에 주차된 차량(10)의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컨텐츠 제공부(140) 또는 전력계통(15)에 전달하므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급된 전력에 대응되게 환산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6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600)의 주차부스(610)는 차량(10)이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할 수 있는 입구(611)와, 주차공간(111) 내의 차량(10)이 외부로 출차할 수 있도록 출구(6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차부스(610)는 후면에 상기 입구(611)가 형성되며, 해당 입구(6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개폐도어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주차부스(610)는 전면에, 해당 출구(612)가 형성되며, 해당 출구(6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출차도어(620)가 설치되어 있다.
출차도어(620)는 상기 출구(6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주차부수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차 플레이트(621)와, 상기 출차 플레이트(621)를 회동시키는 출차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출차 플레이트(621)는 출구(612)를 폐쇄할 수 있도록 출구(612)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주차부스(610)의 전단부 상측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해당 출차 플레이트(621)는 해당 출구(612)를 폐쇄시 상기 주차공간(111)에 노출되는 내측면 즉, 후면에 상기 스크린(14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차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주차부스(610)에 설치되어 해당 출차 플레이트(621)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출차 구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출차 플레이트(621)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600)은 상기 접근방지턱(134)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10)이 해당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동 센서모듈(630)과, 상기 이동 센서모듈(63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10)이 상기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상기 출구(612) 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출구(612)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차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출차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 센서모듈(630)은 접근방지턱(134)의 전방에 설치되어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하는 차량(10)의 바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감지패널(631)과, 해당 감지패널(631)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해당 차량(10)이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패널(631)은 접근방지턱(134)과 함께 이동되도록 접근방지턱(134)에 고정되며, 주차공간(111)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해당 감지패널(631)은 접근방지턱(134)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판별부는 접촉 감지센서(410) 및 감지패널(631)에서 감지정보를 제공받고, 접촉 감지센서(410)에서 차량(10)의 바퀴의 접촉이 감지된 이후, 감지패널(631)에서 차량(10)의 바퀴가 감지되면 해당 차량(10)이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한 것으로 판별하고, 판별정보를 출차 제어부에 제공한다.
한편, 이동 센서모듈(63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10)의 바퀴가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출차 제어부는 이동 센서모듈(630)의 판별부로부터 차량(10)이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한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차량(10)이 출구(612)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출구(612)가 개방되게 출차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상술된 주차부스(610)는 입구(611)의 전방에 별도의 출구(61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주차부스(610) 내의 차량(10)은 출차시 해당 주차공간(111)으로 진입하려는 차량(10)과 동선이 겹치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600)은 접근방지턱(134)을 넘어 이동될 경우, 자동으로 출구(612)가 개방되게 출차도어(620)가 작동하므로 차량(10)의 탑승자는 보다 용이하게 출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7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시스템(700)은 상기 출구(612)가 개방되도록 해당 출차 플레이트(621)가 회동시 주차공간(111)으로 외기를 강제송풍시킬 수 있는 송풍유닛(7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710)은 출차 플레이트(62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주차공간(111) 내로 외기를 강제송풍하는 다수의 송풍기(711)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711)는 출차 플레이트(621)의 후면 타단 가장자리 측에 설치되며, 출차 플레이트(621)의 일단부 측으로 외기를 강제송풍시킨다.
출차 제어부는 출구(612)가 개방되도록 출차 구동부를 작동시킨 다음, 해당 송풍유닛(710)을 작동시킨다. 송풍유닛(710)의 송풍기(711)는 외기를 출차 플레이트(621)의 일단부 측으로 강제송풍시키는데, 해당 외기는 출차 플레이트(621)를 따라 주차부스(610) 내부로 공급된다. 송풍유닛(710)는 주차공간(111) 내로 외기를 송풍시켜 주차부스(610) 내부를 환기시킨다.
한편, 송풍유닛(710)은 스크린(14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711)에서 송풍된 외기를 스크린(141)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712)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712)는 상기 출차 플레이트(621)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송풍기(711)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712)는 송풍기(711)로부터 출차 플레이트(621)의 일단부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송풍기(711)로부터 멀어질수록 해당 출차 플레이트(621)의 후면에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가이드 부재(712)는 송풍기(711)에 의해 송풍된 외기를 스크린(141) 측으로 가이드하여 스크린(14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해당 스크린(141)을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송풍유닛(710)은 출구(612)가 개방시 주차공간(111)으로 외기를 송풍시켜 주차부스(610) 내부를 환기시키므로 차량(10)의 탑승자가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해당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0: 주차부스
111: 주차공간 112: 출입구
120: 개폐도어 130: 도어작동부
131: 차량 감지센서 132: 주차 감지센서
133: 도어 제어부 134: 접근방지턱
140: 컨텐츠 제공부 141: 스크린
142: 영상 조사모듈 143: 사운드 출력모듈
144: 컨텐츠 제공모듈 150: 제어유닛
151: 관리서버 152: 인증관리모듈
153: 태그 출력모듈 154: 인증모듈
155: 작동모듈 160: 태양광 발전부
161: 지지 프레임 162: 발전모듈

Claims (10)

  1. 내부에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된 주차부스;
    상기 주차부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유닛;
    상기 주차부스의 주차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를 상기 충전유닛 또는 컨텐츠 제공부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상기 주차부스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천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경사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의 태양전지가 마련된 발전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부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상기 주량을 움직이는 체험제공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제공부는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차량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을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구속시키는 구속유닛;
    상기 구속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이 구속된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리는 작동유닛; 및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게 해당 안착 플레이트가 기울려지도록 상기 작동유닛을 제어하는 체험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차량의 바퀴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세팅위치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가 마련된 지지유닛;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재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블럭;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안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액츄에이터;
    상기 접촉블럭에 설치되어 해당 접촉블럭들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바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해당 접촉블럭들을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록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안착면에 상기 차량이 안착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들이 상기 차량의 바퀴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해당 접촉블럭들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퀴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블럭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상기 블록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파지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차량의 바퀴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바퀴들에 대응되는 각 위치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다수의 인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인입슬롯으로 인입되는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슬롯들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커버;
    상기 지지커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커버에 설치되는 승강 액츄에이터;
    상호 대향되는 상기 인입슬롯의 내측면에,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파지블럭;
    상기 파지블럭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지블럭에 설치되는 복수의 파지 액츄에이터; 및
    상기 지지커버에 상기 차량의 바퀴가 안착되면 해당 차량의 바퀴가 상기 파지블럭에 대응되는 깊이까지 상기 인입슬롯 내로 인입되도록 상기 지지커버가 하강되게 상기 승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해당 파지블럭들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바퀴가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블럭들이 상호 인접되도록 이동되게 상기 파지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구속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내에서 상기 차량이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게 주차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바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해당 스크린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접근방지턱;
    상기 접근방지턱을 상기 스크린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주차공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외형을 감지하는 외형감지부;
    상기 외형감지부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앞바퀴가 상기 접근방지턱에 접촉시, 해당 차량의 운전석이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기설정된 설정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근방지턱이 이동되게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
    상기 접근방지턱에 상기 차량의 바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도록 해당 접근방지턱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센서;
    상기 접촉 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접근방지턱에 상기 차량의 바퀴가 접촉될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부를 작동시키는 영상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기가 충전된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에 연결되어 해당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전력량만큼 해당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은 방전유닛;
    상기 방전유닛에 연결되어 해당 방전유닛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컨텐츠 제공부 또는 전력계통으로 공급하는 전력전달부; 및
    상기 방전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방전유닛으로 공급된 전력량에 대한 공급 전력량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 전력량 정보에 대응되는 환산금액이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지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구축된,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부스는 상기 주차공간으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주차공간 내의 차량이 외부로 출차할 수 있도록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차부스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주차부스의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부스에 설치되는 출차도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출구를 폐쇄시 상기 주차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출차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크린;
    상기 주차부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모듈;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운드 출력모듈; 및
    상기 영상 조사모듈 및 사운드 출력모듈에 상기 영상 컨텐츠의 동영상 및 사운드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도어는
    상기 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주차부수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해당 출구를 폐쇄시 상기 주차공간에 노출되는 내측면에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출차 플레이트; 및
    상기 출차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출차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공간 내에서 상기 차량이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되게 주차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바퀴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접근 방지턱;
    상기 접근 방지턱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이 해당 접근 방지턱을 넘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동 센서모듈;
    상기 이동 센서모듈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이 상기 접근 방지턱을 넘어 상기 출구 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출차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출차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20088880A 2022-07-19 2022-07-19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240011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80A KR20240011914A (ko) 2022-07-19 2022-07-19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80A KR20240011914A (ko) 2022-07-19 2022-07-19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14A true KR20240011914A (ko) 2024-01-29

Family

ID=8971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80A KR20240011914A (ko) 2022-07-19 2022-07-19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97B1 (ko) 2016-11-09 2018-06-04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전기차충전시스템 및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97B1 (ko) 2016-11-09 2018-06-04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전기차충전시스템 및 전기차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796B1 (ko) 태양광을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1973389B1 (ko) 전기차량 충전시스템
KR102069541B1 (ko) 전기차량 충전시스템
KR102158460B1 (ko) 주차타워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20190108531A (ko) 충전 로봇 및 주차 시스템
CN109649342B (zh) 智能洗车方法、洗车机、服务器、车载终端和洗车系统
JP2014008890A (ja) バッテリー交換方式の電気車充電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200044B1 (ko) 장애인 전용 주차시스템
US20200376974A1 (en) Autonomous mobile vehicle charger system utilizing novel structural architecture to transport and deliver energy to a densely positioned array of energy users
CN105822108A (zh) 电动自行车存储站
CN111779338A (zh) 智能立体车库预约管理系统
CN107845149B (zh) 一种停车充电付费自助设备及系统
CN113436375A (zh) 一种过闸检测通行方法及设备
CN205577543U (zh) 电动自行车存储站
CN112991754A (zh) 一种具有车辆鉴权功能的道闸
CN111779336A (zh) 智能升降车库预约管理系统
KR20240011914A (ko)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7554334B (zh) 一种电能补充系统和方法
KR101743645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기반의 무인 차량 흐름 통제 시스템
KR102534326B1 (ko) 주행장치 통제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210316748U (zh) 一种智慧车位护卫机器人预约车位的系统
KR102125290B1 (ko) 교통 약자용 전기 충전 키오스크
KR102588416B1 (ko) 차량용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30007081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CN209822033U (zh) 一种基于齿条的智慧车位护卫机器人行程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